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안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안황후는 명나라 융경제의 황후로, 본관은 순천(順天)이며, 시호는 효안정의공순온혜좌천홍성황후이다. 가정 37년(1558년)에 유왕비로 책봉되었으며, 융경제가 즉위한 후 황후가 되었다. 융경제의 총애를 잃고 별궁으로 옮겨졌으나, 만력제가 즉위한 후 황태후로 존경받았다. 만력 24년(1596년)에 사망했으며, 인성황태후라는 존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6년 사망 - 장 보댕
    장 보댕은 프랑스의 법학자, 정치철학자,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국가론』에서 제시한 주권 개념으로 절대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녀사냥에 대한 견해와 저술은 비판받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596년 사망 - 프랜시스 드레이크
    프랜시스 드레이크는 잉글랜드 해군 제독이자 탐험가, 사략선 선장으로, 세계 일주를 성공하고 무적함대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노예 무역과 사략 행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명나라의 황태후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명나라의 황태후 - 여태후 (주표)
  • 1536년 출생 - 송응창
    송응창은 명나라 관료로서 임진왜란 때 경략으로 조선에 파병되어 평양 수복에 기여했으나, 석성과의 갈등과 당쟁으로 은퇴 후 《경략복국요편》을 저술했으며, 산동순무 시절 행정 능력을 인정받은 위엄 있는 인물이다.
  • 1536년 출생 - 삿사 나리마사
    삿사 나리마사는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호쿠리쿠에서 공을 세웠으나, 노부나가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대립하다 항복 후 히고 국주로 임명되었지만 히고 국인 일기를 진압하지 못해 할복한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다.
효안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효안황후 진씨
진샹얼 (陳香児)
존칭인성황태후 (仁聖皇太后)
효안정의공순온혜좌천홍성황후 (孝安貞懿恭純温恵佐天弘聖皇后)
작위 정보
유왕비1558년 ~ 1566년
황후1566년 ~ 1572년
황태후1572년 ~ 1596년
생애
출생가정 15년 (1536년)
출생지순천부 통주
사망만력 24년 7월 (1596년)
사망지순천부, 자금성
능묘소릉(昭陵)
가족 관계
배우자융경제
자녀황자, 태화공주
아버지진징싱 (陳景行, 고안백)
어머니고안백 부인 장씨
기타
시호효안정의공순온혜좌천홍성황후 (孝安貞懿恭純温恵佐天弘聖皇后)

2. 생애

가정 37년(1558년), 유왕비 이씨(裕王妃 李氏)가 서거한 이후, 효안황후는 유왕계비(裕王繼妃)로 책봉되었다. 융경제가 즉위한 이후 황후로 격상되었다. 융경 2년(1568년), 어린 유왕세자(裕王世子) 주익균(朱翊鈞)이 세자로 책봉되었다. 융경 6년(1572년), 융경제가 붕어하고 태자가 만력제로 즉위하자, 황후 진씨와 생모인 황귀비 이씨(皇貴妃 李氏)는 황태후로 격상하였다.[1]

융경제는 여색을 밝혔는데, 한번은 황제가 여자와 음악에 빠지는 것을 비판하여 황제의 분노를 사 황후와 다툼을 벌였다.[2] 융경 2년(1568년)부터 진황후는 위독한 상태로 병을 치료해야 한다는 이유로 별궁(함안궁)으로 보내졌고, 황제는 진황후가 병치레가 잦고 아들이 없으므로 폐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1]

그러나 진씨 부인은 태자(후의 만력제)에게 친절하게 대우받았는데, 태자는 항상 아버지와 어머니를 뵈러 가는 길에 그녀를 방문하는 습관을 들였다. 1572년 태자가 황제가 되자, 그는 그녀와 자신의 어머니에게 황태후의 존호를 하사했으며, 아들이 자신의 어머니에게 해야 하는 것처럼, 항상 그녀를 존경하며 대했다고 전해진다.[3] 만력 24년 7월 (1596년)에 황태후 진씨는 붕어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혼인

효안황후는 순천부통저우 출신으로, 진징싱과 장씨 사이의 차녀였다. 가정 37년(1558년) 9월, 가정제의 추천을 받아 유왕 주재후(후의 융경제)에게 시집가 유왕비(후처)가 되었다. 아들 한 명을 낳았으나 요절했다.[1] 융경제가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다.[1]

2. 2. 황후 시절과 폐출 논란

융경제는 첫 번째 정실 부인과 아들이 사망한 후, 진씨 부인을 맞이하였다. 1567년 그가 황위에 오르자, 진씨 부인을 황후로 봉했다.[1] 진씨는 순천부통저우 출신으로, 진징싱과 장씨 사이의 차녀였다. 가정 37년(1558년) 9월, 가정제의 추천을 받아 유왕 주재후(후의 융경제)에게 시집가 유왕비(후처)가 되었다. 아들을 1명 낳았으나 요절했다. 융경제가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고, 아버지 진징싱은 고안백에 봉해졌다.

