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은 기상산업진흥법에 따라 기상산업의 진흥과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기상산업 시장 조사, 연구 개발 사업 기획 및 관리, 기상사업 창업 지원, 기상측기 검정 등의 주요 사업을 수행한다. 2005년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어 기상정보지원기관 지정, 기상측기검정대행기관 지정 등의 과정을 거쳐 2017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조직은 감사실, 경영기획본부, 산업성장본부, 기술혁신본부, 관측지원본부, 지역관리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기상청 소관) - APEC기후센터
    APEC기후센터는 APEC 경제권 간 기후 정보 교환을 위해 설립된 국제 기구로, 기후 예측, 응용 사업, 기후 정책 연구 등을 수행하며 APEC 기후 심포지엄 개최 등의 활동을 한다.
  • 공공기관 (기상청 소관)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은 한국형수치예보모델(KIM)의 개발, 평가, 보급 및 현업 운영을 위한 기술 개발과 국제 공동 연구를 수행하며, 수치 모델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기상 기술 자립을 목표로 2011년 2월 설립된 기관이다.
  • 대한민국 기상청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 대한민국 기상청 - 대전지방기상청
    대전지방기상청은 충청남도,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의 기상업무를 총괄하는 기상청 산하 지방기상청으로, 기상 예보 및 특보 발표, 기상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청주기상지청과 홍성기상대 등을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와 국민 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2000년 설립된 준정부기관으로, 요양급여 비용 심사, 적정성 평가, 의약품 유통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COVID-19 대응에도 기여한다.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기본 정보
대한민국 기상청 로고
대한민국 기상청 로고
설립일1949년 8월 13일
전신중앙관상대
국가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 기상청길 45
조직
상위 기관환경부
주요 인물청장: 유희동
직원 수1,775명 (2023년)
웹사이트
웹사이트기상청 공식 웹사이트
날씨누리
상세 정보
개요기상청은 대한민국의 기상, 기후 및 지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환경부 소속의 중앙행정기관이다.
주요 기능기상 관측, 예보 및 특보 발표
기후 변화 감시 및 예측
지진 및 화산 활동 감시
기상 기술 개발 및 연구
국제 기상 협력
산하 기관국립기상과학원
지방기상청 (6개)
기상레이더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항공기상청
수도권기상청
강원지방기상청
대전지방기상청
전주기상지청
광주지방기상청
부산지방기상청
제주지방기상청

2. 설립 목적

기상산업진흥법 제17조에 따라 기상산업의 진흥·발전을 효율적으로 지원·육성하여 국가 기상산업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1]

3. 주요 사업


  • 기상산업 시장 조사·분석 및 정보 제공[1]
  • 기상산업진흥법 제9조에 따른 기상산업 분야, 기상법 제32조에 따른 기상업무 분야 및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제21조에 따른 지진·지진해일·화산 분야 등에 대한 연구개발사업의 기획·평가·관리 및 활용[1]
  • 기상사업의 창업 및 경영 지원과 그에 관한 정보의 수집·관리[1]
  • 기상관측표준화법 제14조에 따라 대행하는 기상측기 검정업무[1]
  • 대민(對民) 기상상담시설 운영·관리[1]
  •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그 밖의 자로부터 위탁받은 사업이나 다른 법령에 따라 기술원의 업무로 정한 사업[1]
  • 그 밖에 기술원의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1]

4. 연혁


  • 2005년 8월 8일: 재단법인 한국기상산업진흥원 설립.[2]
  • 2005년 12월 1일: 기상정보지원기관 선정.
  • 2006년 3월 23일: 제1회 『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 주관.
  • 2006년 12월 29일: 기상측기검정대행기관 지정.
  • 2007년 4월 1일: 웨더-이노카페 운영.
  • 2007년 6월 29일: 제2회 『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 주관.
  • 2008년 3월 24일: 『하늘·땅·그리고 바다』 기상사진집 발간.
  • 2008년 6월 26일: 제3회 『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 주관.
  • 2009년 6월 30일: 제4회 『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 주관.
  • 2009년 9월 25일: 기후과학연구관리단 신설.
  • 2009년 12월 10일: 기상산업진흥법 시행.
  • 2009년 12월 30일: 한국기상산업진흥원 법정법인 재창립.[2]
  • 2010년 1월 19일: 기상콜센터 운영 역무대행(기상청).
  • 2010년 2월 22일: 기상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업무(기상청).
  • 2010년 6월 24일: 제5회 『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 주관.
  • 2010년 11월 19일: 대·중소기업협력재단과 업무협약 체결.
  • 2011년 1월 1일: 기상콜센터 직접운영.
  • 2011년 3월 11일: KAIST문화기술대학원과 업무협약 체결.
  • 2011년 3월 17일: 한국동서발전(주)과 업무협약 체결.
  • 2011년 5월 3일: 한국세라믹기술원과 업무협약 체결.
  • 2011년 5월 19일: 제2대 원장(박광준) 취임.
  • 2011년 6월 3일: 기후·환경변화예측센터와 업무협약 체결.
  • 2013년 1월 31일: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지정.[2]
  • 2013년 7월 30일: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운영기관 선정
  • 2015년 3월 31일: 기상기업성장지원센터 개소
  • 2015년 8월: 기상산업 실태조사(정부승인통계) 작성기관 지정
  • 2017년 6월 28일: 한국기상산업기술원으로 조직 개편[3]
  • 2021년 9월 27일: 제6대 현 원장(안영인) 취임.

5. 조직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은 원장 직속 감사실과 4개의 본부(경영기획본부, 산업성장본부, 기술혁신본부, 관측지원본부, 지역관리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5. 1. 경영기획본부

경영기획본부
기획조정실경영혁신실안전경영실


5. 2. 산업성장본부

산업성장본부
산업정책실기업육성실해외사업실기상기후빅데이터센터


5. 3. 기술혁신본부

R&D 기획실, R&D 사업실

5. 4. 관측지원본부

관측지원본부
사업기획실장비사업실표준인증실지진계검정센터


5. 5. 지역관리본부


  • 수도권지역센터
  • 중부지역센터
  • 남부지역센터

참조

[1] 문서 기상정보의 활용과 유통·촉진을 위한 실태조사·분석 및 개선, 기상산업진흥을 위한 출판·전시·홍보, 기상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및 기술에 대한 조사·연구, 기상산업 전문인력의 양성, 생활·보건·산업 등 분야별로 특화된 기상정보의 생산·관리 및 운영, 기상기술 관련 해외 컨설팅 등 기상산업의 해외진출 지원, 기상 분야 국내외 협력 지원, 기상정보를 활용하는 기업, 단체 등에 대한 지원, 기상정보에 대한 이해 확산과 활용 제고를 위한 홍보
[2] 뉴스 "<표> 2013년도 공공기관 지정 변동"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1-31
[3] 뉴스 “4차 산업시대 기상기술 선도” 기상산업기술원 개명 출범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7-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