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의 농림장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의 농림장관은 1861년 농경국장 직책으로 시작되어, 1918년 핀란드 독립 이후 농림부 장관으로 변경되었다. 초대 농림부 장관은 1917년 농업부서 책임자로 임명된 퀴외스티 칼리오이다. 역대 장관들은 농업당(현 중앙당) 출신이 많았으며, 무소속 인사도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핀란드의 농림장관 | |
---|---|
직책 개요 | |
직책명 | 핀란드의 농림장관 |
관할 부처 | 핀란드 농림부 |
상세 정보 | |
주요 역할 | 핀란드의 농업 및 임업 정책을 책임지고, 관련 법률 및 규정을 관리하고 시행함. |
임명권자 | 핀란드 대통령 |
소속 정부 | 핀란드 정부 |
역사 | |
초기 명칭 | 농업위원회 의장 (maanviljelystoimituskunnan päällikkö), 농업부 의장 (maataloustoimituskunnan päällikkö), 농업부 장관 (Maatalousministeri) |
현재 명칭 | 농림부 장관 (maa- ja metsätalousministeri) |
관련 용어 | |
핀란드어 | maa- ja metsätalousministeri |
스웨덴어 | jord- och skogsbruksminister |
2. 핀란드 농림부 장관의 역사
1861년 5월 1일, 요한 그리펜베리가 초대 농경국장으로 임명되어 1866년 11월 21일까지 재직하였다. 이후 요한 폰 보른이 1866년 12월 12일부터 1873년 5월 10일까지 농경국장직을 수행하였다. 오스카르 노르멘은 1873년부터 1888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농경국장으로 재임하였다. 게오르크 폰 알프탄은 1889년부터 1892년까지 두 차례 농경국장을 역임하였다.
요하네스 그리펜베리는 1892년 10월 1일부터 1896년 2월 4일까지 재직 중 사망하였다. 구스타프 폰 트로일은 1893년부터 1900년까지, 크누트 스포레는 1900년부터 1903년까지 재직 중 사망하였다. 오스발드 키흘만은 1903년부터 1905년까지 두 차례 농경국장을 역임하였다.
볼마르 오니 슈일트는 1905년부터 1909년까지, 오토 브레데는 1909년, 파울 크라츠는 1909년부터 1910년까지 재직하였다. 알렉산데르 폰 코텐은 1910년부터 1917년까지, 퀴외스티 칼리오는 1917년 농경국장으로 재직하였다.
각료 | 정당 | 임기 | 원로원 |
---|---|---|---|
요한 그리펜베리 | 무소속 | 1861년 5월 1일-1866년 11월 21일 | 노르덴스탐 |
요한 폰 보른 | 무소속 | 1866년 12월 12일-1873년 5월 10일 | 노르덴스탐 |
오스카르 노르멘 | 무소속 | 1873년 5월 20일-1882년 10월 1일 | 노르덴스탐 |
오스카르 노르멘 | 무소속 | 1882년 1월 10일-1885년 1월 10일 | 아프 포르셀레스 |
오스카르 노르멘 | 무소속 | 1885년 10월 1일-1888년 12월 1일 | 폰 트로일 |
게오르크 폰 알프탄 | 무소속 | 1889년 1월 2일-1891년 11월 23일 | 폰 트로일 |
게오르크 폰 알프탄 | 무소속 | 1891년 11월 23일-1892년 10월 1일 | 투데르 |
요하네스 그리펜베리 | 핀란드당 | 1892년 10월 1일-1896년 2월 4일 | 투데르 |
구스타프 폰 트로일 | 무소속 | 1893년 6월 3일-1900년 7월 5일 | 투데르 |
크누트 스포레 | 무소속 | 1900년 7월 5일-1900년 10월 19일 | 투데르 |
크누트 스포레 | 무소속 | 1900년 10월 19일-1903년 7월 3일 | 린데르 |
오스발드 키흘만 | 핀란드당 | 1903년 10월 17일-1905년 3월 29일 | 린데르 |
오스발드 키흘만 | 핀란드당 | 1905년 3월 29일-1905년 11월 11일 | 스트렝 |
볼마르 오니 슈일트 | 청년 핀란드당 | 1905년 12월 1일-1908년 8월 1일 | 메켈린 |
볼마르 오니 슈일트 | 청년 핀란드당 | 1908년 8월 1일-1909년 4월 25일 | 혤트 |
오토 브레데 | 스웨덴인당 | 1909년 7월 23일-1909년 11월 13일 | 혤트 |
파울 크라츠 | 핀란드당 | 1909년 10월 12일-1910년 1월 12일 | 마르코프 |
알렉산데르 폰 코텐 | 핀란드당 | 1910년 1월 12일-1917년 3월 26일 | 마르코프, 보로비티노프 |
퀴외스티 칼리오 | 농업동맹 | 1917년 3월 26일-1917년 9월 8일 | 토코이 |
퀴외스티 칼리오는 1917년 11월 27일부터 1918년 11월 27일까지 농업동맹 소속으로 농무국장 직을 역임했다. 그는 제1차 스빈후부드 원로원과 제1차 파시키비 원로원에서 농무국장으로 활동했다.
