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협업 필터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의 과거 행동이나 프로파일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필터링 시스템의 한 종류이다. 제록스 팔로알토 연구소의 Tapestry가 초기 시스템이며, USENET Netnews를 통해 널리 사용되었다.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 간 유사성 또는 아이템 간 유사성을 기반으로 추천하며, 메모리 기반, 모델 기반, 하이브리드, 딥 러닝 기반 등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한다. 능동적 필터링과 수동적 필터링으로 나뉘며, 상황 정보를 고려하는 상황 인식 협업 필터링도 있다. 레딧, 유튜브, 위키백과 등 소셜 웹에서 활용되며, 초기 평가자 문제, 콜드 스타트 문제, 데이터 희소성, 평준화 효과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넷플릭스 상금과 같은 혁신을 통해 알고리즘이 개발되었으며, 속성 정보 및 상호 작용 정보와 같은 보조 정보를 활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천 시스템 - 넷플릭스
    1997년 설립된 넷플릭스는 DVD 대여 서비스에서 시작하여 월정액 구독 모델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을 혁신하고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과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성장하며 스트리밍 시장을 선도하는 다국적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 추천 시스템 - 로튼 토마토
    로튼 토마토는 센 듀옹이 1998년에 설립한 영화 및 TV 프로그램 리뷰 집계 웹사이트로, 평론가들의 리뷰를 기반으로 토마토미터 점수를 산출하고 관객 평점은 팝콘미터로 표시하며, 영화 산업에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평점 조작 및 편향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판당고 미디어 소유의 웹사이트이다.
  • 정보 검색 기술 - 해시태그
    해시태그는 2007년 트위터에서 관심 주제를 묶기 위해 제안되어 마이크로블로깅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언어학적 분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정보 검색 기술 - 개인화
    개인화는 청중의 요구에 맞춰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 행위로, 웹사이트, 지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자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며, 필터 버블과 같은 사회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집단지성 - 추천 시스템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정보나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알고리즘과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 정확도와 개인화 수준을 높이고 있으며, 여러 서비스에서 활용되면서 정확도 외 다양성, 개인정보 보호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평가가 중요해지고 있다.
  • 집단지성 - 심심이
    심심이는 사용자와 자유롭게 대화하며 사용자가 직접 가르치거나 신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81개 언어를 지원하는 글로벌 인공지능 채팅 서비스이다.
협업 필터링
개요
유형추천 시스템 알고리즘
방법사용자 간의 유사성 기반 추천
목표사용자 취향 예측 및 맞춤형 추천 제공
활용 분야온라인 쇼핑, 영화 추천, 음악 스트리밍, 소셜 미디어 등
작동 방식
기본 원리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을 통한 추천
데이터 수집명시적 피드백 (평점, 리뷰 등)
암묵적 피드백 (조회수, 구매 기록 등)
유사도 측정피어슨 상관 계수
코사인 유사도
추천 과정유사 사용자 또는 아이템 기반 추천 목록 생성
장점 및 단점
장점개인화된 추천 제공
새로운 아이템 발견 기회 제공
사용자 참여도 및 만족도 향상
단점콜드 스타트 문제 (초기 데이터 부족)
데이터 희소성 문제
신규 사용자 문제
인기도 편향 문제
종류
메모리 기반 협업 필터링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
아이템 기반 협업 필터링
모델 기반 협업 필터링행렬 인수분해
기계 학습 알고리즘 활용
적용 및 활용
온라인 쇼핑아마존, 알리바바 등
영화 및 비디오 스트리밍넷플릭스, 유튜브 등
음악 스트리밍스포티파이, 멜론 등
소셜 미디어페이스북, 트위터 등
발전 방향
연구 동향딥 러닝 기반 협업 필터링
하이브리드 추천 시스템
설명 가능한 추천 시스템
미래 전망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함께 더욱 정교하고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으로 발전 전망
관련 용어
관련 용어콘텐츠 기반 필터링
추천 시스템
기계 학습
데이터 마이닝

2. 역사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의 과거 행동 패턴이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초기의 정보 필터링 방식에서 발전했다. 초기 정보 필터링 시스템은 새로운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콜드 스타트(cold-start) 문제 등의 한계를 안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협업 필터링 개념을 적용한 초기 시스템으로 제록스 팔로알토 연구소(PARC)에서 개발한 '태피스트리'(Tapestry)가 등장했다. 태피스트리는 다른 사용자들이 남긴 주석이나 평가를 활용해 문서를 필터링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이후 유즈넷(USENET) 뉴스 시스템처럼 사용자들이 서로의 평가를 기반으로 정보를 검색하고 공유하는 방식으로 협업 필터링 기술은 더욱 발전했다.

