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단백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홀로단백질은 효소의 활성에 필요한 보조 인자와 주효소를 합쳐 부르는 용어이다. 주효소는 보조 인자가 결합되지 않은 효소의 단백질 부분을 의미하며, 전효소 또는 홀로효소는 활성에 필요한 보조 인자와 주효소가 결합된 형태를 뜻한다. 홀로효소는 DNA 중합효소와 같이 여러 단백질 소단위체를 포함하는 효소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효소 활성에 필요한 모든 소단위체를 포함하는 완전한 복합체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홀로단백질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홀로단백질 |
| 정의 | 아포단백질과 보조 인자로 구성된 완전한 활성 형태의 효소다. 홀로단백질은 활성 효소이며, 아포단백질은 보조 인자가 없는 비활성 효소다. |
| 구성 요소 | 아포단백질 (단백질 부분) 보조 인자 (비단백질 부분) |
| 참고 용어 | 아포효소 보조 효소 보조 인자 |
| 추가 정보 | |
| 기능 | 효소 활성에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어, 촉매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
| 예시 | 탄산 탈수 효소는 아연 이온을 포함하는 홀로단백질이다. 아포단백질 형태는 활성이 없지만, 아연 이온이 결합하면 활성 홀로단백질이 된다. |
| 중요성 | 세포 내 생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대사 경로에 관여한다. |
| 관련 연구 | 홀로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는 효소의 작용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신약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
2. 전효소와 주효소
보조 인자를 필요로 하지만 보조 인자가 결합되지 않은 효소의 단백질 부분을 주효소(主酵素, apoenzyme영어) 또는 아포효소라고 한다. 활성에 필요한 보조 인자와 주효소가 결합된 형태를 전효소(全酵素, holoenzyme영어) 또는 홀로효소라고 한다. 홀로효소는 DNA 중합효소와 같이 여러 단백질 소단위체를 포함하는 효소의 경우, 효소 활성에 필요한 모든 소단위체를 포함하는 완전한 복합체를 의미한다.[6]
2. 1. 주효소 (아포효소)
보조 인자가 결합되지 않은 효소의 단백질 부분을 '''주효소'''(主酵素, apoenzyme영어) 또는 '''아포효소''' 또는 '''아포단백질'''(apoprotein영어)이라고 한다.[6]2. 2. 전효소 (홀로효소)
활성에 필요한 보조 인자와 주효소가 결합된 형태를 '''전효소'''(全酵素, holoenzyme영어) 또는 '''홀로효소'''라고 한다. 홀로효소라는 용어는 DNA 중합효소와 같은 여러 단백질 소단위체를 포함하는 효소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홀로효소는 효소 활성에 필요한 모든 소단위체를 포함하는 완전한 복합체이다.[6]3. 예
탄산무수화효소는 활성 부위에 아연 보조 인자가 결합되어 있는 효소의 한 예이다.[9] 이렇게 단단히 결합된 이온이나 분자는 일반적으로 활성 부위에서 발견되어 촉매 작용에 관여한다.[10] 플라빈 및 헴 보조 인자는 종종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예이다.[6]
참조
[1]
웹사이트
Holoprotein
http://medical-dicti[...]
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2012
[2]
웹사이트
Glossary of Terms Used in Bioinorganic Chemistry: Cofactor
http://www.chem.qmul[...]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07-10-30
[3]
논문
The enzymatic biotinylation of proteins: a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exceptional specificity
[4]
논문
Structural and kinetic characterization of active-site histidine as a proton shuttle in catalysis by human carbonic anhydrase II
2005-02
[5]
서적
Biochemistry
https://www.ncbi.nlm[...]
W.H. Freeman
[6]
웹인용
Holoprotein
http://medical-dicti[...]
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2012
[7]
웹인용
Glossary of Terms Used in Bioinorganic Chemistry: Cofactor
http://www.chem.qmul[...]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07-10-30
[8]
저널
The enzymatic biotinylation of proteins: a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exceptional specificity
[9]
저널
Structural and kinetic characterization of active-site histidine as a proton shuttle in catalysis by human carbonic anhydrase II
2005-02
[10]
서적
Biochemistry
https://www.ncbi.nlm[...]
W.H. Freem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