에로 위리외 페흐코넨은 농업동맹 소속으로 1917년 11월 27일부터 1918년 11월 27일까지 제1차 스빈후부드 및 제1차 파시키비에서 농무국장보를 역임했다.
핀란드 농림부 장관직은 1918년 핀란드 독립 이후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 1917년 농업부서 책임자로 임명된 퀴외스티 칼리오가 초대 농림부 장관으로 여겨진다. 퀴외스티 칼리오는 이후에도 여러 차례 농림부 장관직을 역임하였다.
초기 농림부 장관직은 농업당 출신 인사들이 주로 맡았다. 퀴외스티 칼리오, 에로 페흐코넨, 유호 수닐라, 시구르드 마트손 등이 대표적이다. 무소속으로는 우노 브란데르, 외스텐 엘프빙 등이 임명되었다.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ortable"
|-
! scope=col class=unsortable | 초상화
! scope=col | 이름
! scope=col | 정당
! scope=col | 취임
! scope=col | 퇴임
! scope=col | 재임 기간
! scope=col |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굇스티 칼리오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17년 11월 27일
| 1918년 8월 17일
|
|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의 제1 상원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1 상원
|-
| align=center |
! scope=row | 우노 브란데르
| style="background:#C0C0C0" | 무소속
| 1918년 8월 17일
| 1919년 4월 17일
|
| 라우리 잉만의 제1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굇스티 칼리오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19년 4월 17일
| 1920년 3월 15일
|
| 카알로 카스트렌
유호 베놀라의 제1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에로 페흐코넨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20년 3월 15일
| 1921년 4월 9일
|
| 라파엘 에리히
|-
| align=center |
! scope=row | 굇스티 칼리오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21년 4월 9일
| 1922년 6월 2일
|
| 유호 베놀라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외스텐 엘프빙
| style="background:#C0C0C0" | 무소속
| 1922년 6월 2일
| 1922년 11월 14일
|
| 아이모 카얀데르의 제1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유호 수닐라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22년 11월 14일
| 1924년 1월 18일
|
| 굇스티 칼리오의 제1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외스텐 엘프빙
| style="background:#C0C0C0" | 무소속
| 1924년 1월 18일
| 1924년 5월 31일
|
| 아이모 카얀데르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얄로 라덴수오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24년 5월 31일
| 1924년 11월 22일
|
| 라우리 잉만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일마리 아우에르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24년 11월 22일
| 1925년 3월 31일
|
| 라우리 잉만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유호 수닐라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25년 3월 31일
| 1926년 12월 13일
|
| 안티 툴렌헤이모
굇스티 칼리오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마우노 페칼라
| style="background:#FFB6B6" | 사회민주당
| 1926년 12월 13일
| 1927년 12월 17일
|
| 베이뇌 타네르
|-
| align=center |
! scope=row | 시구르드 마트손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27년 12월 17일
| 1928년 12월 22일
|
| 유호 수닐라의 제1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에밀 리나
| style="background:#FDEE00" | 국민진보당
| 1928년 12월 22일
| 1929년 8월 16일
|
| 오스카리 만테레
|-
| align=center |
! scope=row | 카알레 엘릴라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29년 8월 16일
| 1930년 7월 4일
|
| 굇스티 칼리오의 제3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아우구스트 라아티카이넨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30년 7월 4일
| 1931년 3월 21일
|
|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시구르드 마트손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31년 3월 21일
| 1932년 12월 14일
|
| 유호 수닐라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칼레 유틸라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32년 12월 14일
| 1936년 9월 25일
|
| 토이보 미카엘 키비매키
|-
| align=center |
! scope=row | 에밀 리나
| style="background:#FDEE00" | 국민진보당
| 1936년 9월 25일
