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관입 시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준 관입 시험(SPT)은 시추공을 뚫고 샘플러를 사용하여 지반의 관입 저항을 측정하는 현장 시험 방법이다. 63.5kg 해머로 76cm 높이에서 낙하시켜 45cm 관입에 필요한 타격 횟수(N값)를 측정하며, 이 값은 지반의 밀도와 강도를 나타낸다. N값은 지반 정수 추정, 지반 공학적 설계, 액상화 평가 등에 활용되지만, 시험 장비, 지반 조건, 시험자의 숙련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점성토나 자갈 지반에서는 신뢰도가 낮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표준 관입 시험 | |
---|---|
개요 | |
명칭 | 표준 관입 시험 |
영어 명칭 |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
일본어 명칭 | 標準貫入試験 (ひょうじゅんかんにゅうしけん, Hyoujun Kannyuu Shiken) |
목적 | 토질의 강도 및 지반의 지지력 측정, 토층 구성 파악 |
적용 분야 | 토질역학, 지반공학 |
관련 기준 | ASTM D1586 / D1586M - 18 |
시험 방법 | |
시험 장비 | 표준 관입 시험 장비 (SPT 해머, 로드, 샘플러) 시추 장비 |
시험 절차 | 시추공을 원하는 깊이까지 굴착. 표준 관입 시험용 샘플러를 시추공 바닥에 설치. 63.5 kg의 해머를 76 c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샘플러를 15 cm씩 3번 관입. 각 15 cm 구간 관입에 필요한 타격 횟수를 기록. |
N 값 | 정의: 샘플러를 30 cm (12인치) 관입하는 데 필요한 타격 횟수. 중요성: N 값은 지반의 상대 밀도, 강도 등을 추정하는 데 사용됨. 보정: 필요에 따라 N 값을 다양한 요인 (예: 과압밀비, 유효 상재압)에 대해 보정할 수 있음. |
결과 분석 및 활용 | |
지반 정보 획득 | N 값을 통해 사질토의 상대 밀도, 점성토의 consistency (단단함) 추정. 토층 구성 파악 (토층 두께, 종류 등). |
공학적 활용 | 기초공학: 기초 설계 시 지반의 지지력 평가. 사면안정: 사면 안정 해석 시 지반 강도 정수 추정. 액상화: 액상화 평가 시 사용. |
주의사항 | N 값은 지반 조건, 시험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다른 지반 조사 결과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함. 샘플러 막힘, 시추공 붕괴 등 시험 오류 발생 가능성에 유의해야 함.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간편하고 경제적인 시험 방법. 다양한 지반 조건에 적용 가능. 오랜 기간 동안 축적된 경험적 자료를 활용 가능. |
단점 | 시험 결과의 신뢰도가 지반 조건, 시험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교란되지 않은 시료 채취가 불가능. 세밀한 지반 특성 파악에는 한계가 있음. |
추가 정보 | |
관련 시험 | 콘 관입 시험 (CPT) 베인 시험 압밀 시험 삼축압축시험 |
2. 시험 방법 및 절차
표준 관입 시험은 시추공을 뚫고, 샘플러를 이용하여 지반의 저항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험에는 바깥 지름 5.01cm, 안쪽 지름 3.5cm이며, 길이는 최소 60cm인 두꺼운 벽을 가진 시료 채취 튜브(샘플러)를 사용한다. 이 샘플러는 63.5kg의 해머를 76c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시추공 바닥을 타격하여 땅속으로 밀어 넣는다. 샘플러는 총 45cm 깊이까지 관입시키며, 각 15cm 간격으로 관입에 필요한 타격 횟수를 기록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15cm 간격의 관입에 필요한 타격 횟수의 합을 "표준 관입 저항" 또는 "N값"이라고 하며, 이는 흙의 밀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6]
시험 도중에는 N값 외에도 자침과 관입 불능 여부도 확인한다. 자침은 해머 낙하 없이 보링 로드나 해머 무게만으로 샘플러가 관입하는 현상이며, 로드 자침과 해머 자침 두 가지로 구분된다. 관입 불능은 50회 타격 시 누적 관입량이 1cm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표준 관입 시험은 지층에 시험용 원추(콘)를 관입시켜 저항값을 구하는 사운딩 시험(페네트레이션 테스트)의 일종이다. 간이 관입 시험, 휴대용 콘 관입 시험, 스웨덴식 사운딩 시험 등도 사운딩 시험에 속한다.
