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이노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노이드는 여성의 신체와 유사하거나 관련된 모든 것을 지칭하는 용어로, 1979년 아이작 아시모프의 사설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현대 로봇 공학 기술의 발전으로 현실화되고 있으며, EveR-1, 액트로이드, HRP-4C 등이 대표적이다. 가이노이드는 성적 대상화 논란을 야기하기도 하며, 픽션에서는 고대 그리스 신화부터 SF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한국에서도 가이노이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기술 발전과 함께 윤리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봇 - 테슬라 봇
    테슬라가 개발 중인 인간형 로봇 테슬라 봇(옵티머스)은 테슬라 차량 기술을 활용, 위험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며 미래에는 친구나 동반자 역할까지 가능한 로봇으로, 전문가들은 실제 성능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다.
  • 로봇 - 가라쿠리
    가라쿠리는 일본에서 발달한 자동인형 및 기계 장치의 총칭으로, 에도 시대에 오락 형태로 전성기를 맞이하며 기술과 예술성을 결합한 독창적인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했고, 무대, 좌식, 산차 가라쿠리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현대에도 재평가받고 있다.
가이노이드
개요
유형여성형 로봇
다른 이름피메일 로봇, 안드로이드 (여성형)
관련 항목휴머노이드, 로봇, 안드로이드, 리플리
특징
외형여성의 외모를 모방
목적다양한 역할 수행 (예: 동반자, 노동, 전투)
묘사영화, TV, 문학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등장
대중 문화 속 예시
영화메트로폴리스》 (1927): 마리아
스텝포드 와이프》 (1975, 2004): 스텝포드 와이프들
블레이드 러너》 (1982): 프리즈
《터미네이터 3: 라이즈 오브 더 머신》 (2003): T-X
엑스 마키나》 (2015): 에이바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2014): 헬렌 조의 안드로이드 비서
TV오스틴 파워》 시리즈: 펨봇
《배틀스타 갤럭티카》: 사일런 모델 중 일부
《웨스트월드》: 호스트들
문학스텝포드 와이프》 (소설)
기타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아나스타샤 (Asterisk 의상)
참고
용어 유래여성(female)과 로봇(robot)의 합성어
같이 보기가이노이드

2. 어원 및 명칭

가이노이드는 '여성'을 뜻하는 그리스어 'gyn-'에서 유래한 용어로, 여성의 신체와 유사하거나 관련된 모든 것을 지칭한다. 안드로이드라는 용어는 성별에 관계없이 인간형 로봇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만, 그리스어 접두사 'andr-'는 남성을 의미한다.[3]

"가이노이드"라는 용어는 1979년 아이작 아시모프의 사설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는 "안드로이드"의 이론적인 여성형에 해당한다.[4]

여성형 로봇을 지칭하는 다른 이름도 존재한다. 혼성어인 "펨봇"(fembot)은 1959년 프리츠 라이버의 ''The Silver Eggheads''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특히 비지각적인 여성 성로봇을 지칭했다.[5] 이 용어는 텔레비전 시리즈 ''바이오닉 우먼''의 "킬 오스카" (1976) 에피소드에서 대중화되었으며,[6] 이후 ''오스틴 파워'' 영화 등에서 사용되었다.[27] "로보티스"는 여성형 로봇을 지칭하는 가장 오래된 용어로, 로봇이라는 용어의 기원인 ''로섬의 유니버설 로봇''(1921)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3. 현실에서의 가이노이드

현대 로봇 공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이노이드는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아이치 엑스포에서 액트로이드가 전시되거나, 산업기술종합연구소에서 HRP-4C가 개발되는 등, 실현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9][10]

주목할 만한 여성형 로봇은 다음과 같다.



가이노이드의 용도로는 접수, 안내, 간병, 접객 등 휴먼 인터페이스로서의 용도가 예상된다.

