맨위로가기

포워드 (래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워드는 대한민국의 래퍼로, 2000년 조PD와 DJ Uzi를 디스하는 곡 '노자'를 발표하며 힙합계에 이름을 알렸다. 이후 2003년 싱글 '친구'를 발매했으나, 이후 활동이 뜸해져 사진작가로 활동했다. 2012년 어반 코너 앨범에 참여하며 7년 만에 랩을 선보였고, 2013년 컴백 싱글 'The Sign of 4'를 발표했다. 예명은 D'siz Money가 있으며, P-Type이 지어준 4WD는 "For Wild & Dirty"의 약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자 래퍼 - 마리오 (대한민국의 가수)
    마리오는 2008년 데뷔하여 싸이더스HQ와 SM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활동했던 대한민국의 가수로, 《천하무적 야구단》 등 방송 출연을 통해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다.
  • 남자 래퍼 - 케이준 (가수)
    케이준은 드라마 및 영화 OST 참여와 다양한 가수 앨범 피처링, 스윙브로스 및 준세이어 프로젝트 그룹 활동, 개인 앨범 발매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뮤지션이다.
  • 대한민국의 래퍼 - 방민수
    방민수는 보이그룹 틴탑의 멤버 캡의 본명이며, 대하초등학교, 영성중학교, 성남정보산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동서울대학교 현대무용과를 졸업했으며 틴탑 멤버로 활동하며 《틴탑의 뜬다 백퍼》에 출연했다.
  • 대한민국의 래퍼 - 미르 (가수)
    미르는 2009년 보이 그룹 엠블랙의 래퍼로 데뷔하여 활동했으며, 예능 프로그램 출연 및 다른 가수 곡 피처링 참여 등의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대한민국의 남자 래퍼 - 양동근
    양동근은 1987년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동하며 YDG aka Madman이라는 예명으로 힙합 가수로도 데뷔하여 독특한 스타일과 개성 있는 음악으로 입지를 다진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힙합 래퍼이다.
  • 대한민국의 남자 래퍼 - 은지원
    은지원은 젝스키스 리더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와 예능인으로 활동하며 큰 인기를 얻고 젝스키스 재결합 후에도 다방면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방송인이다.
포워드 (래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이건돈
로마자 표기Lee Geon Don
출생일1979년 10월 29일
출생지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경력
직업래퍼
소속 그룹SNP (대표 래퍼)
Mushroom Cloud
활동 기간2000년대 초 ~ 2003년
2012년 ~

2. 초기 활동 및 '노자' (2000년 ~ 2003년)

4WD는 나우누리의 힙합 동호회 SNP에서 랩이 아닌 보컬로 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보컬은 Tragic Temple의 앨범에서 들어볼 수 있다. 이후 랩에 관심을 가진 그는 2000년에 조PDDJ Uzi디스하는 곡 '''노자'''를 발표하며 힙합 매니아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 곡은 버벌 진트와의 직설적인 가사와 당시 기준을 뛰어넘는 라이밍으로 큰 이슈가 되었다. 디스 이유에 대해 그는 힙합플레이야 인터뷰에서 "가사에 이유가 모두 드러나있으며, 싫은 건 싫다고 말하고 싶었다"고 밝혔다.[1]

이후 활동이 뜸했던 그는 Rawdogg Records와 계약 후 2003년 싱글 《친구》를 발표하며 기대치를 높였으나, 이후 활동이 다시 잠잠해졌다. 휘성의 ''With Me'' 방송용 버전에 피쳐링하거나, 2005년 프로듀서 Phat Swings의 블로그에 신곡 ''Dr. Go!''를 일주일간 공개하며 컴백을 예고하는 듯 했으나[2] 실제 컴백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그는 이러한 공백에 대해 "'하기 싫으면 하지 않는 습성' 때문이며, 재미를 느끼지 못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특히 《친구》 발표 후 반응이 기대와 달라 힘이 빠졌다고 고백했다.[3]

''Dr. Go!'' 이후 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었으며, 그는 일산에서 '''Studio Amabile231'''이라는 사진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사진 촬영을 주업으로 했다. 그는 앨범 발매 후 반응을 보며 랩의 의미를 잃어갔다고 밝혔다.[4] 2010년 여름 앨범을 준비 중이라는 짧은 언급이 있었으나[5], 구체적인 계획은 없었다. 그는 당시 SNP 출신 Mushroom Cloud CEO Trish가 음악을 다시 하도록 설득했다고 밝혔다.[3]

2. 1. '노자' 발표와 디스전

4WD와 버벌 진트는 조PD와 DJ Uzi를 디스하는 곡 '''노자'''를 발표했다. 이 곡은 이현도의 "흑열가", DJ Uzi의 "Uzi's Mind" 등의 가사를 패러디하며 조PD와 DJ Uzi를 노골적으로 비판했다.[7] 이에 DJ Uzi는 '''不以兵强天下'''라는 곡으로 반격했다. 이 디스전은 SNP와 소울 트레인 간의 갈등으로 비춰지기도 했다.

