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라가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라가나는 일본어의 음절 문자 체계 중 하나로, 만요가나의 초서체에서 유래되었다. 나라 시대의 만요가나가 기원이며, 9세기 무렵부터 와카 등에 사용되기 시작하여 다이고 천황 시대에 공적인 문서에 나타났다. 주로 일본 고유어, 한자 훈, 후리가나 표기 등에 사용되며, 현대 일본어의 기본 문자로서 학교 교육에서도 가장 먼저 가르친다. 히라가나는 5개의 모음과 9개의 자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오십음도를 기본으로 하며, 탁점, 반탁점, 요음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음을 나타낸다. 유니코드 블록 U+3040–U+309F에 포함되어 있으며, 변형된 형태인 헨타이가나도 존재한다.
히라가나는 만요가나에서 발전했다.[19] 만요가나는 5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소리 나는 대로 사용된 중국어 문자였다. 만요가나의 가장 오래된 예로는 이나리야마 검이 있는데, 이 검은 辛亥年일본어(일반적으로 서기 471년으로 추정)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20]
히라가나는 한자의 초서체에서 유래되었으며, 둥글고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띤다. 1900년 일본어 개정 이후, 히라가나 음절은 48개의 기본 문자로 구성되며, 이 중 ゐ와 ゑ는 일부 고유명사에만 사용된다. 히라가나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 역사
히라가나의 형태는 중국 서예의 초서체에서 유래되었다. 오른쪽 표는 초서를 통해 만요가나에서 히라가나가 파생된 것을 보여준다. 위쪽 부분은 해서 형태의 문자를, 중간의 빨간색 문자는 초서 형태의 문자를, 아래쪽은 이에 해당하는 히라가나를 보여준다.
히라가나는 처음 개발되었을 때 모든 사람에게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었다. 교육받은 계층이나 엘리트들은 한자 시스템만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 역사적으로 일본에서는 한자의 해서(''kaisho'') 형태는 남성이 사용했고 ''otokode''|男手일본어, 즉 "남자의 글"이라고 불린 반면, 한자의 초서(''sōsho'') 형태는 여성이 사용했다. 따라서 히라가나는 처음에는 남성과 동등한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없었던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고, 그리하여 히라가나는 개인적인 서신과 문학 작품을 쓰는 궁중 여성들 사이에서 처음으로 널리 사용되었다.[21] 여기서 ''onnade''|女手일본어 "여자의 글"이라는 또 다른 이름이 유래되었다.[22] 예를 들어, ''겐지 이야기''와 여성 작가들의 다른 초기 소설들은 히라가나를 광범위하게 또는 독점적으로 사용했다.
이후 남성 작가들도 히라가나를 사용하여 문학 작품을 쓰게 되었다. 히라가나는 개인적인 편지와 같은 비공식적인 글에 사용된 반면, 가타카나와 한자는 공식 문서에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히라가나의 사용이 가타카나 문자와 혼합되었다.
원래 모든 음절에 대해 둘 이상의 히라가나가 있었다. 1900년에 이 시스템은 각 음절이 하나의 히라가나만 갖도록 단순화되었다.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히라가나는 현재 hentaigana|変体仮名|일본어로 알려져 있다.
메이지 시대 이전에는 히라가나의 모양이 확실히 정해지지 않고 여러 형태의 문자가 사용되었다. 메이지 시대의 학제 시행 후에야 현재와 같은 자형이 표준화되어 쓰이기 시작했다.
2. 1. 만요가나와 초가나
나라 시대에는 한자를 음과 훈으로 빌려 표기하는 '''만요가나'''(만엽가나)가 사용되었다.
만요가나는 해서, 행서 외에도 초서로 쓰이기도 했다. 초서의 만요가나를 히라가나의 전 단계로 '''초가나'''(소가나)라고 부른다. 이미 8세기 말의 쇼소인 문서에는 자형이나 필순 면에서 헤이안 시대의 히라가나와 통하는 초가나가 기록되어 있다.[27] 9세기 중반의 『후지와라노 아리토시 신문(조간 9년〈867년〉)이나 동시대의 『지증대사 병중 언상 초서』 등의 문서, 교토시 후지와라노 요시스케(후유쓰구의 다섯째 아들로 우다이진까지 오른 공경. 813-867) 저택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에서도 볼 수 있다.[27] 또한, 미야기현 다가조 유적에서 발굴된 토기와 도야마현 이미즈시의 아카다 유적에서도 초가나가 쓰여진 묵서 토기가 발굴되었기 때문에, 동시대에 지방으로 부임한 관리 등에 의해 일본 각지에서 보급되기 시작했다고 생각된다.
