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수원역은 섬식 승강장 2면 6선의 지상역으로, 1911년 7월 10일 영업을 시작했다. 화물 취급, 소화물 취급, 여객 취급 등의 변화를 거쳤으며, 1937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83년 여객 취급이 중단되었다가 2000년에 재개되었으나, 2011년 8월 1일 여객 취급이 다시 중단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철도역 - 서대전역
1936년 개업한 서대전역은 호남선의 분기점으로서, 대전시 성장과 함께 발전하여 호남선 복선화 이후 주요 경유지가 되었고, KTX 개통 후 신축되어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거점역이 되었으며, 현재는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열차의 주요 연결 역할을 수행하고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도 인접해 있다. - 대전광역시의 철도역 - 신탄진역
신탄진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대전 서구의 건축물 - 흑석리역
흑석리역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호남선의 무배치 간이역으로, 1935년 영업을 시작해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 화물, 소화물, 여객 취급 중지를 거쳐 다시 간이역이 되었으며, 1975년 역사를 이전 신축하여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추고 서대전역과 계룡역 사이에 위치한다. - 대전 서구의 건축물 - 정부대전청사
정부대전청사는 국토 균형 발전과 중앙 행정 기관의 지방 이전을 목표로 대전광역시에 준공된 정부 기관 청사로, 여러 기관이 입주해 있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용이하다. - 대전 도시철도 - 서대전역
1936년 개업한 서대전역은 호남선의 분기점으로서, 대전시 성장과 함께 발전하여 호남선 복선화 이후 주요 경유지가 되었고, KTX 개통 후 신축되어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거점역이 되었으며, 현재는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열차의 주요 연결 역할을 수행하고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도 인접해 있다. - 대전 도시철도 - 세천역
세천역은 충청남도에 위치한 경부선의 폐쇄된 역으로, 과거 상대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었으나 현재는 KTX 운행을 위한 선로 개량으로 승강장이 철거되어 여객 및 화물 영업을 하지 않으며, 주변에 호소카와 체육공원 등의 시설이 있다.
가수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명 | 佳水院駅 |
한자 표기 | 佳水院驛 |
로마자 표기 | Gasuwon |
모국어 표기 | 가수원 |
소속 노선 | 湖南線 |
이전 역 | 西大田 |
다음 역 | 黒石里 |
역간 거리 (이전 역) | 6.1 |
역간 거리 (다음 역) | 5.5 |
소재지 | 대전광역시서구佳水院洞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KORAIL) |
역 종류 | 무배치간이역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11.8 |
기점 역 | 大田操車場 |
역 구조 | 地上駅 |
승강장 | 2面6線 |
개업일 | 1911年7月10日 |
한국어 정보 | |
한글 표기 | 가수원역 |
한자 표기 | 佳水院驛 |
로마자 표기 | Gasuwon Station |
철도역 정보 | |
![]() | |
그림 설명 | 역사 |
소재지 | 대전광역시 서구 벌곡로 1324 (가수원동) |
개업일 | 1911년 7월 10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서대전관리역 |
종별 | 무배치간이역 |
승강장 | 2면 4선 |
노선 | 호남선 |
영업 거리 | 대전조차장 기점 11.8 km |
이전 역 | 서대전 |
이전 역 거리 | 6.1 |
다음 역 | 흑석리 |
다음 역 거리 | 5.5 |
2. 역 구조
섬식 승강장 2면 6선의 지상역이다. 승강장은 2면 4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바깥쪽으로 선로가 2선 더 있다.
(내용 없음)
3. 역사
3. 1. 연혁
4. 열차 운행 상황 (2011년 이전)
과거에는 각역정차급 무궁화호 열차조차 일부 통과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았던 몇 안 되는 역이었다. 1983년에는 일시적으로 여객 취급이 중단되기도 했다. 2000년에 여객 취급이 다시 재개되었지만, 무궁화호가 상하행 각 1편씩만 정차했다. 2010년경부터는 아침 6시대 광주역 방면 열차 1편만 정차하는 것으로 축소되었다. 결국 2011년 8월 1일에 여객 취급을 다시 중단하게 되었고, 그 후 역 주변에 펜스를 설치하여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5. 인접 역
(흑석리역)
계룡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