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감강 (장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강(贛江)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을 흐르는 강으로, 깐장이라고도 불린다. 간저우 시 장궁 구에서 동쪽의 궁수이와 서쪽의 장수이가 합류하여 시작되며, 북쪽으로 흘러 난창 시를 거쳐 포양호로 유입된다. 깐장의 이름 유래에는 장수이와 공수이의 합류를 의미하는 '장공 합류설'과 고대 거인 깐거인에서 유래했다는 '깐거인설'이 있다. 유역의 기후는 온화하고 강수량이 풍부하며, 연평균 유량은 황허보다 많다. 장시성 최대의 완안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시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장시성의 강 - 미뤄강
    미뤄강은 후난성 북동부를 흐르는 강으로, 굴원이 몸을 던진 곳이자 용주와 쫑즈 같은 중국 민속 행사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 장강의 지류 - 진사강
    진사강은 사금이 많이 채취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장강의 상류를 가리키며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티베트와 쓰촨 성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 민강과 합류하여 장강이 되고, 현재는 대규모 댐 건설로 세계 최대 수력 발전소 밀집 지역이 되었다.
  • 장강의 지류 - 황푸강
    황푸강은 상하이시를 가로지르며 푸시와 푸둥을 나누는 경계 역할을 하고 창장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상하이의 주요 식수원이자 교통로인 강이다.
감강 (장시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간강 (赣江)
로마자 표기Gan Gang (Gàn Jiāng)
다른 이름감강
위치장시성
성(省) 약칭간 (赣) (강시성 최대 하천이므로)
지리
발원지장시성
하구포양호
길이599 km (또는 527 km, 751 km, 885 km - 자료에 따라 다름)
유역 면적103,074 km² (또는 83,500 km² - 자료에 따라 다름)
평균 방류량2,865 m³/s
지류
왼쪽 지류공강, 장강
오른쪽 지류메이강

2. 명칭의 유래

깐장(贛江)은 고대에는 '''灨''' 또는 '''淦'''으로도 표기했다. 진나라 이전 시대에는 '''양한''', 대에는 '''호한'''이라고 불렸다. 깐수(贛水)라는 이름은 산해경 권13 「해내동경」에 처음 등장하며, "깐수는 섭도산에서 나와 동북쪽으로 흘러 펑저의 서쪽으로 들어간다"고 기록되어 있다.

깐장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지만, 주요하게는 "장공 합류설"과 "깐거인설"이 있다. 장공 합류설은 장시성 남부의 두 강이 간저우시(장궁구)에서 합류하여 깐장이 된다는 설이고, 깐거인설은 고대 전설 속 거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2. 1. 장공 합류설 (章貢合流說)

장공 합류설은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설이다. 장시성 남부의 산지를 흐르는 "장수"와 "공수"라는 두 개의 강이 간저우시(장궁구)에서 합류하여 깐장이 된다. 이 때문에, 좌측에 장(章) 자, 우측에 공(貢) 자를 조합하여 "贑" 자가 생겨났고, 이것이 바뀌어 "贛"이 되었다는 설이다. 이 설의 문제점은 "贛" 자는 진나라 이전 시대에 나타난 반면, "贑" 자는 대 이후에야 나타났다는 점이다.[5]

2. 2. 깐거인설 (贛巨人說)

깐거인(贛巨人)은 고대 중국 전설에 나오는 남방에 살았다고 전해지는 거인이다. 「산해경」의 「해내경」에 처음 등장하며, "남방에는 깐거인이 있어, 사람의 얼굴을 하고 팔이 길며, 몸은 검고 털이 나 있으며, 발뒤꿈치가 뒤로 젖혀져 있다"[5]고 기록되어 있다. 진나라 곽박의 「산해경」 주석에는 "지금의 교주·난캉 군(장시성 남부 주변)에는 깊은 산 속에 이러한 것들이 살고 있다. ... 난캉에는 현재 깐수가 있으며, 이 사람들이 살고 있기 때문에 이 강에 이름이 붙었다"[6][7]고 기록되어 있다.