그러나 1569년, 진황후는 황제의 총애를 잃고 별궁으로 옮겨졌다. 이사 후 병을 얻었지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했다. 한 관리가 이 사실을 황제에게 지적하자, 황제는 진황후가 병치레가 잦고 아들이 없으므로 폐출해야 한다고 말하며, 그 관리가 자신의 가정사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언급했다.[1] 진황후가 폐출된 또 다른 이유는, 한번은 황제가 여자와 음악에 빠지는 것을 비판하여 황제의 분노를 샀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2] 융경제는 여색에 빠져 황후와 다툼을 벌였고, 융경 2년(1568년)부터 진황후는 위독한 상태로 병을 치료해야 한다는 이유로 별궁(함안궁)으로 보내져 얼굴을 마주할 일도 없어졌다.

하지만 진씨 부인은 태자에게 친절하게 대우받았는데, 태자는 항상 아버지와 어머니를 뵈러 가는 길에 그녀를 방문하는 습관을 들였다. 어린 황태자(후의 만력제, 이황귀비의 아들)가 대신 적모에게 가서 돌보았다. 1572년 태자가 황제가 되자, 그는 진씨와 자신의 어머니에게 황태후의 존호를 하사했으며, 아들이 자신의 어머니에게 해야 하는 것처럼, 항상 그녀를 존경하며 대했다고 전해진다.[3]

2. 3. 황태후 시절과 죽음

융경제가 즉위한 이후 황후로 격상되었다. 융경 2년(1568년), 어린 유왕세자(裕王世子) 주익균(朱翊鈞)이 세자로 책봉되었다. 융경 6년(1572년), 융경제가 붕어하고 태자가 만력제로 즉위하자, 황후 진씨와 생모인 황귀비 이씨(皇貴妃 李氏)는 황태후로 격상되었다.[1] 만력 24년 7월 (1596년)에 황태후 진씨는 붕어하였다.

융경제는 여색을 밝혔고, 한번은 황제가 여자와 음악에 빠지는 것을 비판하여 황제의 분노를 사 황후와 다툼을 벌였다.[2] 융경 2년(1568년)부터 진황후는 위독한 상태로 병을 치료해야 한다는 이유로 별궁(함안궁)으로 보내졌고, 황제는 진황후가 병치레가 잦고 아들이 없으므로 폐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1]

그러나 진씨 부인은 태자(후의 만력제, 이황귀비의 아들)에게 친절하게 대우받았는데, 태자는 항상 아버지와 어머니를 뵈러 가는 길에 그녀를 방문하는 습관을 들였다. 1572년 태자가 황제가 되자, 그는 그녀와 자신의 어머니에게 황태후의 존호를 하사했으며, 아들이 자신의 어머니에게 해야 하는 것처럼, 항상 그녀를 존경하며 대했다고 전해진다.[3]

융경 6년(1572년) 융경제 사후, 진씨는 이황귀비와 함께 황태후가 되어 '''인성황태후'''(仁聖皇太后)라고 불렸다. 만력 24년(1596년)에 사망했다. '''효안정의공순온혜좌천홍성황후'''(孝安貞懿恭純溫惠佐天弘聖皇后)라는 시호를 받았다.

3. 존호와 시호

만력제 즉위 후 '''인성황태후'''(仁聖皇太后)로 불렸다. 1578년에는 존호를 추가하여 '''인성정의황태후'''(仁聖貞懿皇太后)라고 하였고, 1582년에는 다시 존호를 추가하여 '''인성정의강정황태후'''(仁聖貞懿康靜皇太后)라고 하였다.[1]

시호는 '''효안정의공순온혜좌천홍성황후'''(孝安貞懿恭純溫惠佐天弘聖皇后)이다.[1] 능호는 소릉(昭陵)이며, 신주는 봉선전(奉先殿)에 모셔져 있다.[1]

4. 가족 관계

孝安皇后|효안황후중국어융경제의 두 번째 황후였다. 융경제는 첫 번째 정실 부인과 아들이 사망한 후 진씨 부인을 맞이하였다. 1567년 융경제가 황위에 오르자 진씨 부인을 황후로 봉했다.[1] 그러나 진씨 부인은 태자에게는 친절하게 대우받았는데, 태자는 항상 아버지와 어머니를 뵈러 가는 길에 그녀를 방문하는 습관을 들였다. 1572년 태자가 황제가 되자, 그는 그녀와 자신의 어머니에게 황태후의 존호를 하사했으며, 아들이 자신의 어머니에게 해야 하는 것처럼, 항상 그녀를 존경하며 대했다고 전해진다.[3]

진(陳)씨 부인 소생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사망비고
태화공주1557년1560년융경제의 둘째 딸
주익령1562년불명정도왕으로 추증


5. 기타

2010년 중국 드라마 만력 수보 장거정에서 왕샤오단이 효안황후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Celestial Women: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Song to Qing
[2] 서적 Celestial Women: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Song to Qing
[3] 서적 Celestial Women: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Song to Qing
[4] 서적 康熙通州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