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대전역은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철도역으로, 1936년 11월 1일에 영업을 시작했다. 호남선과 전라선, 경전선이 분기하는 역으로,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한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국방부 소유의 병참선과 공병선이 분기한다.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KTX 운행 횟수가 조정되었으며, 현재는 서울역/용산역/행신역 ~ 서대전역 ~ 익산역 간 KTX가 하루 22회 운행된다. 주변에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보문산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철도역 - 신탄진역
신탄진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대전광역시의 철도역 - 대전역
대전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주요 철도역으로, 경부선, 호남선, 충북선의 시종착역이자 환승역이며, KTX를 포함한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한국철도공사 본사와 인접해 있다. - 대전 중구의 건축물 - 한밭종합운동장
한밭종합운동장은 1964년 대전광역시의 체육 발전과 시민 건강 증진을 위해 개장한 종합 운동 시설로, 과거 대전 시티즌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스포츠 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 대전 중구의 건축물 -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는 대전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한화 이글스의 홈 구장으로, 지속적인 리모델링을 통해 관람 환경을 개선해왔으며 외야 비대칭 펜스 구조를 갖춘 한국 프로야구장이고, 대전 시내버스와 도시철도를 이용해 접근이 용이하며, 인근에 새로운 야구장인 대전베이스볼드림파크가 건설될 예정이다.
서대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서대전역 |
로마자 표기 | Seodaejeonnyeok |
한자 표기 | 西大田驛 |
주소 |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로 23 |
개업일 | 1936년 11월 1일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역 구조 | |
형태 | 지상역/직선 |
승강장 | 2면 |
선로 | 6선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호남선 대전선 |
역 정보 | |
역 등급 | 2급 |
관리역 | 서대전관리역 |
승강장 정보 | |
승강장 형태 | 섬식 2면 4선 |
기타 정보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역 정보 (노선별) | |
노선 1 | 대전선 |
영업 거리 1 | 대전 기점 5.7 km |
이전 역 1 | 대전 |
이전 역 거리 1 | 5.7 km |
노선 2 | 호남선 |
영업 거리 2 | 대전조차장 기점 5.7 km |
이전 역 2 | 대전조차장 |
이전 역 거리 2 | 5.7 km |
다음 역 2 | 가수원 |
다음 역 거리 2 | 6.1 km |
역 사진 | |
![]() |
2. 역사
1936년 11월 1일 영업을 시작하였다.[1] 1978년 대전조차장역과 서대전역 구간 복선화로 호남선 열차가 대전역을 거치지 않고 서대전역을 지나가게 되었다. 2004년 4월 1일 KTX 운행이 시작되었다.[4]
2. 1. 개요
1931년 대전군 유천면 유지들의 연대서명으로 역사 설립 운동이 시작되어, 1935년 5월 착공, 1936년 10월에 준공되어 11월 1일 영업을 시작하였다.[7][8] 1936년 역이 세워질 당시에는 대전부 외곽 지역이었으나, 1960년대 대전시 시가지 확장에 따라 도심 지역에 편입되면서 역 규모와 이용객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1978년 대전조차장역~서대전역 구간 복선화가 완료되면서 호남선 열차는 대전역을 경유하지 않고 서대전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이후 대전시의 광역시 승격, 둔산신도시 건설, 유성 부도심화, 1993년 대전 세계 박람회 개최 등으로 이용객이 증가하여 새마을호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역사가 신축되었고, 모든 호남선 경유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이 되었다.
2. 2. 연혁
1931년 대전군 유천면 유지들의 연대서명으로 역사 설립 운동이 시작되어 1935년 5월 착공, 1936년 10월 준공하여 11월 1일 영업을 시작하였다.[7][8] 1960년대에 접어들고 대전시 시가지가 확장되면서 역 규모와 이용객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1978년 대전조차장역~서대전역 구간 복선화가 완료되면서 호남선 열차는 대전역을 경유하지 않고 서대전역을 거치게 되었다. 그 후 대전시의 광역시 승격, 둔산신도시 건설, 유성의 부도심화, 1993년 대전 세계 박람회 개최로 이용객이 증가하고 새마을호까지 정차하는 역이 되었다.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역사가 신축되었고, 모든 호남선 경유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자세한 연혁은 아래와 같다.
