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오브 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우스 오브 디는 데이비드 듀코브니가 감독, 각본, 주연을 맡은 2004년 미국의 드라마 영화이다. 영화는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파리에서 보헤미안적인 삶을 사는 예술가 톰 워쇼가 아들 오데일의 13번째 생일을 맞아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고통스러웠던 성인 시절의 의미를 찾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73년 그리니치 빌리지를 배경으로, 톰은 정신 지체 장애를 가진 미화원 파파스와의 우정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그린다. 영화는 2005년에 개봉했으나, 평론가들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클라우드 아틀라스 (영화)
《클라우드 아틀라스》는 2012년 개봉한 영화로, 1849년부터 2321년까지 시대를 넘나들며 옴니버스 형식으로 여러 인물들의 삶을 엮어 인류의 연결성, 윤회, 자유 의지를 탐구한다. - 1973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스페이스 잼
스페이스 잼은 1996년 개봉한 미국의 실사-애니메이션 합성 스포츠 코미디 영화로, 마이클 조던이 루니 툰 캐릭터들과 함께 외계인 팀에 맞서 농구 경기를 펼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혁신적인 특수 효과와 사운드트랙으로 주목받았다. - 미국의 성장 영화 - 조조 래빗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나치 독일 점령하 독일에서 나치 이데올로기에 대한 의문을 품고 성장하는 10살 소년 조조 베츨러의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드라마 영화 《조조 래빗》은 타이카 와이티티 감독 연출, 로만 그리핀 데이비스, 토마신 매켄지, 스칼릿 조핸슨, 샘 록웰 등이 출연했으며, 나치즘과 전쟁의 잔혹함을 풍자와 유머로 묘사하면서 인간애와 희망을 전달하여 아카데미 각색상을 수상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다. - 미국의 성장 영화 - 코치 카터
《코치 카터》는 켄 카터 감독이 이끄는 리치먼드 고등학교 농구팀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2005년 미국 영화로, 사무엘 L. 잭슨이 연기한 카터 감독의 엄격한 교육 방식과 선수들의 성장, 그리고 승리보다 중요한 가치를 강조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라이언스 게이트 엔터테인먼트 영화 - 마데아: 증인보호프로그램
현재 제공된 정보로는 마데아: 증인보호프로그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의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라이언스 게이트 엔터테인먼트 영화 - 딥워터 호라이즌 (영화)
딥워터 호라이즌은 2010년 멕시코만 원유 시추 시설 폭발 사고를 다룬 2016년 미국의 재난 영화이며, 사고와 생존자들의 탈출 과정을 그린다.
하우스 오브 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데이비드 듀코브니 |
제작자 | 제인 로젠탈, 밥 야리, 리처드 B. 루이스 |
각본 | 데이비드 듀코브니 |
출연 | 안톤 옐친, 티아 레오니, 데이비드 듀코브니, 로빈 윌리엄스, 에리카 바두, 프랭크 랑겔라 |
음악 | 제프 저넬리 |
촬영 | 마이클 채프먼 |
편집 | 수지 엘미거 |
제작사 | 트라이베카 프로덕션, 오베이션 엔터테인먼트, 밥 야리 프로덕션, 사우스포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 라이언스게이트 필름 |
개봉일 | 2004년 5월 7일 (트라이베카 영화제), 2005년 4월 15일 (미국) |
상영 시간 | 97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프랑스어 |
제작비 | 6,000,000 달러 |
흥행 수입 | 388,532 달러 |
기타 정보 | |
한국어 제목 | 최고의 친구 |
2. 줄거리
영화는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이야기가 전개된다.
파리에서 보헤미안적인 삶을 사는 미국인 예술가 톰 워쇼는 아들의 열세 번째 생일을 맞아 자신의 특별했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고통스러운 성인 시절의 의미를 찾으려 한다. 1973년 그리니치 빌리지에서의 회상과 30년 후 미완의 과거와 마주하기 위한 귀향을 통해 이야기가 이어진다.
2. 1. 현재 (파리)
파리에서 보헤미안적인 삶을 사는 미국인 예술가 톰 워쇼는 아들 오데일의 열세 번째 생일을 맞아,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고통스러웠던 성인 시절의 의미를 찾으려 한다. 톰은 30년 동안 아내와 아들에게도 말하지 않았던 13살 때의 사건을 아들의 13살 생일을 맞이하여 털어놓기로 결심한다.약속 시간을 한참 지나 귀가한 톰은 집 밖 벤치에서 잠든 아들에게 축하 인사를 속삭이고, 자신이 그린 플립북을 선물한다. 늦게 귀가한 것에 화가 난 아내 코랄리는 집 창문으로 얼굴을 내밀고, 톰은 그녀에게 30년 전 일을 이야기한다.
이야기가 끝나자 이미 날이 밝아 있었다. 톰은 아내에게 설득되어 13살 때의 추억 속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미국으로 향한다.
