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성의 방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성의 방형은 화성 표면을 30개의 사각형으로 나눈 지도 제작 시스템이다. 1972년, 마리너 9호 탐사선이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미국 지질 조사국(USGS)에서 처음 제작되었으며, 각 사각형은 화성의 고전적인 알베도 특징을 따라 명명되었다. 이후 국제 천문 연맹(IAU)이 실제 표면 특징과 지질을 반영한 이름을 부여하여, 현재는 30개의 방형으로 화성 표면을 구분한다. 각 방형은 특정 위도와 경도 범위를 가지며, 다양한 지형과 특징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성 - 2001 마스 오디세이
    2001 마스 오디세이는 화성 표면의 원소, 물, 광물 분포 및 방사선 환경을 조사하고 다른 화성 탐사 임무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NASA의 화성 궤도 탐사선이다.
  • 화성 - 포보스 (위성)
    포보스는 불규칙한 형태와 낮은 반사율을 가진 화성의 위성으로, 스틱니 크레이터를 포함한 크레이터와 홈이 많은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화성에 점차 끌려가 파괴될 것으로 예상된다.
  • 태양계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태양계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화성의 방형
행성 지리학적 사분면 목록
화성의 사분면 지도
화성의 사분면 지도
북반구
MC-01북극
MC-02마레 보레움
MC-03이스메니우스 라쿠스
MC-04키메리아
MC-05디아크리아
MC-06아케루시아 포술래
MC-07스키아파렐리
MC-08오케아니스
MC-09템페
MC-10아르카디아
적도
MC-11메르oe
MC-12멤노니아
MC-13포에닉스 라쿠스
MC-14코프라테스
MC-15옥시아 팔루스
MC-16루나에 팔루스
MC-17마르가리티페르 시누스
MC-18아라비아
MC-19에우프라테스
MC-20이아피기아
남반구
MC-21마레 아우스트랄레
MC-22아르고레
MC-23이아르다루스
MC-24트리톤
MC-25콴트라나
MC-26에리다니아
MC-27엘리시움
MC-28케브레니아
MC-29디오스쿠리아
MC-30오르시아

2. 화성 방형 지도의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생략함)

2. 1. 초기 지도 제작

1972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마리너 9호 탐사선은 화성 표면의 80% 이상을 촬영한 수천 장의 사진을 보내왔다. 같은 해와 이듬해에 걸쳐,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JPL)는 미국 지질 조사국(USGS)의 천문지질 연구 프로그램과 협력하여 이 사진들을 모아 화성의 첫 상세 사진 모자이크 지도를 만들었다. 이 작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USGS는 화성 표면을 30개의 지도 제작 사각면(quadrangle, 방형)으로 나누었으며, 각 사각면의 이름은 해당 지역 안에 있는 화성의 고전적인 알베도 특징을 따서 지어졌다. 이 사각면들은 USGS와 미국 대학의 지질학자들에게 각각 할당되어 지도 제작과 연구에 사용되었다.[4]

2. 2. 국제천문연맹(IAU) 명명

화성 탐사 임무가 계속되면서 더욱 정확한 지도가 만들어지면서, 국제천문연맹(IAU)은 행성의 실제 표면 특징과 지질을 반영하여 화성 표면의 지역에 이름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이름들은 화성의 고전적인 알베도 특징에서 영감을 받아 정해졌고, 그 결과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나눈 사각형의 이름과 일반적으로 일치한다. 하지만, IAU가 명명한 지형 중 규모가 큰 지형은 여러 USGS 사각형에 걸쳐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2]

3. 방형 목록

화성 표면은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의해 총 30개의 방형(quadrangle)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구분은 위도와 경도를 기준으로 하며, 각 방형에는 MC-01부터 MC-30까지의 번호와 고유한 이름이 부여되었다. 각 방형의 구체적인 위치와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방형 목록 표

