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라오미스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오미스족은 형태적, 유전적 특징에 따라 여러 하위 속으로 분류되는 쥐아과의 족이다. 이 족은 아프리카물쥐군과 에티오피아좁은머리쥐군으로 나뉘며, 아프리카물쥐군은 아프리카물쥐속, 에티오피아물쥐속, 넓은머리쥐속을 포함한다. 에티오피아좁은머리쥐군은 아프리카검은쥐속, 아프리카숲쥐속, 다유방쥐속, 베록스쥐속, 프라오미스속, 에티오피아좁은머리쥐속 등으로 구성된다. 프라오미스족은 쥐족과 자매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라오미스족 - 작은숲쥐
  • 프라오미스족 - 쇼트리지다유방쥐
    쇼트리지다유방쥐는 자료 부족으로 상세한 정보가 알려지지 않아 위키백과 페이지 작성이 불가능한 쥐의 일종이다.
프라오미스족 - [생물]에 관한 문서
정보
학명Praomyini
명명자Lecompte, 2008
화석 범위후기 미오세 - 현재
하위 분류 계급
하위 분류칭가와에미스 (Chingawaemys)
콜로미스 (Colomys)
콩고미스 (Congomys)
헤이미스쿠스 (Heimyscus)
힐로미스쿠스 (Hylomyscus)
마스토미스 (Mastomys)
몬테미스 (Montemys)
미오미스쿠스 (Myomyscus)
닐로페가미스 (Nilopegamys)
오크로미스쿠스 (Ochromyscus)
프라오미스 (Praomys)
세렝게티미스 (Serengetimys)
스테노세팔레미스 (Stenocephalemys)
젤로토미스 (Zelotomys)
에티오피아흰발쥐
에티오피아흰발쥐 (Stenocephalemys albipes)

2. 하위 속

프라오미스족은 여러 하위 속으로 분류되며, 주요 분류군인 아프리카물쥐군과 에티오피아좁은머리쥐군 외에 다음 속들이 포함된다.[1][4][5][6] 상세한 분류는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속 (Genus)종 (Species)비고
칭가와생쥐속 (Chingawaemys)칭가와 숲쥐 (Chingawaemys rarus)
콩고생쥐속 (Congomys)루콜렐라 늪쥐 (Congomys lukolelae)
베르쉬렌 늪쥐 (Congomys verschureni)
몬테미스속 (Montemys)맛있는 부드러운 털 생쥐 (Montemys delectorum)
오크로미스쿠스속 (Ochromyscus) - 바위쥐브록만의 바위쥐 또는 브록만의 흰발쥐 (Ochromyscus brockmani)
예멘 생쥐 (Ochromyscus yemeni)
세렌게티미스속 (Serengetimys)난쟁이 다유두쥐 (Serengetimys pernanus)


2. 1. 아프리카물쥐군 (Colomys division)

아프리카의 물가나 습지 환경에 적응한 쥐들의 무리이다. 아프리카물쥐군은 다음 속을 포함한다.[1][4][5][6]

  • 아프리카물쥐속 (''Colomys'')
  • 에티오피아물쥐속 (''Nilopegamys'')
  • 넓은머리쥐속 (''Zelotomys'')


아프리카물쥐군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

비고
아프리카물쥐속 (Colomys)아프리카 얕은물쥐 (Colomys goslingi)
에티오피아물쥐속 (Nilopegamys)에티오피아 수생쥐 (Nilopegamys plumbeus)멸종되었을 가능성 있음
넓은머리쥐속 (Zelotomys)힐데가르데의 넓은 머리 생쥐 (Zelotomys hildegardeae)
우즈남의 넓은 머리 생쥐 (Zelotomys woosnami)


2. 2. 에티오피아좁은머리쥐군 (Stenocephalomys division)

에티오피아좁은머리쥐군(Stenocephalomys division)은 에티오피아 고유종을 포함하여, 아프리카 동부 및 중부에 서식하는 의 한 무리이다. 이 군에 속하는 속과 종은 다음과 같다.

