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다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다인은 우간다에 거주하는 반투족으로, 부간다 왕국을 세운 민족이다. 그들은 킨투가 최초의 인간이라는 창조 신화를 가지고 있으며, 1300년경 동쪽에서 이주해 왔다는 전승도 존재한다. 간다 왕국은 카토 킨투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18세기에는 부뇨로 왕국을 제치고 동아프리카의 강국으로 성장했다. 19세기 후반 영국과의 접촉 이후, 1894년 보호령이 되었고, 1962년 우간다 독립 이후 왕국은 폐지되었으나, 1993년 부활하여 현재 우간다 정부로부터 자치권을 인정받고 있다. 간다족은 부계 혈통을 중시하는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씨족 제도가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간다의 민족 - 아촐리족
    아촐리족은 우간다 북부와 남수단 국경 일대에 거주하며 아촐리어를 사용하는 나일족 계통의 민족으로, 추장국 중심 사회를 이루었으나 신의 저항군 반란으로 피해를 입었고 현재 화해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우간다의 민족 - 루오인
    루오족은 케냐 서부 빅토리아 호수 동쪽 분지에 거주하며 수단 남부에서 기원한 닐로트 계통의 민족으로, 케냐 이주 후 식민 시대와 봉기를 겪었으며 정치, 사회, 예술 분야에서 활약하며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 반투족 - 줄루족
    줄루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콰줄루나탈 주에 주로 거주하는 응구니계 민족으로, 샤카 줄루 왕 시대에 강력한 왕국으로 성장했으나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했고, 현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으로 남아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반투족 - 트와족
    트와족은 르완다 등지에 거주하며 수렵 채집 생활을 해 왔으나, 반투족 유입 이후 소수 민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르완다 대학살로 큰 피해를 입었고, 현재는 생활 터전을 잃고 사회적 차별을 받으며 전통적인 도자기 제작으로 정체성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간다인
기본 정보
부간다 전통 춤
부간다 전통 춤
민족명간다족
현지어명Baganda
관련 민족소가족
그웨레족
반투족
인구5,555,319명 (2014년)
거주 지역우간다
언어루간다어
영어
종교기독교
아프리카 전통 종교
이슬람교
민족 계통반투족
명칭
어근간다
개인오무간다 (Omuganda)
사람들아바간다 (Abaganda)
언어올루간다 (Olganda)
국가부간다 (Buganda)
추가 정보
다iaspora 내의 간다족부간다 홈페이지 참조

2. 역사

간다인의 역사는 주로 부간다 왕국의 역사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이들의 기원 신화부터 시작하여 왕국의 형성, 영국의 식민 통치 시기, 그리고 우간다 독립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사건들은 아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창조 신화

바간다족에게는 지구(특히 부간다) 최초의 인간이 킨투였다는 창조 신화가 전해진다. 킨투는 신 구룰루의 딸인 난비와 결혼했으며, 바간다족은 킨투와 난비의 후손이라고 여겨진다. 이 신화에 따르면, 난비의 질투심 많은 오빠인 왈룸베가 지상에 존재하는 모든 인간의 질병과 죽음을 가져온 원인이다. 또 다른 오빠인 카이이쿠지는 왈룸베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오늘날까지 카이이쿠지는 왈룸베가 숨어 있는 지하 세계에서 그를 붙잡아 집으로 데려가기 위해 쫓고 있다고 한다.

2. 2. 초기 역사

바간다족은 자신들의 기원에 대한 창조 신화를 가지고 있다. 이 신화에 따르면 지구 최초의 인간은 킨투이며, 그는 신 구룰루의 딸인 난비와 결혼했다. 바간다족은 킨투와 난비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신화는 또한 난비의 형제인 왈룸베가 인간에게 질병과 죽음을 가져왔고, 다른 형제 카이이쿠지가 이를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다고 전한다.[8]

소개 의식에서 바간다 남성들의 전통 복장.