2. 2. 1973년 (그리니치 빌리지)
1973년 뉴욕 그리니치 빌리지. 13세 소년 토미 워쇼는 1년 전 암으로 남편을 잃은 슬픔에 잠긴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었다. 어머니는 침울해지면 약에 의존했고, 토미는 유머를 섞어 밝게 대하며 어머니가 예전처럼 돌아오게 하려고 노력했다.토미는 학교 용무원이자 정신 질환으로 마음이 아이인 중년 남성 파파스와 절친이었고, 함께 정육점 배달 아르바이트를 즐겼다. 이들은 아르바이트비를 모아 쇼윈도에 전시된 녹색 자전거를 사려고 했다. 토미는 파파스에게 아버지 역할을 시키거나, 미성년자 관람 불가 영화를 함께 보거나, 뉴욕 여성 구치소 죄수 레이디/베르나데트 오데리아와 이야기를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하지만 동급생 멜리사와 연인이 된 토미가 어른이 되어가는 모습을 본 파파스는, 자신이 버려질까 봐 초조해하며 댄스 파티 밤에 쇼윈도를 깨고 녹색 자전거를 훔쳤고, 결국 학교에서 해고당한다.
레이디는 토미에게 파파스가 자전거를 훔친 것은 토미를 붙잡아두기 위한 사랑이었다고 말해준다. 토미는 파파스를 감싸고 교장 덩컨 목사에게 자신이 자전거를 훔쳤다고 말해 정학 처분을 받는다. 하지만 파파스가 자신이 했다고 자백하고, 토미는 그가 자신을 위해 훔쳤다고 말하여 장학금까지 끊기게 된다.
어머니가 약을 과다 복용하지 않는지 매일 확인하던 토미였지만, 학교 소식에 충격을 받은 어머니는 수면제를 과다 복용하여 자살을 시도하고 식물인간이 된다. 멜리사와도 헤어지게 된 토미는 갈 곳이 정해질 때까지 친척의 보살핌을 받게 되었다.
현실을 깨달은 토미는 레이디에게 속내를 털어놓고, "자유의 몸이 되었으니 어디든 갈 수 있다"는 조언을 듣는다. 토미는 치매 여성의 집에서 돈을 빌리고, 병원에서 어머니의 연명 장치를 떼고 작별 인사를 한다. 그리고 파파스에게 마지막 아버지 연기를 부탁하고 작별 인사를 한 뒤 프랑스로 떠난다.
2. 3. 30년 후 (그리니치 빌리지)
파리에서 보헤미안적인 삶을 사는 미국인 예술가 톰 워쇼는 아들 오데일이 13살 생일을 맞이하면서, 30년 동안 아내와 아들 등 가까운 사람들에게도 말하지 않았던 13살 때의 사건에 대해 털어놓기로 결심한다. 30년 후, 톰은 미완의 과거와 마주하기 위해 그리니치 빌리지로 돌아온다. 톰은 아내에게 설득되어 13살 때의 추억 속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미국으로 향한다.[1]3. 등장인물
영화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의 배역, 배우, 일본어 더빙 성우는 다음과 같다.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톰 워쇼 (성인) | 데이비드 듀코브니 | 오바 마사토 |
토미 워쇼 (어린 시절) | 안톤 옐친 | 스기누마 히사요시 |
파파스 | 로빈 윌리엄스 | 에하라 마사시 |
워쇼 부인 | 테아 레오니 | 오바타 아케미 |
레이디 / 버나데트 | 에리카 바두 | 신도 나오미 |
던컨 목사 | 프랭크 란젤라 | 코야나기 모토키 |
멜리사 | 젤다 윌리엄스 | 사카모토 나츠키 |
시모네 | 올가 소스노브스카 | 타나카 유코 |
코랄리 워쇼 | 마갈리 아마데이 | 타나카 유코 |
슈퍼플라이 | 올랜도 존스 | 마루야마 소시 |
사샤 | 버니 셰리디 | 오카 테츠야 |
오데일 워쇼 | 해럴드 카르티에 | 나카시 유카 |
파파스의 아버지 | 마크 마르고리스 | 코야나기 모토키 |
매표소 직원 | 스티븐 스피넬라 | 오카 테츠야 |
브레보트 부인 | 앨리스 드라몬드 | |
공항 티켓 담당 | 윌리 가슨 | 코야나기 모토키 |
차키페 부인 | 클레어 로티에 | 히라오 아카리 |
제라르 | 기데온 제이콥스 | 히라오 아카리 |
몬티 | 아담 르페브르 | |
창가의 프랑스 여인 | 앤드리 다망 | |
그 외 | 타케이 린, 하야카와 하구미 |
- 하위 섹션의 내용과 완벽히 동일하여 중복을 제거함.