2. 1. 초기 시스템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의 과거 행동 패턴이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초기의 정보 필터링 방식과는 구별된다. 초기 정보 필터링 시스템은 새로운 사용자가 충분한 데이터를 쌓기 전까지는 추천이 어려운 콜드 스타트(cold-start) 문제를 겪었으며, 정보량이 폭증하는 시대에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협업 필터링을 활용한 최초의 시스템으로는 제록스의 팔로알토 연구소(PARC)에서 개발한 '태피스트리'(Tapestry)를 들 수 있다. 태피스트리는 이메일이나 유즈넷(USENET) 뉴스 기사와 같은 문서를 필터링하는 시스템이었는데, 다른 사용자들이 남긴 주석(annotation)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를 찾도록 도왔다. 하지만 태피스트리는 소규모 집단 내에서만 사용될 수 있었고, 사용자가 SQL과 유사한 전문적인 질의 언어(TQL, Tapestry Query Language)를 사용하여 어떤 평가자의 의견을 참고할지 직접 지정해야 하는 등 사용상의 제약이 있었다.

이후 유즈넷 뉴스(USENET Netnews) 시스템은 보다 대중적인 협업 필터링 방식을 선보였다. 사용자들은 쉽게 접근 가능한 뉴스 기사들에 대해 평가를 남길 수 있었고, 다른 사용자들은 이렇게 축적된 평가 정보를 활용하여 원하는 기사를 검색할 수 있었다.

2. 2. 콜드 스타트 문제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의 과거 행동 패턴이나 사용자 프로필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초기 정보 필터링(information filtering) 방식에서 발전한 개념이다. 초기 정보 필터링 시스템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콜드 스타트(cold-start) 문제이다. 이는 시스템에 새로 가입한 사용자의 경우, 활동 기록이나 프로필 데이터가 부족하여 시스템이 사용자의 선호 경향을 파악하기 어렵고, 따라서 초기에 효과적인 정보 필터링이나 추천을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시스템이 자신의 취향을 학습할 때까지 충분한 활동을 해야만 필터링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협업 필터링 개념을 초기에 적용한 시스템으로는 제록스의 팔로알토 연구소(Xerox PARC)에서 개발한 Tapestry 시스템을 들 수 있다. Tapestry는 이메일이나 USENET 뉴스 기사 같은 문서를 대상으로,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문서에 남긴 주석(annotation)이나 코멘트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하지만 Tapestry 시스템은 몇 가지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그룹이 소규모로 제한되었다. 둘째,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TQL(Tapestry Query Language)이라는 SQL과 유사한 전문적인 쿼리 언어를 직접 작성해야 했다.

이후 USENET Netnews는 협업 필터링을 보다 대중적인 방식으로 활용했다. 사용자들은 접근하기 쉬운 뉴스 기사들에 대해 자신의 평가(rate)를 남길 수 있었고, 다른 사용자들은 이렇게 축적된 평가 정보를 바탕으로 기사를 검색하고 필터링할 수 있었다. 이는 더 많은 사용자가 쉽게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협업 필터링 환경을 제공했다.

3. 방법론

협업 필터링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단계를 거쳐 작동한다.[1]

1. 기존 사용자 중 예측의 기반이 될 만한 그룹과 비슷한 행동 패턴을 보이는 다른 사용자들을 찾는다.

2. 1단계에서 찾아낸 유사 사용자들의 행동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대상 사용자의 미래 행동이나 선호를 예측하는 데 활용한다.

협업 필터링을 구현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크게 사용자 기반 접근과 아이템 기반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사용자 기반 접근은 사용자들 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추천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 암시적 관찰 기반: 사용자들이 직접 평가나 선호도를 표시하지 않더라도, 시스템은 사용자의 행동(예: 어떤 음악을 들었는지, 어떤 상품을 구매했는지 등)을 암묵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한다. 이는 평점 매기기와 같은 명시적 행동과는 구분된다. 시스템은 이렇게 축적된 모든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와 특정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미래의 행동을 예측한다. 예측된 결과는 실제 추천으로 이어지기 전에 비즈니스 로직(business logic)을 통해 걸러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미 구매한 상품은 추천 목록에서 제외하는 식이다.[1]
  • 상관 분석 기반: 가장 단순하고 고전적인 방법 중 하나로, 사용자들의 행동(상품 구매, 기사 열람 등)을 수치화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만든다. 새로운 사용자의 행동이 기록되면, 기존 사용자들의 프로파일과 상관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사용자는 '취향이 비슷한 사용자'로 간주된다. 이렇게 찾아낸 비슷한 취향의 사용자들이 선호했지만 새로운 사용자는 아직 경험하지 않은 아이템(상품, 기사 등)을 추천 정보로 제공한다.[1]