wikitext

번호이름위도경도지형지도
MC-01마레보레움북위 65~90°서경 180°~동경 180°지형 분류
마레보레움 방형 지형도
150px
MC-02디아크리아북위 30~65°서경 120~180°지형 분류
디아크리아 방형 지형도
150px
MC-03아르카디아북위 30~65°서경 60~120°지형 분류
아르카디아 방형 지형도
150px
MC-04마레아키달리움북위 30~65°서경 0~60°지형 분류
마레아키달리움 방형 지형도
150px
MC-05이스메니우스라쿠스북위 30~65°동경 0~60°지형 분류
이스메니우스라쿠스 방형 지형도
150px
MC-06카시우스북위 30~65°동경 60~120°지형 분류
카시우스 방형 지형도
150px
MC-07케프레니아북위 30~65°동경 120~180°지형 분류
케프레니아 방형 지형도
150px
MC-08아마조니스북위 0~30°서경 135~180°지형 분류
아마조니스 방형 지형도
150px
MC-09타르시스북위 0~30°서경 90~135°지형 분류
타르시스 방형 지형도
150px
MC-10루네팔루스북위 0~30°서경 45~90°지형 분류
루네팔루스 방형 지형도
150px
MC-11옥시아팔루스북위 0~30°서경 0~45°지형 분류
옥시아팔루스 방형 지형도
150px
MC-12아라비아북위 0~30°동경 0~45°지형 분류
아라비아 방형 지형도
150px
MC-13시르티스마요르북위 0~30°동경 45~90°지형 분류
시르티스마요르 방형 지형도
150px
MC-14아멘테스북위 0~30°동경 90–135°지형 분류
아멘테스 방형 지형도
150px
MC-15엘리시움북위 0~30°동경 135–180°지형 분류
엘리시움 방형 지형도
150px
MC-16멤노니아남위 0~30°서경 135–180°지형 분류
멤노니아 방형 지형도
150px
MC-17페니키스라쿠스남위 0~30°서경 90~135°지형 분류
페니키스라쿠스 방형 지형도
150px
MC-18코프라테스남위 0~30°서경 45~90°지형 분류
코프라테스 방형 지형도
150px
MC-19마르가리티페르시누스남위 0~30°서경 0~45°지형 분류
마르가리티페르시누스 방형 지형도
150px
MC-20시누스사베우스남위 0~30°동경 0~45°지형 분류
시누스사베우스 방형 지형도
150px
MC-21이아피기아남위 0~30°동경 45~90°지형 분류
이아피기아 방형 지형도
150px
MC-22마레티르레눔남위 0~30°동경 90~135°지형 분류
마레티르레눔 방형 지형도
150px
MC-23에올리스남위 0~30°동경 135~180°지형 분류
에올리스 방형 지형도
150px
MC-24페톤티스남위 30~65°서경 120~180°지형 분류
페톤티스 방형 지형도
150px
MC-25타우마키아남위 30~65°서경 60~120°지형 분류
타우마키아 방형 지형도
150px
MC-26아르기레남위 30~65°서경 0~60°지형 분류
아르기레 방형 지형도
150px
MC-27노아키스남위 30~65°동경 0~60°지형 분류
노아키스 방형 지형도
150px
MC-28헬라스남위 30~65°동경 60~120°지형 분류
헬라스 방형 지형도
150px
MC-29에리다니아남위 30~65°동경 120~180°지형 분류
에리다니아 방형 지형도
150px
MC-30마레아우스트랄레남위 65~90°서경 180°~동경 180°지형 분류
마레아우스트랄레 방형 지형도
150px



다음 지도는 화성 탐사선(Mars Global Surveyor)의 화성 궤도 레이저 고도계로 제작되었으며, 붉은색은 더 높은 고도를 나타낸다. 적도 방형 지도는 메르카토르 도법을, 중위도 방형 지도는 람베르트 정각 원추 도법을, 극지 방형 지도는 극 정거 도법을 사용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PIA03467: The MGS MOC Wide Angle Map of Mars http://photojournal.[...] NASA/Jet Propulsion Laboratory 2019-05-14
[2] 서적 Mapping Mars: Science, Imagination, and the Birth of a World https://archive.org/[...] Picador USA 2002
[3] 웹사이트 Online Atlas of Mars http://ralphaeschlim[...] 2012-12-16
[4] 웹사이트 USGS Open-File Report 2005-1190: The U.S. Geological Survey, Branch of Astrogeology—A Chronology of Activities from Conception through the End of Project Apollo (1960–1973) https://www.hq.nasa.[...] 2019-05-14
[4] 웹사이트 USGS Open-File Report 2005-1190: APPENDIX A (Selected Interviews with Branch of Astrogeology personnel) https://www.hq.nasa.[...] 2019-05-14
[5] 문서 USGS Astrogeology: Planetary Map Listing http://astrogeology.[...]
[6] 문서 USGS Astrogeology: Planetary Map Listing http://astrogeology.[...]
[7] 논문 Geology of Mars Quadrangle MC-6 (Casius) https://ui.adsabs.ha[...]
[8] 논문 Geologic Summary of the Mars Quadrangle MC-12 (Arabia) https://ui.adsabs.ha[...]
[9] 문서 USGS Astrogeology: Planetary Map Listing http://astrogeology.[...]
[10] 논문 Geology of the Noachis Quadrangle, Mars https://ui.adsabs.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