ヶ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ヶ는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작은 가타카나 ケ(케)를 작게 쓴 문자이다. 수량사 箇(개) 또는 個(개)를 대신하거나, 조사 '~의'에 해당하는 연체격 조사 が(가)를 대신하여 사용된다. 발음은 문맥에 따라 '카', '가', '코' 등으로 달라지며, 한국어에는 대응하는 문자가 없다. 지명 표기 시 '가' 또는 '개'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나 (문자) - 히라가나
히라가나는 일본어 표기 문자 중 하나로, 한자의 초서에서 유래된 음절 문자이며, 48개의 기본 문자와 청음, 탁음, 반탁음, 요음 등으로 확장되어 일본 고유어 표기나 한자 표기가 어려운 단어 대체, 그리고 부드러운 이미지 연출에 사용된다. - 가나 (문자) - 가타카나
가타카나는 일본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 체계 중 하나로, 한자의 일부를 간략화하여 불경 훈독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외래어, 의성어, 의태어, 학술 용어 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ヶ | |
---|---|
문자 정보 | |
설명 | 일본어 문자 케의 작은 형태 |
가나 | ヶ |
관련 문자 | ケ |
일본어 정보 | |
가나 | ヶ |
설명 | ケ의 작은 형태 |
용도 | 수량사 '개' (箇, 個, 个)의 약자 장소 이름 (雁ヶ音, 自由ヶ丘) |
발음 | 문맥에 따라 '가' (が) 또는 '케' (ケ) |
주의 | カ(ヵ), コ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
가나 정보 (정보 상자) | |
평가나 자원 | 케의 작은 글자 |
유니코드 (평가나) | 3096 |
JIS (평가나) | 1-4-86 |
가타카나 자원 | "개" (箇) 또는 "개"(个)의 약자, ケ의 작은 글자 |
유니코드 (가타카나) | 30F6 |
JIS (가타카나) | 1-5-86 |
헵번식 | (정보 없음) |
훈령식 | (정보 없음) |
JISX4063 | xke |
아이누어 | (정보 없음) |
언어 | 일본어 |
IPA | (정보 없음) |
음 | (정보 없음) |
2. 용도
'ヶ'는 일본어에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주로 조사 '~의'에 해당하는 'が(가)'를 대신하여 지명을 나타내는 고유명사에 쓰인다. 세키가하라, 이치가야 등이 그 예이다.[5]
또한, 수량을 나타내는 '箇'(개) 또는 '個'(개)를 대신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3ヶ'(3개), '4ヶ所'(4개소/4군데)와 같이 쓰인다.
2. 1. 조사 및 수사
일본어에서 'ヶ'는 한국어의 조사 '~의'에 해당하는 'が(가)'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주로 지명을 나타내는 고유명사에서 이러한 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키가하라, 이치가야, 하토가야, 소데가우라, 지가사키, 쓰쓰지가오카, 야쓰가타케, 가마가야, 아오키가하라 등이 있다.[5]또한, 'ヶ'는 수량을 나타내는 '箇'(개) 또는 '個'(개)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ヶ'(3개), '4ヶ所'(4개소/4군데), '5ヶ条'(5개 조항), '6ヶ月'(6개월)과 같이 사용된다.
2. 2. 기타 용도
고유명사 중에서 오쿠리가나, 소에지의 용도로 가타카나 "ケ"를 작게 쓰는 경우가 드물게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큰 "ケ"로 표기한다.[1]방언에서 어미가 "〜っけ"인 경우에 "〜ヶ"나 "〜ゖ"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1]
3. 발음
4. 표기
ヶ는 가타카나 ケ(케)를 작게 쓴 형태이다. 수량을 나타낼 때는 ヵ(카)로 표기되기도 한다.[7]
- 조수사 '~개'의 個(개) 자 대신에 사용된다.
- 3ヶ (세 개): さんこ (三個)|산코일본어라고 읽음
- 4ヶ所 (네 개소): よんかしょ|욘카쇼일본어라고 읽음
- 5ヶ条 (오 개조): ごかじょう|고카조일본어라고 읽음
- 6ヶ月 (육 개월): ろっかげつ|롯카게쓰일본어라고 읽음
- 주로 지명을 나타내는 고유명사에서 조사 '~의'에 해당되는 が(가) 대신에 사용된다.
- 関ヶ原|세키가하라일본어: 세키가하라 전투, 세키가하라정, 세키가하라역 등
- 市ケ谷|이치가야일본어 (이치가야)
- 鳩ヶ谷|하토가야일본어 (하토가야)
- 袖ケ浦|소데가우라일본어 (소데가우라)
- 茅ヶ崎|지가사키일본어 (지가사키)
- つつじヶ丘|쓰쓰지가오카일본어 (쓰쓰지가오카)
- 八ヶ岳|야쓰가타케일본어 (야쓰가타케)
- 鎌ヶ谷|가마가야일본어 (가마가야)
- 青木ヶ原|아오키가하라일본어 (아오키가하라)
※JR 히가시니혼, 도쿄 메트로, 가마가야 시 등에서는 큰 ケ|케일본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쿄도 지요다구의 가스미가세키는 행정구분은 霞が関|가스미가세키일본어로 히라가나로 표기하는데 지하철 역명(가스미가세키 역)은 霞ケ関|가스미가세키일본어와 같이 큰 ケ|케일본어를 사용하는 등 표기상 여러 가지 형태를 보인다.
- 조수사 용법에서는 カ|카일본어로 사용될 때에 ヵ|카일본어로 표기되기도 한다. 근래에는 이쪽의 표기가 눈에 띄게 많아졌다.
- 중국의 간체자에서는 "个중국어"가 個, 箇에 대응하는 정자이다.
- '카'로 발음되는 경우, 'ヵ'로 표기되기도 한다(4ヵ소, 5ヵ조, 6ヵ월).
- JIS 규격에서는 "작은 가타카나 케", 유니코드에서는 "KATAKANA LETTER SMALL KE영어"로, 모두 가타카나 "케"를 작게 한 문자이다.[7]
- JIS 규격 및 유니코드에서, 조수사나 연체 조어 "가"의 용도로 큰 "케"를 표기할 때는, "가타카나 케" (KATAKANA LETTER KE영어)가 사용된다.
- "작은 히라가나 케"는 JIS X 0208에는 없고, JIS X 0213에서 추가되어, 유니코드에 답습되었다. 추가된 이유는 가나 한자 변환에서 가타카나에 대응하는 히라가나를 표시하기 위해서라고 한다.[8]
- JIS 키보드는, ":" 키를 가나 입력으로 시프트 키를 누르면서 입력했을 때 "ヶ"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지만, 환경에 따라 실제로는 입력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 중국의 간체자에서는 "个중국어"가 "개"나 "箇"에 대응하는 정규 자형이다(한 달→一个月).
- 효고현다카라즈카시에서 "가"가 들어가는 지명의 경우에는 "케"나 "ヶ"나 "ヵ"를 사용하지 않고 "가"(가타카나의 가)를 사용한다(예: 스미레가오카, 히카리가오카, 초수가오카, 니가와 아사히가오카, 니가와 츠키미가오카, 이즈미가오카, 후지가오카 등. 단, 히바리가오카 제외).
참조
[1]
웹사이트
ヶ - Small Ke ケ
https://www.japanese[...]
2024-02-02
[2]
서적
先秦両漢量詞研究
中国社会科学出版社
[3]
문서
[4]
웹사이트
「ケ月」の使用は間違っているか。
https://crd.ndl.go.j[...]
국립국회도서관
2016-11-08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