간다인의 정확한 초기 역사는 명확하지 않으며, 기원에 대해 서로 다른 여러 전승이 존재한다. 앞서 언급된 킨투 신화 외에도, 킨투가 동쪽(엘곤 산 방향)에서 와서 부소가를 거쳐 부간다에 도착했다는 전승이 있다.[9] 또 다른 전승은 간다인이 1300년경 동쪽 또는 북동쪽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의 후손이라고 설명한다.[9] 부간다의 저명한 민족지학자인 아폴로 카그와 경이 기록한 바에 따르면, 킨투는 최초의 무간다(간다인)로서 포디에서 지구로 내려와 키비로를 거쳐 현재 우간다의 와키소 구에 있는 캬돈도에 정착하여 부간다를 세웠다고 한다.

언어학적으로 간다인은 반투족에 속하므로, 그들의 기원은 반투족 대이동을 통해 현재의 동아프리카 지역으로 이주하기 전, 서아프리카와 중앙 아프리카 사이(현대 카메룬 주변)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9]

부간다 왕국의 건국에 대해서는 카토 킨투가 세웠다는 설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진다. 이 카토 킨투는 신화 속 킨투와는 다른 역사적 인물로 여겨지며, 부간다를 건국하고 초대 '카바카'(왕)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통치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설적인 킨투의 이름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카토 킨투는 이전까지 분열되어 있던 여러 부족들을 통합하여 강력한 왕국을 건설하는 데 성공했다.[8]

18세기경, 부간다는 한때 이 지역을 지배했던 부뇨로 왕국을 점차 능가하기 시작했다. 중앙 집권적인 왕정을 중심으로 힘을 모은 바간다(부간다의 사람들)는 방어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영토 확장을 추구했다.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부간다는 영토를 두 배 이상 넓혔고, 부뇨로의 상당 부분을 정복하며 지역의 지배적인 세력으로 부상했다. 새로 정복된 영토에는 왕이 임명한 족장들이 파견되어 다스렸다. 부간다의 군대와 왕실 세금 징수관들은 특별히 건설된 도로망을 통해 왕국 전역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었는데, 이 도로들은 다리와 둑길을 이용해 하천과 늪지대를 건널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또한, 간다인이 '날루발레'(Nnalubale)라고 부르는 빅토리아 호수에는 왕실 해군이 존재했다. 이 해군은 '루시피쉬'(Lusipi) 씨족의 족장이 제독으로 지휘하는 아웃리거 카누 함대로 구성되었으며, 호수 연안 어디든 바간다 특공대를 상륙시켜 기습 공격을 감행할 수 있었다.

2. 3. 영국의 간섭과 식민 통치

탐험가 존 스피크(John Speke)는 나일강의 발원지를 찾는 과정에서 1860년대 부간다(Buganda)를 방문했다. 영국으로 돌아간 그는 동아프리카에서 발견한 발전된 반투 왕국에 대해 높이 평가했고, 이는 다른 탐험가들과 식민주의자들이 부간다로 향하는 계기가 되었다.

언론인 헨리 모턴 스탠리(Henry Morton Stanley)는 1875년 부간다를 방문하여 왕국의 조직력과 군사력을 상세히 기록했다. 그는 부간다 군대의 규모를 추정하기도 했다.

1876년부터 기독교 선교사들이 바간다(Baganda) 사람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부간다 왕국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1881년에서 1890년 사이에 바간다 사람들은 점차 이슬람과 기독교로 개종했다.[10]

스탠리는 부간다의 수도가 약 8만 명의 인구를 가진 질서정연한 도시이며, 언덕 꼭대기에 위치한 카바카(Kabaka, 왕)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묘사했다. 4km가 넘는 성벽이 궁궐 단지를 둘러싸고 있었고, 내부에는 풀 지붕집, 회관, 창고 등이 가득했다. 궁정 입구에는 왕실의 신성한 불인 gombololalug가 타올랐는데, 이 불은 오직 카바카가 사망했을 때만 끌 수 있었다. 궁궐 터에는 외국 사절, 왕실 자문 위원회에 참석하는 추장들, 심부름꾼, 그리고 미래의 추장이 되기 위해 카바카를 섬기는 젊은 시동들로 붐볐다. 왕국 전역의 소통은 사신과 북 신호를 통해 이루어졌다. 스탠리는 한 번의 동쪽 원정에 동원된 군대가 12만 5천 명에 달했으며, 230척의 군함이 해군 지원 역할을 했다고 기록했다.