2. 1. 1. 디스 배경 및 내용

4WD와 버벌 진트는 조PD와 DJ Uzi를 향한 디스곡 '''노자'''를 발표하였다. "노자"는 2000년에 발표되었으며, 이현도의 "흑열가", DJ Uzi의 "Uzi's Mind" 등의 가사를 패러디하면서 노골적으로 조PD와 DJ Uzi를 디스하였다.[7] 이 곡에는 Lucy가 보컬을 담당하였으며, 그 당시 생소했던 다음절 라임을 선보여 많은 호응을 얻었다.

한편 이에 대한 반격으로 DJ Uzi 역시 '''不以兵强天下'''라는 곡을 발표하였다.[7] "졸개로는 천하를 강하게 만들 수 없다"는 뜻의 제목을 가진 이 곡은, DJ Uzi 외에 Deze, 현상 등이 참여하였다. 셋이 모두 소울 트레인 출신인 관계로, 이 디스전은 SNP와 소울 트레인의 싸움으로 비춰지기도 하였다. 이후 2012년 7월 힙합엘이 토크콘서트 무대에서 버벌 진트는 4WD의 입장은 모르나 자신의 경우는 조PD에 대한 나쁜 감정이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니었으며, 과거 SNP에 올린 자신의 자작곡에 대해 "조PD 같다"라는 팬의 '칭찬'을 계기로 자신은 조PD와 전혀 다르며 더 낫다는 것을 "과장되게" 표현한 한 방법이었다고 설명하였다.

버벌 진트와 달리 4WD의 음악 활동이 이후 활발하지 않았던 관계로 조PD와의 화해가 이루어질 기회는 없었으나, 4WD는 인터뷰에서 "수년 전 현상군과 내 사이에선 "난 너 씹은 적 없는데 넌 왜 아무 이유도 없이 날 씹었니???"라는 나의 질문과 "난 어떤 곡인지도 모르고 그냥 만들어 놓은 가사 입힌것 뿐이거든???"하는 현상군의 답변이 오갔었고 그 때부터 우린 친구가 되었다"라고 밝혔으며, 실제로 현상은 그의 컴백 싱글 ''The Sign of 4''에 작곡가로 참여하였다.[7] 한편 조PD는 2013년 인터뷰에서 당시 "3집 작업하느라 바쁘고 개인적인 해프닝도 많아 아직까지 그 곡은 들어본 적이 없다"라고 밝혀 팬들을 되려 놀라게 하였다.

2. 1. 2. DJ Uzi의 반격과 여파

4WD와 버벌 진트는 조PD와 DJ Uzi를 향한 디스곡 '''노자'''를 발표하였다. "노자"는 2000년에 발표되었으며, 이현도의 "흑열가", DJ Uzi의 "Uzi's Mind" 등의 가사를 패러디하면서 노골적으로 조PD와 DJ Uzi를 디스하였다. 이 곡에는 Lucy가 보컬을 담당하였으며, 그 당시 생소했던 다음절 라임을 선보여 많은 호응을 얻었다.

한편 이에 대한 반격으로 DJ Uzi 역시 '''不以兵强天下'''라는 곡을 발표하였다. "졸개로는 천하를 강하게 만들 수 없다"는 뜻의 제목을 가진 이 곡은, DJ Uzi 외에 Deze, 현상 등이 참여하였다. 셋이 모두 소울 트레인 출신인 관계로, 이 디스전은 SNP와 소울 트레인의 싸움으로 비춰지기도 하였다. 이후 2012년 7월 힙합엘이 토크콘서트 무대에서 버벌 진트는 4WD의 입장은 모르나 자신의 경우는 조PD에 대한 나쁜 감정이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니었으며, 과거 SNP에 올린 자신의 자작곡에 대해 "조PD 같다"라는 팬의 '칭찬'을 계기로 자신은 조PD와 전혀 다르며 더 낫다는 것을 "과장되게" 표현한 한 방법이었다고 설명하였다.

