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 마리아 올라사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은 스페인 출신의 프로 골프 선수로, 유러피언 투어와 PGA 투어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아마추어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 1980년대에 두 번의 아이젠하워 트로피에 참가했으며, 1983년 남자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 1984년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를 비롯한 여러 아마추어 대회를 석권했다. 1985년 프로로 전향하여 1986년 유러피언 마스터스 스위스 오픈에서 첫 우승을 거둔 후, 1990년 NEC 월드 시리즈 오브 골프에서 PGA 투어 첫 우승을 기록했다. 1994년과 1999년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우승하며 메이저 대회 2승을 달성했다. 류마티스성 다발관절염으로 투병하는 어려움을 딛고 재기에 성공하여 1999년 마스터스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2009년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2012년 라이더컵에서 유럽팀의 비선수단장으로 우승을 이끌어 아스투리아스 황태자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다리비아 출신 - 우나이 에메리
 스페인 출신의 축구 감독이자 전 축구 선수인 우나이 에메리는 미드필더로 선수 생활을 했으며, 로르카 데포르티바, 알메리아, 발렌시아,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세비야, 파리 생제르맹, 아스널, 비야레알을 거쳐 현재 아스톤 빌라의 감독으로, 특히 세비야 FC와 비야레알 CF에서 UEFA 유로파리그 우승을 이끌어 '유로파리그의 제왕'이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로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 뛰어난 지도력을 보여주고 있다.
- 온다리비아 출신 - 후안 알론소
 1940년대 후반부터 1960년까지 스페인 축구 선수로 활동한 후안 알론소는 레알 마드리드에서 골키퍼로 뛰며 라리가 5회 우승과 유러피언컵 5연패를 이끌었고, 트로페오 리카르도 사모라 수상 및 스페인 국가대표로 195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 바스크의 스포츠 선수 - 가르비녜 무구루사
 가르비녜 무구루사는 베네수엘라 출신 스페인 프로 테니스 선수로, 2016년 프랑스 오픈과 2017년 윔블던 여자 단식 우승, 2017년 WTA 랭킹 1위 등극, 그리고 2024년 은퇴까지 WTA 투어에서 10개의 단식 타이틀과 5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 바스크의 스포츠 선수 - 에두르네 파사반
 스페인 바스크 출신 산악인 에두르네 파사반은 2010년 여성으로는 두 번째, 세계에서는 21번째로 히말라야 8,000미터 14좌를 완등했으며, 오은선의 칸첸중가 등정 논란 이후 익스플로러스웹으로부터 최초 완등자로 인정받았다.
- 스페인의 남자 골프 선수 - 욘 람
 스페인 프로 골프 선수 욘 람은 아마추어 골프 랭킹 1위,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저널리즘 학사, PGA 투어와 유러피언 투어 주요 대회 우승 경력을 갖고 2023년 12월 LIV 골프 리그로 이적했다.
- 스페인의 남자 골프 선수 - 곤살로 페르난데스 카스타뇨
 곤살로 페르난데스 카스타뇨는 유러피언 투어 7회 우승, PGA 투어 활동, 골프 월드컵 스페인 대표 출전 등 다양한 경력을 가진 스페인 프로 골프 선수이다.
|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전체 이름 |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 만테롤라 | 
| 별칭 | 올리 | 
| 출생일 | 1966년 2월 5일 | 
| 출생지 | 온다리비아, 바스크 지방, 스페인 | 
| 키 | 178 cm | 
| 몸무게 | 73 kg | 
| 거주지 | 온다리비아, 바스크 지방, 스페인 | 
| 프로 전향 | 1985년 | 
| 투어 | PGA 챔피언스 투어 유러피언 시니어 투어 PGA 투어 유러피언 투어 | 
| 우승 | |
| 프로 우승 | 30회 | 
| PGA 우승 | 6회 | 
| 유러피언 투어 우승 | 23회 (역대 9위) | 
| 일본 투어 우승 | 2회 | 
| 아시아 투어 우승 | 1회 | 
| 기타 우승 | 1회 | 
| 메이저 대회 우승 | |
| 메이저 우승 | 2회 | 
| 마스터스 | 우승: 1994, 1999 | 
| US 오픈 | T8: 1990, 1991 | 
| 디 오픈 챔피언십 | 3위/T3: 1992, 2005 | 
| PGA 챔피언십 | T4: 2000 | 
|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 | |
|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 ID | jose-maria-olazabal | 
| 헌액 연도 | 2009년 | 
| 수상 | |
| 헨리 코튼 루키 오브 더 이어 | 1986 | 
| 아스투리아스 공상 | 2013년 | 
| 언어별 표기 | |
| 일본어 이름 표기 | 호세・마리아・오라사발 | 
| 로마자 표기 | Jose Maria Olazabal | 
| 기타 | |
| 세계 랭킹 최고 순위 | 4위 (1994년 10월) | 
| 세계 랭킹 최고 순위 | 2위 (유럽 1986년, 89년) | 
| 작성일 | 2012년 11월 28일 | 
2. 유년 시절 및 아마추어 경력
올라사발은 스페인 바스크 지방의 온다리비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 집 옆에 있는 산세바스티안 왕립 골프 클럽이 문을 연 다음 날이었다. 그의 아버지 가스파르는 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골프 클럽의 그린키퍼가 되었고, 어머니도 그곳에서 일했다. 올라사발은 2살 때 줄인 클럽으로 골프공을 치기 시작했고, 6살 때는 늦은 오후에 코스에서 연습할 수 있었다.[2]
아마추어 시절 모든 레벨에서 스페인을 대표했다. 16세였던 1982년 아이젠하워 트로피에 참가했고, 2년 후인 1984 아이젠하워 트로피에도 다시 참가했다.
