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럭서스 뮤직의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럭서스 뮤직의 음반은 2003년부터 2020년까지 플럭서스 뮤직 소속 아티스트들이 발매한 음반 목록을 다루고 있다. 2000년대 초반 러브홀릭스, 이승열, 클래지콰이 프로젝트 등의 데뷔를 시작으로, W, 윈터플레이, W&Whale, 알렉스, 마이앤트메리, 이바디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앨범이 발매되었다. 2010년대에는 어반자카파, 솔튼페이퍼, 테이, From The Airport, 꽃잠프로젝트 등이 합류하여 활동했으며, 드라마 OST 참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20년에는 이승열이 드라마 OST에 참여하고, 솔튼페이퍼가 OST에 참여하는 등 꾸준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 2000년대 활동


  • 2003년 4월 25일 러브홀릭스가 정규 1집 '''Florist'''와 '''[Re:All] F.L.O.R.I.S.T'''를 발매했다. 같은 해 12월 19일에는 이승열이 정규 1집 '''이 날, 이 때, 이 즈음에...'''를 발매했다.
  • 2004년 5월 14일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정규 1집 '''Instant Pig'''를 발매했고, 8월 26일에는 러브홀릭스가 정규 2집 '''Invisible Things'''를 발매했다. 11월 25일에는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리믹스 앨범 '''Clazziquai Project Remix `ZBAM`'''을 발매했다.
  • 2005년 3월 15일 W가 정규 1집 '''Where The Story Ends'''를 발매했다. 9월 22일에는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정규 2집 '''Color Your Soul'''을 발매했다.
  • 2006년 3월 14일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리믹스 앨범 '''Clazziquai 2nd Remix - Pinch Your Soul'''을 발매했고, 4월 13일 러브홀릭스가 정규 3집 '''Nice Dream'''을 발매했다. 9월 19일에는 알렉스가 디지털 싱글 '''[Ditgital Single] 각인'''[1]을, 11월 21일에는 러브홀릭스가 리믹스 앨범 '''Re Wind'''를, 12월 12일에는 마이앤트메리가 정규 3집 '''Drift'''를 발매했다.
  • 2007년 1월 2일 러브홀릭스가 싱글 '''마리아'''를 발매했다. 5월 3일에는 이승열이 정규 2집 '''In Exchange'''를, 6월 7일에는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정규 3집 '''Love Child Of The Century'''를, 12월 11일에는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정규 앨범 '''Robotica'''를 발매했다.
  • 2008년 1월 14일 W가 '''뜨거운 것이 좋아 OST'''[2]를 발매했다. 1월 23일 윈터플레이가 정규 1집 '''Choco Snow Ball'''을, 2월 11일 장은아가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다시는 오지마'''를, 3월 11일 러브홀릭스가 정규 앨범 '''Dramatic & Cinematic'''을, 4월 3일 이바디가 정규 1집 '''Story Of Us'''를 발매했다. 5월 6일 알렉스가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화분'''을, 6월 11일에는 정규 1집 '''My Vintage Romance'''를 발매했다. 9월 9일 윈터플레이가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Happy Bubble'''을, 9월 23일 W&Whale이 정규 1집 '''Hardboiled'''를, 10월 23일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정규 4집 '''Metrotronics'''를, 10월 28일 홍진경이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안암동 (요리사의 요리 Theme)'''을 발매했다. 11월 4일 윈터플레이가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Happy Snow Bubble'''을, 11월 11일 호란과 박기영이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달라송'''[3]을, 11월 24일 알렉스가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Newways Always (나쁜짓)'''을, 12월 11일 러브홀릭스가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Butterfly'''를, 12월 16일 마이앤트메리가 정규 4집 '''Circle'''을 발매했다.
  • 2009년 3월 5일 이바디가 정규 2집 '''Songs For Ophelia'''를, 3월 17일 W&Whale이 정규 2집 '''Random Tasks'''를 발매했다. 5월 19일 러브홀릭스가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Miracle Blue'''를, 5월 28일 이바디가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OST'''를 발매했다. 6월 4일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Wizard of OZ'''를, 7월 1일 윈터플레이가 정규 2집 '''Hot Summerplay'''를, 7월 14일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정규 5집 '''Mucho Punk'''를, 7월 28일 홍진경이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그대에게 가는 길'''을, 8월 25일 박기영이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녹화된 테잎을 감듯이'''를, 8월 31일 W&Whale이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Born To Rock'''을 발매했다. 9월 7일 에이트가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환타스틱 프로젝트 Vol.1'''[4]을, 9월 10일 러브홀릭스가 정규 앨범 '''In The Air'''를, 11월 26일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리믹스 앨범 '''Mucho Beat'''를 발매했다. 12월 7일 안녕바다가 정규 1집 '''Boy's Universe'''와 W&Whale이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The Artist (조덕배 25주년 기념앨범 Part.1)'''[5]를, 12월 23일 박기영이 디지털 싱글 '''[Digital Single] Taste Of Love'''를 발매했다.