2. 1. 시추
표준 관입 시험을 위해 지반에 시추공을 뚫는다. 시추공의 지름은 일반적으로 65mm ~ 150mm이다. 시추 과정에서 흙 시료를 채취하여 토질 분류 및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균질한 지층에서는 1.5m 이하 간격으로 시험과 시료 채취를 수행한다. 지층의 모든 변화에 대해서도 시험과 시료 채취를 수행해야 한다. 시추공이 원하는 깊이까지 진척되고 과도한 굴착 찌꺼기가 제거된 후 시험과 시료 채취를 할 수 있다.2. 2. 샘플러 설치 및 관입
시추가 완료되면 시추 로드 하단에 분리형 원통 샘플러(split spoon sampler)를 연결한다.[6] 이 샘플러는 외경 5.01cm, 내경 3.5cm이며, 길이는 최소 60cm인 두꺼운 벽을 가진 시료 채취 튜브이다. 샘플러를 시추공 바닥에 내려놓은 후, 63.5kg의 해머를 76c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샘플러를 지반에 관입시킨다. 이때 시추공 바닥에서의 지반 교란 영향을 줄이기 위해 15cm의 예비 타격을 실시한다. 예비 타격 후에는 샘플러가 30cm 관입하는 데 필요한 타격 횟수를 측정하여 표준관입시험치(N값)를 구한다.50회 타격을 해도 관입량이 30cm가 되지 않으면 50회 타격 시의 관입량을 기록한다. 예를 들어 50회 타격했지만 10cm밖에 관입되지 않았다면 '50/10'으로 기록한다. 표준 관입 시험은 심도 1~1.5m마다 반복하여 실시하며, 균질한 지층에서는 간격이 일반적으로 1.5m 이하이다. 지층의 모든 변화에 대해 시험과 시료 채취를 수행해야 한다.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되면 시험을 중단한다.
- 15cm 간격 중 하나에서 총 50회 타격을 가한 경우
- 총 45cm 깊이에서 총 100회 타격을 가한 경우
- 10번 연속 타격하는 동안 시료 채취 튜브의 진척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2. 3. 타격 횟수(N값) 측정
표준 관입 시험에서 샘플러를 로드에 연결하여 시추공 바닥에 내린 후, 63.5kg의 해머를 76cm 높이에서 낙하시켜 15cm 예비 관입을 실시한다.[6] 예비 관입 후, 샘플러가 30cm 추가 관입하는 데 필요한 타격 횟수를 측정하며, 이 값이 N값이다. 타격은 15cm씩 세 번에 걸쳐 실시한다.[6]만약 50회 타격을 해도 관입량이 30cm에 미치지 못하면, 50회 타격 시점의 관입량을 기록한다(예: 50/10).[6] 이는 50회 타격했지만 10cm밖에 관입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표준 관입 시험은 심도 1~1.5m마다 반복하여 실시한다.
N값은 땅의 밀도를 나타내며, 많은 경험적 토목 공학 공식에 사용된다.