버벌 진트와 달리 4WD의 음악 활동이 이후 활발하지 않았던 관계로 조PD와의 화해가 이루어질 기회는 없었으나, 4WD는 인터뷰에서 "수년 전 현상군과 내 사이에선 "난 너 씹은 적 없는데 넌 왜 아무 이유도 없이 날 씹었니???"라는 나의 질문과 "난 어떤 곡인지도 모르고 그냥 만들어 놓은 가사 입힌것 뿐이거든???"하는 현상군의 답변이 오갔었고 그 때부터 우린 친구가 되었다"라고 밝혔으며, 실제로 현상은 그의 컴백 싱글 ''The Sign of 4''에 작곡가로 참여하였다. 한편 조PD는 2013년 인터뷰에서 당시 "3집 작업하느라 바쁘고 개인적인 해프닝도 많아 아직까지 그 곡은 들어본 적이 없다"라고 밝혀 팬들을 되려 놀라게 하였다.[7]

3. 공백기와 복귀 (2003년 ~ 현재)

4WD는 2003년 싱글 《친구》 발표 후 긴 공백기를 가졌다. 2005년 프로듀서 Phat Swings의 블로그에 신곡 〈Dr. Go!〉가 공개되고, 2006년 힙합플레이야에 컴백을 예고하는 글을 올렸으나[2] 컴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는 인터뷰에서 "'하기 싫으면 하질 않는 습성'"과 《친구》 발표 후의 예상과 다른 반응으로 인해 힘이 빠졌었다고 밝혔다.[3]

〈Dr. Go!〉 이후 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었으며, 공백기 동안 일산에서 '''Studio Amabile231'''이라는 사진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사진 작가로 활동했다.[4] 2010년 여름 앨범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을 전했으나,[5] 별다른 소식은 없었다. 당시 음악을 다시 할 수 있도록 설득해준 것은 SNP 출신 Mushroom Cloud의 CEO Trish였다고 한다.[3]

2012년 애시드 재즈 밴드 Urban Corner 앨범에 참여하며 7년 만에 랩을 선보였고,[6] 2013년 7월 컴백 싱글 〈The Sign of 4〉를 발표했다.

3. 1. Rawdogg Records 시절과 활동 중단

4WD는 나우누리의 힙합 동호회 SNP에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랩이 아니라 보컬로 활동하였으며, 그의 보컬은 Tragic Temple의 앨범에서 들어볼 수 있다. 곧 랩에 대한 관심을 가진 그는, 2000년에 조PDDJ Uzi를 향한 신랄한 디스곡인 '''노자'''를 발표하면서 힙합 매니아들의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1]

이후 활동이 잠잠했던 그는 Rawdogg Records와 계약을 맺고 앨범을 준비하였으며, 2003년 싱글 《친구》가 발표되었다. 이 앨범은 그에 대한 기대치를 올려놓기에 충분하였으나, 이후 활동이 잠잠해져 그의 모습을 보기 힘들었다. 휘성의 ''With Me'' 방송용 버전에 피쳐링을 하기도 하였으며, 2005년 프로듀서 Phat Swings의 블로그에 그의 신곡 ''Dr. Go!''가 일주일 한정으로 공개되어 그의 컴백이 점쳐졌으나 돌아오지는 않았다. 2006년에는 힙합플레이야에 컴백을 예고하는 글을 올렸으나[2] 이 역시 그의 컴백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이러한 여러 차례의 공백에 대해 그는 추후 인터뷰에서 "'하기 싫으면 하질 않는 습성'이 여실히 드러났던" 것으로 "재미를 못 느끼는 것뿐"이었다고 밝혔다. 특히, 《친구》를 발표한 후의 피드백이 생각과 달라 힘이 빠졌었다고 고백하였다.[3]

결과적으로 그의 목소리는 ''Dr. Go!'' 이후로는 들어볼 수 없었으며, 이 공백기 동안 그는 일산에 거주하면서 '''Studio Amabile231'''이라는 이름의 사진 스튜디오에서 사진 촬영을 주업으로 하였다. 이후 기사에서 그는 앨범을 내고 돌아오는 반응이 생각과 다른 것을 보며 랩을 한다는 것 자체의 의미를 잃어갔던 것 같다고 밝혔다.[4] 2010년 여름에는 앨범을 준비 중이라는 코멘트를 짧게 남긴 적이 있으나 언제가 될 거라는 기약은 없었고, 2010년이 끝날 때까지도 별다른 소식은 없었다.[5] 후에 그는 당시 음악을 하게 다시 설득을 해준 것은 같은 SNP 출신이자 Mushroom Cloud의 CEO Trish였다고 밝혔다.[3]

3. 2. 사진작가 활동

그는 공백기 동안 일산에서 '''Studio Amabile231'''이라는 사진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사진 촬영을 주업으로 하였다. 이후 기사에서 그는 앨범을 내고 돌아오는 반응이 생각과 달라 랩을 한다는 것 자체의 의미를 잃어갔던 것 같다고 밝혔다.[4]

3. 3. Urban Corner와 복귀 (2012년 ~ 현재)

2012년, 4WD는 Trish가 결성한 애시드 재즈 밴드 Urban Corner의 앨범에 참여하며 7년 만에 랩을 선보였다.[6] Urban Corner의 소속 레이블 '''Mushroom Cloud'''를 통해 앨범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팬들의 기대를 모았다.[6] 2013년 7월에는 컴백 싱글 ''The Sign of 4''가 발매되었다.

