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턴 오보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턴 오보테는 1925년 우간다에서 태어나, 케냐 독립 운동에 참여하고 1956년 우간다로 돌아와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962년 우간다 총리가 되었으며, 1966년에는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에 취임했다. 1971년 이디 아민에 의해 축출된 후 망명 생활을 했고, 1980년 다시 대통령이 되었으나 1985년 재차 축출되었다. 이후 망명 생활을 하다가 200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간다의 대통령 - 티토 오켈로
티토 오켈로는 우간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85년 쿠데타로 대통령이 되어 6개월간 재임 후 축출, 망명, 사면, 귀국 후 사망했다. - 우간다의 대통령 - 요웨리 무세베니
요웨리 무세베니는 1986년부터 우간다의 대통령으로 재임 중인 정치인으로, 과거 구국전선과 인민 저항군을 조직하여 이디 아민 정권과 밀턴 오보테 정권에 저항했으며, 대통령 취임 후 경제 성장과 에이즈 퇴치에 기여했으나 장기 집권과 권위주의적인 통치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 우간다의 망명자 - 티토 오켈로
티토 오켈로는 우간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85년 쿠데타로 대통령이 되어 6개월간 재임 후 축출, 망명, 사면, 귀국 후 사망했다. - 우간다의 망명자 - 요웨리 무세베니
요웨리 무세베니는 1986년부터 우간다의 대통령으로 재임 중인 정치인으로, 과거 구국전선과 인민 저항군을 조직하여 이디 아민 정권과 밀턴 오보테 정권에 저항했으며, 대통령 취임 후 경제 성장과 에이즈 퇴치에 기여했으나 장기 집권과 권위주의적인 통치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밀턴 오보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아폴로 밀턴 오보테 |
출생지 | 아파크 구, 우간다 보호령 아코코로 |
사망 장소 |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
배우자 | 미리아 오보테 |
자녀 | 5명 |
정당 | 우간다 인민 회의 |
대통령 (2회) | |
이전 대통령 | 대통령 위원회 |
다음 대통령 |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 |
부통령 | 파울로 무왕가 |
대통령 (1회) | |
이전 대통령 | 에드워드 무테사 (비상근) |
다음 대통령 | 이디 아민 |
부통령 | 존 바비하 |
총리 | |
군주 | 엘리자베스 2세 (1963년까지) |
이전 총리 | 베네딕토 키와누카 (비상근) |
다음 총리 | '직책 폐지' 오테마 알리마디 (1980년) |
2. 초기 생애
아폴로 밀턴 오보테는 1925년 12월 28일 우간다 북부 아팍 지구(Apac district) 아코코로(Akokoro) 마을에서 태어났다.[1] 그는 랑고족 오이마(Oyima) 족장의 아홉 자녀 중 셋째였다.[1] 1940년 리라(Lira)의 프로테스탄트 선교 학교에서 교육을 시작하여, 이후 구루(Gulu) 중등학교,[2] 부소가 칼리지(Busoga College), 무이리(Mwiri)[3] 그리고 마케레레 대학교(Makerere University)에 진학했다.[4] 법학을 공부하려 했으나 당시 대학교에 법학 과정이 개설되지 않아 영어와 지리를 포함한 일반 예술 과정을 이수했다.[5]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오보테는 뛰어난 연설 능력을 보였으나,[5] 학생 파업에 참여하여 퇴학당했거나,[6] 혹은 해외 유학을 위한 자금 지원을 보호령 정부로부터 받지 못해[6] 대학을 그만둔 것으로 추정된다.