2. 2. 히라가나의 성립과 발전
히라가나는 나라 시대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만요가나'''(만엽가나)에서 기원했다. 만요가나는 초서로 쓰이기도 했는데, 이를 히라가나의 전 단계로 '''초가나'''(소가나)라고 부른다. 8세기 말 쇼소인 문서에는 헤이안 시대의 히라가나와 통하는 초가나가 이미 기록되어 있다.[27]
9세기 중반, 후지와라노 아리토시 신문(조간 9년, 867년) 등의 문서와 후지와라노 요시스케 저택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에서 초가나를 볼 수 있다.[27] 미야기현 다가조 유적, 도야마현 이미즈시 아카다 유적에서 발굴된 토기에도 초가나가 쓰여 있어, 지방 관리들에 의해 일본 각지에 보급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우다 천황 시기 주역 주석서(간페이 9년, 897년)에서는 훈주에 초가나, 방훈에 가타카나를 구별하여 사용했다. 이때부터 히라가나가 독립적인 문자 체계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후 초가나가 약화되면서 한자의 초서체에서 형태가 변형되어, 문장 기록 체계로서 '''히라가나'''가 확립되었다.
고보 대사가 히라가나를 만들었다는 속설이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28]
히라가나는 탄생 초기부터 하나의 음절에 여러 자형(이체자)이 있었다. 헤이안 시대 말기에는 약 300종의 이체자가 있었고, 개인이 사용한 것은 약 100~200종 정도였다.
9세기 후반부터 와카(和歌) 등에 사용되던 히라가나는 다이고 천황 시대 고킨와카슈(엔기 5년, 905년)에서 처음으로 공적인 문서에 나타났다. 조헤이 5년(935년)경 기노 쓰라유키가 쓴 도사 일기는 후세의 히라가나와 거의 같은 자형을 갖추고 있었다. 덴료쿠 5년(951년) 다이고지 오중탑 천장판 낙서에는 가타카나로 쓰인 와카 구절을 히라가나로 바꾸어 쓴 것이 있어, 히라가나가 문자 체계로 완전히 독립했음을 보여준다. '히라가나'라는 말은 16세기 이후 가타카나와 구별하기 위해 '보통의 가나'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야마나시현 게카치 유적(고슈시 시오야마 시모오소)에서 2016년에 출토된 10세기 중반 접시 모양 토기에는 히라가나로 와카가 새겨져 있어, 고쿠시 등 관인의 부임을 통해 지방에도 히라가나가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29]
기노 쓰라유키의 도사 일기는 여성이 쓴 것처럼 쓰였다는 통설이 있다.[30] 히라가나는 주로 여성들이나 사적인 문서에 사용되었으며, '여자의 글'(온나데)이라고도 불렸다. 헤이안 시대 귀족 여성들은 야마토 말을 사용한 히라가나로 많은 작품을 남겼다. 히라가나는 지위가 낮게 여겨졌지만, 중국과의 공적 교류 단절이 길어지면서 칙선 와카집에 사용될 정도로 진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대 가나 표기법이 제정되면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ゐ"와 "ゑ"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2. 3. 변체 가나와 현대 히라가나
메이지 시대 이전에는 히라가나의 모양이 확실히 정해지지 않고, 여러 형태의 문자가 사용되었다. 메이지 시대의 학제 시행 후에야 현재와 같은 자형이 표준화되어 쓰이기 시작했다. 표준화되기 이전의 구식 자형은 헨타이가나(変体仮名)라고 부른다.[31][32]
1900년에는 각 음절에 하나의 히라가나만 있도록 체계가 단순화되었다.
메이지 33년(1900년), "초등학교령 시행 규칙"의 "제1호표"에 48종의 히라가나가 제시되었다. 이후 이 글자체만 공교육에서 가르쳐지고, 일반적으로 보급되었다. 이로 인해 수많은 변체 가나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대 가나 표기법이 제정되었다. 이로 인해,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ゐ"와 "ゑ"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3. 히라가나의 형태와 구성
이러한 기본 문자는 다양하게 수정될 수 있다. 탁점(゛)을 추가하면 무성 자음이 유성 자음으로 바뀐다. 예를 들어 か(''ka'')는 が(''ga'')가 된다. ''h''(또는 ''f'')로 시작하는 히라가나는 반탁점(゜)을 추가하여 ''h'' (''f'')를 ''p''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は(''ha'')는 ぱ(''pa'')가 된다.
ゃ, ゅ, ょ와 같이 작은 히라가나를 ''i''로 끝나는 히라가나에 추가하면 ''i'' 모음이 구개음화되어 ''a'', ''u'', ''o''로 바뀐다. 예를 들어 き(''ki'')에 ゃ(작은 ''ya'')를 더하면 きゃ(''kya'')가 된다. 이를 요음이라고 한다.
작은 っ는 촉음으로, 뒤따르는 자음을 겹자음으로 만든다. 예를 들어 ''saka'' "언덕"과 ''sakka'' "작가"는 발음이 다르다.
は는 조사로 쓰일 때 로 발음되고(평상시는 ), へ는 조사로 쓰일 때 로 발음된다(평상시는 ).
히라가나는 보통 두 번째 모음 가나를 추가하여 장모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おかあさん(''o-ka-a-sa-n'', "어머니")와 같다. 가타카나에서 사용되는 장음 부호(ー)는 히라가나에서는 らーめん과 같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1. 오십음도
히라가나는 오십음도라는 표에 따라 배열되며, 기본적으로 5개의 모음과 9개의 자음 조합으로 구성된다. 오십음도는 아단, 이단, 우단, 에단, 오단의 5단과, 아행, 가행, 사행, 타행, 나행, 하행, 마행, 야행, 라행, 와행의 10행으로 구성된다. ん은 특수한 받침 역할을 하는 문자이다.