4. 픽션에서의 가이노이드

인공 여성은 고대 그리스 시대의 저작물(피그말리온 신화 참조)부터 허구와 신화에서 흔한 주제였다. SF에서 여성 외모를 가진 로봇은 종종 가정부와 성적 노예로 제작되는데, 영화 ''웨스트월드'', 폴 J. 맥컬리의 소설 ''페어리랜드''(1995), 레스터 델 레이의 단편 소설 "헬렌 O'로이"(1938)에서 볼 수 있으며, 때로는 전사, 살인자 또는 노동자로 등장하기도 한다.[24] 영화 ''에이리언 4''(Alien Resurrection)의 등장인물 애널리 콜은 성적 대상화가 되지 않은 가이노이드의 드문 예시이다.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인 ''제노사가''에서, 캐릭터 "KOS-MOS"는 여성형 갑옷을 입은 안드로이드이다.[24]

문학에는 특정 유형의 이상적인 여성의 인공적인 구현을 창조하는 오랜 전통이 있으며, 허구의 가이노이드는 이러한 주제의 연장선으로 여겨져 왔다. 예시로는 금속으로 된 여성 하인을 만든 헤파이스토스일리아스에 등장하며, 인공적인 아내를 만든 일마리넨칼레발라에 등장한다. 오비디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피그말리온은 문학사에서 가이노이드와 유사한 창조물의 가장 초창기 개념 중 하나이다. 이 신화에서 여성 조각상은 너무 아름다워서 창조자가 그 조각상과 사랑에 빠지게 되고, 아프로디테에게 기도한 후, 여신은 그를 불쌍히 여겨 조각상을 실제 여성인 갈라테이아로 바꾸고 피그말리온은 그녀와 아이를 갖는다.

마시넨멘슈("기계-인간")는 프리츠 랑의 ''메트로폴리스''에서 "패러디", "푸투라", "로봇릭스", 또는 "마리아 모방자"라고도 불리며, 영화에서 최초의 가이노이드의 예시이다. 여성형 로봇은 로봇임을 알 수 없도록 피부를 부여받고 감금된 마리아를 성공적으로 모방하며 이국적인 댄서로 설득력 있게 활동한다.

허구의 가이노이드는 종종 특정 남성의 욕망에 맞게 제작된 고유한 산물이며, 소설 ''내일의 이브''와 영화 ''완벽한 여성'', ''스텝포드 와이프'', ''마네킨'' 및 ''이상한 과학''에서 볼 수 있으며,[25] 창조자는 종종 ''메트로폴리스''의 로트방, ''블레이드 러너''의 타이어, 그리고 ''스텝포드 와이프''의 남편과 같은 남성 "매드 사이언티스트"이다.[26] 가이노이드는 "궁극적인 괴짜 판타지: 당신 자신의 금속과 플라스틱 여성"으로 묘사되어 왔다.[27]

''두 개의 사나이'' 텔레비전 시리즈는 ''펨봇''이라는 단어를 대중화했다. 이러한 펨봇은 주인공인 제이미 소머스의 가장 친한 친구들의 얼굴을 가진 강력하고 생생한 가이노이드였다.[28] 그들은 "킬 오스카"와 "라스베이거스의 펨봇"이라는 시리즈의 두 개의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에피소드에서 싸웠으며, 여성적인 접두사에도 불구하고, 침투 목적으로 특정 개인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것을 포함한 남성 버전도 있었다. 진정한 인공 지능은 아니었지만, 펨봇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인간으로 통과할 수 있는 매우 정교한 프로그래밍을 가지고 있었다. ''펨봇''이라는 용어는 ''버피와 뱀파이어''에서도 사용되었다.

1987년 SF 영화 ''체리 2000''은 남성 주인공이 자신의 "완벽한 파트너"라고 묘사한 가이노이드 캐릭터를 묘사했다. 1964년 TV 시리즈 ''나의 리빙 돌''은 유사하게 묘사된 줄리 뉴마가 연기한 로봇을 특징으로 한다. 영화 ''그녀''(2013)는 주인공 테오도르가 사랑에 빠지는 사만다라는 인공 지능 도우미를 묘사하지만, 그녀의 지능이 인간의 이해력을 초월하여 그녀는 더 높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떠난다.