| 1936년 10월 7일
|
| 토이보 미카엘 키비매키
|-
| align=center |
! scope=row | 페카 헤이키넨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36년 10월 7일
| 1940년 8월 15일
|
| 굇스티 칼리오의 제4 내각
아이모 카얀데르의 제3 내각
리스토 뤼티의 제1 내각-II
|-
| align=center |
! scope=row | 빌야미 칼리오코스키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40년 8월 15일
| 1944년 11월 17일
|
| 리스토 뤼티의 제2 내각
요한 빌헬름 랑겔
에드빈 린코미에스
안티 하크젤
우르호 카스트렌
|-
| align=center |
! scope=row | 에밀 루우카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44년 11월 17일
| 1945년 4월 17일
|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칼레 유틸라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45년 4월 17일
| 1945년 9월 29일
|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3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비흐토리 베스테리넨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45년 11월 9일
| 1948년 7월 29일
|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3 내각
마우노 페칼라
|-
| align=center |
! scope=row | 마티 레피스토
| style="background:#FFB6B6" | 사회민주당
| 1948년 7월 29일
| 1950년 3월 17일
|
|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1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타비 빌훌라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50년 3월 17일
| 1951년 1월 17일
|
| 우르호 케코넨의 제1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마르티 미에투넨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51년 1월 17일
| 1953년 11월 17일
|
| 우르호 케코넨의 제2 내각-III-IV
|-
| align=center |
! scope=row | 칼레 유틸라
| style="background:#C0C0C0" | 무소속
| 1953년 11월 17일
| 1954년 5월 5일
|
| 사카리 투오미오야
|-
| align=center |
! scope=row | 빌야미 칼리오코스키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54년 5월 5일
| 1956년 3월 3일
|
| 랄프 퇼그렌
우르호 케코넨의 제5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마르티 미에투넨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56년 3월 3일
| 1957년 7월 2일
|
|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2 내각
비에노 요하네스 수셀라이넨의 제1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쿠스티 에스콜라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57년 7월 2일
| 1957년 11월 29일
|
|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한스 페르툴라
| style="background:#C0C0C0" | 무소속
| 1957년 11월 29일
| 1958년 4월 26일
|
| 라이네르 폰 피에안트
|-
| align=center |
! scope=row | 파울리 레흐토살로
| style="background:#C0C0C0" | 무소속
| 1958년 4월 26일
| 1958년 8월 29일
|
| 레이노 쿠우스코스키
|-
| align=center |
! scope=row | 마르티 미에투넨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58년 8월 29일
| 1958년 11월 14일
|
|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3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우르호 캐호넨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 1958년 11월 14일
| 1959년 1월 13일
|
|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3 내각
|-
| align=center |
! scope=row | 에이나리 야코올라
| style="background:#568203" | 농업당
2. 1. 농경국장 (1861년-1917년)
1861년 5월 1일, 요한 그리펜베리가 초대 농경국장으로 임명되어 1866년 11월 21일까지 재직하였다. 요한 폰 보른은 1866년 12월 12일부터 1873년 5월 10일까지 농경국장직을 수행하였다. 오스카르 노르멘은 1873년 5월 20일부터 1882년 10월 1일까지, 그리고 1882년 1월 10일부터 1885년 1월 10일, 1885년 10월 1일부터 1888년 12월 1일까지 세 차례에 걸쳐 농경국장으로 재임하였다. 게오르크 폰 알프탄은 1889년 1월 2일부터 1891년 11월 23일, 그리고 1891년 11월 23일부터 1892년 10월 1일까지 두 차례 농경국장을 역임하였다.요하네스 그리펜베리는 1892년 10월 1일부터 1896년 2월 4일까지 재직 중 사망하였다. 구스타프 폰 트로일은 1893년 6월 3일부터 1900년 7월 5일까지 농경국장으로 재직하였다. 크누트 스포레는 1900년 7월 5일부터 1900년 10월 19일, 그리고 1900년 10월 19일부터 1903년 7월 3일까지 재직 중 사망하였다. 오스발드 키흘만은 1903년 10월 17일부터 1905년 3월 29일, 그리고 1905년 3월 29일부터 1905년 11월 11일까지 두 차례 농경국장을 역임하였다.