1983년에는 스코틀랜드 글렌버비 골프 클럽에서 남자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84년에는 18세의 나이로 잉글랜드 리버풀 포비 골프 클럽에서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결승에서 콜린 몽고메리를 5&4로 이겼다. 그 다음 해 잉글랜드 간톤 골프 클럽에서 영국 청소년 오픈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를 우승하며, 영국 남자, 청소년, 아마추어 타이틀을 모두 석권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3]
1985 유럽 아마추어 팀 선수권 대회(스웨덴 할름스타드)에서 올라사발은 스페인과 스코틀랜드의 준결승에서 콜린 몽고메리와의 경기에서 13번 홀에서 홀인원을 기록하며 3&2로 승리했다. 그러나 스코틀랜드가 팀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4]
영국 청소년 타이틀을 획득하기 한 달 전, 올라사발은 잉글랜드 샌드위치에 있는 로열 세인트 조지 골프 클럽에서 열린 1985년 브리티시 오픈에서 힘든 조건 속에서 25위에 입상하며 최저타 아마추어 선수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1982년 스페인 아마추어 클로즈드 챔피언십, 1983년 이탈리아 오픈 아마추어 챔피언십, 비아리츠컵, 스페인 인터내셔널 아마추어 챔피언십, 보이즈 아마추어 챔피언십, 스페인 아마추어 클로즈드 챔피언십, 1984년 아마추어 챔피언십, 벨기에 인터내셔널 유스 챔피언십, 스페인 인터내셔널 아마추어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 1. 유년 시절
올라사발은 스페인 바스크 지방의 온다리비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 집 옆에 있는 산세바스티안 왕립 골프 클럽이 문을 연 다음 날이었다. 그의 아버지 가스파르는 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골프 클럽의 그린키퍼가 되었고, 어머니도 그곳에서 일했다. 올라사발은 2살 때 줄인 클럽으로 골프공을 치기 시작했고, 6살 때는 늦은 오후에 코스에서 연습할 수 있었다.[2]2. 2. 아마추어 경력
올라사발은 아마추어 시절 모든 레벨에서 스페인을 대표했다. 16세였던 1982년 아이젠하워 트로피에 참가했고, 2년 후인 1984 아이젠하워 트로피에도 다시 참가했다.[3]1983년에는 스코틀랜드 글렌버비 골프 클럽에서 남자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3] 1984년에는 잉글랜드 리버풀 포비 골프 클럽에서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결승에서 콜린 몽고메리를 5&4로 이겼다.[3] 그 다음 해 잉글랜드 간톤 골프 클럽에서 영국 청소년 오픈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를 우승하며, 영국 남자, 청소년, 아마추어 타이틀을 모두 석권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3]
1985 유럽 아마추어 팀 선수권 대회(스웨덴 할름스타드)에서 올라사발은 스페인과 스코틀랜드의 준결승에서 콜린 몽고메리와의 경기에서 13번 홀에서 홀인원을 기록하며 3&2로 승리했다. 그러나 스코틀랜드가 팀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4]
영국 청소년 타이틀을 획득하기 한 달 전, 올라사발은 잉글랜드 샌드위치에 있는 로열 세인트 조지 골프 클럽에서 열린 1985년 브리티시 오픈에서 힘든 조건 속에서 25위에 입상하며 최저타 아마추어 선수를 기록했다.[3]
그 외에도 1982년 스페인 아마추어 클로즈드 챔피언십,[17] 1983년 이탈리아 오픈 아마추어 챔피언십,[18] 비아리츠컵, 스페인 인터내셔널 아마추어 챔피언십, 보이즈 아마추어 챔피언십, 스페인 아마추어 클로즈드 챔피언십,[19] 1984년 아마추어 챔피언십, 벨기에 인터내셔널 유스 챔피언십, 스페인 인터내셔널 아마추어 챔피언십에서[20] 우승했다.
3. 프로 경력
1985년에 프로로 데뷔했다. 1986년에는 "에벨 유러피언 마스터스 스위스 오픈"에서 유러피언 투어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87년에는 미국 대표팀과 유럽 대표팀의 단체전인 "라이더컵"에 유럽 대표 선수로 처음 출전했다. 미국 PGA 투어 첫 우승은 1990년 "NEC 월드 시리즈 오브 골프"였다. 1994년 마스터스에서 메이저 대회 첫 우승을 차지하며, 스페인 선수로는 세베 발레스테로스(1980년 & 1983년 2회 우승) 이후로 마스터스 우승자가 되었다. 이 해에는 "NEC 월드 시리즈 오브 골프"에서도 4년 만에 두 번째 우승을 거머쥐었다.
그러나 1995년 후반부터 발 질환을 앓게 되어 라이더컵 출전을 포기해야 했다. 오라사발은 "류마티스성 다발관절염" 진단을 받고, 1996년 시즌에는 전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투병 기간 중에는 보행도 어려운 상태로, 거의 침대에 누워 지내는 생활을 했다고 한다. 1997년 3월 초 "두바이 데저트 클래식"에서 18개월 만에 복귀하여, 3월 23일 "투레스파나 마스터스 오픈 드 카나리아스"(Turespana Masters Open de Canarias)에서 복귀 우승을 거머쥐었다. 1999년 마스터스에서 오라사발은 데이비스 러브 3세와 그렉 노먼의 추격을 따돌리고 5년 만에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보행이 어려울 정도였던 투병 생활을 극복하고 거둔 감격적인 복귀 우승이었다. 미국 투어에서는 2002년 "뷰익 인비테이셔널"에서 6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2005년 디 오픈 챔피언십에서 오라사발은 추가 출전 자격을 얻어 예선 라운드 이틀과 최종 라운드를 타이거 우즈와 함께 경기했다. (우즈는 3일차만 콜린 몽고메리가 동반 경기자였다.) 오라사발은 8언더파(-8, 280 스트로크)로 3위 타이를 기록하며, 우즈의 "더블 그랜드슬램" 달성을 목격하게 되었다. 이후 유럽 PGA 투어에서 3년 만에 우승을 거두었고, 10월에는 고국 스페인의 "마요르카 클래식"을 제패했다. 2006년 마스터스에서 3위 타이를 기록한 후, 다시 부상에 시달리며 최근에는 투어 대회에 제대로 출전하지 못하는 기간이 계속되고 있다고 한다.
일본 골프 투어 주최 토너먼트에서도 1989년과 1990년 "VISA 태평양 클럽 마스터스"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
오라사발은 오랜 세월 동안 스페인 국내의 많은 골프 코스 설계에도 참여해왔다. 2004년 EMC 월드컵 경기장으로 사용된 세비야의 "레알 클럽 드 골프"(Real Club de Golf de Seville)는 오라사발이 설계한 코스이다.
