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라코테리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라코테리움은 약 5천 5백만 년 전인 에오세에 살았던 말과 동물의 멸종된 속이다. 1838년 영국에서 이빨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고, 1841년 리처드 오웬에 의해 '하이에락스 모양의 짐승'이라는 뜻의 히라코테리움으로 명명되었다. 히라코테리움은 몸길이 약 78cm, 몸무게 약 9kg의 초식동물로, 짧은 얼굴과 4개의 앞발가락, 3개의 뒷발가락을 가졌으며, 말과 동물뿐만 아니라 기제목 전체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북미에서 화석이 발견되면서 말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에오히푸스가 히라코테리움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오세 유럽의 포유류 - 안트라코테리움
    안트라코테리움은 에오세 후기부터 플라이스토세까지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했으며 하마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멸종된 소목의 한 아과로, 반수생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184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펠라고사우루스
    펠라고사우루스는 쥐라기 초기에 살았던 바다악어의 일종으로, 긴 주둥이와 지느러미 꼬리를 가지고 수영에 적합했으며, 서유럽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 184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케티오사우루스
    케티오사우루스는 쥐라기 중기에 살았던 몸길이 18m 이상, 무게 24.8t에 달하는 거대한 초식 공룡으로, 긴 목과 꼬리, 사족보행 형태를 가지며 19세기 초에 발견된 용각류 중 하나이다.
  • 고대 말 - 에피히푸스
    에피히푸스속은 에피히푸스 그라실리스, 에피히푸스 인터메디우스, 에피히푸스 유인텐시스 종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 고대 말 - 메소히푸스
    메소히푸스는 에오히푸스보다 다리가 길고 키가 60cm 정도였으며, 세 발가락을 가진 최초의 말로, 부드러운 잔가지와 과일을 먹는 초식 동물이었다.
히라코테리움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Hyracotherium
명명자Owen, 1841년
타입 종H. leporinum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문
포유강
말목
말과
히라코테리움속
하위 분류 (종)H. aemulor
H. angustidens
H. cristatum
H. cuniculus
H. gabuniai
H. grangeri
H. index
H. leporinum † (타입종)
H. pernix
H. sandrae
H. seekinsi
H. tapirinum
H. vasacciense
H. vulpiceps
생물학적 분류 (이전)
과 (일본어 위키백과)Palaeotheriidae
다른 이름 (일본어 위키백과)Eohippus Marsh, 1876
시간 척도
화석 범위시신세 전기 (55~45백만 년 전)
필드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히라코테리움 골격
필드 자연사 박물관 골격
히라코테리움 상상도
하인리히 하더의 상상도

2. 발견 및 명명

모식표본 BMNH M16336


BMNH C21361, 두 번째 표본


1838년 영국 서퍽주의 강변에서 이빨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고, 이듬해인 1839년 영국 남부 해안에서 같은 특징의 이빨이 붙은 두개골 화석이 추가로 발견되었다.[3] 이 화석들은 새로운 종의 동물로 여겨졌지만, 리처드 오웬은 두개골의 특징, 눈의 위치, 이빨 모양 등을 근거로 바위너구리과의 하이에락스와 가깝다고 판단하여 1841년 "하이에락스 모양의 짐승"이라는 뜻의 "히라코테리움"(Hyracotherium영어)이라고 명명했다.[4][5]

이후 유럽에서 비슷한 화석들이 발견되었지만, 모두 단편적이었고 말과의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북미에서 계통적인 말 화석이 잇달아 발굴되었고, 에오세 지층에서 앞다리 4개, 뒷다리 3개의 발가락에 을 가진 생물의 전신 골격이 발견되었다. 1876년 오스니엘 찰스 마쉬는 이를 "에오세의 말"이라는 뜻의 "에오히푸스"(Eohippus영어)라고 명명했다.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에오히푸스가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말과 동물임을 확인하고, 히라코테리움 화석과의 비교를 통해 둘이 동일한 동물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 주장은 널리 받아들여졌고, 연구 결과 히라코테리움이 말과 동물 중 가장 오래된 동물로 여겨지게 되었다.

"에오히푸스"라는 이름이 더 생물의 위치를 잘 나타낸다고 평가받지만, 명명 우선순위에 따라 정식 학명은 "히라코테리움"이다.[5]

3. 신체적 특징

집고양이와 ''히라코테리움''의 크기 비교.