볼마르 오니 슈일트는 1905년 12월 1일부터 1908년 8월 1일까지, 그리고 1908년 8월 1일부터 1909년 4월 25일까지 재임하였다. 오토 브레데는 1909년 7월 23일부터 1909년 11월 13일까지 농경국장직을 수행하였다. 파울 크라츠는 1909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1월 12일까지 재직하였다. 알렉산데르 폰 코텐은 1910년 1월 12일부터 1917년 3월 26일까지 농경국장으로 재임하였다. 퀴외스티 칼리오는 1917년 3월 26일부터 1917년 9월 8일까지 재직하였다.
각료 | 정당 | 임기 | 원로원 |
---|---|---|---|
요한 그리펜베리 | 무소속 | 1861년 5월 1일-1866년 11월 21일 | 노르덴스탐 |
요한 폰 보른 | 무소속 | 1866년 12월 12일-1873년 5월 10일 | 노르덴스탐 |
오스카르 노르멘 | 무소속 | 1873년 5월 20일-1882년 10월 1일 | 노르덴스탐 |
오스카르 노르멘 | 무소속 | 1882년 1월 10일-1885년 1월 10일 | 아프 포르셀레스 |
오스카르 노르멘 | 무소속 | 1885년 10월 1일-1888년 12월 1일 | 폰 트로일 |
게오르크 폰 알프탄 | 무소속 | 1889년 1월 2일-1891년 11월 23일 | 폰 트로일 |
게오르크 폰 알프탄 | 무소속 | 1891년 11월 23일-1892년 10월 1일 | 투데르 |
요하네스 그리펜베리 | 핀란드당 | 1892년 10월 1일-1896년 2월 4일 | 투데르 |
구스타프 폰 트로일 | 무소속 | 1893년 6월 3일-1900년 7월 5일 | 투데르 |
크누트 스포레 | 무소속 | 1900년 7월 5일-1900년 10월 19일 | 투데르 |
크누트 스포레 | 무소속 | 1900년 10월 19일-1903년 7월 3일 | 린데르 |
오스발드 키흘만 | 핀란드당 | 1903년 10월 17일-1905년 3월 29일 | 린데르 |
오스발드 키흘만 | 핀란드당 | 1905년 3월 29일-1905년 11월 11일 | 스트렝 |
볼마르 오니 슈일트 | 청년 핀란드당 | 1905년 12월 1일-1908년 8월 1일 | 메켈린 |
볼마르 오니 슈일트 | 청년 핀란드당 | 1908년 8월 1일-1909년 4월 25일 | 혤트 |
오토 브레데 | 스웨덴인당 | 1909년 7월 23일-1909년 11월 13일 | 혤트 |
파울 크라츠 | 핀란드당 | 1909년 10월 12일-1910년 1월 12일 | 마르코프 |
알렉산데르 폰 코텐 | 핀란드당 | 1910년 1월 12일-1917년 3월 26일 | 마르코프, 보로비티노프 |
퀴외스티 칼리오 | 농업동맹 | 1917년 3월 26일-1917년 9월 8일 | 토코이 |
2. 2. 농무국장 (1917년-1918년)
퀴외스티 칼리오는 농업동맹 소속으로, 1917년 11월 27일부터 1918년 11월 27일까지 농무국장 직을 역임했다. 1917년 11월 27일부터 1918년 5월 27일까지는 제1차 스빈후부드 원로원에서, 1918년 5월 27일부터 1918년 11월 27일까지는 제1차 파시키비 원로원에서 농무국장으로 활동했다.2. 3. 농무국장보 (1917년-1918년)
에로 위리외 페흐코넨은 농업동맹 소속으로, 1917년 11월 27일부터 1918년 11월 27일까지 제1차 스빈후부드 및 제1차 파시키비에서 농무국장보를 역임했다.2. 4. 농림부 장관 (1918년-현재)
핀란드의 농림부 장관은 1918년 핀란드 독립 이후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는 직책이다. 1917년 11월 27일 핀란드 상원에서 농업부서 책임자로 임명된 굇스티 칼리오가 초대 농림부 장관으로 여겨진다. 굇스티 칼리오는 이후에도 여러 차례 농림부 장관직을 역임하였다.농림부 장관직은 초기에는 농업당(현 중앙당) 출신 인사들이 주로 맡았다. 굇스티 칼리오, 에로 페흐코넨, 유호 수닐라, 시구르드 마트손 등이 농업당 출신 초기 농림부 장관들이다. 무소속으로 임명된 우노 브란데르, 외스텐 엘프빙 도 있었다.