2009년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 헌액(국제 부문)이 확정되었다. 2013년에는 라이더컵에서 유럽팀 우승에 기여한 공로로 아스투리아스 황태자상 스포츠 부문을 수상했다.
1986년 유럽 투어(1986 European Tour)에서 프로 데뷔 시즌을 보낸 그는 20세의 나이로 유럽 투어 상금 랭킹(European Tour Order of Merit)에서 2위를 차지했습니다. 첫 9시즌 동안 두 시즌을 제외하고 매년 톱 10에 들었으며, 1989년에도 2위를 기록했습니다. 발 부상으로 1996년에는 출전하지 못했지만 회복하여 1997년, 1999년, 2000년 상금 랭킹에서 다시 톱 10에 올랐습니다.
그는 유럽 투어에서 통산 23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역대 9위에 해당하는 기록입니다.
1989년부터 1995년까지 세계 랭킹 톱 10에 300주 이상 머물렀습니다.[5] 만약 올라사발이 1991년 마스터스 토너먼트(1991 Masters Tournament)에서 이안 우즈넘(Ian Woosnam)을 꺾었다면(그는 2위를 차지했습니다) 세계 1위에 올랐을 것입니다.
1990년 올라사발은 당시 드물었던 PGA 투어 방문을 했습니다. 오하이오주 애크런(Akron, Ohio)의 파이어스톤 컨트리 클럽(Firestone Country Club)에서 열린 NEC 월드 시리즈 오브 골프(NEC World Series of Golf)에 제한된 출전 선수로 초청받았습니다. 그는 코스 기록인 61타로 시작하여 매 라운드마다 코스 및 토너먼트 기록을 경신하며 18언더파 262타로 대회를 마무리했고, 2위인 래니 워드킨스(Lanny Wadkins)보다 12타 앞섰습니다. 올라사발에게 축하 인사를 건넨 후 워드킨스는 올라사발이 즉시 유럽으로 돌아가기를 바란다고 농담했습니다.[6]
올라사발의 메이저 대회 우승 두 번 모두 미국에서 나왔습니다. 1994년과 1999년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우승했습니다.[7][8] 이러한 우승으로 그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 우승자 중 프로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한 두 명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 그는 여러 차례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상위권에 들었습니다. 올라사발은 PGA 챔피언십(PGA Championship) 최저 라운드 기록(63타)을 공유하고 있는데, 이 기록은 2000년 발할라 골프 클럽(Valhalla Golf Club)에서 3라운드에서 달성했습니다.[9]
2001년 올라사발은 유럽 투어 회원 자격을 유지하면서 PGA 투어에도 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2002년 PGA 투어에서 200만 달러 가까이를 벌어 상금 랭킹 24위에 오르는 등 괜찮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1980년대와 1990년대 유럽에서 거둔 성공을 재현하지는 못했습니다.[10] 그는 PGA 투어에서 통산 6승을 거두었는데, 그중 5승은 PGA 투어 정회원이 되기 전에 거둔 것입니다. 2006년 그는 세계 랭킹 톱 15에 복귀했습니다.
올라사발은 1987년부터 2006년까지 7번 유럽의 라이더컵(Ryder Cup) 팀에 참가했습니다. 그는 스페인 동포 세베 발레스테로스(Seve Ballesteros)와 오랜 기간 유명한 파트너십을 형성했고,[11] 2006년에는 세르히오 가르시아(Sergio García)와도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이루었습니다.
올라사발은 일리노이주 메디나 컨트리 클럽(Medinah Country Club)에서 열린 2012년 라이더컵(2012 Ryder Cup)에서 유럽 팀의 주장을 맡아 트로피 방어에 나섰습니다.[12] 그의 팀은 이틀째 경기에서 10대 4로 뒤처졌고, 마지막 날을 앞두고 10대 6으로 뒤처져 있었지만, 그는 유럽 팀이 결국 14.5대 13.5로 승리하는 역대 최고의 라이더컵 역전극을 이끌었습니다.[13] 올라사발은 승리에 매우 감격했고, 인터뷰에서 그 순간이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골프 순간이자 가장 행복한 순간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이 승리는 고인이 된 그의 친구 세베 발레스테로스(Seve Ballesteros)에게 헌정되었습니다.[1] 그는 이후 다음 라이더컵에서 주장직을 고려하지 않겠다고 확인했습니다.
올라사발은 완료된 퍼팅 세계 기록 거리 보유자입니다. 1999년 유럽 라이더컵 팀이 미국으로 가는 콩코드(Concorde) 비행 중 그는 기내 전체를 통과하는 퍼팅을 성공시켰습니다. 공은 26.17초 동안 움직였고, 그동안 1,270mph의 속도로 비행하던 콩코드는 9.232마일을 이동했습니다. 이는 1997년 미국의 브래드 팩슨(Brad Faxon)이 세운 8.5마일의 기존 기록을 넘어서는 것입니다.[14]
올라사발은 2009년 국제 투표에서 56%의 득표율로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World Golf Hall of Fame)에 입성했습니다.[15]
2013년 6월 19일, 올라사발은 선수로서 그리고 2012년 라이더컵 팀의 주장으로서의 업적을 인정받아 스페인에서 가장 권위 있는 스포츠 상인 아스투리아스 공 훈장(Prince of Asturias Award)을 받았습니다. 그는 1987년 시상이 시작된 이후 이 상을 받은 두 번째 골퍼이며, 첫 번째는 1989년 세베 발레스테로스(Seve Ballesteros)였습니다.[16]
| 대회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 컷 | 공동 9위 | 컷 | 공동 14위 | 공동 23위 | style="background:#eeeeee;"| | style="background:#eeeeee;"| | 공동 25위 | 공동 52위 | 
| 대회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 컷 | 공동 12위 | 공동 36위 | 컷 | 컷 | style="background:#eeeeee;"| | 7위 | 공동 3위 | 공동 54위 | 
CUT = 중간 컷 탈락
"T"는 공동 순위를 나타냅니다.
| 대회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
