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라쿠니다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라쿠니다케는 일본 규슈 기리시마 화산군에 속하는 산으로, 에도 시대 이전 두 가지 이유로 명명되었다. 하나는 산의 황량한 표면을 묘사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등산객들이 한반도를 조망할 수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정상에는 칼데라가 있으며, 에비노 고원 등 주변 지역과 함께 다양한 식생과 지질학적 특징을 보인다. 등산로가 정비되어 있으며, 정상에서는 주변 산들과 가고시마만, 사쿠라지마 등을 조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슈 지방의 화산 - 가이몬다케
    가이몬다케는 가고시마현 사쓰마 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해발 924m의 원뿔형 화산으로, 해상 교통의 기준점 역할과 360도 파노라마 조망으로 유명하며, 일본 백명산 중 하나로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 가고시마현의 산 - 가이몬다케
    가이몬다케는 가고시마현 사쓰마 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해발 924m의 원뿔형 화산으로, 해상 교통의 기준점 역할과 360도 파노라마 조망으로 유명하며, 일본 백명산 중 하나로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 가고시마현의 산 - 신모에봉
    신모에봉은 규슈 남부 기리시마 산에 있는 성층 화산으로, 미야자키현과 가고시마현 경계에 위치하며, 휘석 안산암으로 구성, 정상의 원형 분화구와 토끼 귀 모양 암봉, 그리고 1716년부터의 분화 활동으로 2011년, 2018년 큰 피해를 냈고 현재는 관측 및 방재 대책이 수립되어 있습니다.
  • 미야자키현의 산 - 가타무키산
    가타무키산은 일본의 산으로, 사황자봉이라고도 불리는 세 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진 산정, 진무 천황 관련 전설, 킷사쿠 낙하 전승, 국유림 지정 및 산림 생태계 보호 지역 관리, 그리고 서산 및 스기코시 등산구를 통한 등반로가 특징이다.
  • 미야자키현의 산 - 신모에봉
    신모에봉은 규슈 남부 기리시마 산에 있는 성층 화산으로, 미야자키현과 가고시마현 경계에 위치하며, 휘석 안산암으로 구성, 정상의 원형 분화구와 토끼 귀 모양 암봉, 그리고 1716년부터의 분화 활동으로 2011년, 2018년 큰 피해를 냈고 현재는 관측 및 방재 대책이 수립되어 있습니다.
가라쿠니다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산 정보
이름가라쿠니다케 (韓国岳)
다른 이름가라쿠니다케 (Karakunidake)
가라쿠니다케, 2008년 9월
가라쿠니다케, 2008년 9월
해발고도1,700 미터
위치가고시마현 - 미야자키현, 일본
산맥기리시마산 (기리시마 화산군)
좌표31°56′03″N 130°51′42″E
지형도기리시마 화산 구호 지도, SRTM-1.jpg
종류화산쇄설구
화산호/벨트해당사항 없음
나이해당사항 없음
마지막 분화17,000년 전
최초 등반기록 없음
가장 쉬운 경로정보 없음

2. 명칭

가라쿠니다케는 에도 시대 이전 두 가지 이유로 명명되었다. 첫 번째는 산의 황량한 표면을 언급했고, 두 번째는 등산객들이 멀리 떨어진 한반도를 바다 건너 볼 수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3]

일부 지도에서는 "唐国岳"(가라쿠니다케)으로 잘못 표기했는데, 이때 한자 "韓" 대신 "唐"이 사용되었다.

3. 지형

가라쿠니다케는 정상에 직경 900m, 깊이 300m의 칼데라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비가 오면 칼데라에 물이 고여 연못이 생기기도 하고, 겨울에는 눈 덮인 경치와 함께 수빙도 볼 수 있다. 산의 북서쪽에는 에비노 고원이 펼쳐져 있고, 남서쪽에는 오나미이케가 있다.[4]

3. 1. 산세

정상에는 직경 900m, 깊이 300m의 칼데라가 있으며, 비가 계속되면 연못이 생긴다. 겨울에는 자주 설경을 이루며, 수빙 등도 볼 수 있다. 북서쪽 산복에는 에비노 고원이, 남서쪽 산복에는 오나미이케가 있다. 산복은 전나무, 물참나무, 너도밤나무, 떡갈나무 등의 숲을 이루고 있으며, 야생 사슴을 많이 볼 수 있다. 산정 부근에는 미야마키리시마, 처녀치마, 억새 등이 있으며, 칼데라 벽에는 사방오리나무, 흰 철쭉, 히카게 철쭉 등이 보인다.[4]

3. 2. 식생

산복은 전나무, 물참나무, 너도밤나무, 떡갈나무 등의 숲을 이루고 있으며, 야생 사슴을 많이 볼 수 있다. 산정 부근에는 미야마키리시마, 처녀치마, 억새 등이 있으며, 칼데라 벽에는 사방오리나무, 흰 철쭉, 히카게 철쭉 등이 보인다.[4]

4. 지질

한국가라쿠니다케는 기리시마 화산군 중 비교적 새로운 신기 기리시마 화산에 속하며, 오래된 시기에 형성된 하쿠초산, 에비스모리산, 시시도산, 오나미이케 등의 화산군 위에 겹쳐 형성되었다. 산체를 이루는 지질은 크게 전기 용암, 중기 용암, 신기 용암으로 나뉜다. 1만 8000년 전에 분출된 전기 용암은 북동부 산록의 고바야시시 오이즈미에서 와노에 걸쳐 소량 노출되어 있으며, 중기 용암은 북동부 산복의 해발 900m 이하의 사면에 분포하고 있다. 해발 900m 이상은 1만 5000년 전 이후에 분출된 신기 용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쇄류와 경석의 분출이 반복되어 생긴 분석구이다. 산체가 형성된 후에 분화구 북서부에서 폭발이 일어나 서쪽의 분화구벽이 붕괴되었다[5][6]

5. 역사

역사상, 산 정상에서 분화했다는 기록은 없지만[8], 1768년(메이와 5년)에 북서쪽 산복에서 용암이 흘러나와 유황산이 형성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이 지역 영주인 시마즈 씨가 종종 등산을 했다.