2. 1. 2003년 ~ 2005년

2003년 4월 25일 러브홀릭스가 1집 ''Florist''와 ''[Re:All] F.L.O.R.I.S.T''를 발매하며 데뷔하였다. 12월 19일에는 이승열이 1집 ''이 날, 이 때, 이 즈음에...''를 발매하였다.

2004년에는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5월 14일 1집 ''Instant Pig''를 발매하며 데뷔하였고, 8월 26일에는 러브홀릭스가 2집 ''Invisible Things''를 발매하였다. 11월 25일에는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리믹스 앨범 ''Clazziquai Project Remix `ZBAM`''을 발매하였다.

2005년 3월 15일, W가 1집 ''Where The Story Ends''를 발매하며 플럭서스 뮤직의 새로운 아티스트로 합류하였다. 9월 22일에는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2집 ''Color Your Soul''을 발매하였다.

2. 2. 2006년 ~ 2009년

2006년에는 알렉스의 디지털 싱글 '''각인'''[1], 마이앤트메리의 '''Drift''', 러브홀릭스의 '''Re Wind'''와 '''마리아'''가 발매되었다. 2007년에는 이승열의 '''In Exchange''', 클래지콰이 프로젝트의 '''Love Child Of The Century'''와 '''Robotica'''가 발매되었다.

2008년에는 W의 '''뜨거운 것이 좋아 OST'''[2], 윈터플레이의 '''Choco Snow Ball''', 장은아의 디지털 싱글 '''다시는 오지마''', 이바디의 '''Story Of Us''', 알렉스의 디지털 싱글 '''화분'''과 정규 앨범 '''My Vintage Romance'''가 발매되었다. 또한 윈터플레이의 디지털 싱글 '''Happy Bubble''', W&Whale의 '''Hardboiled''', 클래지콰이 프로젝트의 '''Metrotronics''', 홍진경의 디지털 싱글 '''안암동 (요리사의 요리 Theme)''', 윈터플레이의 디지털 싱글 '''Happy Snow Bubble''', 호란과 박기영의 디지털 싱글 '''달라송'''[3], 알렉스의 디지털 싱글 '''Newways Always (나쁜짓)''', 러브홀릭스의 디지털 싱글 '''Butterfly''', 마이앤트메리의 '''Circle'''이 발매되었다.

2009년에는 이바디의 '''Songs For Ophelia''', W&Whale의 '''Random Tasks''', 러브홀릭스의 디지털 싱글 '''Miracle Blue''', 이바디의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OST''', 클래지콰이 프로젝트의 디지털 싱글 '''Wizard of OZ'''와 정규 앨범 '''Mucho Punk''', 윈터플레이의 '''Hot Summerplay''', 홍진경의 디지털 싱글 '''그대에게 가는 길''', 박기영의 디지털 싱글 '''녹화된 테잎을 감듯이''', W&Whale의 디지털 싱글 '''Born To Rock''', 에이트의 디지털 싱글 '''환타스틱 프로젝트 Vol.1'''[4], 러브홀릭스의 '''In The Air''', 클래지콰이 프로젝트의 '''Mucho Beat''', 안녕바다의 '''Boy's Universe''', W&Whale의 디지털 싱글 '''The Artist (조덕배 25주년 기념앨범 Part.1)'''[5], 박기영의 디지털 싱글 '''Taste Of Love'''가 발매되었다.

3. 2010년대 활동

2010년에는 알렉스의 'Melody Project Part.1'과 호란의 '버블송 2'[6] 디지털 싱글 발매를 시작으로, 이스턴 사이드 킥이 '흑백 만화 도시'를 통해 데뷔하였다. 윈터플레이는 'Touche Mon Amour'를, 안녕바다는 'City Complex'를 발매하였다.