| 매치 플레이 | 8강 | 32강 | style="background:#eeeeee;"| | 8강 | 64강 | style="background:#eeeeee;"| | style="background:#eeeeee;"| | 32강 | 32강 | 
| 챔피언십 | 공동 11위 | 공동 17위 | 대회 취소1 | 공동 27위 | style="background:#eeeeee;"| | style="background:#eeeeee;"| | 공동 51위 | 공동 17위 | 공동 35위 | 
| 인비테이셔널 | 40위 | 공동 10위 | style="background:#eeeeee;"| | 공동 47위 | style="background:#eeeeee;"| | style="background:#eeeeee;"| | 공동 9위 | 공동 22위 | 82위 | 
19/11 테러로 인해 취소됨
8강, 16강, 32강, 64강 = 매치 플레이에서 탈락한 라운드
"공동" = 공동 순위
대회 취소 = 대회 없음
2022년 이전 결과는 연대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습니다.
| 대회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더 트래디션(The Tradition) | T20 | CUT | T39 | 불참(NT) | T48 | T60 | 76 | style="background:#eeeeee;"| | 
| 시니어 PGA 챔피언십(Senior PGA Championship) | CUT | CUT | style="background:#eeeeee;"| | 불참(NT) | style="background:#eeeeee;"| | CUT | style="background:#eeeeee;"| | CUT | 
| 미국 시니어 오픈(U.S. Senior Open) | style="background:#eeeeee;"| | style="background:#eeeeee;"| | style="background:#eeeeee;"| | 불참(NT) | CUT | style="background:#eeeeee;"| | style="background:#eeeeee;"| | style="background:#eeeeee;"| | 
| 시니어 플레이어스 챔피언십(Senior Players Championship) | T68 | style="background:#eeeeee;"| | style="background:#eeeeee;"| | style="background:#eeeeee;"| | T28 | style="background:#eeeeee;"| | T59 | T76 | 
| 시니어 오픈 챔피언십(The Senior Open Championship) | T53 | style="background:#eeeeee;"| | CUT | 불참(NT) | T46 | CUT | CUT | CUT | 
CUT = 중간 라운드 컷 탈락
"T"는 동률 순위를 나타냅니다.
NT = COVID-19 범유행(COVID-19 pandemic)으로 인한 대회 취소
3. 1. 유러피언 투어 (1986-2005)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은 1986년 프로로 전향하여 유러피언 투어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86년 9월 7일 에벨 유러피언 마스터스 스위스 오픈에서 3타 차로 첫 승을 거두었고, 같은 해 10월 12일 산요 오픈에서도 우승했다. 1988년에는 볼보 벨기에 오픈과 저먼 마스터스에서 우승했다.1989년 2월 26일 테네리페 오픈에서 우승했고, 7월 30일에는 KLM 네덜란드 오픈에서 로저 채프먼, 로난 라퍼티와의 연장전 끝에 우승했다. 1990년에는 벤슨 & 헤지스 인터내셔널 오픈, 캐롤스 아일랜드 오픈, 트로페 랑콤에서 차례로 우승하며 3승을 기록했다.
1991년 오픈 카탈루냐와 엡손 그랑프리 오브 유럽에서 우승했고, 1992년에는 투레스파냐 오픈 드 테네리페와 오픈 메디테라니아에서 우승했다. 1994년 3월 6일 투레스파냐 오픈 메디테라니아에서 폴 맥긴리와의 연장전 끝에 우승했고, 4월 10일에는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5월 30일에는 볼보 PGA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1997년 투레스파냐 마스터스 오픈 드 카나리아스에서 우승했고, 1998년 두바이 사막 클래식에서 우승했다. 1999년 4월 11일에는 두 번째 마스터스 토너먼트 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벤슨 & 헤지스 인터내셔널 오픈에서 우승했고, 2001년 노보텔 페리에 오픈 드 프랑스와 오메가 홍콩 오픈에서 우승했다. 2005년 마요르카 클래식에서 우승하며 유러피언 투어 통산 23승을 기록했다.
올라사발은 유러피언 투어에서 총 23번 우승했으며, 그 중에는 2번의 마스터스 토너먼트 우승(1994, 1999)이 포함되어 있다.
| 번호 | 날짜 | 대회 | 최종 스코어 | 우승차 | 준우승자(들) | 
|---|---|---|---|---|---|
| 1 | 1986년 9월 7일 | 에벨 유러피언 마스터스 스위스 오픈 | -26 (64-66-66-66=262) | 3타 | Anders Forsbrand/안데르스 포스브란드sv | 
| 2 | 1986년 10월 12일 | 산요 오픈 | -15 (69-68-69-67=273) | 3타 | Howard Clark/하워드 클락영어 | 
| 3 | 1988년 6월 19일 | 볼보 벨기에 오픈 | -15 (67-69-64-69=269) | 4타 | Mike Smith/마이크 스미스영어 | 
| 4 | 1988년 9월 25일 | 저먼 마스터스 | -9 (69-72-70-68=279) | 2타 | Anders Forsbrand/안데르스 포스브란드sv, Des Smyth/데스 스미스ga | 
| 5 | 1989년 2월 26일 | 테네리페 오픈 | -13 (69-68-68-70=275) | 3타 | José María Cañizares/호세 마리아 카니사레스es | 
| 6 | 1989년 7월 30일 | KLM 네덜란드 오픈 | -11 (67-66-68-76=277) | 연장전 | Roger Chapman/로저 채프먼영어, Ronan Rafferty/로난 라퍼티ga | 
| 7 | 1990년 5월 7일 | 벤슨 & 헤지스 인터내셔널 오픈 | -9 (69-68-69-73=279) | 1타 | Ian Woosnam/이언 우즈넘cy | 
| 8 | 1990년 6월 24일 | 캐롤스 아일랜드 오픈 | -6 (67-72-71-72=282) | 3타 | Mark Calcavecchia/마크 칼카베키아영어, Frank Nobilo/프랭크 노빌로영어 | 
| 9 | 1990년 9월 16일 | 트로페 랑콤 | -11 (68-66-70-65=269) | 1타 | Colin Montgomerie/콜린 몽고메리영어 | 