바나나 잎으로 준비된 부간다 고기 스튜


영국은 부간다의 정부, 사회, 경제 조직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동아프리카에서 만난 가장 진보된 국가 중 하나로 평가했다. 이는 짐바브웨나이지리아에서 발견된 다른 발전된 국가들과 비견될 만한 수준이었다.

카바카 므왕가 2세(Mwanga II of Buganda) 치하에서 부간다는 1894년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그러나 므왕가 2세는 이에 저항하여 1897년 7월 6일 영국에 전쟁을 선포했다. 그는 같은 해 7월 20일 부두 전투에서 패배하고 독일령 동아프리카로 도피했다가 체포되어 부코바에 억류되었다. 이후 탈출하여 왕국을 되찾기 위해 반란을 이끌었으나 1898년에 다시 패배하고 세이셸로 추방되었다.[11][12][13]

므왕가 2세는 망명 중 성공회로 개종하여 다니엘리(Daniel)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는 남은 생애를 망명지에서 보냈으며, 1903년 3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910년 그의 유해는 부간다로 송환되어 카수비 왕릉에 안장되었다.[14][15][16]

므왕가 2세와의 전쟁으로 인해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자, 1900년 우간다의 새로운 위원으로 임명된 해리 H. 존스턴 경은 효율적인 행정 체계를 구축하고 신속하게 세금을 징수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존스턴 경은 부간다의 추장들에게 식민 행정부 직책을 제안하며 협력을 요구했다. 추장들은 이에 응했지만, 부간다의 자치권 유지, 카바카 왕실 혈통의 지속, 그리고 자신들의 사유 토지 확보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힘든 협상 끝에 추장들은 부간다 토지의 절반을 포함하여 원하는 바를 얻어냈다. 그러나 영국에 할당된 "왕실 토지"는 대부분 늪과 관목 지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바간다 사람들의 문화적 의상으로 현지에서는 Ggomesi라고 알려져 있다.


1900년 존스턴의 우간다 협정은 오두막과 총기에 세금을 부과하고 추장들을 세금 징수관으로 임명함으로써 영국과 바간다 지배층 간의 이해관계를 공고히 했다. 영국은 이후 다른 왕국들(토로(1900년), 앙콜레(1901년), 부뇨로(1933년))과도 조약을 체결했지만, 부간다와 달리 사유 토지 보유 조항 없이 훨씬 불리한 조건이었다.

1962년 우간다가 독립한 후, 초대 총리 밀턴 오보테는 1966년에 왕국을 폐지했다. 오보테와 독재자 이디 아민 치하의 혼란기, 그리고 1986년부터 집권한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 하의 국민저항운동 내부 갈등을 겪은 후, 왕국은 1993년에 복원되었다. 현재 부간다는 우간다 내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가진 군주국 형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앙 정부와의 긴장은 여전히 존재한다.

19세기 영국인과의 접촉은 간다족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무테사 1세(1856–1884) 재위 기간 동안 약 300만 명으로 추정되던 간다족 인구는 기근과 내전으로 인해 약 150만 명으로 감소했다. 1900년대 초에는 수면병 유행으로 인구가 약 100만 명까지 줄어들었다.[17] 사회 변화는 무테사 1세 통치 기간에 상비군이 도입되면서 시작되었고,[18] 1894년 부간다가 대영 제국의 우간다 보호령 중심지가 되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이전에는 오직 카바카에게만 속했던 토지가 카바카와 부족 추장들 사이에 분할되었으며, 신성하게 여겨지던 많은 오래된 씨족 매장지가 훼손되는 결과를 낳았다.[19]

