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주르자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주르자브는 1903년 바보자브의 차남으로 태어난 몽골의 군인이다. 1931년 만주 사변 이후 몽골 독립군을 조직하여 총사령관을 맡았으나, 작전 방침 이견으로 내몽골 자치군으로 개편된 후에는 총참모장 겸 제3군 사령관으로 활동했다. 만주국 성립 후에는 만주국군에 복무하며 흥안군에서 참모장 등을 역임했고, 중일 전쟁 중에는 감지대 지대장으로 공산군 토벌에 참여했다. 1945년 소련의 참전 이후 소련군 포로가 되어 시베리아에 억류되었다가 푸순 전범 관리소에서 사상 개조를 받고 1960년 특사로 석방되었으며, 동생의 사망 1년 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베리아 억류자 - 우노 소스케
    우노 소스케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일본 정치인으로, 외무대신 등 요직을 거쳐 제75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나 여성 스캔들로 인해 69일 만에 사임하며 최단명 내각 중 하나를 이끌었고, 시베리아 억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 시베리아 억류자 - 사토 슌지
    사토 슌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국과 만주에서 생물무기 개발 및 사용에 관여한 일본 제국 육군 장교로, 전쟁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그의 행위는 심각한 인도주의적 문제를 야기했다.
  • 만주국의 군인 - 윤태일 (1918년)
    윤태일은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기업인이며, 박정희 정권에서 서울특별시장과 대한주택공사 총재,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만주국의 군인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 랴오닝성 출신 - 이여송
    이여송은 조선 출신 이주민 후손으로 명나라 장군이 되어 임진왜란 때 명나라 원군을 이끌고 평양성을 탈환하는 공을 세웠으나 소극적인 태도와 횡포에 대한 비판도 있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랴오닝성 출신 - 뤄즈쥔
    중국 공산당 고위 간부 뤄즈쥔은 장쑤성 당 서기, 난징시 시장과 당 서기 등 요직을 역임하고 전국인민대표대회 환경보호 및 자원보존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중국 공산당 제18차 중앙위원회 위원이었다.
간주르자브
기본 정보
오른쪽이 간주르자브. 1927년에 여순의 야마토 호텔. 가와시마 요시코와의 결혼식 사진.
오른쪽이 간주르자브. 1927년에 여순에서 카와시마 요시코와 결혼식 사진.
씨명간주르자브
로마자 표기Ganjuurjab
출생1903년
사망1971년
출생지랴오닝성장우현
사망지내몽골 자치구해라얼
소속 조직만주국군
군 경력1931년 - 1945년
최종 계급중장 (제9군관구 사령관)

2. 초기 생애 및 몽골 독립 운동 (1903년 ~ 1931년)

1931년 9월 만주 사변이 발발하자, 간주르자브는 이를 몽골 독립의 기회로 여겼다. 그는 국내외 몽골 청년들을 모아 일본 관동군의 지원을 받아 몽골 독립군을 조직하고 총사령관에 올랐다. 이 부대는 이후 '내몽골 자치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러나 작전 방침을 둘러싼 내부 의견 충돌로 인해, 조직 개편 과정에서 간주르자브는 총참모장 겸 제3군 사령관으로 직책이 변경되었다. 10월 13일, 간주르자브가 이끄는 제3군은 통랴오 현성을 공격했으나, 제1군과 제2군의 협력을 얻지 못하고 동북군 기병 제3여단의 반격에 밀려 후퇴했다[4].

2. 1. 출생과 가계

1903년 (광서 28년), 바보자브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바보자브는 1916년 제2차 만몽 독립 운동 당시 기병 부대를 이끌고 활동했으나, 중화민국군 (장쭤린의 동북군)과의 전투 중 전사했다. 아버지의 사망 후, 간주르자브는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 대학에서 공부했으나 중퇴하였다. 이후 1925년에는 '한소약'이라는 가명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 (중화대 제18기)에 입학했다[1][2].

1927년에는 숙친왕의 14번째 딸이자 가와시마 나미오의 양녀인 가와시마 요시코와 결혼했다. 그러나 1929년 요시코가 갑자기 행방을 감추었고, 간주르자브 역시 그녀를 적극적으로 찾지 않았다. 이후 1932년, 간주르자브는 정가툰에서 배자(貝子) 세라가왕주얼의 딸과 재혼했다[3].

2. 2. 제2차 만몽 독립 운동 참여와 일본 유학

1903년 (광서 28년), 바보자브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916년 발발한 제2차 만몽 독립 운동 당시, 아버지 바보자브는 기병 부대를 이끌고 몽골 독립 운동에 나섰으나, 중화민국군 (장쭤린 휘하 동북군)과의 전투 중 전사했다.