독립 선거를 앞두고 오보테는 부간다 왕당파인 카바카 예카(Kabaka Yekka)와 연정을 구성했다. 두 정당은 의회 다수당을 차지했고, 오보테는 1962년 총리가 되었다. 그는 1962년 4월 25일 당시 우간다 총독이었던 월터 쿠츠(Sir Walter Coutts) 경에 의해 총리직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총독직은 의회가 선출하는 의전적인 대통령직으로 대체되었다. 부간다의 카바카(국왕)인 무테사가 의전적인 대통령이 되었고, 오보테는 집행 총리가 되었다.[5]
대학을 떠난 후 그는 우간다 남부 부간다(Buganda)에서 잠시 일하다가 케냐로 이주하여 건설 회사에서 건설 노동자로 일했다.[7] 케냐에 있는 동안 오보테는 국가 독립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1956년 우간다로 돌아온 그는 우간다 국민 의회(Uganda National Congress, UNC)에 가입하여 1957년 식민지 입법 의회(Legislative Council) 의원으로 선출되었다.[8][40] 1959년 UNC는 두 개의 파벌로 분열되었고, 오보테가 이끄는 파벌은 우간다 인민 연합(UPU)과 합쳐 1960년 우간다 인민 의회(Uganda People's Congress, UPC)를 결성했다.[9][40]
3. 총리 시절 (1962-1966)
1964년 1월, 우간다 제2의 도시이자 우간다군 제1대대가 주둔하고 있던 진자(Jinja)의 군 병영에서 반란이 발생했다. 동아프리카의 다른 두 국가에서도 유사한 반란이 발생했고, 세 국가 모두 영국군의 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영국군이 도착하기 전에 오보테는 국방장관 펠릭스 오나마(Felix Onama)를 반란군과 협상하도록 파견했다. 오나마는 인질로 잡혔으나, 군인들의 임금 인상 및 훗날 대통령이 되는 이디 아민(Idi Amin)을 포함한 많은 장교들의 빠른 승진 등 요구를 수락했다.[5] 1965년에는 케냐인들이 정부의 지도직에서 배제되었다.[11]
총리 재임 중 오보테는 당시 우간다군 부사령관이었던 이디 아민과 함께 금밀수 사건에 연루되었다. 의회가 오보테에 대한 조사와 아민의 축출을 요구하자, 그는 1966년 3월 헌법을 정지시키고 자신을 대통령으로 선포하며 비상사태 조항을 통해 거의 무제한적인 권력을 장악했다. 이 과정에서 당내 경쟁 세력의 지도자였던 내각의 여러 구성원들이 체포되어 재판 없이 구금되었다. 또한 오보테는 무테사 대통령의 궁전에 대한 무력 공격(멘고 언덕 전투)을 지시했고, 이 공격으로 무테사는 결국 망명길에 올랐다.[12]
3. 1. 멘고 언덕 전투 (1966)
밀턴 오보테(Milton Obote)의 첫 번째 우간다 대통령 임기 중 발생한 중요한 사건으로, 흔히 멘고 위기(Mengo Crisis)라고 불린다. 1966년 5월 24일, 오보테는 캄팔라(Kampala)의 멘고(Mengo)에 위치한 에드워드 무테사 2세(Edward Muteesa II) 국왕(카바카)의 거주지인 루비리(Lubiri) 궁에 대한 공격을 명령했다. 이 공격의 목표는 무테사를 권좌에서 몰아내고 그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것이었다.[14]
공격 당시 궁은 집중 포격을 받아 상당한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무테사 국왕 소유의 롤스로이스 자동차들이 불타는 등의 손실이 발생했다. 무테사는 공격을 피해 궁에서 탈출하여 캄팔라에 있는 영국 고등판무관 공관(British High Commission)으로 피신했다. 그러나 그의 형제인 알렉산더 데이비드 심바 왕자(Prince Alexander David Ssimbwa)는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우간다 정치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국가의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15]
무테사 궁 공격 이후, 오보테는 부간다 왕국을 포함하여 우간다 내에 존재하던 여러 왕국들을 폐지하고 우간다를 공화국으로 선포했다. 이러한 급진적인 조치는 국가 내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하고 민족 간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무테사 궁 공격과 그 여파는 우간다의 정치 지형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사건은 이후 1971년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게 되는 이디 아민(Idi Amin)의 부상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우간다 중앙 정부와 전통적인 부족 기관들 간의 관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끼쳤다.[16]
4. 첫 번째 대통령 임기 (1966-1971)