날짜 | 내용 |
---|---|
1914년 1월 22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69년 12월 | 역사 신축 |
1970년 7월 13일 | 사무관역으로 승격 |
1971년 9월 10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9] |
1976년 4월 26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 취소[10] |
1977년 12월 10일 | 3급역으로 승격[11] |
1997년 10월 1일 | 서기관역으로 승격 |
1999년 10월 1일 | 사무관역으로 격하 |
2004년 4월 1일 | KTX 운행 개시 및 현 역사 신축 준공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6년 7월 1일 | 보통역(2급)으로 변경 |
2008년 1월 1일 | 장항선 일부 무궁화호 열차의 시·종착역이 됨 |
2008년 11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12] |
2013년 12월 13일 | 남도해양열차 운행 개시 |
2015년 4월 2일 |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KTX 정차 횟수 1일 16회(주말 1일 18회)로 감소 |
2016년 12월 9일 | SRT 개통에 따른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서울역과 호남을 운행하는 KTX 운행 개시, 장항선 경유 무궁화호 전 열차가 용산역-익산역 간으로 구간이 단축됨에 따라 장항선 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지 않게 됨 |
2020년 3월 1일 | 누리로 운행 종료 |
2020년 3월 2일 | 태백선 누리로 운행으로 호남선 1421, 1424, 1425, 1426열차는 무궁화호로 변경 운행 개시 |
2023년 9월 1일 | ITX-마음 운행 개시 |
서대전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주로 2, 3번 승강장을 사용한다.[14]
3. 역 구조
호남선이 처음 부설되었을 때는 경부선 분기점이 부산 방향으로 되어 있어서, 서울에서 목포 등으로 이동하려면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오랫동안 돌려야 했다. 대전역 가락국수가 유명해진 것도 이 때문이었다.[13] 이후 (구)대전선이 부설되어 대전조차장에서 서대전역으로 바로 분기하여 호남선으로 갈 수 있게 되면서 대전역을 경유하여 기관차를 돌릴 필요가 없어졌다. 그러나 대전을 경유하여 호남과 영남을 오가는 승객은 서대전역과 대전역으로 이원화되면서 불편을 겪게 되었다.과거 분기 구조 현재 분기 구조
원래 대전역에서 서울, 영남, 호남 방향의 모든 열차를 이용할 수 있었으나, 대전조차장역에서 서대전역을 연결하는 (구)대전선 부설 이후, 호남 방향은 서대전역, 영남 방향은 대전역으로 이원화되었다. 대전-서대전 구간(현 대전선)을 경유하는 여객 열차는 없으므로, 대전을 경유하여 호남-영남을 이동하는 승객은 대부분 대전역이나 서대전역에서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환승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서대전역 분기 노선은 다음과 같다.3. 1.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주로 2, 3번 승강장을 사용한다.
승강장 | 노선 | 열차 | 방면 |
---|---|---|---|
3, 4 | 상행 | KTX | 오송, 광명, 용산, 서울, 행신 방면 |
3, 4 | ITX-새마을, 무궁화호, ITX-마음 | 천안, 수원, 영등포, 용산 방면 | |
1, 2 | 호남선 하행 | KTX | 익산, 정읍, 광주송정, 목포 방면 |
1, 2 | ITX-새마을, 무궁화호, ITX-마음 | 익산, 김제, 광주, 광주송정, 목포 방면 | |
1, 2 | 전라선 하행 |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ITX-마음 | 익산, 전주, 순천, 여수엑스포 방면 |
1, 2 | 경전선 하행 | 무궁화호 | 익산, 서광주, 보성, 순천 방면 |
3. 2. 분기 노선
호남선이 처음 부설되었을 때는 경부선 측 분기점이 부산을 향하게 되어 있어서, 서울에서 목포 등지로 이동하려면 대전역에서 오랜 시간 동안 기관차를 돌려야 했다. 대전역 가락국수가 유명해진 것도 이 때문이었다.[13] (구)대전선이 부설된 이후 대전조차장에서 서대전역으로 곧장 분기하여 바로 호남선으로 들어가므로 굳이 대전역을 경유하여 기관차를 돌릴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러나 대전을 경유하여 호남과 영남을 오가는 승객의 경우, 역이 서대전, 대전으로 이원화되면서 불편을 겪게 되었다.과거 분기 구조 | 현재 분기 구조 |
---|---|
기존에는 대전역에서 서울 방향, 영남 방향, 호남 방향의 모든 열차를 이용할 수 있었으나, 대전조차장역에서 서대전역을 연결하는 (구)대전선의 부설 이후, 호남 방향은 서대전역, 영남 방향은 대전역으로 승객 처리가 이원화되었다. 대전 - 서대전 구간(현 대전선)을 경유하는 여객 열차는 없으며, 따라서 대전을 경유하여 호남 - 영남을 이동하는 승객은 거의 대부분 대전역이나 서대전역에서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환승해야 하는 불편을 겪게 되었다.
4. 이용 현황
KTX와 SRT는 호남선을 이용하여 모든 ITX-새마을, 무궁화호와 함께 익산역, 광주역 또는 목포역으로 향한다.[2] 행신역 ~ 용산역 ~ 서대전역 ~ 익산역 간 KTX는 하루 18회 운행되고 있다.[15] 2016년 12월부터 SRT 운행과 함께 하루 22회로 증편되어 서울역 ~ 서대전역 ~ 익산역 10회, 용산역 ~ 서대전역 ~ 목포역 4회, 용산역 ~ 서대전역 ~ 여수엑스포역 4회, 용산역 ~ 서대전역 4회로 운행하고 있다.
