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는 1886년 미국에서 태어나 트래블러스 컴퍼니에서 근무했으며, 산업 안전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는 1931년 저서 ''산업 재해 예방, 과학적 접근법''에서 하인리히 법칙을 발표했는데, 이는 중상 사고 1건당 경상 사고 29건, 부상 없는 사고 300건이 발생한다는 경험적 발견을 담고 있다. 하인리히의 연구는 행동 기반 안전 이론의 기초가 되었지만, 연구 방법론과 결론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는 1886년 10월 6일 버몬트주베닝턴에서 태어났다.
하인리히의 법칙은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가 1931년에 출판한 저서 ''산업 재해 예방, 과학적 접근법''(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에서 제시된 법칙이다.[1][2] 이 법칙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경험적인 법칙으로, 중상 사고 1건당 경상 사고 29건, 무상해 사고(아차사고) 300건이 발생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3]
하인리히의 연구는 산업 안전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그의 이론이 행동 기반의 안전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모든 작업장 사고의 95%가 안전하지 않은 행위로 인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을 비판한다. 하인리히는 사고의 근본 원인을 면밀히 조사하지 않고 주로 노동자들을 비난하는 감독관들이 작성한 수천 건의 사고 보고서를 검토한 후 이러한 결론을 내렸다.[16]
2. 생애
트래블러스 보험에 입사하여[7] 1931년에 저서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산업 재해 방지, 과학적 접근)를 출판했을 당시, 이 회사의 기술·검사 부문의 부지배인이었다.[8][9] 이 책에서 하인리히가 실증한 내용은 오늘날 하인리히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산업 재해에서 하나의 중대한 사고에 대해, 그 뒤에는 29건의 경미한 사고, 300건의 이상(아차사고)이 존재한다는 것이다.[10]
하인리히는 1962년 6월 22일 7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3. 하인리히의 법칙
3. 1. 하인리히의 법칙과 행동 기반 안전 (BBS)
하인리히의 연구는 이 분야의 일부 전문가들에 의해 행동 기반 안전 이론의 기초로 여겨지기도 한다. 행동 기반 안전은 모든 작업장 사고의 95%가 안전하지 않은 행위로 인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하인리히는 감독관들이 작성한 수천 건의 사고 보고서를 검토한 후 이러한 결론에 도달했는데, 이 보고서들은 일반적으로 근본 원인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수행하지 않고 사고의 원인을 근로자에게 돌렸다.[16][4][11]
하인리히가 제시한 모든 작업장 사고와 부상/질병의 88%가 "인적 실패"로 인해 발생한다는 수치는 아마도 가장 자주 인용되는 결론일 것이지만, 그의 저서는 실제로 고용주가 단순히 근로자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위험을 통제하도록 장려했다. 하인리히는 그의 저서에서 "통계 기록이 개인의 과실을 아무리 강조하든, 교육 활동의 필요성을 아무리 절실하게 보여주든, ... 물리적 위험의 수정 또는 제거를 제공하지 않는 안전 절차는 완전하거나 만족스럽지 않다"라고 적었다.[5][12] 작업장 안전의 이러한 측면을 강조하면서, 하인리히는 그의 저서에서 기계 보호에 대한 주제에 100페이지를 할애했다.[2][9]
그의 연구는 브루스 메인과 W. 에드워즈 데밍과 같은 일부 사람들에게 구식이고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메인은 하인리히의 법칙이 이전의 행동 중시와 비교하여 설계의 안전을 강조하는 모델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4][11]
3. 2. 하인리히의 법칙에 대한 비판
하인리히의 연구는 일부 전문가들로부터 비판을 받는다. 특히, 모든 작업장 사고의 95%가 안전하지 않은 행위로 인해 발생한다는 주장은 행동 기반 안전 이론의 기초로 여겨지지만, 이는 사고의 근본 원인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고 노동자에게 책임을 돌린 감독관들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한 결론이라는 비판이 있다.[4][16][11]
하인리히가 제시한 "인적 실패"가 사고 원인의 88%를 차지한다는 수치는 자주 인용되지만, 실제 그의 저서에서는 위험을 통제하고 물리적 위험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5][12] 그는 기계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 주제에 100페이지를 할애하기도 했다.[2][9]
W. 에드워즈 데밍 등은 하인리히의 연구가 구식이고 비과학적이라고 비판한다. 브루스 메인은 하인리히의 법칙이 행동 중심 모델이 아닌, 설계 중심의 안전 모델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4][11]
3. 2. 1. '하인리히 재조명'에서의 비판