총리 재임 중 오보테는 당시 우간다군 부사령관이었던 이디 아민과 함께 금 밀수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의회가 오보테에 대한 조사와 아민의 해임을 요구하자, 그는 1966년 3월 기존 헌법을 정지시키고 스스로 대통령에 취임했으며, 비상사태를 선포하여 거의 무제한적인 권력을 장악했다. 이 과정에서 당내 경쟁 세력의 지도자 격이었던 내각의 여러 구성원들이 체포되어 재판 없이 구금되었다. 오보테는 무테사 2세 국왕의 궁전에 대한 무력 공격(멩고 언덕 전투)을 감행하여 대응했고, 결국 무테사는 국외로 망명했다.[12] 1967년에는 의회를 통해 독립 헌법의 연방 구조를 폐지하고 강력한 집행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새로운 헌법을 통과시켜 자신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했다.[13]
1969년 12월 19일, 오보테는 암살 시도를 겪었다. 캄팔라의 루고고 실내 경기장에서 열린 우간다 인민회의 연례 대표자 회의를 마치고 나오던 중, 모하메드 세바두카라는 인물이 오보테에게 총을 발사했다. 총알은 오보테의 얼굴을 스쳐 치아 두 개를 부러뜨리고 뺨을 관통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세바두카의 권총이 고장 나자 다른 공모자 요와나 와말라가 수류탄을 던졌으나 불발했다. 오보테의 경호원들이 세바두카를 사살했지만, 와말라 등 다른 공모자들은 혼란을 틈타 도주했다. 이후 수사 당국은 이들을 체포하고 주요 야당인 우간다 민주당의 여러 당원들을 연루시켜 전 총리 베네딕토 키와누카가 음모의 배후라고 주장했다.[17] 이 암살 시도를 빌미로 모든 야당 활동이 금지되었고, 오보테는 사실상 우간다의 유일한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 집권 기간 대부분 비상사태가 유지되었으며, 수많은 정치적 반대자들이 재판 없이 투옥되었다. 오보테 정권은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고 국민들을 괴롭히고 고문했으며, 특히 오보테의 사촌이 이끌었던 비밀경찰 조직인 일반서비스부(General Service Unit, GSU)는 수많은 잔혹 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악명 높았다.[11] 1969년에는 오보테의 지시에 따라 케냐인들이 우간다에서 대규모로 추방되기도 했다.[11]
1969년부터 1970년 사이, 오보테는 자신의 정치 및 경제 정책 방향을 담은 일련의 팸플릿을 발표했다. 그중 대표적인 "보통 사람의 헌장(The Common Man's Charter)"은 그의 사회주의적 접근 방식을 요약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1970년 정부는 국내 주요 기업과 은행 주식의 51%를 국유화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그러나 오보테 정권 하에서는 "사회주의"라는 명분 아래 극심하고 광범위한 정치 부패가 만연했다.[11] 식량 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물가가 치솟았고, 인도인 상인들에 대한 박해가 이러한 물가 상승을 더욱 부추겼다.[11]
한편, 오보테 정부는 이스라엘과의 관계에서도 갈등을 빚었다. 이전까지 이스라엘 정부는 우간다 경찰과 군대를 훈련시키고, 수단 정부에 맞서 싸우던 남수단 반군 아냐냐에게 무기를 지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보테 정부는 아냐냐에 대한 지원을 철회하고, 심지어 아냐냐를 돕던 독일 용병 롤프 슈타이너를 체포하여 수단으로 송환해 재판받게 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은 이스라엘 정부의 불만을 샀다.[18]
1971년 1월, 오보테가 싱가포르에서 열린 1971년 영연방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던 중, 이디 아민이 이끄는 군부가 1971년 우간다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오보테의 축출은 이미 쿠데타 발생 2년 전부터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가 악화되던 상황에서 벌어졌다. 일부에서는 서방 정부가 쿠데타를 사전에 인지했거나 심지어 지원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19][20][41][42] 특히 이스라엘 정부는 쿠데타 계획 및 실행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는 주장도 있다. 한 소식통에 따르면 이스라엘 요원들이 수도 캄팔라 안팎에서 검문소를 운영하는 등 눈에 띄게 활동했다고 전해진다.[21] 오보테 정권의 몰락은 당시 많은 우간다 국민들에게 환영받았다.[11] 오보테는 탄자니아로 망명했다.