전신 골격 복제품


''히라코테리움''은 평균 78cm 길이, 무게는 약 9kg이었다.[1] 짧은 얼굴에 가운데 눈구멍이 있었고, 이빨 사이 공간(이개)이 짧았다. 두개골은 길었고, 낮은 관치 44개가 있었다. 낮은 관치를 가졌지만, 말과 같은 특징적인 어금니 융선의 시작을 볼 수 있다. ''히라코테리움''은 부드러운 잎, 과일, 견과류, 식물 싹 등을 주로 먹는 초식동물로 여겨진다.[2]

주로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럽의 삼림 지대에 서식했으며, 키는 약 20~30cm로 현재의 말과 비교하면 매우 작다. 골격에서는 척추가 발달했으며, 등에서 뒷부분에 걸쳐 강력한 근육이 있어 뛰어난 주력으로 포식자로부터 도망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발가락은 4개, 뒷발가락은 3개였는데, 원래 5개였던 발가락 중 앞발의 첫 번째 발가락과 뒷발의 첫 번째, 다섯 번째 발가락은 진화 과정에서 퇴화하여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초식성으로, 구강 정면에 소형 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를 모두 갖추고 있어 나무의 어린 싹이나 풀의 열매 등 부드러운 식물을 섭취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서식 구역과 식성으로 미루어 각 개체가 독자적인 테리토리를 가진 단독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특징은 초기 기제목 전체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히라코테리움은 말뿐만 아니라 기제목 전체의 원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4. 분류 및 진화

모식종인 ''H. leporinum''은 현재 말과(Equidae)가 아닌 고대 발굽동물(Palaeotheriidae)로 분류된다.[6][7] 히라코테리움으로 분류되었던 많은 화석들이 재분류되어 Arenahippus, Minippus, Sifrhippus, Xenicohippus, Pliolophus, Protorohippus, Eohippus 등 다른 속으로 분류되었다.[6]

말의 진화는 주로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일어났으며, 에오세 이후 히라코테리움은 북아메리카에 제한적으로 서식했다. 진화 과정에서 몸집이 커지고, 발가락이 퇴화하며, 이빨이 초원 환경에 적합하게 변화하는 등의 특징이 나타났다. 마이오히푸스 이후, 삼림에 남은 안키테리움과 초원으로 진출한 파라히푸스 계통으로 분리되었다. 메리키푸스는 평탄한 지면을 달리는 데 적합하도록 발가락이 더욱 퇴화하여, 세 번째 발가락만으로 체중을 지탱하게 되었다. 홍적세에 이르러, 현생 말속(Equus)이 등장하여 유라시아와 아프리카로 퍼져나가 다양한 종으로 분화되었다.

5. 기타

하이라코테리움이나 에오히푸스로 분류했던 화석을 재분류한 결과, 말, 당나귀, 맥의 조상인 화석을 제외한 나머지 종류는 제니코히푸스(Xenicohippus), 시스테모돈(Systemodon), 플리오로푸스(Pliolophus) 등으로 따로 분류되었다.[6][7] 대부분의 다른 ''Hyracotherium'' 종은 여전히 말과 동물로 여겨지지만, Arenahippus, Minippus, Sifrhippus, 제니코히푸스(Xenicohippus), 플리오로푸스(Pliolophus), Protorohippus, 부활한 ''에오히푸스''와 같은 다른 여러 속으로 분류되었다.[6]

참조

[1] 논문 Evolution of brain size in carnivores and ungulates 1978
[2] 간행물 Advances in the reconstruction of ungulate ecomorphology with application to early fossil equids http://digitallibrar[...]
[3] 간행물 Description of the fossil remains of a mammal, a bird, and a serpent, from the London clay. https://www.biodiver[...] 1840
[4] 간행물 Description of the Fossil Remains of a Mammal (''Hyracotherium leporinum'') and of a Bird (''Lithornis vulturinus'') from the London Clay. http://trn.lyellcoll[...] 1841
[5] 웹사이트 Feedback for June 2006 http://www.talkorigi[...] TalkOrigins Archive 2012-05-04
[6] 간행물 Quo vadis eohippus? The systematics and taxonomy of the early Eocene equids (Perissodactyla)
[7] 간행물 The beginning of the equoid rad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