2. 4. 독립 이후

1962년 우간다가 독립한 후, 부간다 왕국은 1966년 우간다의 초대 총리 밀턴 오보테에 의해 폐지되었다. 오보테와 독재자 이디 아민 치하에서 수년간의 혼란이 이어졌고, 1986년부터 우간다 대통령을 지낸 요웨리 무세베니가 이끄는 집권 국민저항운동 내부의 여러 해 동안의 분열을 거쳐 1993년에 왕국은 마침내 복원되었다.[25][26][27] 부간다 왕국은 현재 우간다 정부로부터 상당한 자치권을 가진 왕국 군주국이며, 왕국과 우간다 정부 간의 긴장은 계속해서 우간다 정치의 특징을 규정하고 있다.[25][26][27]

1993년 왕국 복원 이후, 카바카로 알려진 부간다 왕은 무웬다 무테비 2세이다. 그는 부간다의 36대 카바카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여왕인 나바게레카는 실비아 나긴다 여왕이다.[28]

3. 문화와 사회 구조

간다족의 사회는 부계 혈통을 기반으로 조직되며, 여러 혈족이 모여 씨족을 이룬다. 씨족은 결혼 중재, 토지 관리 등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며, 서로 다른 씨족 간의 결혼을 통해 동맹을 형성했다. 씨족 구성원들은 특정 고향 영토(obutaka)와 연결되기도 했지만, 거주지는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다. 2009년 기준으로 부간다 왕국에는 52개 이상의 공인된 씨족이 존재하며, 이는 역사적 이주 흐름을 반영하는 여러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20][21]

3. 1. 씨족 제도

간다족의 전통 의상. 남자는 칸주를 입고, 여자는 고메시를 입는다.


간다족의 사회 조직은 부계 혈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한 남자의 자손 중 남성 조상을 통해 연결된 4~5세대 구성원이 부계 혈족을 형성했다. 관련된 혈족들이 모여 씨족을 구성했다. 씨족 지도자는 혈족 대표자 회의를 소집할 권한이 있었으며, 회의의 결정은 씨족 내 모든 혈족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정 중 다수는 결혼에 관한 것이었다. 결혼은 반드시 서로 다른 씨족 사이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양측 씨족 남성들 사이에 중요한 사회적, 정치적 동맹이 형성되었다. 씨족 및 혈족 지도자는 효율적인 토지 이용 관행을 유지하고, 의식과 조상에 대한 기억을 통해 집단의 자부심을 높이는 역할도 했다.

대부분의 혈족은 더 큰 씨족 영토 내에 있는 고향 영토(obutaka)와 연관성을 유지했지만, 혈족 구성원 모두가 반드시 그곳에 거주하지는 않았다. 한 혈족의 남성들이 마을의 중심을 이루고, 그들의 아내, 자녀, 시가(媤家) 식구들이 합류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람들은 지역 지도자에게 불만을 느끼면 자유롭게 다른 친척이나 시가 식구들과 함께 살기 위해 떠날 수 있었고, 실제로 그런 경우가 많았다.

2009년 기준으로, 부간다 왕국에는 최소 52개의 공인된 씨족이 있으며, 최소 4개의 집단이 추가로 씨족 지위를 주장하고 있다. 이 씨족들은 부간다로 유입된 역사적인 이민의 흐름을 반영하는 4개의 뚜렷한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20][21]

3. 2. 가족 생활

간다족 사회에서 가족은 종종 왕국의 축소판으로 여겨진다. 아버지의 권위는 존중받으며, 가족의 수장으로서 그의 결정은 일반적으로 의문의 여지 없이 받아들여진다. 남성의 사회적 지위는 그가 맺는 후원-고객 관계에 따라 결정되는데, 자녀를 통해 이러한 관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때문에 간다족 아이들은 때때로 세 살 정도의 어린 나이에 사회적으로 더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의 집으로 보내져 살기도 한다. 이는 부모 간의 충성심을 다지고 자녀에게 더 나은 사회적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1980년대 연구에 따르면, 어린 시절 부모와 떨어져 지낸 경험이 있는 간다족 성인이 심리적으로 더 잘 준비되었다고 여겨지기도 했다.

