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는 1902년 개릿 밀러가 처음 기술한 박쥐의 일종이다. 멕시코깔때기귀박쥐와 외형이 유사하며, 팔뚝 길이는 40~45mm이다. 도미니카 공화국과 아이티의 히스파니올라 섬 전역에 분포하며, 동굴이나 속이 빈 나무에서 발견된다. IUCN은 이 종을 준위협종으로 분류하며, 동굴 생태계 훼손, 채광, 구아노 채취 등을 위협 요인으로 꼽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깔때기귀박쥐과 - 킬로나탈루스속
킬로나탈루스속은 깔때기귀박쥐과에 속하는 박쥐 속으로, 쿠바깔때기귀박쥐와 바하마깔때기귀박쥐 두 종으로 구성된다. - 깔때기귀박쥐과 - 멕시코깔때기귀박쥐
멕시코깔때기귀박쥐는 깔때기 모양 귀, 삼각형 얼굴, 옅은 피부, 갈색 털을 가진 박쥐로 깊고 습한 동굴에 큰 무리를 이루어 서식하며 긴 임신 기간을 가지고 빽빽한 초목 지역에서 곤충을 잡아먹는다. - 1902년 기재된 포유류 - 멕시코큰깔때기귀박쥐
멕시코큰깔때기귀박쥐는 멕시코 등 중미 지역에서 발견되는 작은 박쥐로, 옅은 오렌지색-갈색 털과 검은색 가장자리가 있는 크림색 귀를 가지며, 동굴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관광객의 동굴 훼손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1902년 기재된 포유류 - 밀러니코바르쥐
밀러니코바르쥐는 니코바르 제도의 특정 섬에만 서식하는 고유종으로, 특정 쥐들과 형태가 유사하며, 서식지 감소와 자연재해로 인해 절멸위기종으로 분류된다.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정보 | |
학명 | Natalus major |
명명자 | Miller, 1902 |
분포 | |
![]() | |
보전 상태 | |
IUCN | NT |
IUCN 3.1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
아목 | 작은박쥐아목 |
과 | 깔때기귀박쥐과 |
속 | 깔때기귀박쥐속 |
종 |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 (N. major) |
2. 분류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는 1902년 개릿 밀러(Gerrit Miller)가 ''Natulus major''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술했다.[15][3] 모식표본은 도미니카 공화국의 사바네타(Sabaneta) 부근에서 수집된 알코올에 보존된 수컷의 피부와 두개골이었다.[4][5]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는 히스파니올라 섬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이는 도미니카 공화국과 아이티 양국에 해당한다.[4] 과거 자메이카[7]나 다른 섬에서 발견되었다는 기록이 있었으나, 현재는 다른 종으로 분류된다.[9] 주로 동굴에서 발견되지만, 속이 빈 나무에서 발견된 사례도 있다. 날개막이 연약하기 때문에 낮 동안 휴식을 취하는 장소로 비교적 습한 동굴을 선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는 히스파니올라 섬 전역, 즉 도미니카 공화국과 아이티 모두에 널리 분포한다.[4] 과거 자메이카[7]나 다른 섬에서 발견되었다는 기록도 있었으나, 현재는 다른 종으로 분류된다.[9] 주로 동굴에서 발견되지만, 속이 빈 나무에서 발견된 기록도 있다. 날개막이 연약하기 때문에 낮 동안 휴식을 취하는 장소로는 비교적 습한 동굴을 선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준위협 상태로 분류한다. 비교적 넓은 지역에 분포하지만, 서식지인 동굴이 훼손되기 쉬운 환경이기 때문이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관광객에 의한 동굴 생태계 훼손, 채광, 구아노 채취 등이 있다. 이에 따라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주요 보전 방안으로 동굴 보호를 권장하고 있다.[1]
[1]
간행물
"''Natalus major''"
2021-09-22
1919년에 기술된 쿠바큰깔때기귀박쥐(''Natalus primus'')[6]는 한때 ''N. major''의 아종(''N. major primus'')으로 여겨졌으나,[7] 현재 IUCN은 별개의 종으로 인정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1959년에 기술된 ''N. major jamaicensis''[8] 역시 현재는 별개의 종인 ''Natalus jamaicensis''로 분류된다. 과거 이 섬에서 보고된 다른 ''Natalus'' 기록들도 ''N. major''로 간주되었다.[9]