시험 중단 조건은 다음과 같다.[6]
- 15cm 간격 중 하나에서 총 50회 타격을 가한 경우
- 총 45cm 깊이에서 총 100회 타격을 가한 경우
- 10번 연속 타격하는 동안 시료 채취 튜브의 진척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시험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N값, 자침, 관입 불능의 세 가지이다.[6] 자침은 드라이브 해머의 낙하 없이 보링 로드나 드라이브 해머의 자중만으로 샘플러가 관입하는 상태를 말하며, 로드 자침과 해머 자침 두 가지가 있다. 관입 불능은 50회 타격 시 누적 관입량이 1cm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2. 4. 시료 채취
관입이 완료된 샘플러는 지상으로 회수하여 내부에 있는 흙 시료를 채취한다. 분리형 원통 샘플러(split spoon sampler)는 상단의 밸브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고, 지상으로 나올 때는 밸브가 닫히면서 진공상태가 되어 시료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1] 표준 관입 시험용 샘플러는 속이 비어있고, 관을 세로로 2개로 분할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시료 채취가 용이하다. 이를 통해 흙의 종류나 지질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1] 채취된 시료는 함수량 측정, 토성 시험 등 토질 시험에 사용된다.3. N값에 영향을 주는 요인
표준관입시험은 기존 경험 자료가 많고 시험이 간단하여 많이 이용되지만, 시험자의 숙련도에 따라 오차가 크고 점성토에 대한 시험치는 신뢰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N값은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보정해야 한다.[1] N값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해머 효율, 로드 길이, 샘플러 종류, 시추공 지름, 상재하중, 숙련도 등이 있다.
3. 1. 시험 장비 및 절차 관련 요인
표준관입시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1]요인 | 설명 |
---|---|
해머 효율 | 해머 종류, 낙하 높이, 에너지 전달 효율에 따라 N값이 달라질 수 있다. |
로드 길이 | 로드가 길수록 에너지 손실이 발생해 N값이 감소할 수 있다. |
샘플러 종류 | 샘플러 형태, 내경, 외경에 따라 N값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시추공 지름 | 시추공 지름이 클수록 주변 지반 구속 효과가 감소해 N값이 작아질 수 있다. |
3. 2. 지반 조건 관련 요인
표준관입시험에서 N값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1]- 상재 하중: 상부 지층의 무게(유효 응력)가 클수록 N값이 증가한다.
- 토질: 모래, 점토, 자갈 등 토질의 종류에 따라 N값이 달라진다. 특히, 포화된 미세한 실트질 모래에서는 과잉 간극 수압 발생으로 인해 N값이 실제보다 낮게 측정될 수 있다.
- 지하수위: 지하수위 아래에서는 유효 응력이 감소하여 N값이 작아질 수 있다.
- 시험자의 숙련도
3. 3. 기타 요인
시험자의 숙련도에 따라 타격 횟수 측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1] 시추공 바닥에 슬라임(미세 입자)이 쌓이면 N값이 실제보다 낮게 측정될 수 있다.[1]4. N값 보정
N값은 해머 효율, 로드 길이, 샘플러 종류(모양), 보링공 지름, 상재하중, 숙련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과소 혹은 과대 추정될 수 있어 보정이 필요하다.[1]
지하수위 아래 포화된 미세한 실트 사질층에서는 과잉 간극 수압 발생으로 인해 N값이 실제보다 낮게 측정될 수 있다. N값이 15보다 크다면 다음 식으로 보정한다.[1]
: (단, 은 로드 길이에 의해 보정된 N치)[1]
4. 1. 상재 하중에 대한 보정
상재 하중(유효 응력)이 크면 N값이 과대평가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Peck, Liao & Whitman 등의 경험식을 사용하여 보정한다.4. 2. 로드 길이에 대한 보정
로드가 길어지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여 N값이 과소평가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경험식을 사용하여 보정한다.[1]4. 3. 에너지 효율에 대한 보정
해머의 종류, 낙하 방식 등에 따라 에너지 전달 효율이 달라지므로, 이를 보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여 N값을 보정한다.[1]N값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과소 혹은 과대 추정될 수 있어 보정이 필요하다.[1]
포화된 미세한 실트 사질층에 대한 보정은 N값이 15보다 클 때 다음 식으로 수행한다.[1]
:\qquad (여기서 N1은 로드 길이에 의해 보정된 N치이다.)[1]
상재하중에 대한 보정과 로드길이에 대한 보정도 필요하다.[1]
4. 4. 지하수위에 대한 보정
지하수위 아래의 포화된 미세한 실트 사질층에서는 과잉 간극 수압 발생으로 인해 N값이 실제보다 낮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해야 한다. 만약 N값이 15보다 크다면 다음 식으로 보정한다.[1]: (단, 은 로드 길이에 의해 보정된 N치)[1]
5. N값의 활용
표준관입시험(SPT)의 N값은 흙의 점착력이나 내부마찰각과 같은 토질 공학적 지표를 직접 나타내지는 않지만, 이 값들을 추정하여 지반 공학적 설계를 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N값으로 다음과 같은 설계들을 할 수 있다.[1]
- 얕은 기초의 허용 지지력 추정: Meyerhof의 공식을 통해 얕은 기초의 허용 지지력을 추정할 수 있다.