최근 2015년 SF 영화 ''엑스 마키나''는 완벽한 동반자를 만들기 위해 가이노이드를 실험하는 천재 발명가를 특징으로 했다.

SF에서는 여성 로봇이 종종 영화 『웨스트월드』나 1995년 폴 J. 매컬리의 소설 『페어리 랜드』, 1938년 레스터 델 레이의 단편 『사랑스러운 헬렌(Helen O'Loy)』, 시로 마사무네의 『공각기동대』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인이나 성노예로 취급된다.[47] 또한, 『투 하트』의 멀티 등, 애니메이션 작품이나 PC 게임, 성인 게임, 성인 만화, 주브나일 포르노, 성인 애니메이션 등 성인향 오타쿠 관련 콘텐츠에 다수 등장한다. 이 외에도 코미디 영화 『오스틴 파워 시리즈』에서는 세계 정복을 노리는 악당 Dr. 이블의 조직이 개발한, 가슴에 가스 분사기나 머신건을 내장한 미녀형 로봇으로 펨봇이 등장하지만, 시리즈 3작품 모두에서 주인공 오스틴 파워에 의해 머리가 폭발하여 파괴되는 것이 매번 "당하는 역할"이 되고 있다.

5. 젠더 및 성적 대상화 논란

가이노이드의 디자인과 묘사는 젠더 고정관념 및 성적 대상화 논란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가이노이드는 과장된 여성적 신체 특징을 강조하거나,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18][19] 예를 들어, 1983년 로렌스 과학관에 전시되었던 "Sweetheart"라는 여성 로봇은 과장된 가슴 때문에 여성에 대한 모욕이라는 비판을 받고 철거되기도 했다.[22]

비평가들은 가이노이드에게 외모나 소리에 근거하여 성별을 부여하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며,[40] 여성에 대한 본질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중성적인 로봇을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1] 또한 가이노이드 제작이 서비스 역할과 연관되어 있는 반면, 안드로이드나 남성 목소리를 가진 시스템은 리더십 위치에 고용된다는 점도 비판받는다.[43]

잭 할버스탐은 영화 ''오스틴 파워: 제2의 사나이''에 등장하는 펨봇(여성형 로봇)을 예로 들며, 과장된 여성성과 성적 매력이 주인공의 과장된 남성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관념을 풍자하는 데 사용된다고 설명한다.[31]

패트리샤 멜처는 가이노이드가 남성의 욕망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주로 성적 대상으로 설계된다고 지적한다.[25] 영화 ''웨스트월드''에서는 여성 로봇들이 인간 남성과의 성관계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33]

아이작 아시모프는 자신의 로봇들이 성적으로 중립적이며, 여성형 로봇을 쓴 것은 편집자의 요청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그의 단편 소설 "여성적 직관"은 가이노이드가 성적인 함축 없이 남성 로봇만큼 유능하고 다재다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초기 사례이다.[38]

6. 페미니즘적 관점

페미니스트들은 가이노이드를 여성의 신체적 강인함과 재생산에 대한 기대로부터의 자유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존재로 보기도 한다. 타츠미 타카유키는 엘레인 쇼월터(Elaine Showalter)의 여성 문화 비평이나 앨리스 자딘(Alice Jardine)의 가이네시스(gynesis영어)와의 연관성을 지적하고 있다.[48][45]