전통적으로 ''Natalus'' 속은 ''Natalus'', ''Chilonatalus'', ''Nyctielleus'' 세 아속으로 분류되었다.[9] 이 분류 체계에서 ''N. major''는 속의 기준종인 ''Natalus stramineus'' 및 ''Natalus tumidirostris''와 함께 ''Natalus'' 아속에 포함되었다.[7] 그러나 2000년대의 형태학적 분석 결과, 이 아속들을 각각 독립된 속으로 승격시키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 ''Natalus'' 속은 크고 종 모양이며 얼굴을 덮는 나탈리드 기관(natalid organ), 귀의 특징, 그리고 다른 근연종들과의 골격 구조 차이로 구별된다. ''N. major''는 다른 ''Natalus'' 속 박쥐들보다 크기가 크고 분포 지역이 다르다는 점에서 구분될 수 있다.[7]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N. major''를 ''N. stramineus''와 같은 종(동종)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0] 심지어 깔때기귀박쥐과(Natalidae)의 일부 또는 모든 종이 실제로는 ''N. stramineus''의 다른 형태일 뿐이라는 보수적인 견해도 있었다.[11] 휴 제노웨이즈(Hugh Genoways) 등의 연구를 포함하여 ''N. major''를 ''N. stramineus''에 포함시키는 최근 연구도 있었으며,[12] 후속 연구에서는 이들 개체군 사이에 "구조적"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며 이를 뒷받침했다.[11] 그러나 아드리안 테헤도르(Adrian Tejedor)와 동료들이 2005년에 수행한 연구에서는 세 개의 ''Natalus'' 개체군이 별개의 종으로 간주될 만큼 뚜렷하게 구별된다고 결론 내렸고, 이에 따라 세 종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제시했다.[4]
3. 형태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는 멕시코깔때기귀박쥐(''Natalus stramineus'')의 더 큰 버전과 외형이 유사하다.[7] 두 종은 형태가 매우 유사하여, 밀러는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의 원본 설명에서 외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고 "더 큰 크기를 제외하면, ''Natalus major''는 도미니카의 ''N. stramineus'' 표본과 너무나 유사하여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라고 썼다.[3]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의 팔뚝 길이는 40mm에서 45mm 사이이다.[7] 이 종의 몸을 덮고 있는 털은 부드럽고 적당히 길며, 기저부에는 양모와 같은 질감을 가지고 있다. 윗부분은 황갈색-올리브색이며, 아랫부분과 털의 기저부는 분홍-황갈색이다. 날개 막은 엄버색이다. 큰 나탈루스 기관(이마에 위치한 구조)은 종 모양이다. 성적 이형성은 나타나지 않는다.[7]
4. 분포 및 서식지
이 박쥐는 같은 속에 속하는 다른 모든 종들과 마찬가지로 식충성이다.[9] 주로 머무는 동굴 근처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울창한 초목 위를 날아다니며 먹이를 찾는 것으로 보인다. 번식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정보가 없다.[1]
5. 생태
이 박쥐는 같은 속에 속하는 다른 박쥐들과 마찬가지로 곤충을 잡아먹는 식충성이다.[9] 주로 자신이 머무는 동굴 근처의 숲이 우거진 곳 위에서 먹이를 찾는 것으로 보인다. 번식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정보가 없다.[1]
6. 보존 상태
참조
[2]
서적
MSW3 Chiroptera
[3]
논문
Twenty new American bats
[4]
문서
Tejedor, Tavares and Silva-Taboada 2005
[5]
문서
Tejedor, Tavares and Silva-Taboada 2005
[6]
논문
Mammals collected in eastern Cuba in 1917: with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https://digitallibra[...]
[7]
논문
Natalus major
http://www.science.s[...]
2013-06-19
[8]
논문
Bats of the subgenus ''Natalus''
http://digitallibrar[...]
[9]
문서
Tejedor, Tavares and Silva-Taboada 2005
[10]
논문
Bats of the Virgin Islands in relation to those of the Greater and Lesser Antilles
http://digitallibrar[...]
[11]
문서
Tejedor, Tavares and Silva-Taboada 2005
[12]
논문
Bats of the West Indian island of Dominica: Natural history, areography, and trophic structure
http://digitalcommon[...]
[13]
간행물
Natalus major
[14]
서적
MSW3 Chiroptera
[15]
논문
Twenty new American ba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