프레드 A. 마누엘의 저서 ''하인리히 재조명: 진실 아니면 신화''에서는 하인리히 연구의 방법론, 결론의 타당성, 현대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 비판한다. 마누엘은 하인리히의 연구 파일이 존재하지 않아 연구의 질을 검토할 수 없으며, 1920년대 사고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에 현재 가치와 적용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6]
또한, 마누엘은 다음 사항들을 지적하며 하인리히의 이론을 비판한다.항목 내용 심리학 과도 강조 안전 관리에 심리학이 중요하지만, 하인리히는 "사고 발생에 매우 중요한 기본 요소"로 심리학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연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88-10-2 비율 300-29-1 비율 (하인리히의 삼각형) 무상해/중상해 사고 원인 동일성 무상해 사고와 중상 사고의 주요 원인이 동일하다는 주장은 설득력 있는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으며, 여러 저자들에 의해 의문이 제기된다. 간접/직접 비용 4-1 비율 하인리히의 간접적 부상 비용과 직접 비용의 4-1 비율을 뒷받침하는 문서가 존재하지 않으며,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비율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개인의 불안전한 행위 과도 강조 사고 예방의 원칙에서 인과 관계 요인으로서 개인의 불안전한 행위를 과도하게 강조하고 운영 시스템에서 파생되는 인과 관계 요인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사고 요인 조상과 환경에서 파생되는 인과 관계 요인과 유전되거나 습득된 잘못, 즉 현재 사회적 풍습과 부적절한 개인의 결점에 중요성이 부여된다.
4. 유산 및 영향
하인리히의 고전적 연구는 1980년 네스토르 루스, H. 하인리히, 줄리엔 브라운, 댄 피터슨이 저술한 ''산업 재해 예방''에서 반박되었다.[6]
프레드 A. 마누엘은 자신의 저서 ''하인리히 재조명: 진실 아니면 신화''(2002)에서 하인리히 연구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프레드 마누엘은 후속 저서 '''안전 실무에 관하여'''(2003)에서 하인리히의 연구 결과를 W. 에드워즈 데밍의 연구 결과와 비교, 대조하며 논의를 이어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인리히의 법칙은 사고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기여했다.
참조
[1]
간행물
The Steelworker Perspective on Behavioral Safety
http://www.aflcio.or[...]
United Steelworkers of America
2012-02-07
[2]
논문
Review of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1932-01
[3]
서적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McGraw-Hill
[4]
웹사이트
Examining the foundation
http://www.safetyand[...]
Safety+Health Magazine
2011-10-01
[5]
서적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McGraw-Hill
[6]
서적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afety management approach
McGraw-Hill
[7]
웹사이트
Heinrich's Local Rationality: Shouldn't 'New View' Thinkers Ask Why Things Made Sense To Him?
https://lup.lub.lu.s[...]
Division of Risk Management and Societal Safety, Faculty of Engineering Lund University
2018
[8]
간행물
The Steelworker Perspective on Behavioral Safety
http://www.aflcio.or[...]
United Steelworkers of America
2012-02-07
[9]
논문
Review of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1932-01
[10]
서적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McGraw-Hill
[11]
웹사이트
Examining the foundation
https://www.safetyan[...]
Safety+Health Magazine
2011-10-01
[12]
서적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McGraw-Hill
[13]
간행물
The Steelworker Perspective on Behavioral Safety
http://www.aflcio.or[...]
United Steelworkers of America
2012-02-07
[14]
논문
Review of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1932-01
[15]
서적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McGraw-Hill
[16]
웹인용
Examining the foundation
http://www.safetyand[...]
Safety+Health Magazine
2011-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