  • 아프리카검은쥐속 (''Heimyscus'')
  • * 아프리카 흑생쥐, ''Heimyscus fumosus''
  • 아프리카숲쥐속 (''Hylomyscus'') - 아프리카 숲쥐
  • * ''H. aeta'' 그룹
  • ** 구슬 숲쥐, ''Hylomyscus aeta''
  • ** ''Hylomyscus grandis''
  • * ''H. alleni'' 그룹
  • ** 앨런 숲쥐, ''Hylomyscus alleni''
  • ** 앙골라 숲쥐, ''Hylomyscus carillus''
  • ** 스텔라 숲쥐, ''Hylomyscus stella''
  • ** 발터 베르헤이엔 생쥐, ''Hylomyscus walterverheyeni''
  • * ''H. anselli'' 그룹
  • ** 앤셀 숲쥐, ''Hylomyscus anselli''
  • ** 아크 산 숲쥐, ''Hylomyscus arcimontensis''
  • * ''H. baeri'' 그룹
  • ** 배어 숲쥐, ''Hylomyscus baeri''
  • * ''H. denniae'' 그룹
  • ** 산지 숲쥐, ''Hylomyscus denniae''
  • ** 작은발 숲쥐, ''Hylomyscus endorobae''
  • ** ''Hylomyscus vulcanorum''
  • * ''H. parvus'' 그룹
  • ** 작은 숲쥐, ''Hylomyscus parvus''
  • 다유방쥐속 또는 마스토미스속 (''Mastomys'') - 다유두쥐
  • * 앙골라 다유두쥐, ''Mastomys angolensis''
  • * 아와시 다유두쥐, ''Mastomys awashensis''
  • * 남부 다유두쥐, ''Mastomys coucha''
  • * 기니 다유두쥐, ''Mastomys erythroleucus''
  • * 후베르트 다유두쥐, ''Mastomys huberti''
  • * 베르헤이엔 다유두쥐, ''Mastomys kollmannspergeri''
  • * 나탈 다유두쥐, ''Mastomys natalensis''
  • * 쇼트리지 다유두쥐, ''Mastomys shortridgei''
  • 베록스쥐속 (''Myomyscus'')
  • * 베르호 생쥐, ''Myomyscus verreauxii''
  • 프라오미스속 또는 아프리카부드러운털쥐속 (''Praomys'') - 아프리카 부드러운 털쥐
  • * ''Praomys coetzeei''
  • * 달튼 생쥐, ''Praomys daltoni''
  • * 데 그라프의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degraaffi''
  • * 데로의 생쥐, ''Praomys derooi''
  • * 하트비히의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hartwigi''
  • * 잭슨의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jacksoni''
  • * 최소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minor''
  • * 미손의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misonnei''
  • * 카메룬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morio''
  • * 무톤의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mutoni''
  • * 고텔 산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obscurus''
  • * 피터의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petteri''
  • * 숲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rostratus''
  • * 툴베르그의 부드러운 털 생쥐, ''Praomys tullbergi''
  • 에티오피아좁은머리쥐속 (''Stenocephalemys'') - 에티오피아 좁은 머리쥐
  • * 에티오피아 흰발 생쥐, ''Stenocephalemys albipes''
  • * 에티오피아 좁은 머리쥐, ''Stenocephalemys albocaudata''
  • * 회색꼬리 좁은 머리쥐, ''Stenocephalemys griseicauda''
  • * 루프의 생쥐, ''Stenocephalemys ruppi''

3. 계통 분류

프라오미스족은 설치류 쥐과쥐아과에 속하는 하나의 족이다. 이 족의 구체적인 계통 관계는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으며, 쥐아과 내 다른 족들과 복잡한 유연 관계를 맺고 있다.[8][9]

3. 1. 2008년 및 2016년 연구

2008년 레콤프테(Lecompte) 등[8]과 2016년 로우(Rowe) 등[9]의 연구에 기초한 쥐아과 내 계통 분류에 따르면, 프라오미스족은 쥐족(에티오피아등줄쥐속, 생쥐속 포함)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 프라오미스족은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개의 군(group)으로 나뉜다.

4. 추가 정보

일부 프라오미스족은 보존 상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닐로페가미스속에 속하는 에티오피아 수생쥐( Nilopegamys plumbeuslat )는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1][4][5][6]

참조

[1] 간행물 Mammal Diversity Database https://zenodo.org/r[...] 2021-11-06
[2] 논문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African Murin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 sequences, with a new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2008-07-10
[3] 논문 Early Late Miocene Murine Rodents from the Upper Part of the Nagri Formation, Siwalik Group, Pakistan, with a new fossil calibration point for the Tribe Apodemurini (Apodemus/Tokudaia) {{!}} Fossil Imprint http://fi.nm.cz/clan[...] 2021-12-08
[4]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South-East Asian arboreal murine rodents https://onlinelibrar[...] 2016
[5] 논문 Phylogenomics of African radiation of Praomyini (Muridae: Murinae) rodents: First fully resolved phylogeny, evolutionary history and delimitation of extant genera https://www.scienced[...] 2021-10-01
[6] 웹사이트 Diagnoses and contents of new African and Eurasian Murinae (Rodentia, Muridae) tribes http://dumerilia.wif[...] 2017-07-21
[7] 서적 아프리카부드러운털쥐군(Praomys group) MSW3 Muroidea
[8] 논문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African Murin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 sequences, with a new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2008
[9] 논문 A New Genus and Species of Omnivorous Rodent (Muridae: Murinae) from Sulawesi, nested within A Clade of Endemic Carnivores.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