5.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KTX 운행
호남고속선 1단계 구간이 완공되면서 서대전역에 정차하던 KTX 열차의 정차역이 공주역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공주역은 공주시 이인면에 위치하여 인구가 3천 명 가량으로 적고, 공주 도심에서 남쪽으로 15km 떨어져 있어 접근성이 낮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15]
기존 호남선 이용객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서대전역 수요를 고려하여, 일부 경부선 KTX가 수원역, 밀양역, 구포역을 경유하는 것처럼 호남선 KTX도 서대전역을 경유하여 운행 횟수를 늘리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호남 정치인들은 익산역~대전조차장역 구간의 선형이 불량하여 서대전역 경유 시 2시간 18분이 소요된다는 이유로 반대하였다.
행신역~용산역~서대전역~익산역 간 KTX는 하루 18회 운행되었다.[15] 국토교통부는 서대전~논산역 구간의 철도 선로 개량을 위해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호남선 직선화 공사를 확정하였다.[16] 2016년 12월부터 SRT 운행과 함께 하루 22회로 증편되어 서울역~서대전역~익산역 10회, 용산역~서대전역~목포역 4회, 용산역~서대전역~여수엑스포역 4회, 용산역~서대전역 4회로 운행하고 있다.
6. 주변 지역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서대전네거리역, 오룡역
- 코스트코 대전점
- 대전오류초등학교
- 오류동 주민센터
- 대전원평초등학교
- 홈플러스 문화점
- CGV 대전점
- CBS 대전지사
6. 1. 대전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오룡역(도보 약 12분) 또는 서대전네거리역(도보 약 15분)에서 내려 걸어서 접근할 수 있다.6. 2. 보문산
보문산은 대전광역시 중구 대사동을 비롯한 11개 동에 걸쳐 있는 대전의 명산이다. 보문산에는 보문산 유원지, 뿌리공원, 청소년광장, 보문산공원(사정공원), 야외음악당, 전망대, 놀이시설, 케이블카 등의 휴식 공간과 다수의 문화재가 있다.[3] 실봉로, 문필봉로, 산악로 등 10개의 등산로도 마련되어 있다.[3] 산 정상에는 보문산성, 매애야, 보문사 등의 문화재와 유적이 있어 역사, 문화적으로 의미있는 곳이다.[3]7. 인접한 역
노선 | 종류 | 이전 역 | 방면 | 다음 역 | 방면 |
---|---|---|---|---|---|
KTX 호남선 (서대전 경유) | KTX | 오송 | 행신 방면 | 계룡 | 목포 방면 |
KTX 호남선 (서대전·김제 경유) | KTX | 오송 | 서울 방면 | 계룡 | 목포 방면 |
KTX 전라선 (서대전 경유) | KTX | 오송 | 용산 방면 | 계룡 | 여수EXPO 방면 |
호남선 | ITX-새마을 | 조치원 | 용산 방면 | 계룡 | 목포·광주 방면 |
전라선 | ITX-새마을 | 조치원[17] | 용산 방면 | 계룡 | 여수EXPO 방면 |
전라선 호남선 | ITX-마음 | 신탄진 | 용산 방면 | 논산 | 여수EXPO·목포 방면 |
호남선 전라선 | 무궁화호 | 신탄진 | 용산 방면 | 계룡 | 목포·광주 방면 여수EXPO 방면 |
전라선 | 남도해양열차 | 천안 | 서울 방면 | 익산 | 여수EXPO 방면 |
호남선 | ITX-새마을, 무궁화호 | 대전차량사업소 | 가수원 | ||
대전선 | 무궁화호 | 대전 |
참조
[1]
보도자료
Notification No. 554 of the Government General Chosen (朝鮮總督府告示 第五百五十四號)
http://gb.nl.go.kr/
Government General Chosen (朝鮮總督府官報)
1936-10-10
[2]
웹사이트
서대전역, 네이버 지식백과, 철도역 정보
http://terms.naver.c[...]
[3]
웹사이트
네이버 철도역 정보, 서대전역[Seodaejeon Station]
http://terms.naver.c[...]
[4]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554号
1936-10-10
[5]
기타
[6]
기타
[7]
기타
[8]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554호
1936-10-10
[9]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37호
1971-09-09
[10]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9호
1976-04-26
[11]
간행물
대전지방철도청공고
http://theme.archive[...]
1977-11-29
[12]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561호
2008-10-17
[13]
기타
[14]
기타
[15]
뉴스
호남선 KTX 광주 직행 - 서대전역 경유 이원화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5-02-06
[16]
뉴스
호남선 '가수원~논산' 곧게 편다
http://www.ggilbo.co[...]
금강일보
2016-06-19
[1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