3.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톰 워쇼 (성인) | 데이비드 듀코브니 | 오바 마사토 |
토미 워쇼 (어린 시절) | 안톤 옐친 | 스기누마 히사요시 |
파파스 | 로빈 윌리엄스 | 에하라 마사시 |
워쇼 부인 | 테아 레오니 | 오바타 아케미 |
레이디 / 버나데트 | 에리카 바두 | 신도 나오미 |
던컨 목사 | 프랭크 란젤라 | 코야나기 모토키 |
멜리사 | 젤다 윌리엄스 | 사카모토 나츠키 |
시모네 | 올가 소스노브스카 | 타나카 유코 |
코랄리 워쇼 | 마갈리 아마데이 | 타나카 유코 |
슈퍼플라이 | 올랜도 존스 | 마루야마 소시 |
사샤 | 버니 셰리디 | 오카 테츠야 |
오데일 워쇼 | 해럴드 카르티에 | 나카시 유카 |
파파스의 아버지 | 마크 마르고리스 | 코야나기 모토키 |
매표소 직원 | 스티븐 스피넬라 | 오카 테츠야 |
브레보트 부인 | 앨리스 드라몬드 | |
공항 티켓 담당 | 윌리 가슨 | 코야나기 모토키 |
차키페 부인 | 클레어 로티에 | 히라오 아카리 |
제라르 | 기데온 제이콥스 | 히라오 아카리 |
몬티 | 아담 르페브르 | |
창가의 프랑스 여인 | 앤드리 다망 | |
그 외 | 타케이 린, 하야카와 하구미 |
3. 2. 조연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톰 워쇼 (성인) | 데이비드 듀코브니 | 오바 마사토 |
토미 워쇼 (어린 시절) | 안톤 옐친 | 스기누마 히사요시 |
파파스 | 로빈 윌리엄스 | 에하라 마사시 |
워쇼 부인 | 테아 레오니 | 오바타 아케미 |
레이디 / 버나데트 | 에리카 바두 | 신도 나오미 |
던컨 목사 | 프랭크 란젤라 | 코야나기 모토키 |
멜리사 | 젤다 윌리엄스 | 사카모토 나츠키 |
시모네 | 올가 소스노브스카 | 타나카 유코 |
코랄리 워쇼 | 마갈리 아마데이 | 타나카 유코 |
슈퍼플라이 | 올랜도 존스 | 마루야마 소시 |
사샤 | 버니 셰리디 | 오카 테츠야 |
오데일 워쇼 | 해럴드 카르티에 | 나카시 유카 |
파파스의 아버지 | 마크 마르고리스 | 코야나기 모토키 |
매표소 직원 | 스티븐 스피넬라 | 오카 테츠야 |
브레보트 부인 | 앨리스 드라몬드 | |
공항 티켓 담당 | 윌리 가슨 | 코야나기 모토키 |
차키페 부인 | 클레어 로티에 | 히라오 아카리 |
제라르 | 기데온 제이콥스 | 히라오 아카리 |
몬티 | 아담 르페브르 | |
창가의 프랑스 여인 | 앤드리 다망 | |
그 외 | 타케이 린, 하야카와 하구미 |
4. 제작진
분야 | 이름 |
---|---|
감독・각본 | 데이비드 듀코브니 |
제작 | 리처드 B. 루이스, 제인 로젠탈, 밥 야리 |
공동제작 | 데이빗 게인스 |
제작 총지휘 | 잔느 데바인, 아담 메림즈, 제프리 스콜 |
라인프로듀서 | 애덤 메림스 |
촬영 | 마이클 채프먼 |
미술 | 레스터 코헨 |
음악 | 제프 자넬리 |
의상 | 엘렌 루터 |
편집 | 수지 엘미거 |
배역 | 에이비 코프먼 |
5.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는 10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의 지지율과 3.8/10의 평균 평점을 받았다. "진심은 느껴지지만 서투른 성장 이야기"라고 평가했다.[1] 메타크리틱에서는 33/100점을 받았다.[2] 박스 오피스 모조는 이 영화에 A+에서 F까지의 등급 중 "C+"를 부여했다.
6. 흥행
2005년 4월 15일에 극장에서 개봉했다. 개봉 첫 주 수익은 36371USD였다. 그 다음 주에는 7441USD의 수익을 올렸다. 세 번째 주에 210826USD를 벌어들여 상영 기간 중 최고 수익을 기록했다. 마지막 주인 네 번째 주에는 30386USD의 수익을 올려 전 세계적으로 총 389199USD의 수익을 올렸다.
7. DVD 출시
House of D영어는 2005년 10월 4일에 DVD로 출시되었다. DVD에는 데이비드 듀코브니와 출연진의 해설, ''House of D영어 제작 과정''이라는 비하인드 스토리 등 특별 부록이 포함되어 있다.
8. 기타
역할 | 담당 |
---|---|
공동제작 | 데이빗 게인스 |
라인프로듀서 | 애덤 메림스 |
미술 | 레스터 코헨 |
의상 | 엘렌 루터 |
배역 | 에이비 코프먼 |
참조
[1]
웹사이트
House of D
https://www.imdb.com[...]
2005-04-29
[2]
웹사이트
House of D
[3]
웹사이트
Release dates for House of D
http://www.imdb.com/[...]
IMDb
2012-04-16
[4]
웹사이트
Box office / business for House of D
http://www.imdb.com/[...]
IMDb
2012-04-16
[5]
웹사이트
House of D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2-04-16
[6]
문서
House of Detentionの省略で「留置場」のこ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