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정욱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황정욱(黃廷彧, 1532년 ~ 1607년)은 조선 중종, 명종, 선조 시대의 문신입니다. 자는 경문(景文), 호는 지천(芝川)이며, 본관은 장수(長水)입니다. 영의정 황희의 후손으로, 문장, 시, 서예에 능했습니다.
주요 생애 및 업적:


  • 1552년(명종 7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58년(명종 13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했습니다.
  • 예문관검열, 호조좌랑, 정언, 응교, 문학, 집의 등 여러 관직을 역임했습니다.
  • 1580년(선조 13년) 진주 목사를 거쳐 충청도 관찰사가 되었습니다.
  • 1584년(선조 17년) 명나라에 가서 종계변무(宗系辨誣)를 해결하고 돌아와 동지중추부사가 되고, 호조판서로 승진했습니다. 종계변무는 조선 왕조의 왕실 가계에 대한 잘못된 기록을 바로잡는 외교적 노력이었습니다.
  • 1589년(선조 22년) 정여립의 모반에 연좌되어 파직되었다가 곧 복직되었습니다.
  • 1590년(선조 23년) 종계변무의 공으로 광국공신 1등이 되어 장계부원군(長溪府院君)에 책봉되고, 대제학, 예조판서, 병조판서를 역임했습니다.
  •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호소사(號召使)가 되어 왕자 순화군을 보필하여 관동 지방으로 피난, 의병을 모집하는 격문을 돌렸습니다.
  • 회령에서 국경인의 모반으로 왕자와 함께 왜군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이듬해 왜군이 부산으로 철수할 때 석방되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항복 권유문 사건:임진왜란 당시 황정욱은 왜장 가토 기요마사에게 항복 권유문을 쓰도록 강요받았습니다. 처음에는 거절했으나, 손자와 왕자의 목숨을 위협받자 아들 황혁이 대신 썼습니다. 황정욱은 항복 권유문이 거짓임을 밝히는 글을 썼으나, 선조에게 전달되지 못했습니다. 이 사건은 동서인 간의 정치적 쟁점이 되었고, 동인의 공격을 받았습니다.
기타:

  • 문집으로 《지천집》(芝川集)이 있습니다.
  • 경기도 파주시에 황정욱 묘 및 신도비가 있습니다.


황정욱 (조선)
황정욱
국적한국
출생일1400년
사망일1487년
활동 정보
분야문학
벼슬이조판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