1900년 일본어 개정 이후, 수백 개의 문자가 변체 가나로 간주되면서 히라가나 음절은 48개의 기본 문자로 구성되며, 이 중 두 개 (ゐ와 ゑ)는 일부 고유명사에만 사용된다.
- 5개의 단일 모음: あ /a/, い /i/, う /u/, え /e/, お /o/
- 42개의 자음–모음 조합: 예를 들어 き /ki/, て /te/, ほ /ho/, ゆ /ju/, わ /wa/
- 1개의 단일 자음 (ん)
이론적으로 가능한 50개의 조합 중 ''yi'', ''ye'', ''wu''는 완전히 사용되지 않는다. ''w'' 열에서 ゐ와 ゑ는 현대 일본어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를은 조사로는 흔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드물다. 엄밀히 말하면, 단일 자음은 ''오십음''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와행 | 라행 | 야행 | 마행 | 하행 | 나행 | 타행 | 사행 | 카행 | 아행 | style="background-color: #ffffff;" | |
---|---|---|---|---|---|---|---|---|---|---|
아단 | ||||||||||
( | style="background-color: #e9e9e9;" | | 이단 | ||||||||
우단 | ||||||||||
( | style="background-color: #e9e9e9;" | | 에단 | ||||||||
오단 |
받침 |
---|
3. 2. 탁음, 반탁음, 요음
탁점(゛)을 붙이면 탁음(가, 자, 다, 바행)이 되고, 반탁점(゜)을 붙이면 반탁음(파행)이 된다. 요음(ㅑ, ㅠ, ㅛ 등)은 이단 글자 뒤에 작은 야, 유, 요를 붙여 표기한다.[7][8][9][10]탁음 | 탁음을 포함한 요음 | |||||||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ゃ | ゅ | ょ | |
が행 | が ga 가 | ぎ gi 기 | ぐ gu 구 | げ ge 게 | ご go 고 | ぎゃ gya 갸 | ぎゅ gyu 규 | ぎょ gyo 교 |
ざ행 | ざ za 자 | じ ji 지 | ず zu 즈 | ぜ ze 제 | ぞ zo 조 | じゃ ja 자 | じゅ ju 주 | じょ jo 조 |
だ행 | だ da 다 | ぢ ji 지 | づ zu 즈 | で de 데 | ど do 도 | ぢゃ ja 자 | ぢゅ ju 주 | ぢょ jo 조 |
ば행 | ば ba 바 | び bi 비 | ぶ bu 부 | べ be 베 | ぼ bo 보 | びゃ bya 뱌 | びゅ byu 뷰 | びょ byo 뵤 |
반탁음 | 반탁음을 포함한 요음 | |||||||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ゃ | ゅ | ょ | |
ぱ행 | ぱ pa 파 | ぴ pi 피 | ぷ pu 푸 | ぺ pe 페 | ぽ po 포 | ぴゃ pya 퍄 | ぴゅ pyu 퓨 | ぴょ pyo 표 |
3. 3. 촉음
わ /wa/로 시작하는 행에서 히라가나 ゐ /wi/와 ゑ /we/는 둘 다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일부 이름에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각각 [i]와 [e]로 발음된다. 수정된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일반적으로 ''i''와 ''e''로 표기한다.[9]4. 현대 일본어에서의 사용
현대 일본어에서 히라가나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 문장 표기에 사용:
- * 가나 혼합문
- * 한자 표기가 없는 일본 고유어를 나타낼 때
- * 한자가 상용한자에 포함되지 않아 읽고 쓰기 어려운 경우
- 소리를 나타낼 때:
- * 한자의 훈 (훈독, 후리가나, 루비)
- * 일본어 초학자를 위한 문자 대체
- 서예의 한 분야인 가나
- 인명
현재 일본의 학교 교육에서는 히라가나를 가장 먼저 가르친다.
현대 일본어에서 히라가나를 굳이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부드럽고 친근한 이미지"를 주기 때문이다.[34] 가타카나(헤/へ, 리/り는 형태가 비슷)나 한자와 비교하여, 히라가나는 "둥근 느낌, 흐르는 듯한" 특징을 가진다.[35] 히라가나·가타카나 지명과 같은 사용 예도 있다.
선거법에서는 후보자의 통칭 사용이 인정되는 경우가 있어, 히라가나를 사용하는 후보자도 종종 보인다.[36] 이를 속칭 "이름을 열다"라고도 한다. --
5. 획순
히라가나의 각 문자는 정해진 획순에 따라 쓴다. 다음은 각 히라가나 문자를 쓰는 방법을 보여주는 표이다. 표는 오른쪽 위에서 시작하여 열을 아래로 읽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숫자와 화살표는 각각 획순과 방향을 나타낸다.[7][8][9][10]
6. 유니코드
[https://www.unicode.org/charts/PDF/U304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