2011년에는 핸섬피플이 'Shall We Dance'[7]를 발매하고, 테이는 후쿠야마 마사하루의 곡을 리메이크한 디지털 싱글 '반딧불'을 발표하였다. 어반자카파는 정규 1집 '[01]'을 발매하며 플럭서스 뮤직에 합류하였다. 알렉스는 'Just Like Me'를, 이승열은 'Why We Fail'을 발매하며 꾸준한 활동을 이어갔다. W&Whale은 'Circussss'를 발매하였다.

2012년에는 SAZA최우준이 'Saza's Blues'를 발매하였고, 안녕바다는 'Pink Revolution'을 발표하였다. 조현아는 드라마 OST에 참여하였다.[8][9] From The Airport는 디지털 싱글 'Colors'를 발매하며 새로운 시도를 선보였다. 어반자카파는 정규 2집 '[02]'를 발매하였다.

2013년에는 From The Airport의 활동과 더불어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Blessed'를 발매하였다. 이승열은 'V'를 통해 음악적 깊이를 더했다.

2014년에는 From The Airport가 'Chemical Love'를 발매하였고, 꽃잠프로젝트가 'Smile, Bump'를 통해 데뷔하였다. 클래지콰이 프로젝트는 'Blink'를 발매하며 지속적인 활동을 보였다. 권순일박용인은 디지털 싱글 '틈'을 발표하였다.[10] 어반자카파는 정규 4집 '[04]'를 발매하였다.

2015년에는 From The Airport의 정규 앨범 "Young Could Imagine"이 발매되었다.[12] 이후 욜훈의 데뷔 앨범 "Yolhoon"이 발매되었고,[13] 2016년에는 솔튼페이퍼가 합류하여 앨범 "Spin"을 발표하였다. 이승열은 "SYX",[14] "시그널 OST Part.7"을 통해 활동을 이어갔다. 호란은 "괜찮은 여자", "품",[13] "참지마요", "마리와 나", "원더랜드" 등 싱글과 앨범을 발표하였다. 김이지는 "또 오해영 OST Part.8", "캐리어를 끄는 여자 OST Part.3"에 참여하였고, 2017년에는 "도깨비 OST Part.12"를 불렀다.[14] 안녕바다는 "밤새, 안녕히"를 발매하였다.

클래지콰이 프로젝트는 2016년에 싱글 "#궁금해"와 앨범 "Travellers"를 발표하였다. 2017년에는 강현민이 "Reflective"를 발매하였고, 최재만은 싱글 "Complicated", "Glow"를 발표하였다. 테일러는 싱글 "I Feel Good"과 앨범 "Palette"를 통해 새로운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김이지는 "수상한 파트너 OST Part.5", "하백의 신부 OST Part.4" 등 다양한 OST에 참여하였다.

2018년, 솔튼페이퍼는 "More Than Just Circles"와 "크로스 OST Part.1"을 발표하였다. 테일러는 싱글 "Into You"를 발매하였고, Eian은 싱글 "Over The Rainbow", "새벽이 오면 난"을 통해 활동을 시작하였다. 김이지는 "멈추고 싶은 순간 : 어바웃타임 OST Part.1", "친애하는 판사님께 OST Part.2" 등에 참여하였다. 호란은 싱글 "바랍니다"를 발표하였다.

2019년, 솔튼페이퍼는 "남자친구 OST Part.6"에 참여하였다. 테일러는 앨범 "About"과 싱글 "Modern", "Modern 02", "What's The Problem"을 발표하였다. 호란은 싱글 "기도"를 발표하였고, 김이지는 "웰컴2라이프 OST Part.2"에 참여하였다. 이승열은 "왓쳐 OST Part.4"를 불렀다.

3. 1. 2010년 ~ 2014년

2010년에는 알렉스의 'Melody Project Part.1'과 호란의 '버블송 2'[6] 디지털 싱글 발매를 시작으로, 이스턴 사이드 킥이 '흑백 만화 도시'를 통해 데뷔했다. 윈터플레이는 'Touche Mon Amour'를, 안녕바다는 'City Complex'를 발매했다.

2011년에는 핸섬피플이 'Shall We Dance'[7]를 발매하고, 테이는 후쿠야마 마사하루의 곡을 리메이크한 디지털 싱글 '반딧불'을 발표했다. 어반자카파는 정규 1집 '[01]'을 발매하며 플럭서스 뮤직에 합류했다. 알렉스는 'Just Like Me'를, 이승열은 'Why We Fail'을 발매하며 꾸준한 활동을 이어갔다. W&Whale은 'Circussss'를 발매했다.