| 10 | 1991년 3월 17일 | 오픈 카탈루냐 | -17 (66-68-64-73=271) | 6타 | David Feherty/데이비드 페허티영어 | 
| 11 | 1991년 9월 22일 | 엡손 그랑프리 오브 유럽 | -19 (64-68-67-66=265) | 9타 | Mark James/마크 제임스영어 | 
| 12 | 1992년 2월 23일 | 투레스파냐 오픈 드 테네리페 (2) | -20 (71-68-66-63=268) | 5타 | Miguel Ángel Martín/미겔 앙헬 마르틴es | 
| 13 | 1992년 3월 1일 | 오픈 메디테라니아 | -12 (68-71-69-68=276) | 2타 | José Rivero/호세 리베로es | 
| 14 | 1994년 3월 6일 | 투레스파냐 오픈 메디테라니아 (2) | -12 (70-65-71-70=276) | 연장전 | Paul McGinley/폴 맥긴리ga | 
| 15 | 1994년 4월 10일 | 마스터스 토너먼트 | -9 (74-67-69-69=279) | 2타 | Tom Lehman/톰 레먼영어 | 
| 16 | 1994년 5월 30일 | 볼보 PGA 챔피언십 | -17 (67-68-71-65=271) | 1타 | Ernie Els/어니 엘스af | 
| 17 | 1997년 3월 23일 | 투레스파냐 마스터스 오픈 드 카나리아스 | -20 (70-67-68-67=272) | 2타 | Lee Westwood/리 웨스트우드영어 | 
| 18 | 1998년 3월 1일 | 두바이 사막 클래식 | -19 (69-67-65-68=269) | 3타 | Stephen Allan/스티븐 앨런영어 | 
| 19 | 1999년 4월 11일 | 마스터스 토너먼트 (2) | -8 (70-66-73-71=280) | 2타 | Davis Love III/데이비스 러브 3세영어 | 
| 20 | 2000년 5월 14일 | 벤슨 & 헤지스 인터내셔널 오픈 (2) | -13 (75-68-66-66=275) | 3타 | Phillip Price/필립 프라이스영어 | 
| 21 | 2001년 5월 6일 | 노보텔 페리에 오픈 드 프랑스 | -12 (66-69-66-67=268) | 2타 | Paul Eales/폴 일스영어, Costantino Rocca/코스탄티노 로카it, Greg Turner/그렉 터너영어 | 
| 22 | 2001년 12월 2일 (2002 시즌) | 오메가 홍콩 오픈1 | -22 (65-69-64-64=262) | 1타 | Henrik Bjørnstad/헤니크 비욘스타드no | 
| 23 | 2005년 10월 23일 | 마요르카 클래식 | -10 (69-65-70-66=270) | 5타 | Paul Broadhurst/폴 브로드허스트영어, Sergio García/세르히오 가르시아es, José Manuel Lara/호세 마누엘 라라es | 
1아시안 PGA 투어와 공동 주관
'''유러피언 투어 연장전 기록 (2승 2패)'''
| 번호 | 년도 | 대회 | 상대(들) | 결과 | 
|---|---|---|---|---|
| 1 | 1989 | KLM 네덜란드 오픈 | Roger Chapman/로저 채프먼영어, Ronan Rafferty/로난 라퍼티ga | 9번째 연장홀 더블 보기로 승리 채프먼은 첫 번째 홀에서 파로 탈락 | 
| 2 | 1993 | 캐롤스 아일랜드 오픈 | Nick Faldo/닉 팔도영어 | 첫 번째 연장홀에서 파로 패배 | 
| 3 | 1994 | 투레스파냐 오픈 메디테라니아 | Paul McGinley/폴 맥긴리ga | 두 번째 연장홀 버디로 승리 | 
| 4 | 1994 | 메르세데스 저먼 마스터스 | Seve Ballesteros/세베 바예스테로스es, Ernie Els/어니 엘스af | 바예스테로스가 첫 번째 연장홀 버디로 승리 | 
3. 2. PGA 투어 (1990-2006)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은 1990년 NEC 월드 시리즈 오브 골프에서 12타 차로 래니 워드킨스를 꺾고 우승했다. 1994년에는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톰 레먼을 2타 차로 제치고 첫 번째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1999년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데이비스 러브 3세를 2타 차로 이기고 두 번째 메이저 대회 우승을 기록했다. 2002년에는 뷰익 인비테이셔널에서 J. L. 루이스와 마크 오메어라를 1타 차로 누르고 우승했다.올라사발은 PGA 투어에서 통산 6번 우승했으며, 그 중 2번은 메이저 대회 우승이다.
| 대회 | 우승 횟수 | 
|---|---|
| 메이저 대회 | 2 | 
| PGA 투어 | 4 | 
올라사발은 PGA 투어 플레이오프에서 2번 모두 패했다. 2005년 벨사우스 클래식에서는 필 미켈슨에게 4번째 연장홀에서 패했고, 2006년 뷰익 인비테이셔널에서는 타이거 우즈에게 2번째 연장홀에서 졌다.
3. 3. 부상과 재기 (1995-1999)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은 1995년 후반부터 발 질환을 앓아 라이더컵 출전을 포기해야 했다. 그는 류마티스성 다발관절염 진단을 받고 1996년 시즌 내내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투병 기간 중에는 보행도 어려워 거의 침대에 누워 지냈다.1997년 3월 초 두바이 데저트 클래식에서 18개월 만에 복귀, 3월 23일 "투레스파나 마스터스 오픈 드 카나리아스"에서 복귀 우승을 차지했다. 1999년 마스터스에서 데이비스 러브 3세와 그렉 노먼을 따돌리고 5년 만에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보행이 어려웠던 투병 생활을 극복하고 감격적인 복귀 우승을 이루었다.
3. 4. 그 외 활동
4. 라이더컵 및 기타 팀 경력
'''아마추어'''
- 아이젠하워 트로피 (스페인 대표): 1982, 1984
- 자크 레글리스 트로피 (유럽 대륙 대표): 1981, 1982, 1983
- 유럽 아마추어 팀 선수권 대회 (스페인 대표): 1983, 1985[21]
- 유럽 청소년 팀 선수권 대회 (스페인 대표): 1982,[22] 1984[23]
- 세인트앤드루스 트로피 (유럽 대륙 대표): 1984
'''프로'''
- 알프레드 던힐컵 (스페인 대표): 1986, 1987, 1988, 1989, 1992, 1993, 1998, 1999 (우승), 2000 (우승)
- 포 투어스 월드 선수권 대회 (유럽 대표): 1987, 1989
- 라이더컵 (유럽 대표): 1987 (우승), 1989 (무승부; 트로피 유지), 1991, 1993, 1997 (우승), 1999, 2006 (우승), 2012 (우승, 비선수단장)
- 월드컵 (스페인 대표): 1989, 2000
- 세브 트로피 (유럽 대륙 대표): 2000 (우승), 2002, 2003, 2005 (선수단장), 2013 (우승, 비선수단장)
