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불로 압두사마토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비불로 압두사마토프는 러시아의 천문학자이다. 풀코보 천문대에서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우주 연구소 소장까지 역임했으며, 국제 우주 정거장 관련 프로젝트를 담당했다. 그는 기후 변화에 대한 독자적인 관점을 제시하며, 지구 온난화가 온실 가스 배출이 아닌 태양 복사량의 변화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21세기 소빙하기의 시작을 예측했으나, 그의 주장은 과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마르칸트 출신 - 안주르 이스마일로프
안주르 이스마일로프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01경기에 출전했고, 여러 클럽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 우즈베키스탄의 과학자 - 알리셰르 나보이
알리셰르 나보이는 15세기 티무르 제국에서 활동하며 차가타이어와 페르시아어로 시를 쓴 시인이자 정치가, 건축가, 신비주의자로서, 호라산 지역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차가타이어 문학을 발전시켜 "튀르크인의 제프리 초서"라는 평가를 받으며 우즈베키스탄에서 국민 시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 우즈베키스탄의 과학자 - 루슬란 메지토프
루슬란 메지토프는 면역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로, 톨 유사 수용체(TLR4) 발견 및 면역 반응 활성화 증명에 기여했으며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래스커-데베이키 임상 의학 연구상, 울프 의학상 등을 수상하고 현재 예일 대학교 의과대학 스털링 교수직을 유지하고 있다. - 우즈베키스탄의 외교관 - 코디르 조키로프
코디르 조키로프는 1906년 페르가나 분지에서 태어나 1992년에 사망한 우즈베키스탄의 식물학자이며, 타슈켄트 교육대학교 학과장, 식물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고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원으로 활동했다. - 우즈베키스탄의 외교관 - 사비르 유누소프
사비르 유누소프는 알려진 정보가 없어 문서에 내용이 없는 인물이다.
하비불로 압두사마토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비불로 이스마일로비치 압두사마토프 |
원어 이름 | Хабибулло Исмаилович Абдусаматов |
출생일 | 1940년 10월 27일 |
출생지 | 소련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사마르칸트 주 사마르칸트 |
분야 | 천체물리학 |
직장 | 풀코보 천문대 |
모교 | 사마르칸트 국립대학교 레닌그라드 국립대학교 풀코보 천문대 |
알려진 업적 | 태양 물리학 지구 온난화 부정론 |
종교 | 이슬람교 → 동방 정교회 |
경력 | |
타슈켄트 연합 대학교 | 객원 교수 |
모스크바 대학교 | 객원 교수 |
소련 국가원수 비서실 | 천체물리과학특보비서관 (1988년 5월 31일 ~ 1989년 4월 30일, 미하일 고르바초프 치하) |
거주지 |
2. 경력
압두사마토프는 1964년부터 풀코보 천문대에서 연구원 수습, 대학원생, 주니어 연구원, 선임 연구원, 수석 연구원을 거쳐 우주 연구소 소장으로 근무했다.[4] 그는 풀코보 천문대 우주 연구 부문 책임자가 되었고, 국제 우주 정거장 러시아 구역의 셀레노메트리아 프로젝트 책임자도 맡았다.
압두사마토프는 하트랜드 연구소가 후원하는 제4회 및 제9회 국제 기후 변화 회의에서 지구 온난화가 온실 가스 배출이 아닌, 태양 복사량과 강도의 증가 때문이라고 주장했다.[5][6] 이는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합의와 모순된다.[7][8][9] 그는 화성과 지구에서 동시에 관측된 지구 온난화는 오랜 기간의 태양 복사량 변화의 결과라고 주장했다.[10]
3. 기후 변화에 대한 관점과 예측
이러한 주장은 과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다른 과학자들은 이 아이디어가 이론이나 관측으로 뒷받침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11][12]
압두사마토프는 2012년 초, 2014년부터 시작되어 2055년경에 가장 심각해지는 새로운 "미니 빙하기"의 시작을 예측했다.[14] 그의 예측은 2013/2014년 혹독한 겨울 이후 언론의 주목을 받았지만, 그 겨울은 북미 동부 지역에서만 혹독했다.[15] 그는 2012년에 감소 추세의 총 태양 복사량(TSI)을 정량화했으며, 향후 200년 주기에 기반한 TSI 감소를 예측했다.[16]
3. 1. 태양 변동
압두사마토프는 하트랜드 연구소가 후원하는 제4회 및 제9회 국제 기후 변화 회의에서 논문을 발표했다.[5][6] 그는 "지구 온난화는 대기 중으로의 온실 가스 배출 때문이 아니라, 유례없이 높은 수준의 태양 복사량과 지난 세기 거의 내내 지속된 강도 증가 때문이다."라고 주장한다. 이 견해는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합의와 모순된다.[7][8][9] 그는 "화성과 지구에서 동시에 관측된 병렬 지구 온난화는 동일한 요인, 즉 오랜 기간의 태양 복사량 변화의 직접적인 결과일 뿐이다"라고 주장했다.[10]
이 주장은 광범위한 과학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다른 과학자들은 "그 아이디어는 이론이나 관측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며" "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11][12]
3. 2. 21세기 소빙하기
2012년 초, 압두사마토프는 2014년부터 시작되어 2055년경에 가장 심각해지는 새로운 "미니 빙하기"의 시작을 예측했다.[14] 그의 예측은 2013/2014년 혹독한 겨울 이후 언론의 주목을 받았지만, 그 겨울은 북미 동부 지역에서만 혹독했다.[15] 2012년 압두사마토프는 감소 추세의 총 태양 복사량(TSI)을 정량화했으며, 향후 200년 주기에 기반한 TSI 감소를 예측했다.[16]
4. 주요 출판물
하비불로 압두사마토프의 주요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 H. I. 압두사마토프 (2004). 〈우주 태양 연륜 사진기〉. 《태양 활동의 다파장 연구》. 국제천문연맹 회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4 (AUS223): 605–606.