초상화 | 이름 | 정당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내각 |
---|---|---|---|---|---|---|
굇스티 칼리오 | 농업당 | 1917년 11월 27일 | 1918년 8월 17일 |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의 제1 상원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1 상원 | ||
우노 브란데르 | 무소속 | 1918년 8월 17일 | 1919년 4월 17일 | 라우리 잉만의 제1 내각 | ||
굇스티 칼리오 | 농업당 | 1919년 4월 17일 | 1920년 3월 15일 | 카알로 카스트렌 유호 베놀라의 제1 내각 | ||
에로 페흐코넨 | 농업당 | 1920년 3월 15일 | 1921년 4월 9일 | 라파엘 에리히 | ||
굇스티 칼리오 | 농업당 | 1921년 4월 9일 | 1922년 6월 2일 | 유호 베놀라의 제2 내각 | ||
외스텐 엘프빙 | 무소속 | 1922년 6월 2일 | 1922년 11월 14일 | 아이모 카얀데르의 제1 내각 | ||
유호 수닐라 | 농업당 | 1922년 11월 14일 | 1924년 1월 18일 | 굇스티 칼리오의 제1 내각 | ||
외스텐 엘프빙 | 무소속 | 1924년 1월 18일 | 1924년 5월 31일 | 아이모 카얀데르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얄로 라덴수오 | 농업당 | 1924년 5월 31일 | 1924년 11월 22일 | 라우리 잉만의 제2 내각 | |
일마리 아우에르 | 농업당 | 1924년 11월 22일 | 1925년 3월 31일 | 라우리 잉만의 제2 내각 | ||
유호 수닐라 | 농업당 | 1925년 3월 31일 | 1926년 12월 13일 | 안티 툴렌헤이모 굇스티 칼리오의 제2 내각 | ||
마우노 페칼라 | 사회민주당 | 1926년 12월 13일 | 1927년 12월 17일 | 베이뇌 타네르 | ||
시구르드 마트손 | 농업당 | 1927년 12월 17일 | 1928년 12월 22일 | 유호 수닐라의 제1 내각 | ||
에밀 리나 | 국민진보당 | 1928년 12월 22일 | 1929년 8월 16일 | 오스카리 만테레 | ||
카알레 엘릴라 | 농업당 | 1929년 8월 16일 | 1930년 7월 4일 | 굇스티 칼리오의 제3 내각 | ||
아우구스트 라아티카이넨 | 농업당 | 1930년 7월 4일 | 1931년 3월 21일 |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의 제2 내각 | ||
시구르드 마트손 | 농업당 | 1931년 3월 21일 | 1932년 12월 14일 | 유호 수닐라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칼레 유틸라 | 농업당 | 1932년 12월 14일 | 1936년 9월 25일 | 토이보 미카엘 키비매키 | |
에밀 리나 | 국민진보당 | 1936년 9월 25일 | 1936년 10월 7일 | 토이보 미카엘 키비매키 | ||
페카 헤이키넨 | 농업당 | 1936년 10월 7일 | 1940년 8월 15일 | 굇스티 칼리오의 제4 내각 아이모 카얀데르의 제3 내각 리스토 뤼티의 제1 내각-II | ||
빌야미 칼리오코스키 | 농업당 | 1940년 8월 15일 | 1944년 11월 17일 | 리스토 뤼티의 제2 내각 요한 빌헬름 랑겔 에드빈 린코미에스 안티 하크젤 우르호 카스트렌 | ||
에밀 루우카 | 농업당 | 1944년 11월 17일 | 1945년 4월 17일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2 내각 | ||
align=center | | 칼레 유틸라 | 농업당 | 1945년 4월 17일 | 1945년 9월 29일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3 내각 | |
비흐토리 베스테리넨 | 농업당 | 1945년 11월 9일 | 1948년 7월 29일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3 내각 마우노 페칼라 | ||
align=center | | 마티 레피스토 | 사회민주당 | 1948년 7월 29일 | 1950년 3월 17일 |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1 내각 | |