- 로열 트로피 (유럽 대표): 2009 (비선수단장), 2012 (선수단장), 2013 (비선수단장)
4. 1. 라이더컵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은 라이더컵에 유럽 대표로 1987년 (우승), 1989년 (무승부; 트로피 유지), 1991년, 1993년, 1997년 (우승), 1999년, 2006년 (우승)에 참가하였고, 2012년에는 비선수단장으로 우승을 이끌었다.4. 2. 기타 팀 경력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은 아마추어 시절, 아이젠하워 트로피에 스페인 대표로 1982년과 1984년에 참가했다. 또한 자크 레글리스 트로피에는 유럽 대륙 대표로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참여했다. 유럽 아마추어 팀 선수권 대회에는 스페인 대표로 1983년과 1985년에 참가했고,[21] 유럽 청소년 팀 선수권 대회에는 1982년과[22] 1984년에[23] 스페인 대표로 참가했다. 1984년에는 세인트앤드루스 트로피에 유럽 대륙 대표로 참가했다.프로로 전향한 후, 올라사발은 알프레드 던힐컵에 스페인 대표로 1986년부터 1989년까지, 그리고 1992년, 1993년, 1998년, 1999년(우승), 2000년(우승)에 참가했다. 포 투어스 월드 선수권 대회에는 유럽 대표로 1987년과 1989년에 참가했다. 라이더컵에는 유럽 대표로 1987년(우승), 1989년(무승부; 트로피 유지), 1991년, 1993년, 1997년(우승), 1999년, 2006년(우승)에 선수로 참가했고, 2012년에는 비선수단장으로 우승을 이끌었다. 월드컵에는 스페인 대표로 1989년과 2000년에 참가했다. 세브 트로피에는 2000년(우승), 2002년, 2003년에 유럽 대륙 대표로 참가했고, 2005년에는 선수단장, 2013년에는 비선수단장으로 우승을 경험했다. 로열 트로피에는 2009년과 2013년에 비선수단장, 2012년에는 선수단장으로 참가했다. 1995년에는 세베 바예스테로스와 함께 퍼리에 드 파리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5. 명예의 전당 및 수상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은 1985년에 프로로 데뷔하여 1986년 에벨 유러피언 마스터스 스위스 오픈에서 유러피언 투어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에는 NEC 월드 시리즈 오브 골프에서 미국 PGA 투어 첫 우승을 기록했다. 1994년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세베 발레스테로스에 이어 스페인 선수로는 두 번째로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1995년 후반부터 발 질환(류마티스성 관절염)으로 1996년 시즌에는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으나, 1997년에 복귀하여 두바이 데저트 클래식과 투레스파나 마스터스 오픈 드 카나리아스에서 우승했다. 1999년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2년 뷰익 인비테이셔널에서 미국 투어 6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일본 골프 투어에서는 1989년과 1990년 미쓰이 스미토모 VISA 태평양 마스터스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
오랜 세월 동안 골프 코스 설계에도 참여하여, 2004년 EMC 월드컵 경기장으로 사용된 세비야의 레알 클럽 드 골프(Real Club de Golf de Seville)를 설계했다.
2009년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국제 부문), 2013년에는 라이더컵에서 유럽팀 우승에 기여한 공로로 아스투리아스 황태자상 스포츠 부문을 수상했다.
6. 프로 우승 기록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은 마스터스 토너먼트와 1999년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우승하는 등 여러 프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연도 | 대회 | 우승 스코어 | 우승 차 | 준우승 | 
|---|---|---|---|---|
| 1986 | 에벨 유러피언 마스터스 스위스 오픈 | -26 (64-66-66-66=262) | 3타 | Anders Forsbrand/안데르스 포스브란드sv | 
| 1986 | 산요 오픈 | -15 (69-68-69-67=273) | 3타 | Howard Clark/하워드 클락영어 | 
| 1988 | 볼보 벨기에 오픈 | -15 (67-69-64-69=269) | 4타 | Mike Smith/마이크 스미스영어 | 
| 1988 | 저먼 마스터스 | -9 (69-72-70-68=279) | 2타 | 안데르스 포스브란드sv, Des Smyth/데스 스미스ga | 
| 1989 | 테네리페 오픈 | -13 (69-68-68-70=275) | 3타 | José María Cañizares/호세 마리아 카니사레스es | 
| 1989 | KLM 네덜란드 오픈 | -11 (67-66-68-76=277) | 연장전 | Roger Chapman/로저 채프먼영어, Ronan Rafferty/로난 라퍼티ga | 
| 1989 | 비자 다이헤이요 클럽 마스터스 | -13 (66-70-67=203)* | 3타 | 尾崎 直道/오자키 나오미치일본어 | 
| 1990 | 벤슨 & 헤지스 인터내셔널 오픈 | -9 (69-68-69-73=279) | 1타 | Ian Woosnam/이언 우즈넘cy | 
| 1990 | 캐롤스 아일랜드 오픈 | -6 (67-72-71-72=282) | 3타 | Mark Calcavecchia/마크 칼카베키아영어, Frank Nobilo/프랭크 노빌로영어 | 
| 1990 | 트로페 랑콤 | -11 (68-66-70-65=269) | 1타 | Colin Montgomerie/콜린 몽고메리영어 | 
| 1990 | NEC 월드 시리즈 오브 골프 | -18 (61-67-67-67=262) | 12타 | Lanny Wadkins/래니 워드킨스영어 | 
| 1990 | 비자 다이헤이요 클럽 마스터스 | -18 (66-68-69-67=270) | 5타 | Bernhard Langer/베어하르트 랑거de, 尾崎 将司/오자키 마사시일본어 | 
| 1991 | 오픈 카탈루냐 | -17 (66-68-64-73=271) | 6타 | David Feherty/데이비드 페허티영어 | 
| 1991 | 엡손 그랑프리 오브 유럽 | -19 (64-68-67-66=265) | 9타 | Mark James/마크 제임스영어 | 