5. 1. 명칭 유래에 대한 여러 설

가라쿠니다케는 에도 시대 이전 두 가지 이유로 명명되었다. 첫 번째는 산의 황량한 표면을 언급했고, 두 번째는 등산객들이 멀리 떨어진 한반도를 바다 건너 볼 수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3]

일부 지도에서는 이름을 "唐国岳"(가라쿠니다케)으로 잘못 표기했는데, 이때 한자 "韓" 대신 "唐"이 사용되었다. 오래전에는 기리시마 산 서봉, 하즈노 산, 유키 산, 코시카 산으로도 불렸다.[7]

"산 정상에서 나라(중국 대륙)가 잘 보이기 때문에 '가라쿠니노미타케(唐国の見岳, 당나라를 바라보는 산)'라고 이름 붙여졌다"라는 설명이 있는 경우가 있지만, "한국의 산을 바라본다"는 설과 마찬가지로, 산 정상에서 중국 대륙을 볼 수는 없다. 또한, 『미야자키현의 지명』(헤이본샤, 1997년)에 따르면, 한국의 산 이름은 『고사기』 상천손강림 단에 있는 "향한국, 진래통가사사의 어전而..."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고 되어 있다. 게다가, 『가도카와 일본 지명 대사전』(가도카와 쇼텐, 1986년)에는, 옛날에는 "허국악"이라고도 썼으며, 『일본서기』의 "공국(からくに, 여신(膂宍)의 공국)"에서 "허국", "한국"으로 변화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적혀 있다. 또한, "멀리 조망이 가능하여, 한국까지 내다볼 수 있는 것이 산 이름의 유래"라고 소개하고 있다.

6. 등산

미야자키현 고바야시시가고시마현 기리시마시를 잇는 현도 부근에 여러 등산로가 정비되어 있다. 주차장과 비지터 센터가 잘 갖춰진 에비노 고원에서 올라가는 길이 가장 일반적이다.

1996년 가고시마현이 자연공원 정비 사업으로 가라쿠니다케 남쪽에 피난 대피소를 설치했다.[10]

6. 1. 조망

산 정상에서는 남쪽 조망이 뛰어나 기리시마 산계의 산들과 영봉 다카치호노미네를 볼 수 있으며, 멀리 가고시마만의 사쿠라지마와 다카쿠마산도 조망할 수 있다. 또한, 한국다케 산정에서 시시도다케, 신모에다케, 나카다케를 거쳐 다카치호가와라로 내려가는 종주 코스도 인기가 높았지만, 2011년 신모에다케 분화 이후 폐쇄되었다.[9]

6. 2. 종주 코스

미야자키현 고바야시시와 가고시마현 기리시마시를 잇는 현도 부근에 여러 등산로가 정비되어 있다. 주차장과 비지터 센터가 잘 갖춰진 에비노 고원에서 올라가는 길이 가장 일반적이다. 산 정상에서는 남쪽 조망이 뛰어나 기리시마 산계의 산들과 영봉 다카치호노미네를 볼 수 있으며, 멀리 가고시마만의 사쿠라지마와 다카쿠마산도 볼 수 있다. 또한, 가라쿠니다케 산 정상에서 시시도다케, 신모에다케, 나카다케를 거쳐 다카치호가와라로 내려가는 종주 코스도 인기가 높았지만, 2011년 신모에다케 분화 이후 폐쇄되었다.[9]

1996년 가고시마현이 자연공원 정비 사업으로 가라쿠니다케 남쪽에 피난 대피소를 설치했다.[10]

6. 3. 대피소

1996년(헤이세이 8년), 가고시마현이 자연공원 정비 사업으로 "한국다케 남 피난 대피소"를 설치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Kirishima-Yaku National Park http://www.bes.or.jp[...] Natural Parks Foundation 2011-03-24
[2] 웹사이트 Introducing places of interest: Kirishima-Yaku National Park http://www.env.go.jp[...]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11-03-24
[3] 웹사이트 Mt. Karakunidake - Japan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https://www.jnto.go.[...]
[4] 서적 牧園町郷土誌 改訂版 牧園町長川畑義照 1991
[5] 서적 えびの市史 上巻 宮崎県えびの市 1994
[6] 논문 霧島火山の地質 https://hdl.handle.n[...] 東京大学地震研究所 1995
[7] 서적 三国名勝図会 1843
[8] 웹사이트 霧島山 有史以降の火山活動 気象庁 https://www.data.jma[...] 기상청
[9] 문서 新燃岳 등 霧島山系の火山活動의 状況에 따라서는、登山이나 縦走이 規制되는 경우가 있으므로、気象庁의 噴火警報・予報、宮崎県えびの市의 防災情報등을 事前に 確認해 둘 必要가 있다(2023年1月現在、霧島山系の縦走은 規制中)。
[10] 간행물 2.5 霧島山 https://www.soumu.go[...] 총무성
[11] 문서 쓰시마섬의 경우, 와니우라 마을 주변 일대에서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거제시, 통영시 등지만 쉽게 바라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