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한정후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피한정후견인(被限定後見人)은 질병, 장애, 노령, 그 밖의 사유로 인한 정신적 제약으로 사무를 처리할 능력이 부족하여 가정법원으로부터 한정후견개시의 심판을 받은 사람을 말합니다.[2, 8] 2013년 7월 1일 개정 민법이 시행됨에 따라 한정치산자를 대체하여 도입되었습니다.[9]
피한정후견인과 한정후견:
- 한정후견: 정신적 제약으로 사무 처리 능력이 부족한 사람을 위해 가정법원이 후견인을 선임하는 제도입니다.[8]
- 한정후견인: 피한정후견인을 위해 법률행위의 동의, 대리 등을 하는 사람입니다.[7]
- 피한정후견인의 행위 능력: 피한정후견인은 한정후견인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행위의 범위 안에서 법률행위를 할 수 있습니다.[7] 한정후견인의 동의 없이 한 법률행위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7]
한정후견과 성년후견의 차이:
- 성년후견: 질병, 장애, 노령 등으로 인해 사무 처리 능력이 "지속적으로 결여된" 사람에게 성년후견인을 선임합니다.[10]
- 한정후견: 사무 처리 능력이 "부족한" 사람에게 한정후견인을 선임합니다.[8] 즉, 정신적 제약의 정도가 성년후견보다 덜한 경우입니다.
법원의 역할 및 권한:
- 가정법원은 피한정후견인이 한정후견인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행위의 범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7]
- 가정법원은 한정후견인의 동의를 받아야만 할 수 있는 행위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7]
- 한정후견인이 피한정후견인의 이익이 침해될 염려가 있음에도 동의를 하지 않을 때는, 가정법원은 피한정후견인의 청구에 의해 한정후견인의 동의를 갈음하는 허가를 할 수 있습니다.[7]
- 가정법원은 한정후견개시의 원인이 소멸하면 청구권자의 청구에 의해 한정후견종료의 심판을 해야 합니다.[7]
일상생활에서의 예외:일용품의 구입 등 일상생활에 필요하고 그 대가가 과도하지 않은 법률행위는 한정후견인의 동의 없이도 할 수 있습니다.[7]
In English:
A "person under limited guardianship" (피한정후견인) is an individual who, due to illness, disability, old age, or other reasons, has a mental impairment that makes them lack the capacity to handle their affairs. They have been judged by a family court to require limited guardianship.[2, 8]
Key aspects of limited guardianship:
- Limited guardianship (한정후견): This is a system where a family court appoints a guardian for a person with mental impairments that make them unable to manage all of their personal affairs.[8]
- The court can choose to let the person keep certain rights that they can manage, and the limited guardian helps with the other decisions.[3, 6]
- Guardian's role (한정후견인): The limited guardian provides consent and representation for legal acts on behalf of the person under limited guardianship.[7]
- Legal capacity: A person under limited guardianship can perform legal acts within the scope of actions that require the consent of the limited guardian.[7] Legal acts performed without the required consent can be revoked.[7]
- Difference from full guardianship (성년후견): Full guardianship is for individuals whose ability to handle affairs is "continuously lacking,"[10] while limited guardianship is for those whose ability is "insufficient."[8] This means the degree of mental impairment is less severe in limited guardianship. The court determines the type of guardianship.[5]
The court has the authority to decide and change the scope of acts.[7] A limited guardian might be in charge of medical decisions, and the person under guardianship may be in charge of financial decisions.[4]
There are exceptions for daily necessities: Acts necessary for daily life, such as purchasing everyday items, do not require the guardian's consent if the cost is not excessive.[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