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상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황상(黃裳)은 고려 후기의 무신입니다. 본관은 의창(義昌)으로, 현재의 창원 황씨입니다. 아버지는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회산군(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檜山君) 황석기(黃石奇)입니다.

황상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했습니다.


  • 관직:
  • 호군 (충혜왕 때)
  • 밀직부사 (공민왕 초)
  • 추충익찬공신(推忠翊贊功臣)에 봉해짐
  • 지추밀원사
  • 동지추밀원사 (기철 일파 숙청 가담)
  • 판추밀원사 (1등공신)
  • 교주강릉도만호 (홍건적 침입 시 왕 호종)
  • 동북면도순토사 (최유의 침공 격퇴)
  • 문하찬성사, 서강도원수 등 역임
  • 군사적 업적:
  • 1354년(공민왕 3) 유탁(柳濯)을 따라 원나라에 가서 장사성(張士誠) 토벌에 공을 세움
  • 1356년 적신 기철(奇轍) 일파 숙청에 가담
  • 홍건적의 침입으로 왕이 경상북도 안동으로 몽진할 때 왕을 호종
  • 개경 수복 (총병관 정세운(鄭世雲) 휘하에서 안우(安祐)·이방실(李芳實) 등과 함께 홍건적 격파)
  • 1364년 최유(崔儒)가 덕흥군(德興君) 혜(譓)를 왕으로 추대하고 원병 1만 명으로 침공하자, 이성계(李成桂)와 더불어 격퇴
  • 1381년(우왕 7) 왜구가 개경을 위협하자 나세(羅世)와 함께 연안 15곳에 군대를 주둔시켜 방비
  • 기타:
  • 무예에 능하고 용맹이 있어서 왕들의 사랑을 받음
  • 궁술이 뛰어나 원 순제(順帝)의 부름을 받아 시범을 보이기도 함
  • 신축호종공신 1등에 표록, 회성부원군(檜城府院君)에 봉해짐, 시호는 공정(恭靖)


황상(皇上)은 황제(皇帝)를 높여 부르는 다른 표현으로, 황태후, 태황태후, 태상황제가 황제를 높여 쓰는 말이기도 합니다. 고려 시대에는 황상폐하(皇上陛下)라는 표현도 사용되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