- 깊은 기초(말뚝)의 허용 지지력: N값으로 말뚝의 선단 지지력 및 주면 마찰력을 추정하여 말뚝의 허용 지지력을 결정할 수 있다.
- 지반 반력 계수 값 추정: N값으로부터 지반 반력 계수를 추정하여 구조물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표준관입시험은 해리 시드(Harry Seed), T. 레슬리 유드(T. Leslie Youd)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모래층의 토양 액상화 민감도를 경험적으로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하지만, 엄밀한 설계를 할 경우에는 지반에서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여 삼축 압축 시험을 통해 확정된 역학적 지표 C, φ를 사용해야 한다. N값은 지반의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1]
5. 1. 지반 정수 추정
표준 관입 시험(SPT)의 N값으로 지반 정수를 추정할 수 있다.[2] N값으로 추정 가능한 지반 정수는 다음과 같다.- 전단 강도
- 탄성계수(): 값이 클수록 자갈 섞인 흙이다.
- 상대밀도(): N값이 높을수록 값이 높다 (촘촘한 모래).
- 지반의 연경도: N값이 크면 단단한 지반이다.
- 지반의 일축압축강도(): 점성토 지반에서 이다.
- 내부마찰각(φ): Peck의 공식에 의해, 로 추정한다.[8] Dunham 공식으로는 N치와 내부 마찰각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입도가 양호하고, 토립자가 모났을 때 :
- 입도가 양호하고, 토립자가 둥글 때 :
- 입도가 불량(균일한 입경)하고, 토립자가 모났을 때 :
- 입도가 불량(균일한 입경)하고, 토립자가 둥글 때 :
SPT N값, 상대 밀도, 조립토의 벌크 밀도 사이의 대략적인 관계는 아래 표와 같다.[2]
상대 밀도 | SPT N값 | 벌크 밀도 (kg/m3) |
---|---|---|
매우 느슨함 | 0 - 4 | < 1600 |
느슨함 | 4 - 10 | 1530 - 2000 |
중간 | 10 - 30 | 1750 - 2100 |
조밀함 | 30 - 50 | 1750 - 2245 |
매우 조밀함 | > 50 | > 2100 |
표준관입시험은 해리 시드(Harry Seed), T. 레슬리 유드(T. Leslie Youd)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모래층의 토양 액상화 민감도를 경험적으로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5. 2. 지반 공학적 설계
표준 관입 시험(N값)은 흙의 점착력(C)이나 내부 마찰각(φ) 같은 토질 공학적 지표를 직접 나타내지는 않지만, 이 값들을 추정하여 지반 공학적 설계를 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N값으로 다음과 같은 설계들을 할 수 있다.[1]- 얕은 기초의 허용 지지력 추정: Meyerhof의 공식을 통해 얕은 기초의 허용 지지력을 추정할 수 있다.
- 깊은 기초(말뚝)의 허용 지지력: N값으로 말뚝의 선단 지지력 및 주면 마찰력을 추정하여 말뚝의 허용 지지력을 결정할 수 있다.