- H. I. 압두사마토프 (2006). “우주 기반 태양 연륜 사진기”. 《광학 기술 저널》 73 (4): 242–244.
- 하비불로 I. 압두사마토프 (2012년 2월). “태양 전 복사의 200년 감소가 지구의 불균형 열 예산과 소빙하기를 초래하다”. 《응용 물리학 연구》 4 (1): 178–184.
이 목록은 하위 섹션 "주요 논문 목록"과 중복되므로, 핵심적인 내용만 간략하게 요약했다.
4. 1. 주요 논문 목록
- H. I. 압두사마토프 (2004). 〈우주 태양 연륜 사진기〉. 《태양 활동의 다파장 연구》. 국제천문연맹 회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4 (AUS223): 605–606. 10.1017/S1743921304006969 177411496
- H. I. 압두사마토프 (2006). “우주 기반 태양 연륜 사진기”. 《광학 기술 저널》 73 (4): 242–244. 10.1364/JOT.73.000242
- 하비불로 I. 압두사마토프 (2012년 2월). “태양 전 복사의 200년 감소가 지구의 불균형 열 예산과 소빙하기를 초래하다”. 《응용 물리학 연구》 4 (1): 178–184. 10.5539/apr.v4n1p178
참조
[1]
웹사이트
Measure temporary variations of shape and diameter of the Sun, as well as fin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granulation on the Service module of the Russian segment of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www.gao.spb.r[...]
Pulkovo Observatory of Russian Academy of Sciences
2013-06-07
[2]
웹사이트
Pulkovo Observatory
http://www.gao.spb.r[...]
[3]
웹사이트
photo
http://www.encspb.ru[...]
[4]
웹사이트
HABIBULLO ABDUSSAMATOV
http://climateconfer[...]
[5]
웹사이트
Habibullo Abdussamatov, ICCC Speakers
http://climateconfer[...]
[6]
웹사이트
Media Advisory: Heartland Institute to Host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limate Change in Washington
https://web.archive.[...]
2015-02-28
[7]
웹사이트
Research | Research news | 2004 | How Strongly Does the Sun Influence the Global Climate?
http://www.mpg.de/en[...]
Mpg.de
2004-08-02
[8]
웹사이트
Sun's Activity Increased in Past Century, Study Confirms
http://www.space.com[...]
[9]
간행물
Recent oppositely directed trends in solar climate forcings and the global mean surface air temperature. II. Different reconstructions of the total solar irradiance variation and dependence on response time scale
[10]
웹사이트
Look to Mars for the truth on global warming
https://web.archive.[...]
National Post
2007-03-02
[11]
웹사이트
Sun Blamed for Warming of Earth and Other Worlds
http://www.livescien[...]
Live Science
2007-03-12
[12]
웹사이트
Mars Melt Hints at Solar, Not Human, Cause for Warming, Scientist Say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8-08-25
[13]
웹사이트
Look to Mars for the truth on global warming
https://web.archive.[...]
Canada.com
2007-02-02
[14]
웹사이트
New Ice Age to Begin in 2014
http://russia-ic.com[...]
Russia InfoCentre
2012-02-22
[15]
뉴스
Think the past winter was bad? Get ready for mini Ice Age
http://www.winnipegf[...]
Winnipeg Free Press
2014-06-12
[16]
간행물
Bicentennial Decrease of the Total Solar Irradiance Leads to Unbalanced Thermal Budget of the Earth and the Little Ice Age
20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