아버지의 사망 이후, 간주르자브는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 대학에서 잠시 수학했으나 중퇴하였다. 1925년에는 '한소약'이라는 가명을 사용하여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중화민국 유학생 신분(중화대 제18기)으로 입학했다[1][2]. 1927년에는 청나라 숙친왕의 14번째 딸이자 가와시마 나미오의 양녀인 가와시마 요시코와 결혼하였다. 그러나 결혼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고, 1929년 요시코가 갑자기 행방을 감추면서 사실상 파경을 맞았다. 간주르자브 역시 그녀를 적극적으로 찾지는 않았다[3].

2. 3. 결혼과 이혼

1927년 숙친왕의 14녀이자 가와시마 나미오의 양녀인 가와시마 요시코와 결혼했다. 그러나 1929년 요시코가 갑자기 사라졌고, 간주르자브 역시 그녀를 찾지 않으면서 사실상 관계가 끝났다. 이후 1932년 간주르자브는 정가툰에서 배자 色拉嘎旺珠爾|세라가왕주얼중국어의 딸과 재혼했다[3].

3. 만주사변과 몽골 독립군 활동 (1931년 ~ 1932년)

1931년 9월 만주 사변이 발발하자, 간주르자브는 관동군의 지원을 받아 몽골 독립군을 조직하며 활동을 시작했다. 초기 군사 활동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4], 1932년 3월 만주국이 성립되자 그의 부대는 만주국군 산하 흥안남분성 경비군으로 편입되었고, 간주르자브는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 쑤빙원의 반란이 발생하자, 흥안남 경비군은 관동군과 함께 토벌 작전에 참여했다[5].

3. 1. 몽골 독립군 결성

1931년 9월 만주 사변이 발발하자, 간주르자브는 이를 몽골 독립의 좋은 기회로 판단했다. 그는 국내외 몽골 청년들을 규합하여 일본 관동군의 지원 아래 몽골 독립군을 창설했다. 이 부대는 이후 '내몽골 자치군'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간주르자브는 처음 총사령관에 취임했으나, 작전 방침을 둘러싸고 다른 간부들과 의견 차이를 보였다. 결국 내몽골 자치군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총참모장 겸 제3군 사령관으로 직책이 변경되었다. 1931년 10월 13일, 간주르자브가 지휘하는 제3군은 퉁랴오 현성을 공격했다. 그러나 이 공격은 제1군과 제2군의 협력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진행되었고, 동북군 기병 제3여단의 반격에 부딪혀 실패로 끝났다[4].

3. 2. 퉁랴오 전투와 좌절

1931년 9월 만주 사변이 발발하자, 간주르자브는 이를 몽골 독립의 호기로 판단했다. 그는 국내외 몽골 청년들을 모아 관동군의 지원 아래 몽골 독립군(이후 "내몽골 자치군"으로 개칭)을 편성했다. 처음에는 총사령관을 맡았으나, 작전 방침을 둘러싼 다른 간부들과의 의견 충돌로 인해 내몽골 자치군으로 개편될 때 총참모장 겸 제3군 사령관이 되었다. 10월 13일, 간주르자브가 이끄는 제3군은 퉁랴오 현성을 공격했으나, 제1군과 제2군의 협력을 얻지 못한 채 동북군 기병 제3여단의 반격을 받아 격퇴되었다[4] .

4. 만주국군 복무 (1932년 ~ 1945년)

1931년 9월 만주 사변이 발발하자, 간주르자브는 이를 몽골 독립의 기회로 보고 국내외 몽골 청년들을 모아 관동군의 지원 아래 몽골 독립군(이후 '내몽골 자치군'으로 개칭)을 편성하고 총사령관에 올랐다. 하지만 작전 방침을 둘러싼 내부 갈등으로 총참모장 겸 제3군 사령관으로 밀려났고, 10월 13일 통랴오 현성 공격은 다른 부대의 비협조와 동북군의 반격으로 실패했다[4].

1932년 3월 만주국이 성립되면서 내몽골 자치군은 만주국군에 편입되어 흥안남분성 경비군으로 개편되었고, 간주르자브는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 쑤빙원이 만주국에 대항해 봉기하자, 간주르자브가 속한 흥안남 경비군도 관동군의 토벌 작전에 참여했다[5]. 이후 간주르자브는 만주국 내에서 흥안국 경무과 사무관, 달한왕부 흥안 경찰국 국장, 흥안남성 경무청장 등 군경 관련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흥안 육군 군관학교 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2].