타비 빌훌라 | 농업당 | 1950년 3월 17일 | 1951년 1월 17일 | 우르호 케코넨의 제1 내각 | ||
마르티 미에투넨 | 농업당 | 1951년 1월 17일 | 1953년 11월 17일 | 우르호 케코넨의 제2 내각-III-IV | ||
align=center | | 칼레 유틸라 | 무소속 | 1953년 11월 17일 | 1954년 5월 5일 | 사카리 투오미오야 | |
빌야미 칼리오코스키 | 농업당 | 1954년 5월 5일 | 1956년 3월 3일 | 랄프 퇼그렌 우르호 케코넨의 제5 내각 | ||
마르티 미에투넨 | 농업당 | 1956년 3월 3일 | 1957년 7월 2일 |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2 내각 비에노 요하네스 수셀라이넨의 제1 내각 | ||
align=center | | 쿠스티 에스콜라 | 농업당 | 1957년 7월 2일 | 1957년 11월 29일 |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2 내각 | |
한스 페르툴라 | 무소속 | 1957년 11월 29일 | 1958년 4월 26일 | 라이네르 폰 피에안트 | ||
align=center | | 파울리 레흐토살로 | 무소속 | 1958년 4월 26일 | 1958년 8월 29일 | 레이노 쿠우스코스키 | |
마르티 미에투넨 | 농업당 | 1958년 8월 29일 | 1958년 11월 14일 |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3 내각 | ||
우르호 캐호넨 | 농업당 | 1958년 11월 14일 | 1959년 1월 13일 |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3 내각 | ||
에이나리 야코올라 | 농업당 | 1959년 1월 13일 | 1961년 7월 14일 | 비에노 요하네스 수셀라이넨의 제2 내각 | ||
![]() |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 농업당 | 1961년 7월 14일 | 1963년 12월 18일 | 마르티 미에투넨의 제1 내각 아흐티 카르잘라이넨의 제1 내각 | |
![]() | 사무울리 수오멜라 | 무소속 | 1963년 12월 18일 | 1964년 9월 12일 | 레이노 라그나르 레토 | |
![]() | 마우노 유실라 | 중앙당 | 1964년 9월 12일 | 1966년 5월 27일 |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 |
![]() | 네스토리 카아살라이넨 | 중앙당 | 1966년 5월 27일 | 1968년 3월 22일 | 라파엘 파아시오의 제1 내각 | |
마르티 미에투넨 | 중앙당 | 1968년 3월 22일 | 1970년 5월 14일 | 코이비스토 I | ||
![]() | 닐스 베스터마르크 | 무소속 | 1970년 5월 14일 | 1970년 7월 15일 | 테우보 아우라의 제1 내각 | |
네스토리 카아살라이넨 | 중앙당 | 1970년 7월 15일 | 1971년 10월 29일 | 카르잘라이넨 II | ||
사무울리 수오멜라 | 무소속 | 1971년 10월 29일 | 1972년 2월 23일 | 아우라 II | ||
align=center | | 레오 하포넨 | 사회민주당 | 1972년 2월 23일 | 1972년 9월 4일 | 파아시오 II | |
align=center | | 에르키 하우키푸로 | 중앙당 | 1972년 9월 4일 | 1973년 8월 1일 | 소르사 I | |
![]() | 헤이모 린나 | 중앙당 | 1973년 8월 1일 | 1975년 6월 13일 | 소르사 I | |
![]() | 베이코 이하무오틸라 | 무소속 | 1975년 6월 13일 | 1975년 11월 30일 | 리이나마 | |
헤이모 린나 | 중앙당 | 1975년 11월 30일 |
3. 역대 농림부 장관
초상화 이름 정당 취임 퇴임 재임 기간 내각 colspan=5 | 굇스티 칼리오 농업당 1917년 11월 27일 1918년 8월 17일 263일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의 제1 상원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1 상원우노 브란데르 무소속 1918년 8월 17일 1919년 4월 17일 243일 라우리 잉만의 제1 내각 굇스티 칼리오 농업당 1919년 4월 17일 1920년 3월 15일 333일 카알로 카스트렌 내각