아이템 기반 접근은 아마존 닷컴에서 활용하며 유명해진 방식으로, 사용자 간의 유사성 대신 아이템 간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작동한다.[1]

1. 아이템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아이템-아이템 행렬(item-item matrix)을 구축한다. 이 행렬은 어떤 아이템들이 함께 소비되거나 유사하게 평가받는 경향이 있는지를 나타낸다.

2.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에 대해 보인 선호도(평가, 구매 이력 등)를 바탕으로, 위에서 구축한 아이템-아이템 행렬을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가 다른 아이템들에 대해 보일 선호를 예측한다.

이 방식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과거에 좋아했던 상품과 비슷한 종류의 상품을 선호하고, 싫어했던 상품과 비슷한 종류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는 관찰에 기반한다. 즉, 특정 아이템 A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자가 과거에 선호도를 표시했던 다른 아이템들과 아이템 A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아이템 A와 유사한 아이템들에 대해 사용자가 높은 평가를 내렸다면, 아이템 A도 좋아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식이다.[1]

아이템 기반 필터링은 아이템 간의 유사도를 계산할 때, 두 아이템 모두에 대해 선호도를 표시한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활용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사용자들 간의 선호도 차이는 직접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따라서 만약 특정 사용자와 전혀 다른 취향을 가진 사용자들의 평가 데이터가 아이템 간 유사도 계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면, 그 결과로 만들어진 추천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1]

오늘날과 같이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협업 필터링과 같은 추천 기술은 매우 유용하다. 음악, 영화 등 특정 분야 내에서도 아이템의 수가 방대해져 개인이 모든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에게 맞는 것을 찾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단순히 모든 사용자의 평균 점수나 평가에 기반한 시스템은 개인의 고유한 취향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하는 협업 필터링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정보 과잉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다른 기술로는 웹 검색, 데이터 클러스터링 등이 있다.[1]

4. 종류

협업 필터링의 구현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사용자 또는 아이템 간의 유사도를 직접 계산하는 메모리 기반(Memory-based) 방식과 데이터를 통해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모델 기반(Model-based) 방식이 대표적이다. 또한 이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이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는 딥러닝 기반(Deep-learning) 방식 등도 존재한다. 각 방식은 데이터의 특성이나 서비스 요구사항에 따라 장단점을 가지며, 적합한 방식이 선택되어 활용된다.

4. 1. 메모리 기반 (Memory-based)

메모리 기반 협업 필터링은 여러 구현 방법 중 상관 분석을 응용하는 방식이 가장 단순하고 고전적인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방식은 사용자의 행동, 예를 들어 상품 구매 기록이나 기사 열람 기록 등을 수치화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구축하고 축적한다. 새로운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가 들어오면, 이 데이터를 기존에 축적된 다른 사용자들의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상관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사용자는 새로운 사용자와 "취향이 가깝다"고 간주한다.

이렇게 "취향이 가깝다"고 판단된 사용자들은 비슷한 행동 패턴이나 선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취향이 유사한 기존 사용자들이 이미 경험(상품 구매, 기사 열람 등)했지만 새로운 사용자는 아직 경험하지 않은 항목들을 찾아내어 추천 정보로 제공하게 된다.

4. 2. 모델 기반 (Model-based)

협업 필터링을 구현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로 상관 분석을 응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는 비교적 단순하고 고전적인 접근법에 해당한다.

이 방식에서는 상품 구매 기록이나 기사 열람 기록과 같은 사용자의 행동을 수치화하여 프로파일 형태로 축적한다. 새로운 사용자의 행동이 기록되면, 이전에 축적된 다른 사용자들의 행동 데이터와 상관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사용자는 서로 '취향이 가깝다'고 간주한다.

이렇게 '취향이 가깝다'고 판단된 사용자들은 비슷한 행동 패턴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기존 사용자들이 보였던 행동(예: 특정 상품 구매, 특정 기사 열람) 중에서 새로운 사용자가 아직 경험하지 않은 행동을 찾아 추천 정보로 제시하게 된다.

