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양태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시양태과는 농어목 둑중개아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과의 하나이다. 가시양태속(Hoplichthys)과 Monhoplichthys의 2개 속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시양태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가시양태과 | |
![]()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상목 | 극기상목 |
미분류 | 에우페르카리아류 |
목 | 페르카목 |
아목 | incertae sedis |
과 | 가시양태과 (Hoplichthyidae) |
과 명명자 | T. N. Gill, 1889 |
하위 분류 | 속 |
하위 | 본문 참조 |
2. 하위 속
속 | 종 |
---|---|
가시양태속 (Hoplichthys) Cuvier, 1829 | Hoplichthys acanthopleurus Regan, 1908 |
Hoplichthys citrinus Gilbert, 1905 | |
Hoplichthys fasciatus Matsubara, 1937 | |
Hoplichthys filamentosus Matsubara & Ochiai, 1950 | |
외가시양태 (Hoplichthys gilberti) Jordan & Richardson, 1908 | |
하스웰가시양태 (Hoplichthys haswelli) McCulloch, 1907 | |
Hoplichthys imamurai Nagano et al., 2013 | |
가시양태 (Hoplichthys langsdorfii) Cuvier, 1829 | |
Hoplichthys mcgroutheri Nagano, Imamura & Yabe, 2014 | |
Hoplichthys mimaseanus Nagano et al., 2013 | |
Hoplichthys ogilbyi McCulloch, 1914 | |
Hoplichthys pectoralis (Fowler, 1943) | |
Hoplichthys platophrys Gilbert, 1905 | |
Hoplichthys regani Jordan, 1908 | |
Monhoplichthys | |
Monhoplichthys prosemion Fowler, 1938 |
다음은 니어(Nea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2][3]
3. 계통 분류
불미역치과
잔클로린쿠스과
빨간양태과
꼬리점눈퉁이과
쏨뱅이과
은대구과
쥐노래미과
둑중개하목
큰가시고기하목
등가시치하목
참조
[1]
간행물
Hoplichthyidae
FishBase
2015-04
[2]
논문
Ancient climate change, antifreeze, and the evolutionary diversification of Antarctic fishes
PNAS
2012-02-28
[3]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notothenioid sister lineage illuminates the biogeographic history of an Antarctic adaptive radiation
201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