중일 전쟁이 진행 중이던 1938년에는 소장 계급으로 '감지대'라는 약 1,000명 규모의 기병 부대를 지휘했다. 이 부대는 허베이성에서 러허성으로 진격해 온 중국 공산당군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6][7].

1945년 8월, 소련의 대일 참전으로 만주국이 붕괴 위기에 처했을 때, 간주르자브는 중장 계급으로 제9군관구 사령관을 맡고 있었다. 8월 12일 부대 후퇴가 결정되었고, 8월 15일 부대는 보왕부에 집결했다. 그러나 8월 16일 새벽, 그의 동생 존주르자브(제10군관구 참모장)가 반란을 일으킨 상황 속에서, 간주르자브는 부대를 남겨둔 채 소수의 부관과 함께 말을 타고 자취를 감추었다[8]. 지휘관을 잃은 제9군관구 부대는 결국 그날 해산되었다[9].

4. 1. 만주국군 편입과 흥안군 활동

1932년 3월 만주국이 세워지자, 간주르자브가 속했던 내몽골 자치군은 만주국군에 편입되어 흥안남분성 경비군으로 개편되었고, 간주르자브는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 쑤빙원이 만주국에 대항하여 봉기하자, 흥안남 경비군은 관동군의 쑤빙원 토벌 작전에 참여하였다[5].

만주국 시기 동안 간주르자브는 여러 요직을 거쳤다.

직책소속/지역
경무과 사무관흥안국
흥안 경찰국 국장달한왕부
경무청장흥안남성
교장흥안 육군 군관학교

[2]

중일 전쟁이 한창이던 1938년, 중국 공산당군허베이성에서 러허성으로 진격해오자, 만주국은 이를 저지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7월 3일, 간주르자브 소장이 지휘하는 '''감지대'''(흥안 기병 제5단, 제2단, 제3단 약 1,000명)가 투입되었다. 감지대는 고북구 부근을 시작으로 싱룽 현, 미윈, 지 현, 준화 일대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그해 12월까지 총 45회의 전투를 치르며 공산당군 약 5,000명을 격파했다고 알려졌다[6][7].

1945년 8월, 소련이 만주를 침공했을 당시 간주르자브(당시 계급 중장)는 제9군관구 사령관이었다. 8월 12일, 제9군관구는 퉁랴오에서 펑톈 방면으로 후퇴하기로 결정했고, 8월 15일에는 부대가 보왕부에 집결했다. 그러나 8월 16일 새벽, 간주르자브는 부관 두 명과 함께 말을 타고 부대를 떠나는 모습이 일본군 관료에게 목격되었다. 이는 그의 동생인 존주르자브(제10군관구 참모장, 소장)가 일으킨 반란과 관련하여, 군대를 사실상 버리고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8]. 지휘관을 잃은 제9군관구 부대는 결국 그날 해산되었다[9].

4. 2. 만주국 내 요직 역임

1932년 3월 만주국이 성립되자, 간주르자브가 참여했던 내몽골 자치군은 만주국군에 편입되어 흥안남분성 경비군으로 개편되었다. 이때 간주르자브는 참모장에 취임했다. 같은 해 9월 쑤빙원이 반란을 일으키자, 흥안남 경비군은 관동군의 쑤빙원 토벌 작전에 참여했다[5].

만주국 시대에 간주르자브는 여러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2].

직책소속/지역
흥안남분성 경비군 참모장만주국군 흥안군
흥안국 경무과 사무관만주국 흥안국
달한왕부 흥안 경찰국 국장만주국 달한왕부
흥안남성 경무청장만주국 흥안남성
흥안 육군 군관학교 교장만주국군



중일 전쟁 중인 1938년, 중국 공산당군허베이성에서 러허성으로 침입하자, 7월 3일 간주르자브 소장을 지대장으로 하는 '''감지대'''가 파견되었다. 감지대는 흥안 기병 제5단, 제2단, 제3단 약 1,000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부대는 고북구 부근에서 싱룽 현, 미윈 현, 지 현, 준화 방면을 오가며 전투를 벌였고, 12월까지 총 45회의 전투를 치르며 공산군 약 5,000명을 격파했다고 알려졌다[6][7].

1945년 8월 소련의 대일 참전 당시, 간주르자브(당시 계급 중장)는 제9군관구 사령관이었다. 8월 12일, 제9군관구는 퉁랴오에서 펑톈 방면으로 후퇴하기로 결정했고, 8월 15일 부대는 보왕부에 집결했다. 그러나 8월 16일 새벽, 간주르자브는 부관 2명과 함께 말을 타고 떠나는 모습이 일본군 관료에게 목격되었다. 이는 동생인 존주르자브(제10군관구 참모장, 소장)가 반란을 일으킨 상황과 맞물려, 군대를 남겨둔 채 자취를 감춘 것으로 해석된다[8]. 사령관이 사라지자 제9군관구 부대는 그날 해산되었다[9].

