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탕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탕나무는 끈끈한 물질이 있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주로 산지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수이다. 한국에서는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제주도, 울릉도 등지에 분포하며, 높이는 약 10m까지 자란다. 잎은 타원형이며, 황록색 꽃이 피고, 열매는 붉게 익는다. 감탕나무씨침벌이라는 천적이 존재하며, 꽃가루 수분 없이 종자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나무껍질은 새끈이의 재료로 사용되며, 약용으로도 쓰인다. 일본에서는 정원수로 널리 사용되며, 일부 지역의 상징 나무로 지정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탕나무속 - 먼나무
먼나무는 난대 지방에 분포하는 늘푸른 넓은잎 큰키나무로, 3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붉은 열매가 맺히며, 정원수, 공원수 등으로 사용되고, 제주 4.3 사건과 관련하여 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해제된 사례가 있다. - 감탕나무속 - 호랑가시나무
날카로운 가시 잎이 특징인 호랑가시나무는 중국과 한국 원산의 상록 관목으로, 관상용, 약용으로 쓰이며 붉은 열매는 크리스마스 장식에 활용되고 한국에는 천연기념물 및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된 개체들이 있다. - 칼 페테르 툰베리가 명명한 분류군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칼 페테르 툰베리가 명명한 분류군 - 해당화
해당화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으로, 동아시아 원산이며 해안 모래땅에서 자생하고, 분홍색 또는 흰색 꽃과 붉은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사용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대만의 나무 - 단풍나무
단풍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가을의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잎 모양, 색깔, 크기 등이 다양한 1,000가지가 넘는 품종이 있어 관상용, 정원수, 가로수, 분재 등으로 널리 재배된다. - 대만의 나무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감탕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Ilex integra |
명명자 | Thunb. |
이명 | Othera japonica Thunb. |
한국어 이름 | 감탕나무 (Gamtangnamu) |
일본어 이름 | 모치노키 (黐木) |
영어 이름 | Bird-lime holly |
분류 | |
계 | 식물계 (Plantae) |
문 |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
강 | 쌍떡잎식물강 (Magnoliopsida) |
아강 | 장미아강 (Rosidae) |
목 | 감탕나무목 (Celastrales) |
과 | 감탕나무과 (Aquifoliaceae) |
속 | 감탕나무속 (Ilex) |
참고 문헌 |
2. 이름
감탕나무는 끈끈한 물질이 있는 나무라는 뜻에서 단맛이 나는 국물을 나타내는 감탕, 또는 새를 잡거나 나무를 붙이는 데 쓰는 갓풀을 뜻하는 감탕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추정된다. 다른 이름으로 떡가지나무, 끈제기나무가 있다.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한국에서는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제주도, 울릉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높이는 10m 정도이다. 잎은 길이 5-8cm로 양끝이 뾰족한 타원형이며 혁질이고, 1cm 안팎의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꽃은 황록색으로, 봄에 수꽃은 몇 개씩 뭉쳐서 피며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린다. 각각의 꽃은 4개의 납작한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수꽃은 4개의 수술을, 암꽃은 1개의 암술을 가지고 있다. 열매는 핵과로 다음해 1월에 붉게 익는다. 암수딴그루로 암나무에는 가을에 붉은 열매가 가득 열린다.
3. 생태
일본에서는 도호쿠 지방 중부 이남(미야기현・야마가타현 이서)의 혼슈, 시코쿠, 규슈, 난세이 제도에 분포하며, 한반도 남부, 타이완, 중국 중남부에 분포한다. 연안의 산지나 온난 지역의 산지에 자생한다. 잎이 큐티클층이라고 불리는 왁스층으로 덮여 있어 염해에 강하고, 한기가 강한 내륙에서는 자라기 어려워 따뜻한 지방의 해변에 자생한다.
감탕나무에는 천적인 감탕나무씨침벌이 존재한다. 이 씨벌은 여름에 발육 중인 종자 속에 알을 낳아 유충으로 자라 겨울을 난다. 유충은 열매의 색을 조작하는 능력이 있어, 가을이 되면 본래 붉게 변하는 열매를 녹색으로 유지시켜 열매가 새에게 먹히는 상황을 피한다. 새에게 먹히는 것으로 번식하는 감탕나무에게 씨벌의 산란은 번식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감탕나무는 꽃가루를 수분하지 않아도 종자를 형성하고 열매까지 성숙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조사 결과 수정되지 않은 종자가 전체의 30%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씨벌은 수정된 종자에만 산란하는 특성이 있어, 시간과 노력을 들여 산란관을 삽입해도 수정되지 않은 종자인 경우에는 산란하지 않고 빼버린다. 수정되지 않은 열매는 발아하지 않으므로 번식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산란에 불필요한 비용을 들이게 함으로써 씨벌의 번식을 방해하는 대항 수단이 된다.