유호 베놀라의 제1 내각에로 페흐코넨 농업당 1920년 3월 15일 1921년 4월 9일 1년 25일 라파엘 에리히 내각 굇스티 칼리오 농업당 1921년 4월 9일 1922년 6월 2일 1년 54일 유호 베놀라의 제2 내각 외스텐 엘프빙 무소속 1922년 6월 2일 1922년 11월 14일 165일 아이모 카얀데르의 제1 내각 유호 수닐라 농업당 1922년 11월 14일 1924년 1월 18일 1년 65일 굇스티 칼리오의 제1 내각 외스텐 엘프빙 무소속 1924년 1월 18일 1924년 5월 31일 134일 아이모 카얀데르의 제2 내각 align=center | 얄로 라덴수오 농업당 1924년 5월 31일 1924년 11월 22일 175일 라우리 잉만의 제2 내각 일마리 아우에르 농업당 1924년 11월 22일 1925년 3월 31일 129일 라우리 잉만의 제2 내각 유호 수닐라 농업당 1925년 3월 31일 1926년 12월 13일 1년 257일 안티 툴렌헤이모 내각
굇스티 칼리오의 제2 내각마우노 페칼라 사회민주당 1926년 12월 13일 1927년 12월 17일 1년 4일 베이뇌 타네르 내각 시구르드 마트손 농업당 1927년 12월 17일 1928년 12월 22일 1년 5일 유호 수닐라의 제1 내각 에밀 리나 국민진보당 1928년 12월 22일 1929년 8월 16일 237일 오스카리 만테레 내각 카알레 엘릴라 농업당 1929년 8월 16일 1930년 7월 4일 322일 굇스티 칼리오의 제3 내각 아우구스트 라아티카이넨 농업당 1930년 7월 4일 1931년 3월 21일 260일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의 제2 내각 시구르드 마트손 농업당 1931년 3월 21일 1932년 12월 14일 1년 268일 유호 수닐라의 제2 내각 align=center | 칼레 유틸라 농업당 1932년 12월 14일 1936년 9월 25일 3년 286일 토이보 미카엘 키비매키 내각 에밀 리나 국민진보당 1936년 9월 25일 1936년 10월 7일 12일 토이보 미카엘 키비매키 내각 페카 헤이키넨 농업당 1936년 10월 7일 1940년 8월 15일 3년 313일 굇스티 칼리오의 제4 내각
아이모 카얀데르의 제3 내각
리스토 뤼티의 제1 내각-제2 내각빌야미 칼리오코스키 농업당 1940년 8월 15일 1944년 11월 17일 4년 94일 리스토 뤼티의 제2 내각
요한 빌헬름 랑겔 내각
에드빈 린코미에스 내각
안티 하크젤 내각
우르호 카스트렌 내각에밀 루우카 농업당 1944년 11월 17일 1945년 4월 17일 151일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2 내각 align=center | 칼레 유틸라 농업당 1945년 4월 17일 1945년 9월 29일 165일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3 내각 비흐토리 베스테리넨 농업당 1945년 11월 9일 1948년 7월 29일 2년 263일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제3 내각
마우노 페칼라 내각align=center | 마티 레피스토 사회민주당 1948년 7월 29일 1950년 3월 17일 1년 231일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1 내각 타비 빌훌라 농업당 1950년 3월 17일 1951년 1월 17일 306일 우르호 케코넨의 제1 내각 마르티 미에투넨 농업당 1951년 1월 17일 1953년 11월 17일 2년 304일 우르호 케코넨의 제2 내각-제3 내각-제4 내각 align=center | 칼레 유틸라 무소속 1953년 11월 17일 1954년 5월 5일 169일 사카리 투오미오야 내각 빌야미 칼리오코스키 농업당 1954년 5월 5일 1956년 3월 3일 1년 303일 랄프 퇼그렌 내각
우르호 케코넨의 제5 내각마르티 미에투넨 농업당 1956년 3월 3일 1957년 7월 2일 1년 121일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2 내각