간다족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사회적 상위자들 역시 규칙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배운다. 사회 규칙은 부유한 사람이 환대를 통해 자신의 부를 나누도록 요구하며, 이는 지위가 높을수록 더 엄격하게 적용된다. 상위자들은 또한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위엄, 자제력, 자신감을 갖춘 태도를 보여야 하며, 이러한 태도가 성공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권위주의적 통제는 간다 문화의 중요한 특징이다.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왕에 대한 복종이 생사와 직결되는 문제였다. 그러나 동시에 간다 문화는 개인의 성취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개인의 미래는 태어날 때의 신분에 의해 완전히 결정되지 않으며, 노력과 신중한 관계 형성을 통해 스스로 운명을 개척할 수 있다고 믿는다.

간다 문화는 다른 많은 아프리카 사회에 비해 사회적 다양성에 대해 비교적 관용적이다.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부터 많은 간다 마을에는 부간다 외부 출신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일부는 노예로 왔지만, 20세기 초에는 많은 비-간다족 이주 노동자들이 농사를 짓기 위해 정착했다. 비-간다족과의 결혼도 흔했으며, 결혼이 이혼으로 끝나는 경우도 많았다. 우간다 독립 이후, 정부 관리들은 성인 인구의 3분의 1에서 절반 가량이 일생 동안 두 번 이상 결혼하는 것으로 추정했다.[22][23][24]

4. 갤러리

전통적인 간다 칸주

참조

[1] 웹사이트 Uganda https://minorityrigh[...]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2019-06-01
[2] 문서 Ganda
[3] 웹사이트 BAGANDA PEOPLE https://www.101lastt[...]
[4] 웹사이트 Baganda http://www.everycult[...] 2010-07-22
[5] 웹사이트 2014 Ugand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Main Report http://www.ubos.org/[...] Uganda Bureau of Statistics 2018-04-17
[6] 웹사이트 Baganda in the Diaspora http://www.buganda.c[...] 2010-07-22
[7] 웹사이트 Population Composition https://www.ubos.org[...] 2023-08-07
[8] 웹사이트 The Founding of Buganda http://www.buganda.c[...] 2010-07-24
[9] 웹사이트 Baganda People Of Uganda: The Culture, History and Traditions of the Baganda People Of Uganda http://www.uganda-vi[...] 2010-07-24
[10] 웹사이트 UNHCR Web Archive https://www.refworld[...]
[11] 웹사이트 Mwanga {{!}} king of Buganda https://www.britanni[...] 2021-05-31
[12] 뉴스 Kabaka exiled as Buganda calls for independence https://www.monitor.[...] 2021-05-31
[13] 웹사이트 The Uganda Crisis, 1966 http://www.buganda.c[...] 2021-05-31
[14] 웹사이트 The four Kabakas buried at Kasubi http://www.kasubitom[...] 2021-05-31
[15] 웹사이트 Kabaka tombs - Kasubi Tombs {{!}} Buganda Kingdom Tours https://www.achieveg[...] 2021-05-31
[16] 논문 Mutesa, The Missionaries, and Christian Conversion in Buganda 1988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뉴스 Introduction to Uganda culture https://www.kings.ed[...]
[21] 논문 The restoration of the Buganda Kingdom Government 1986–2014: culture, contingencies, constraints 2020
[22] 논문 Women, "Elite Polygyny," and Buganda State Formation 1991
[23] 웹사이트 THE BAGAND Culture {{!}} Uganda Travel Guide http://www.ugandatra[...] 2021-05-31
[24] 뉴스 Buganda {{!}} East African kingdom https://www.britanni[...] 2021-05-31
[25] 웹사이트 HOSTILE TO DEMOCRACY https://www.hrw.org/[...] 2021-06-01
[26] 논문 The Divisive Nature of Ethnicity in Ugandan Politics, Before and After Independence https://www.e-ir.inf[...] 2012
[27] 논문 THE BACKGROUND TO POLITICAL INSTABILITY IN POST-AMIN UGANDA https://escholarship[...] 2021
[28] 간행물 Collapse, War and Reconstruction in Uganda: An Analytical Narrative on State-Making https://www.lse.ac.u[...]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