4. 음악 스타일 및 디스코그래피

포워드(4WD)는 2000년 싱글 《노자》로 데뷔하여, 2003년 싱글 《친구》, 2013년 싱글 ''The Sign of 4''를 발표하였다. Tragic Temple 앨범 수록곡 'Once Again', Verbal Jint 싱글 수록곡 'To All the Hiphop Kidz', LowDown 앨범 수록곡 'Big Shot' 등 다른 아티스트들의 곡에도 참여하였다.

4. 1. 디스코그래피

발매일음반 종류제목
2000년싱글노자
2003년싱글친구
2013년싱글The Sign of 4


4. 2. 주요 작업곡


  • Once Again영어 - Tragic Temple 앨범 수록곡. P-Type, ㅈHyun, Luna와 함께 참여하였으며, 그가 처음으로 앨범에 참여한 곡이다.
  • 〈노자〉 (feat. Verbal Jint, Lucy) - 2000년 SNP에서 자체제작된 싱글을 통해 발표되었다.
  • 〈학교〉 (feat. 휘성) - 습작으로 만들었으나 어느 순간 유출되어 퍼졌다.
  • To All the Hiphop Kidz영어 - Verbal Jint의 싱글 《Sex Drive영어》 수록곡이다.
  • Big Shot영어 - LowDown의 앨범 수록곡. DNS의 실력과 함께 피쳐링하였다.
  • 〈친구〉 (feat. P-Type, MC Meta) - 싱글 《친구》의 타이틀곡이다.
  • 〈선〉 (feat. 거미) - 싱글 《친구》의 수록곡이다.
  • Monologue영어 - 싱글 《친구》의 수록곡이다.
  • With Me영어 (방송용 버전) - 휘성 2집 타이틀곡. 원래 1TYM의 Teddy가 피쳐링하였으나, 뮤직비디오 버전에서는 포워드(4WD)가 참여하였으며, 실제 라이브에서는 포워드(4WD)의 가사로 247의 Dirty Mack이 공연하였다.
  • Dr. Go!영어 (feat. Sui) - 2005년 말 비트메이커 Phat Swings의 블로그에서 일주일간 한정 공개. 배포되지 않길 바라서 한정 공개를 하였다고 하나 현재는 인터넷에서 쉽게 들어볼 수 있는 상태이다.
  • 〈내게 돌려줘〉 - Urban Corner의 첫 앨범 수록곡으로, 7년만에 포워드(4WD)가 랩을 다시 선보여 화제가 되었다.
  • The Sign of 4영어 (feat. Paloalto, MC Meta, DJ Wreckx) - 2013년 발표된 포워드(4WD)의 컴백 싱글이다.

5. 이름의 의미

'''4WD'''는 P-Type이 지어준 이름으로 "For Wild & Dirty"의 약자이다.[1] 이 이름 때문에 그를 '사륜구동'이라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D'siz Money'''는 그의 또다른 예명으로, 그의 본명에서 따온 "이건 돈"이라는 의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힙합플레이야 2001년 4월 10일 4WD 인터뷰 http://www.hiphoppla[...]
[2] 웹인용 2006년 12월 18일 "글 남겨봅니다" 힙합플레이야 http://www.hiphoppla[...] 2008-12-29
[3] 뉴스 4WD의 지난 이야기와 The Sign of 4 앨범 작업기 http://hiphopplaya.c[...] 4WD, 힙합플레이야 2013-07-12
[4] 뉴스 4WD의 지난 이야기와 The Sign of 4 앨범 작업기 http://www.hiphoppla[...] 힙합플레이야 2013-07-12
[5] 블로그 오호라- 운바머- http://blog.naver.co[...] 2010-05-20
[6] 뉴스 4WD, 7년만에 공식 복귀 http://www.hiphoppla[...] 힙합플레이야 2012-09-03
[7] 웹사이트 Music Salon - 조PD http://hiphople.com/[...] 2013-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