비에노 요하네스 수셀라이넨의 제1 내각align=center | 쿠스티 에스콜라 농업당 1957년 7월 2일 1957년 11월 29일 150일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2 내각 한스 페르툴라 무소속 1957년 11월 29일 1958년 4월 26일 148일 라이네르 폰 피에안트 내각 align=center | 파울리 레흐토살로 무소속 1958년 4월 26일 1958년 8월 29일 125일 레이노 쿠우스코스키 내각 마르티 미에투넨 농업당 1958년 8월 29일 1958년 11월 14일 77일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3 내각 우르호 캐호넨 농업당 1958년 11월 14일 1959년 1월 13일 60일 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의 제3 내각 에이나리 야코올라 농업당 1959년 1월 13일 1961년 7월 14일 2년 182일 비에노 요하네스 수셀라이넨의 제2 내각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농업당 1961년 7월 14일 1963년 12월 18일 2년 157일 마르티 미에투넨의 제1 내각
아흐티 카르잘라이넨의 제1 내각사무울리 수오멜라 무소속 1963년 12월 18일 1964년 9월 12일 269일 레이노 라그나르 레토 내각 마우노 유실라 중앙당 1964년 9월 12일 1966년 5월 27일 1년 257일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내각 네스토리 카아살라이넨 중앙당 1966년 5월 27일 1968년 3월 22일 1년 300일 라파엘 파아시오의 제1 내각 마르티 미에투넨 중앙당 1968년 3월 22일 1970년 5월 14일 2년 53일 코이비스토 I 내각 닐스 베스터마르크 무소속 1970년 5월 14일 1970년 7월 15일 62일 테우보 아우라의 제1 내각 네스토리 카아살라이넨 중앙당 1970년 7월 15일 1971년 10월 29일 1년 106일 카르잘라이넨 II 내각 사무울리 수오멜라 무소속 1971년 10월 29일 1972년 2월 23일 117일 아우라 II 내각 align=center | 레오 하포넨 사회민주당 1972년 2월 23일 1972년 9월 4일 194일 파아시오 II 내각 align=center | 에르키 하우키푸로 중앙당 1972년 9월 4일 1973년 8월 1일 331일 소르사 I 내각 헤이모 린나 중앙당 1973년 8월 1일 1975년 6월 13일 1년 316일 소르사 I 내각 베이코 이하무오틸라 무소속 1975년 6월 13일 1975년 11월 30일 170일 리이나마 내각
4. 주요 농림부 장관
4. 1. 굇스티 칼리오
4. 2. 마르티 미에투넨
5. 핀란드 농업과 한국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Ministers
http://valtioneuvost[...]
2018-03-21
[2]
웹사이트
Management and organisation
http://mmm.fi/en/man[...]
2018-03-21
[3]
웹사이트
Prime Minister Orpo's Government appointed
https://valtioneuvos[...]
2023-06-20
[4]
웹사이트
Ministerit nimikkeittäin - Maa- ja metsätalousministeri
http://valtioneuvost[...]
2014-02-10
[5]
웹사이트
Ministerit nimikkeittäin - Apulaismaatalousministeri
http://valtioneuvost[...]
2014-10-07
[6]
웹사이트
Ministerit nimikkeittäin - Maatalousministeri
http://valtioneuvost[...]
2014-10-07
[7]
웹사이트
Ministerit nimikkeittäin - Maatalousministeri
http://valtioneuvost[...]
2014-10-07
[8]
웹사이트
Ministerit nimikkeittäin - Ministeri maatalousministeriössä
http://valtioneuvost[...]
2014-10-07
[9]
웹사이트
Ministerit nimikkeittäin - Ministeri maa- ja metsätalousministeriössä
http://valtioneuvost[...]
2014-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