| 1991 | 더 인터내셔널 | 10점 (5-6-8-10=10) | 3점 | Ian Baker-Finch/이언 베이커-핀치영어, Scott Gump/스콧 검프영어, Bob Lohr/밥 로어영어 | 
| 1992 | 투레스파냐 오픈 드 테네리페 | -20 (71-68-66-63=268) | 5타 | Miguel Ángel Martín/미겔 앙헬 마르틴es | 
| 1992 | 오픈 메디테라니아 | -12 (68-71-69-68=276) | 2타 | José Rivero/호세 리베로es | 
| 1994 | 투레스파냐 오픈 메디테라니아 | -12 (70-65-71-70=276) | 연장전 | Paul McGinley/폴 맥긴리ga | 
| 1994 | 마스터스 토너먼트 | -9 (74-67-69-69=279) | 2타 | Tom Lehman/톰 레먼영어 | 
| 1994 | 볼보 PGA 챔피언십 | -17 (67-68-71-65=271) | 1타 | Ernie Els/어니 엘스af | 
| 1994 | NEC 월드 시리즈 오브 골프 | -11 (66-67-69-67=269) | 1타 | Scott Hoch/스콧 호크영어 | 
| 1995 | 파리 페리에 투르누아 (with Seve Ballesteros/세베 바예스테로스es) | -24 (63-67-64-62=256) | 3타 | Mike Clayton/마이크 클레이턴영어과 Peter O'Malley/피터 오멀리영어 | 
| 1997 | 투레스파냐 마스터스 오픈 드 카나리아스 | -20 (70-67-68-67=272) | 2타 | Lee Westwood/리 웨스트우드영어 | 
| 1998 | 두바이 사막 클래식 | -19 (69-67-65-68=269) | 3타 | Stephen Allan/스티븐 앨런영어 | 
| 1999 | 마스터스 토너먼트 | -8 (70-66-73-71=280) | 2타 | Davis Love III/데이비스 러브 3세영어 | 
| 2000 | 벤슨 & 헤지스 인터내셔널 오픈 | -13 (75-68-66-66=275) | 3타 | Phillip Price/필립 프라이스cy | 
| 2001 | 노보텔 페리에 오픈 드 프랑스 | -12 (66-69-66-67=268) | 2타 | Paul Eales/폴 일스영어, Costantino Rocca/코스탄티노 로카it, Greg Turner/그렉 터너영어 | 
| 2001 | 오메가 홍콩 오픈1 | -22 (65-69-64-64=262) | 1타 | Henrik Bjørnstad/헤니크 비욘스타드no | 
| 2002 | 뷰익 인비테이셔널 | -13 (71-72-67-65=275) | 1타 | J. L. Lewis/J. L. 루이스영어, Mark O'Meara/마크 오메어라영어 | 
| 2005 | 마요르카 클래식 | -10 (69-65-70-66=270) | 5타 | Paul Broadhurst/폴 브로드허스트영어, Sergio García/세르히오 가르시아es, José Manuel Lara/호세 마누엘 라라es | 
''
1아시안 PGA 투어와 공동 주관
'''PGA 투어 플레이오프 기록 (0–2)'''
| 번호 | 연도 | 대회 | 상대 | 결과 | 
|---|---|---|---|---|
| 1 | 2005년 | 벨사우스 클래식 | Arjun Atwal/아준 아트왈hi, Rich Beem/리치 빔영어, Brandt Jobe/브랜트 조브영어, Phil Mickelson/필 미켈슨영어 | 미켈슨이 4번째 연장홀 버디로 우승 올라사발은 3번째 연장홀 파로 탈락 아트왈과 조브는 1번째 연장홀 파로 탈락 | 
| 2 | 2006년 | 뷰익 인비테이셔널 | Nathan Green/네이선 그린영어, Tiger Woods/타이거 우즈영어 | 우즈가 2번째 연장홀 파로 우승 그린은 1번째 연장홀 파로 탈락 | 
'''유러피언 투어 연장전 기록 (2승 2패)'''
| 번호 | 년도 | 대회 | 상대(들) | 결과 | 
|---|---|---|---|---|
| 1 | 1989 | KLM 네덜란드 오픈 | Roger Chapman/로저 채프먼영어, Ronan Rafferty/로난 라퍼티ga | 9번째 연장홀 더블 보기로 승리 채프먼은 첫 번째 홀에서 파로 탈락 | 
| 2 | 1993 | 캐롤스 아일랜드 오픈 | Nick Faldo/닉 팔도영어 | 첫 번째 연장홀에서 파로 패배 | 
| 3 | 1994 | 투레스파냐 오픈 메디테라니아 | Paul McGinley/폴 맥긴리ga | 두 번째 연장홀 버디로 승리 | 
| 4 | 1994 | 메르세데스 저먼 마스터스 | Seve Ballesteros/세베 바예스테로스es, Ernie Els/어니 엘스af | 바예스테로스가 첫 번째 연장홀 버디로 승리 | 
7. 메이저 챔피언십 기록
호세 마리아 올라사발은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2회 우승했다. 1994년에는 톰 레먼을 2타 차로, 1999년에는 데이비스 러브 3세를 2타 차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연도 | 대회 | 54홀 후 순위 | 우승 스코어 | 차이 | 준우승 | 
|---|---|---|---|---|---|
| 1994년 | 마스터스 토너먼트 | 1타 뒤짐 | −9 (74-67-69-69=279) | 2타 | 톰 레먼 | 
| 1999년 | 마스터스 토너먼트 (2) | 1타 앞섬 | −8 (70-66-73-71=280) | 2타 | 데이비스 러브 3세 | 
올라사발은 1984년부터 2024년까지 95번의 메이저 대회에 출전하여 57번 컷을 통과했다.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2번 우승을 포함, 준우승 1회, 3위 1회, 상위 5위 5회, 상위 10위 8회, 상위 25위 13회를 기록했다. PGA 챔피언십에서는 상위 5위 1회, 상위 10위 2회, 상위 25위 3회를, US 오픈에서는 상위 10위 3회, 상위 25위 7회를 기록했다. 브리티시 오픈에서는 3위 2회, 상위 10위 2회, 상위 25위 9회를 기록했다.
|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상위 5위 | 상위 10위 | 상위 25위 | 출전수 | 컷 통과수 | 
|---|---|---|---|---|---|---|---|---|
| 마스터스 토너먼트 | 2 | 1 | 1 | 5 | 8 | 13 | 35 | 20 | 
| PGA 챔피언십 | 0 | 0 | 0 | 1 | 2 | 3 | 21 | 10 | 
| US 오픈 | 0 | 0 | 0 | 0 | 3 | 7 | 18 | 11 | 
| 브리티시오픈 | 0 | 0 | 2 | 2 | 2 | 9 | 21 | 16 | 
| 합계 | 2 | 1 | 3 | 8 | 15 | 32 | 95 | 57 | 
올라사발은 1994년 브리티시오픈부터 1997년 브리티시오픈까지 9회 연속 컷 통과를 기록했고, 2번의 최장 상위 10위 연속 기록을 세웠다.
참조
[1] 
웹사이트
 