4. 3. 하이브리드 (Hybrid)

협업 필터링의 구현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상관 분석"을 응용하는 방법이 가장 단순하고 고전적이다.

예를 들어 상품 구매나 기사 열람 등 사용자 행동을 수치화하여 프로파일을 축적한다. 새로운 사용자 행동과 축적된 기존의 다른 사용자 행동으로 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높은 상관관계가 인정되는 사용자와 "취향이 가깝다"고 가정한다.

"취향이 가깝다"면 비슷한 "행동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하여, 축적된 기존의 다른 사용자에게는 있지만 새로운 사용자에게는 없는 행동(상품 구매나 기사 열람)을 추천 정보로 제시한다.

4. 4. 딥 러닝 기반 (Deep-learning)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딥 러닝 기반 (Deep-learning)'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능동적 필터링과 수동적 필터링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능동적 필터링(Active filteringeng)과 수동적 필터링(Passive filteringeng)으로 나눌 수 있다. 능동적 필터링은 사용자가 직접 특정 항목에 대해 평가나 선호도를 표시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수동적 필터링은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 기록(예: 웹 서핑, 구매 내역, 페이지 머문 시간 등)을 시스템이 추적하고 분석하여 선호도를 암묵적으로 파악한다.

사용자 선호도를 파악하는 방법은 명시적 방법과 암시적 방법으로 구분된다.


  • 명시적 방법: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나 상품에 점수를 매기거나 '좋아요'/'싫어요' 등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주로 능동적 필터링에서 사용된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하지만,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 암시적 방법: 사용자의 행동(클릭, 구매, 검색 기록 등)을 기반으로 선호도를 추론하는 방식으로, 주로 수동적 필터링에서 활용된다. 사용자의 별도 노력 없이도 많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지만, 행동이 실제 선호도를 정확히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다.


능동적 필터링은 사용자들이 직접 정보를 공유하고 평가하는 P2P 방식의 특성을 가지며, 수동적 필터링은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능동적 필터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편향을 줄이고 더 보편적인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 1. 능동적 필터링 (Active filtering)

능동적 필터링(Active filteringeng)은 최근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방법이다. 이는 월드 와이드 웹(WWW) 사용자들이 접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을 통해 정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가치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의 웹 검색 방식은 많은 결과를 제공하지만, 그 결과가 사용자의 의도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거나 관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시장에는 수많은 데이터와 검색 엔진이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검색을 위한 모든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익숙하지 않다. 이러한 환경에서 능동적 필터링은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능동적 필터링은 P2P(Peer-to-peer) 방식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협업 필터링 기법들과 차별화된다. 이 방식은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동료나 친구 등 다른 사용자들이 상품이나 정보에 대해 평가하고, 그 평가를 웹상에서 공유하며 서로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시스템은 사람들이 자신과 비슷한 취향을 가진 다른 사람들의 구매 경험이나 정보 평가를 참고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 기반한다. 즉, 능동적 필터링은 웹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이 남긴 평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정보 선택이나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돕는다.

능동적 필터링은 여러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명확한 검색 가이드라인 없이 방대한 정보 속에서 필요한 것을 찾아야 하는 경우(non-guided web searcheng)에 그 효율성이 두드러진다. 단순히 수많은 정보만을 나열하는 방식은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비효율적일 수 있으나, 능동적 필터링은 이러한 상황에서 유용한 정보를 선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5. 2. 수동적 필터링 (Passive filtering)

수동적 필터링은 사용자의 행동을 통해 암묵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협업 필터링 방식으로, 미래 잠재력이 큰 기술로 평가받는다. 이 방식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을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다른 상품이나 콘텐츠를 추천하는 데 활용된다.

특히 사용자가 특정 웹 페이지나 문서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하여, 단순히 훑어보는 것인지 아니면 깊이 있게 읽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중요한 정보 수집 방법 중 하나이다. 수동적 필터링의 가장 큰 장점은 사용자가 직접 평가를 남겨야 하는 능동적 필터링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편향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능동적 필터링에서는 특정 성향의 사용자만이 평가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지만, 수동적 필터링은 모든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므로 더 보편적인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다.

6. 문제점 및 과제

능동적인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피드백을 기반으로 하지만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의 의견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는 편견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평가해야 하므로 수동적인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추천이 사용자의 실제 기대와 다를 수도 있다.