한편, fembot영어는 때때로 페미니스트 여성을 모욕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Sensors for Mobile Robots http://www.cs.cmu.ed[...]
[2] 웹사이트 Extending the Application of Robotics to Humanoids in Air Transportation for Effective Supply Chain Management - SIPMM Publications https://publication.[...] 2017-06-15
[3] 사전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1940
[4] 웹사이트 gynoid https://sfdictionary[...] 2021-05-18
[5] 서적 The Silver Eggheads Ballantine PBO 1961
[6] 서적 My Fair Ladies: Female Robots, Androids, and Other Artificial Eves Rutgers Univ. Press 2015
[7] 서적 Robotto no tensei Media Factory, Inc. 2006
[8] 학술지 I'm your guide 2006-06-09
[9] 뉴스 The Fembot Mystique http://www.popsci.co[...] 2006-08-10
[10] 뉴스 Lifelike walking female robot http://news.bbc.co.u[...] 2009-03-16
[11] 뉴스 First Chinese 'beauty' robot destined for Sichuan http://www.chinadail[...] 2006-08-04
[12] 뉴스 1st beauty robot in China http://english.sina.[...] 2006-08-08
[13] 뉴스 'Some people feel threatened': face to face with Ai-Da the robot artist http://www.theguardi[...] 2021-06-03
[14] 뉴스 'Mind-blowing': Ai-Da becomes first robot to paint like an artist https://www.theguard[...] 2022-04-04
[15] 학술지 Gendering Humanoid Robots: Robo-Sexism in Japan 2010-06
[16] 학술지 ROBO SAPIENS JAPANICUS Humanoid Robots and the Posthuman Family 2007-09
[17] 학술지 Gender representation in humanoid robots for domestic us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09-03
[18]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projectai[...]
[19] 서적 The desirable body: cultural fetishism and the erotics of consump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 뉴스 Ex Machina and sci-fi's obsession with sexy female robots https://www.theguard[...] 2023-05-29
[21] 뉴스 Living dolls: sci-fi's fascination with artificial women https://www.theguard[...] 2023-05-29
[22] 뉴스 Too serious for Professor Bailey https://books.google[...] 1983-11-03
[23] 서적 Technophobia!: Science Fiction Visions of Posthuman Technology University of Texas Press
[24] 서적 Xenosaga Episode I Bradygames Official Strategy Guide http://archive.org/d[...]
[25] 서적 The desirable body: cultural fetishism and the erotics of consump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6] 서적 Technophobia!: Science Fiction Visions of Posthuman Technology University of Texas Press
[27] 웹사이트 Return of the Bodacious 'Bots http://www.popsci.co[...] 2008-12-16
[28] 서적 Forbidden Fruits: Taboos and Tabooism in Culture Popular Press 1984
[29] 서적 SciFi in the mind's eye: reading science through science fiction Open Court
[30] 서적 The Social Psychology of Gender: How Power and Intimacy Shape Gender Relations https://archive.org/[...] Guilford Press
[31] 서적 In a Queer Time and Place: Transgender Bodies, Subcultural Lives NYU Press
[32] 서적 Sex appeal: the art of allure in graphic and advertising design Allworth Press
[33] 서적 British Science Fiction Cinem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1-04
[34] 서적 The souls of cyberfolk: posthumanism as vernacular theory U of Minnesota Press
[35] 서적 The souls of cyberfolk: posthumanism as vernacular theory U of Minnesota Press
[36] 서적 The Bicentennial man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Doubleday
[37] 서적 I. Asimov: a memoir https://archive.org/[...] Doubleday
[38] 서적 Gold: the final science-fiction-collection https://archive.org/[...] HarperPrism
[39] 서적 The Bicentennial man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Doubleday
[40] 웹사이트 Rise of the Fembots: Why Artificial Intelligence Is Often Female https://www.livescie[...] 2015-02-20
[4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men who build female robots https://medium.com/s[...] 2017-07-01
[42] 서적 Invisible Women: Exposing Data Bias in a World Designed for Me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9-03-07
[43] 웹사이트 Adios, Alexa: why must our robot assistants be female? http://www.theguardi[...] 2019-03-04
[44] 간행물
[45] 웹사이트 立ち読み『人造美女は可能か?』はじめに https://www.keio-up.[...]
[46] 간행물
[47] 서적 Technophobia!: Science Fiction Visions of Posthuman Technology University of Texas Press
[48]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