Europe seal Ryder Cup win with comeback of epic proportions
 
https://www.theguard[...] 
2012-10-03
 
[2] 
웹사이트
 
José María Olazábal
 
https://www.pgatour.[...] 
PGA Tour
 
2020-06-23
 
[3] 
뉴스
 
Olazabal different class
 
https://news.google.[...] 
1985-08-26
 
[4] 
간행물
 
EM herrar
 
http://www.e-magin.s[...] 
2021-03-30
 
[5] 
웹사이트
 
69 Players Who Have Reached The Top-10 in World Ranking
 
http://dps.endavadig[...] 
Official World Golf Ranking
 
2013-10-28
 
[6] 
뉴스
 
Golf Roundup: Olazabal Wins World Series by 12 Strokes
 
https://www.latimes.[...] 
2021-08-06
 
[7] 
웹사이트
 
1994: Jose Maria Olazabal second Spaniard to win Masters
 
http://augusta.com/m[...] 
2019-08-21
 
[8] 
웹사이트
 
1999: Olazabal wins second Masters Green Jacket
 
https://augusta.com/[...] 
2019-08-21
 
[9] 
웹사이트
 
PGA Championship Records
 
http://golf.about.co[...] 
About.com
 
2013-10-28
 
[10] 
웹사이트
 
2002 PGA Tour Money List Leaders
 
http://www.espn.com/[...] 
2019-08-21
 
[11] 
뉴스
 
Top Ryder Cup pairings
 
https://www.telegrap[...] 
2009-07-17
 
[12] 
뉴스
 
Jose Maria Olazabal named captain
 
https://www.espn.com[...] 
2013-10-28
 
[13] 
웹사이트
 
Jose Maria Olazabal's Team Stuns US in Ryder Cup
 
https://bleacherrepo[...] 
2019-08-21
 
[14] 
뉴스
 
Hope that the US can be put to Ryder flight
 
https://www.theguard[...] 
2009-07-17
 
[15] 
뉴스
 
Olazabal to be inducted in Hall of Fame
 
https://www.usatoday[...] 
2009-07-17
 
[16] 
웹사이트
 
Prince of Asturias awards: Olazabal follows in Seve's footsteps
 
http://www.euronews.[...] 
EuroNews
 
2013-10-28
 
[17] 
웹사이트
 
2020 Official Competition Guide
 
http://www.hierro3-r[...] 
Royal Spanish Golf Federation
 
[18] 
간행물
 
I Siffror sett, Internationellt amatörer, Öppna Italienska Mästerskapen
 
https://www.e-magin.[...] 
1983-12-01
 
[19] 
웹사이트
 
2020 Official Competition Guide
 
http://www.hierro3-r[...] 
Royal Spanish Golf Federation
 
[20] 
웹사이트
 
2020 Official Competition Guide
 
http://www.hierro3-r[...] 
Royal Spanish Golf Federation
 
[21] 
웹사이트
 
European Amateur Team Championship
 
http://www.ega-golf.[...] 
European Golf Association
 
2015-10-19
 
[22] 
간행물
 
Sveriges öde i junior-EM hängde på ett sprinklerlock, Junior-EM, pojkar
 
http://www.e-magin.s[...] 
1982-09-01
 
[23] 
뉴스
 
Scots trail by 15 shots
 
https://news.google.[...] 
1984-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