- 액상화 가능성 파악 (간이 예측법): N값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시 지반의 액상화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 지반 반력 계수 값 추정: N값으로부터 지반 반력 계수를 추정하여 구조물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엄밀한 설계를 할 경우에는 지반에서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여 삼축 압축 시험을 통해 확정된 역학적 지표 C, φ를 사용해야 한다. N값은 지반의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1]
6. 표준 관입 시험의 한계
N값은 근사적인 값이며, 특히 점성토 지반에서는 신뢰성이 떨어진다. 자갈이 많은 토질에서는 N값이 과대평가될 수 있다. 시험 장비, 절차, 지반 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N값이 영향을 받으므로, 결과 해석 시 주의가 필요하다.[3][4]
표준 관입 시험은 심하게 교란된 시료를 채취하므로, 밀도, 강도 및 압밀 특성과 같이 현장 토질 구조의 특성을 측정하는 시험에는 일반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더 큰 샘플러로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지만, 표준 관입 시험(SPT) N값으로 쉽게 변환할 수 없는 타격 횟수가 발생하여 문제가 된다.
타격 횟수는 토질의 단순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강도나 밀도와 같이 관심 있는 토질 특성과 상관관계를 가져야 한다. 여러 상관관계가 존재하지만, 품질이 매우 높은 것은 없다.
또한,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연약한 토층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다.[5]
- 결과가 특정 관입 구간에 대한 정수로 제한되지만, 타격 횟수가 매우 낮으면 결과의 세분성과 0의 결과 가능성으로 인해 데이터를 처리하기가 번거롭다.
- 느슨한 모래와 매우 연약한 점토의 경우, 샘플러를 박는 행위 자체가 토질을 심하게 교란시키며, 토질 액상화를 포함하여 느슨한 모래의 경우 교란된 토질 특성을 기반으로 한 결과를 얻게 되며, 이는 온전한 토질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표준 관입 시험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콘 관입 시험, 현장 베인 전단 시험 및 전단파 속도 측정과 같은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표준 관입 시험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해야 한다.
- 설비가 커서 협소한 지역이나 중량물 운반에 제약이 있는 곳에서는 조사가 불가능하다.
- 조사 비용이 고가이므로 지반의 평면적 연속성 평가에서 조사 지점 수에 제한이 있다.
- 일반적으로 1m 간격의 측정 데이터이므로 연속적인 지반 평가가 어렵다.
- 중력 가속도를 이용한 측정값이므로 연약 지반에서 불확실성이 나타나기 쉽고, 그 강도 특성 및 층의 확정에 주의가 필요하다.
- N값과 흙의 점착력(C), 흙의 내부 마찰각(φ)의 관계는 과거에 실시된 삼축 압축 시험과 N값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한 환산식이다.
7. 대한민국의 표준 관입 시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표준 관입 시험에 대한 한국의 관련 기준이나 규정에 대한 정보가 없어, 해당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1. 역사
관동 대지진의 부흥국에 의한 조사에서 일본 최초로 사운딩 시험이 조직적으로 지반 조사에 실시되었다. 당시 관동 평야를 격자 모양으로 구획한 교점에서 "돌하수(突下數)"라고 불리는 사운딩 시험을 실시하여 관동 평야 전역의 지반 상황을 파악했다. 그 결과, 광역에 걸쳐 연약 지반(충적 평야)이 넓게 분포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이후 연약 지반에 대한 지식은 지반 공학적으로도, 지질학적으로도 확대되었다.[7]표준 관입 시험의 "표준"이라는 의미는 Terzaghi 등이 그동안 다양하게 존재했던 동적 관입 시험을 정리하고 "표준화"한 것에서 유래한다고 알려져 있다.[7]
7. 2. 관련 기준 및 규정
표준 관입 시험 관련 기준 및 규정은 다음과 같다.국가 | 규격 번호 | 규격 명칭 |
---|---|---|
미국 | ASTM D1586 | Standard Test Method for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and Split-Barrel Sampling of Soils |
영국 | BS EN ISO 22476-3 |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Field testing - Part 3: Standard penetration test |
오스트레일리아 | AS 1289.6.3.1 | Methods of testing soils for engineering purposes - Soil strength and consolidation tests - Determination of the penetration resistance of a soil -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
일본 | JIS A 1219 | Test method for standard penetration test |
8. 표준관입시험과 다른 조사 방법과의 관계
지층에 시험용 원추(콘)를 관입시켜 그 관입 저항값을 구하는 지반 조사 방법을 사운딩 시험(페네트레이션 테스트)이라고 한다. 표준 관입 시험 외에도 자주 사용되는 사운딩 시험에는 간이 관입 시험, 휴대용 콘 관입 시험, 스웨덴식 사운딩 시험, NSWS (대폭 개선된 스웨덴식 사운딩 시험기) 등이 있다.