5. 망명과 권력 회복 시도 (1971-1979)
1971년 쿠데타 소식을 접한 오보테는 즉시 나이로비로 이동하여 아민의 정권 장악에 저항하기 위해 우간다 내 충성파 군인들을 규합하려 했다. 그러나 케냐 당국이 그의 접촉 시도를 막았고, 남은 오보테 지지 군인들은 반격을 조직하지 못하고 아민 지지 세력에 의해 숙청되었다.
오보테는 포기하지 않고 탄자니아로 이동하여 더 큰 지원을 받았다. 탄자니아 대통령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오보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그의 사회주의적 성향을 지지했다. 니에레레는 탄자니아 내에 오보테가 망명 정부군을 조직할 수 있도록 훈련소를 제공했다. 한편, 수천 명의 오보테 지지자들(다수의 군인 포함)은 수단으로 피신했고, 수단 정부 역시 이들에게 피난처와 훈련소를 제공했다. 1971년 3월 말부터 오보테는 반군을 조직하여 수단으로 이동했다.
그러나 오보테의 망명 활동은 여러 어려움에 부딪혔다. 우간다 내에서 그의 지지 기반은 약했으며, 좌우파를 막론하고 많은 반대 세력들은 오보테를 지지하기보다 아민을 용인하는 편을 택했다. 심지어 오보테가 이끌던 우간다 인민회의(UPC) 일부도 그에게서 등을 돌렸다. 오보테 진영 내부의 민족적 긴장과 개인적인 경쟁도 군사 훈련을 방해했다. 결정적으로, 1972년 초 수단 정부가 아민과 조약을 맺고 오보테와 그의 추종자들을 추방하면서 그의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오보테는 약 1,000명 남짓의 제대로 훈련받지 못한 반군만을 동원할 수 있었다.
탄자니아와 우간다 간의 긴장이 고조되자 니에레레는 마침내 우간다 침공 계획을 승인했다. 요웨리 무세베니의 집단처럼 오보테에게 비판적이었던 일부 망명자들도 이 작전에 합류했다. 그러나 1972년 감행된 1972년 우간다 침공은 군사적 참패로 끝났고, 반군의 상당수가 파괴되었다. 이 실패는 아민 반대 세력 사이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오보테는 무세베니가 우간다 남부에서 인민 봉기를 일으킬 수 있는 지하 조직을 장악하고 있다고 거짓말을 했다고 비난했으며, 이 사건으로 시작된 둘 사이의 불화는 지속되었다. 침공 시도는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고, 탄자니아 정부는 공식적으로 반군 캠프를 폐쇄하고 반군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약속해야 했다. 오보테와 그의 측근들은 다르에스살람으로 거처를 옮겼고, 많은 이들이 생계를 위해 교사, 변호사, 의사 등으로 일하기 시작했으며, 그의 병사들은 타보라로 이주하여 커피 농장주가 되었다.
탄자니아 정부는 국제 협정에도 불구하고, 비밀리에 이루어지는 한 반(反)아민 활동을 계속 용인할 것이라고 오보테에게 알렸다. 이에 오보테는 다음 몇 년간 대외적으로 저조한 활동을 유지하면서도 권력 회복 노력을 계속했다. 그는 주로 탄자니아 정부가 제공하는 연금으로 생활했으며, 인터뷰나 다른 반대파 인물들과의 접촉을 거의 하지 않고 니에레레의 개인 주택 근처 해변가 주택에서 조용히 지냈다.