3. 지리

감강은 간저우 시 장궁 구에서 동쪽의 궁수이와 서쪽의 장수이가 합류하여 시작된다.[1]

감강의 동쪽 수원지는 스청 현의 우이산 황주령이다. 처음에는 '''몐수이'''라고 불리며, 루이진 시를 흐른다. 후이창 현에서 샹수이와 합류하여 '''궁수이'''라는 이름이 되고, 위두 현, 간 현, 장궁 구로 흐른다. 이 강의 수원지가 감강의 수원지로 여겨진다.[1]

서쪽 수원인 '''장수이'''는 충이 현의 녜두산·장차이동을 수원으로 한다. 다위 현, 상유 현, 난캉 구, 간 현, 장궁 구를 거쳐, 장궁 구의 바징타이에서 궁수이와 합류한다.[1]

장궁 구에서 합류한 감강은 북쪽으로 흘러 완안 현, 타이허 현, 지안 현, 지저우 구, 칭위안 구, 지수이 현, 샤장 현, 신간 현, 장수 시, 펑청 시를 거쳐, 난창 시의 신젠 구, 난창 현으로 들어가, 네 갈래로 갈라져 포양호로 유입된다.[1]

3. 1. 상류

간저우 시 장궁 구에서 동쪽의 궁수이와 서쪽의 장수이가 합류하여 감강이 시작된다.[1]

감강의 상류는 간저우 시까지로, 산지를 종횡으로 흘러 지류가 매우 많다.[1] 주요 지류로는 샹수이, 롄장, 메이장, 핑장, 타오장, 상유강 등이 있으며, 이들은 장수이 또는 궁수이에 합류한다.[1]

3. 2. 중류

간저우 시에서 신간 현까지가 감강의 중류이다. 간저우 시에서 완안 현까지의 구간에서는 강이 쑤이촨·상유 산지를 관통하여 흐르기 때문에 협곡과 급류가 많았지만, 완안 수력 발전소의 건설로 급류의 대부분은 수몰되었다. 완안 현에서 하류에서는 강이 지타이 분지로 들어가 강폭이 넓어지고 흐름도 완만해진다. 중류에서의 지류에는 구장, 쑤이촨강, 수이, 허수이, 루수이허 등 비교적 큰 강이 있으며, 수량도 여기서 증대된다. 지수이 현에서 신간 현까지의 구간은 우궁산맥의 지맥을 관통하기 때문에 긴 협곡이 되어 있다.[1]

3. 3. 하류

신간 현부터는 하류로, 산은 뒤로 물러나 넓은 평야가 되고, 강면도 넓어지고 흐름도 매우 완만하다. 위안수이 및 몐허가 이 구간에서의 주요 지류이다.[1]

4. 기후 및 유량

감강 유역의 기후는 온화하고 강수량이 충분하며, 연평균 강수량은 1400mm에서 1800mm에 달한다. 감강의 연평균 유량은 687억 입방미터로, 황허보다 많다.[1] 그러나 1년 동안의 강수량 분포는 균등하지 않아 수량이 적은 시기도 있으며, 또한 하상은 얕아서 수운은 중류·하류에 거의 국한된다.[1] 완안 댐 건설 후에는 수량 부족도 개선되어 본류에서는 1년 내내 100톤에서 300톤의 화물선과 여객선이 항행할 수 있다.[1]

5. 역사적 의의

난링 산맥 중 감강(장수이)의 상류에는 다위링(메이링)이라는 산맥이 있다. 이 산맥을 넘는 "메이관 고도"는 장수이 연안의 다위 현에서 베이장(주강 상류) 연안의 난슝 시로 넘어가는 산길로, 진나라 시대부터 1936년 웨한 철도 개통까지 중국 북방에서 링난 지방으로 남하하는 주요 가도였다.

6. 환경 문제와 개발

(이전 출력이 빈 텍스트였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어진 제목과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Golden-Silk Smoke: A History of Tobacco in China, 1550–20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19-03-02
[3] 웹사이트 http://www.sohu.com/[...] Sohu Education 2017-07-08
[4] 서적 Fighting Ships of the Far East (1): China and Southeast Asia 202 BC-AD 1419 Osprey Publishing
[5] 문서 「南方有贛巨人、人面長臂、黒身有毛、反踵。」
[6] 문서 「今交州南康郡深山中皆有此物也。長丈許,脚跟反向,健走、披髪、好笑,雌者能作汁,灑中人即病,土俗呼為山都。南康今有贛水,以有此人,因以名水。」
[7] 웹사이트 「贛」得名芻議,韓振飛 http://www.gzwhxx.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