협업 필터링은 아이템의 내용 자체를 분석하는 콘텐츠 기반 필터링과 달리, 오직 사용자들이 부여한 선호도 값(preference values)에만 의존한다. 이는 아이템에 대한 평가가 다른 사용자들의 평가에 크게 영향을 받아, 결국 소수의 인기 있는 아이템만 계속 추천되는 평준화 효과(Matthew effect)를 낳을 수 있다. 즉, 많은 사람이 좋다고 평가한 아이템이 계속 더 많이 추천되고 소비되면서 다양성이 저해될 수 있다.

협업 필터링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겪는 잘 알려진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 초기 평가자 문제 (First-Rater Problem): 시스템에 새로 추가된 아이템은 아직 아무에게도 평가받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아이템과의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없어 추천 목록에 포함되기 어렵다. 시스템은 이 아이템을 어떻게 추천해야 할지 판단할 근거가 없다.
  • 콜드 스타트 문제 (Cold-Start Problem): 시스템을 처음 사용하는 신규 사용자는 활동 기록이나 평가 데이터가 전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이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고 적절한 추천을 제공하기 어렵다. 사용자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개인화된 추천이 불가능해진다.

참조

[1] 간행물 Introduction to Recommender Systems Handbook http://www.inf.unibz[...] Springer 2016-06-02
[2] 웹사이트 Beyond Recommender Systems: Helping People Help Each Other http://www.grouplens[...] Addison-Wesley 2012-01-16
[3] 웹사이트 An integrated approach to TV & VOD Recommendations http://www.redbeemed[...] 2012-06-06
[4] 간행물 Empirical Analysis of Predictive Algorithms for Collaborative Filtering http://uai.sis.pitt.[...] 2013-10-19
[5] 논문 A survey of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s http://www.hindawi.c[...] Adva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rchive
[6] 서적 Recommender Systems – The Textbook {{!}} Charu C. Aggarwal {{!}} Springer https://www.springer[...] Springer
[7] 논문 Kernel-Mapping Recommender system algorithms
[8] 서적 Proceedings of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 WWW '07
[9] 서적 Proceedings of the 2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International World Wide Web Conferences Steering Committee 2019-10-16
[10] 서적 Proceedings of the 2018 World Wide Web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 WWW '18 International World Wide Web Conferences Steering Committee 2018
[11] 서적 Proceedings of the 13th ACM Conference on Recommender Systems ACM 2019-10-16
[12] 논문 Top-N Recommendation Algorithms: A Quest for the State-of-the-Art https://doi.org/10.1[...] ACM 2022-03-01
[13] 서적 Proceedings of the 13th ACM Conference on Recommender Systems ACM 2019
[14] 서적 Recommender Systems Handbook Springer US 2015-01-01
[15] 논문 Multilayer tensor factorization with applications to recommender systems. https://projecteucli[...]
[16] arXiv Dynamic tensor recommender systems.
[17] 논문 Tensors in Statistics. https://www.annualre[...]
[18] 웹사이트 Collaborative Filtering: Lifeblood of The Social Web http://www.readwrite[...] 2012-04-22
[19] 서적 The information : a history, a theory, a flood https://www.worldcat[...] Vintage Books 2012
[20] 간행물 WTF: The who-to-follow system at Twitter http://dl.acm.org/ci[...] Proceedings of the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21] 논문 Blockbuster Culture's Next Rise or Fall: The Impact of Recommender Systems on Sales Diversity http://archive.nyu.e[...] 2009-05
[22] 서적 Recommender Systems Handbook Springer US 2015
[23] arXiv Blurring-Sharpening Process Models for Collaborative Filtering
[24] 논문 On Unexpectedness in Recommender Systems: Or How to Better Expect the Unexpected 2015-01
[25] 서적 Proceedings of the 7th ACM conference on Recommender systems 2013-10
[26] 서적 CIKM '13: Proceedings of the 22nd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 Knowledge Management Portal.acm.org 2013-10
[27] 서적 Proceedings of the 2007 ACM conference on Recommender systems – Rec ''Sys'' '07 Portal.acm.org 2007-10-19
[28] 논문 Collaborative filtering beyond the user-item matrix: A survey of the state of the art and future challenges
[29] 서적 Computing with social trust Springer 2009
[30] 학회자료 Recommendations in taste related domains: collaborative filtering vs. social filtering
[31] 서적 Proceedings of the 2008 ACM conference on Recommender syste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