8. 1. 콘 관입 시험 (CPT)
콘 관입 시험은 표준 관입 시험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 중 하나이다. 표준 관입 시험처럼, 지층에 시험용 원추(콘)를 관입시켜 그 관입 저항값을 구하는 지반 조사 방법을 사운딩 시험(페네트레이션 테스트)이라고 한다.8. 2. 물리 탐사
표준 관입 시험의 타격 횟수는 흙의 단순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강도나 밀도처럼 관심 있는 흙의 특성과 상관관계를 가져야 한다. 여러 상관관계가 존재하지만, 품질이 매우 높은 것은 없다.[3] 액상화 가능성을 직접 예측하기 위해 SPT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상관관계가 거칠고 토피 압력, 시료 채취 기술 및 기타 요인을 고려하여 SPT 데이터를 "정규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4] 또한, 이 방법은 여러 가지 이유로 연약한 토층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다.# 결과가 특정 관입 구간에 대한 정수로 제한되지만, 타격 횟수가 매우 낮으면 결과의 세분성과 0의 결과 가능성으로 인해 데이터를 처리하기가 번거롭다.[5]
# 느슨한 모래와 매우 연약한 점토의 경우, 샘플러를 박는 행위 자체가 흙을 심하게 교란시키며, 토질 액상화를 포함하여 느슨한 모래의 경우 교란된 흙 특성을 기반으로 한 결과를 얻게 되는데, 이는 온전한 흙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표준 관입 시험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콘 관입 시험, 현장 베인 전단 시험 및 전단파 속도 측정과 같은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표준 관입 시험처럼, 지층에 시험용 원추(콘)를 관입시켜 그 관입 저항값을 구하는 지반 조사 방법을 사운딩 시험(페네트레이션 테스트)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자주 사용되는 사운딩 시험에는 간이 관입 시험, 휴대용 콘 관입 시험, 스웨덴식 사운딩 시험, NSWS (대폭 개선된 스웨덴식 사운딩 시험기)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STM D1586 / D1586M - 18 Standard Test Method for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and Split-Barrel Sampling of Soils
http://www.astm.org/[...]
[2]
간행물
Engineering Manual EM 1110-2-2504, Table 3-1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4-03-31
[3]
서적
Manual on Estimating Soil Properties for Foundation Design
http://www.epri.com/[...]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1990-08
[4]
논문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s: Summary Report from the 1996 NCEER and 1998 NCEER/NSF Workshops on Evaluation of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s
[5]
웹사이트
気をつけよう,軟弱地盤と標準貫入試験
http://www.pwri.go.j[...]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6]
문서
표준관입시험용 샘플러는, 통칭 "페네관"이라고 불린다. 중공에서는 있지만 첨단이 콘 형상을 하고 있어, 관입 시험과 동시에 시료 채취를 실시하는 관이다. 또한 영어에서는 "스플릿 배럴 샘플러 (Split Barrel Sampler)"라고 부른다.
[7]
문서
Advanced Engineering Geology and Geotechnics의 "NOTES on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8]
서적
수정판 토질역학
구미서관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