하지만 물밑에서는 아민 정권 전복을 위한 활동을 이어갔다. 케냐에서 우간다로 간헐적인 습격을 감행하는 100명 규모의 소규모 게릴라 부대를 조직했으며, 정치 및 무장 활동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빅토리아 호에서 커피를 밀수하는 6척의 배로 구성된 자신만의 "해군"을 운영했다. 이 "해군"은 우간다 내부에 지하 조직을 구축하는 데도 이용되었다. 이러한 작전은 데이비드 오이테-오조크와 같은 최측근들이 맡았다. 오보테는 점진적으로 아민 정권을 약화시켜 결국 민중 봉기를 유도하려 했으나, 그의 반군 조직은 아민 정권의 주요 인물 암살에 실패했고 대부분의 우간다인들로부터 지지를 얻지 못했다. 당시 오보테는 우간다 대부분 지역에서 인기가 매우 낮았으며, 아민에 반대하는 사람들조차 그가 다시 권력을 잡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6. 두 번째 대통령 임기 (1980-1985)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80년 선거 | 우간다의 대통령 | 6대 | 우간다 인민회의 | 47.07% | 1,963,679표 | 1위 |
1979년, 이디 아민은 우간다 망명자들의 지원을 받은 탄자니아군에 의해 축출되었다. 1980년까지 우간다는 임시 대통령 위원회에 의해 통치되었다. 1980년 선거 당시 위원회 의장은 오보테의 측근인 파울로 무왕가였다. 무왕가는 아민 축출과 대통령 위원회 설립 사이에 짧은 기간 동안 우간다의 사실상 대통령을 역임한 세 명의 대통령(유수프 루레, 고드프리 비나이사, 파울로 무왕가) 중 한 명으로서 1980년 5월 12일부터 20일까지 잠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22][23][24]
1980년 선거에서는 오보테의 우간다 인민회의(UPC)가 승리했다. 그러나 야당은 선거가 조작되었다고 주장했으며,[25] 이는 요웨리 무세베니의 국가 저항군(NRA)을 비롯한 여러 군사 집단이 우간다 부시 전쟁이라는 게릴라 전쟁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9] 오보테는 대통령직 외에 재무장관 직책도 겸임했다.[26][27]
1983년, 오보테 정부는 '보난자 작전'이라는 군사 작전을 개시했다. 이 작전으로 수만 명이 사망하고 상당수의 인구가 난민 신세가 되었다.[28] 이 과정에서 발생한 학살에 대한 비난은 오보테 정권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우간다 북부 주민들에게 향했으며, 이는 국가 내 기존의 지역적 긴장을 고조시켰다.[28] 오보테의 우간다 국민 해방군(UNLA)과 게릴라 간의 전투로 인해 사망한 사람의 수는 약 10만 명에서 5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29][30][31]
결국 1985년 7월 27일, 오보테는 다시 권좌에서 축출되었다. 1971년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자신의 군 지휘관들이 일으킨 군사 쿠데타 때문이었는데, 주도자는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 준장과 티토 오켈로 장군이었다. 두 사람은 잠시 군사 평의회를 통해 국가를 통치했으나, 몇 달간의 혼란 끝에 무세베니의 NRA가 국가 통제권을 장악했다. 오보테 정권의 인권 탄압은 심각한 수준이었는데, 1985년 7월까지 국제앰네스티는 오보테 정권 하에서 30만 명 이상의 민간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우간다 중부의 루웨로 삼각지대로 알려진 지역에서 자행된 학대가 두드러졌다.[32][33]
7. 망명 중 사망 (1985-2005)
두 번째 실각 후 오보테는 케냐를 거쳐 잠비아로 망명했다. 수년 동안 우간다 정치에 복귀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으나, 2005년 8월 그는 UPC 지도자직에서 물러날 의사를 밝혔다.[34] 2005년 9월에는 오보테가 그해 말 우간다로 돌아올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다.[35] 2005년 10월 10일, 오보테는 79세의 나이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의 한 병원에서 신부전으로 사망했다.[36]
밀턴 오보테는 2005년 10월 우간다 수도 캄팔라에서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국장(state funeral)으로 장례가 치러졌다. 오보테와 무세베니가 격렬한 정적 관계였기 때문에, 국장 거행은 많은 우간다인들에게 놀라움과 동시에 감사함으로 받아들여졌다.[37] 반면, 루웨로 삼각지대 학살의 생존자들인 바간다족과 같은 다른 집단들은 오보테가 국장으로 예우받는 것에 대해 분노를 표하기도 했다.[38]
그는 부인과 다섯 명의 자녀를 남겼다. 2005년 11월 28일 그의 부인 미리아 오보테가 UPC의 대표로 선출되었다.[39]
참조
[1]
웹사이트
Milton Obote
https://www.britanni[...]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웹사이트
Obote, (Apolo) Milton (1925–2005)
http://www.oxforddnb[...]