2012년에는 SAZA최우준이 'Saza's Blues'를 발매했고, 안녕바다는 'Pink Revolution'을 발표했다. 조현아는 드라마 OST에 참여했다.[8][9] From The Airport는 디지털 싱글 'Colors'를 발매하며 새로운 시도를 선보였다. 어반자카파는 정규 2집 '[02]'를 발매했다.

2013년에는 From The Airport의 활동과 더불어 클래지콰이 프로젝트가 'Blessed'를 발매했다. 이승열은 'V'를 통해 음악적 깊이를 더했다.

2014년에는 From The Airport가 'Chemical Love'를 발매했고, 꽃잠프로젝트가 'Smile, Bump'를 통해 데뷔했다. 클래지콰이 프로젝트는 'Blink'를 발매하며 지속적인 활동을 보였다. 권순일박용인은 디지털 싱글 '틈'을 발표했다.[10] 어반자카파는 정규 4집 '[04]'를 발매했다.

3. 2. 2015년 ~ 2019년

2015년에는 From The Airport의 정규 앨범 "Young Could Imagine"이 발매되었다.[12] 이후 욜훈의 데뷔 앨범 "Yolhoon"이 발매되었고,[13] 2016년에는 솔튼페이퍼가 합류하여 앨범 "Spin"을 발표했다. 이승열은 "SYX",[14] "시그널 OST Part.7"을 통해 활동을 이어갔다. 호란은 "괜찮은 여자", "품",[13] "참지마요", "마리와 나", "원더랜드" 등 싱글과 앨범을 발표했다. 김이지는 "또 오해영 OST Part.8", "캐리어를 끄는 여자 OST Part.3"에 참여했고, 2017년에는 "도깨비 OST Part.12"를 불렀다.[14] 안녕바다는 "밤새, 안녕히"를 발매했다.

클래지콰이 프로젝트는 2016년에 싱글 "#궁금해"와 앨범 "Travellers"를 발표했다. 2017년에는 강현민이 "Reflective"를 발매했고, 최재만은 싱글 "Complicated", "Glow"를 발표했다. 테일러는 싱글 "I Feel Good"과 앨범 "Palette"를 통해 새로운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김이지는 "수상한 파트너 OST Part.5", "하백의 신부 OST Part.4" 등 다양한 OST에 참여했다.

2018년, 솔튼페이퍼는 "More Than Just Circles"와 "크로스 OST Part.1"을 발표했다. 테일러는 싱글 "Into You"를 발매했고, Eian은 싱글 "Over The Rainbow", "새벽이 오면 난"을 통해 활동을 시작했다. 김이지는 "멈추고 싶은 순간 : 어바웃타임 OST Part.1", "친애하는 판사님께 OST Part.2" 등에 참여했다. 호란은 싱글 "바랍니다"를 발표했다.

2019년, 솔튼페이퍼는 "남자친구 OST Part.6"에 참여했다. 테일러는 앨범 "About"과 싱글 "Modern", "Modern 02", "What's The Problem"을 발표했다. 호란은 싱글 "기도"를 발표했고, 김이지는 "웰컴2라이프 OST Part.2"에 참여했다. 이승열은 "왓쳐 OST Part.4"를 불렀다.

4. 2020년대 활동

2020년 4월 2일 이승열은 메모리스트 OST Part.1에 참여하였다. 2022년 1월 8일 솔튼페이퍼는 트레이서 OST Part.2에 참여하였다.

5. 소속 아티스트

6. 영향 및 평가

참조

[1] 앨범 참여 러브홀릭스 지선
[2] 앨범 최초의 OST 앨범
[3] 앨범 참여 에이트
[4] 앨범 참여 MC 스나이퍼, 아웃사이더
[5] 앨범 참여 검정치마
[6] 앨범 참여 Moon
[7] 앨범 최초의 19금 앨범
[8] 앨범 참여 허규
[9] 앨범 참여 긱스
[10] 앨범 참여 씨스타 소유
[11] 앨범 참여 소란, Sam Ock
[12] 앨범 참여 카라 박규리
[13] 앨범 참여 알리
[14] 앨범 참여 로이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