4. 3. 중일전쟁 참전 (감지대 지휘)

중일 전쟁 중인 1938년, 중국 공산당군허베이성에서 러허성으로 침입해 왔다. 이에 대해 7월 3일, 간주르자브 소장을 지대장으로 하는 '''감지대''' (흥안 기병 제5단, 제2단, 제3단 약 1,000명)가 파견되었다. 감지대는 고북구 부근에서 싱룽 현, 미윈, 지 현, 준화 방면을 전전하며, 12월까지 전투 45회, 공산군 약 5,000명을 격파했다[6][7] .

5.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이후 (1945년 ~ 1968년)

1945년 8월, 소련의 대일 참전이 시작될 당시 간주르자브(중장)는 제9군관구 사령관이었다. 8월 12일, 제9군관구는 퉁랴오에서 펑톈 방면으로 후퇴하기로 결정했고, 8월 15일 부대는 보왕부에 집결했다. 그러나 8월 16일 새벽, 동생 존주르자브가 반란을 일으킨 상황에서 간주르자브는 부대를 남겨둔 채 소수의 부관과 함께 떠났고, 사령관을 잃은 제9군관구 부대는 결국 해산되었다[8][9] .

이후 간주르자브는 소련군의 포로가 되어 신징의 남령을 거쳐 시베리아로 보내졌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푸순 전범 관리소에 구금되어 사상 개조를 받았다. 1960년 제2차 특사로 석방되었으며, 동생 존주르자브가 사망한 1967년 다음 해인 1968년경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1] .

5. 1. 소련군 참전과 종적

1945년 8월, 소련의 대일 참전이 시작될 당시 간주르자브(중장)는 제9군관구 사령관이었다. 8월 12일, 제9군관구는 퉁랴오에서 펑톈 방면으로 후퇴하기로 결정했고, 8월 15일에는 부대가 보왕부에 집결했다.

그러나 8월 16일 새벽, 간주르자브 사령관은 부관 2명과 함께 말을 타고 떠나는 모습이 일본군 관료들에게 목격되었다. 이는 동생인 존주르자브 (제10군관구 참모장 소장)가 반란을 일으킨 상황과 맞물려, 간주르자브가 군대를 남겨둔 채 자취를 감춘 것으로 해석된다[8] . 사령관을 잃은 제9군관구 부대는 결국 그날 해산되었다[9] .

이후 간주르자브는 소련군의 포로가 되어 신징의 남령에 수용되었고, 시베리아로 억류되었다. 푸순 전범 관리소에 구금되어 사상 개조를 받았으며, 1960년 제2회 특사로 석방되었다. 그의 사망 시기는 동생 존주르자브가 사망한 1967년의 1년 후인 1968년경으로 알려져 있다[10][11] .

5. 2. 소련군 포로와 사상 개조

간주르자브는 소련군의 포로가 되어 신징의 남령에 수용된 후 시베리아로 보내졌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푸순 전범 관리소에 구금되어 사상 개조 교육을 받았다. 1960년 제2차 특사 때 석방되었으며, 동생 존주르자브가 사망한 1967년 다음 해인 1968년경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1] .

5. 3. 석방과 사망

1945년 8월 소련의 대일 참전 시, 간주르자브(중장)는 제9군관구 사령관이었다. 8월 12일, 제9군관구는 퉁랴오에서 펑톈 방면으로의 후퇴를 결정했고, 8월 15일, 부대는 보왕부에 집결했다. 8월 16일 새벽, 간주르자브 사령관과 부관 2명이 기마로 떠나는 모습이 일본군 관료들에게 목격되었다. 동생인 존주르자브 (제10군관구 참모장 소장)가 반란을 일으킨 데 대해, 간주르자브는 군대를 남겨둔 채 자취를 감췄다[8] . 사령관을 잃은 제9군관구 부대는 그날 해산되었다[9] .

간주르자브는 적군의 포로가 되어, 신징의 남령에 수용된 후 시베리아로 억류되었다. 그 후 푸순 전범 관리소에 구금되어 사상 개조를 받았다. 1960년 제2회 특사로 석방되었고, 동생 존주르자브의 사망(1967년) 1년 후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10][11] .

참조

[1] 서적 2004
[2] 서적 2000
[3] 서적 2004
[4] 서적 2009
[5] 서적 2009
[6] 서적 1976
[7] 서적 2004
[8] 서적 2004
[9] 서적 1976
[10] 서적 2004
[11] 서적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