2010-08-17
[6]
뉴스
I come from royal ancestry
https://web.archive.[...]
2005-04-08
[7]
웹사이트
How Milton Obote went from casual labourer to Father of the Nation
https://www.pulse.ug[...]
2023-05-24
[8]
웹사이트
The Roots, Emergence, and Growth of the Uganda Peoples Congress, 1600–1985
http://www.upcparty.[...]
[9]
웹사이트
Inside the life of President Milton Obote
https://web.archive.[...]
2021-02-27
[10]
서적
Uganda: Report of the Uganda Constitutional Conference, 1961 and text of the agreed draft of a new Buganda agreement initialled in London on 9th October, 1961
http://worldcat.org/[...]
HMSO
1961
[11]
서적
Uganda Since Independence: A Story of Unfulfilled Hopes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12]
웹사이트
The Last Word: From Obote's 1966 to Museveni's 2016
https://www.independ[...]
2020-08-16
[13]
웹사이트
Today in history: Obote becomes president
https://www.newvisio[...]
2020-08-16
[14]
웹사이트
Events leading to the Lubiri attack
https://www.newvisio[...]
2023-07-06
[15]
웹사이트
49 years after Lubiri attack: The lessons and memories
https://www.monitor.[...]
2023-07-06
[16]
웹사이트
Today in history: Obote orders Idi Amin to attack the Kabaka's palace
https://www.pulse.ug[...]
2023-07-06
[17]
뉴스
When Obote, Amin survived assassination
https://www.monitor.[...]
2021-08-09
[18]
서적
Uganda since Independence, A Story of Unfulfilled Hopes
Africa World Press
[19]
서적
Ghosts of Kampala: The Rise and Fall of Idi Amin
[20]
서적
African Upheavals since Independence
Westview Press
[21]
서적
Uganda since Independence
Africa World Press
[22]
웹사이트
Milton Obote returns after nine-year exile in Tanzania
https://www.monitor.[...]
2023-07-06
[23]
웹사이트
Uganda: Obote's legacy – DW – 04/15/2016
https://www.dw.com/e[...]
2023-07-06
[24]
웹사이트
Uganda - The Second Obote Regime: 1981-85
https://countrystudi[...]
2023-07-06
[25]
웹사이트
Today in history: Obote returns, lands in Bushenyi
http://www.newvision[...]
2019-11-12
[26]
웹사이트
Uganda's finance ministers since independence
https://www.newvisio[...]
[27]
웹사이트
President Apollo Milton Obote {{!}} State House Uganda
https://www.statehou[...]
2023-07-06
[28]
논문
Kony's Message: A New Koine?
[29]
뉴스
Uganda's first prime minister, and two-time president, dead at 80
http://usatoday30.us[...]
Associated Press
2005-10-10
[30]
서적
International Conflict: A Chronological Encyclopedia of Conflicts and Their Management 1945–1995
Congressional Quarterly
[31]
웹사이트
Uganda
https://www.cia.gov/[...]
[32]
뉴스
Notes On Concealment Of Genocide In Uganda
http://www.blackstar[...]
2008-12-11
[33]
웹사이트
Why Obote II feared his home and State House
https://observer.ug/[...]
2023-07-06
[34]
뉴스
Uganda's exiled ex-president Obote to retire from party's presidency
https://web.archive.[...]
2005-08-28
[35]
뉴스
Uganda's exiled ex-president to return home before end of 2005
http://english.peopl[...]
2005-09-02
[36]
뉴스
Former Ugandan leader Obote d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5-10-10
[37]
뉴스
Former foe mourns Uganda's Obot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5-10-20
[38]
간행물
A founding father adored, dreaded in equal measure
The Monitor
2005-10-11
[39]
웹사이트
Walking in Obote’s shadow
http://www.monitor.c[...]
Monitor
2005-12-21
[40]
웹사이트
The Roots, Emergence, And Growth Of The Uganda Peoples Congress, 1600-1985
http://www.upcparty.[...]
UPC
2006-11
[41]
서적
Ghosts of Kampala
1980
[42]
서적
African Upheavals Since Independence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