3. 1. 한국 내 분포
한국에서는 전남, 경남, 경북, 제주도, 울릉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10m 정도이다. 잎은 길이 5-8cm로 양끝이 뾰족한 타원형이며 혁질이고, 1cm 안팎의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꽃은 황록색으로, 봄에 수꽃은 몇 개씩 뭉쳐서 피며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린다. 각각의 꽃은 4개의 납작한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수꽃은 4개의 수술을, 암꽃은 1개의 암술을 가지고 있다. 열매는 핵과로 다음해 1월에 붉게 익는다. 암수딴그루로 암나무에는 가을에 붉은 열매가 가득 열린다.
일본에서는 도호쿠 지방 중부 이남(미야기현・야마가타현 이서)의 혼슈, 시코쿠, 규슈, 난세이 제도에 분포하며, 한반도 남부, 타이완, 중국 중남부에 분포한다. 연안의 산지나 온난 지역의 산지에 자생한다. 잎이 큐티클층이라고 불리는 왁스층으로 덮여 있어 염해에 강하고, 한기가 강한 내륙에서는 자라기 어려워 따뜻한 지방의 해변에 자생한다.
3. 2. 해외 분포
일본에서는 도호쿠 지방 중부 이남(미야기현·야마가타현 이서)의 혼슈, 시코쿠, 규슈, 난세이 제도에 분포하며, 일본 국외에서는 한반도 남부, 타이완, 중국 중남부에 분포한다. 연안의 산지나 온난 지역의 산지에 자생한다. 잎이 큐티클층이라고 불리는 왁스층으로 덮여 있어 염해에 강하고, 한기가 강한 내륙에서는 자라기 어려워 따뜻한 지방의 해변에 자생한다. 사람의 손에 의해 정원 등에 식재되기도 한다.
3. 3. 특징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한국에서는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제주도, 울릉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높이는 10m 정도이다. 잎은 길이 5-8cm로 양끝이 뾰족한 타원형을 하고 있으며 혁질이고, 1cm 안팎의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꽃은 황록색으로, 봄이 되면 수꽃은 몇 개씩 뭉쳐서 피며,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1-2개씩이 달린다. 이때 각각의 꽃은 4개의 납작한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수꽃은 4개의 수술을, 암꽃은 1개의 암술을 가지고 있다. 열매는 핵과로 다음해 1월에 붉게 익는다. 암수딴그루로 암나무에는 가을에 붉은 열매가 가득 열린다.
상록 활엽수 중 키가 큰 나무이다. 암수딴그루이며, 개체 단위로 성전환하는 특성이 있다. 수피는 회색이며, 피목을 제외하고는 매끄럽다. 1년생 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다소 돌려나기처럼 보인다. 잎몸은 길이 4 - 7센티미터 (cm) , 너비 2 - 3 cm의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가죽질로 짙은 녹색을 띤다. 잎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개화기는 봄(4월경)이며, 수꽃과 암꽃 모두 직경 약 8밀리미터 (mm)의 연한 녹색 작은 꽃이 잎자루에 수꽃은 여러 개, 암꽃은 1 - 2개씩 달린다. 꽃잎은 옅은 황색이며 매우 짧은 가지에 묶여서 핀다. 수꽃에는 4개의 수술, 암꽃에는 녹색의 큰 원기둥 모양 자방과 퇴화된 수술이 있다.
열매는 직경 10 - 15 mm의 구형 핵과이며, 내부에 씨앗이 1개 있다. 처음에는 연한 녹색이지만, 늦가을(11월)에 익으면 빨간색이 되며, 새가 좋아한다. 열매의 끝에는 얕게 갈라진 암술대가 검게 남아 있다. 열매는 겨울까지 남아 있으며, 오랫동안 가지에 남아 있는 것은 검게 변한다.
겨울눈 중에서, 꽃눈은 수나무와 암나무 모두 잎자루에 붙으며, 수나무에 꽃눈이 더 많다. 정아는 원뿔형으로 작다. 잎자국은 반원형이며, 관다발 흔적은 1개 있다.
== 천적 ==
감탕나무에는 천적인 감탕나무씨침벌이 존재한다. 이 씨벌은 여름에 발육 중인 종자 속에 알을 낳아 유충으로 자라 겨울을 난다. 유충은 열매의 색을 조작하는 능력이 있어, 가을이 되면 본래 붉게 변하는 열매를 녹색으로 유지시켜 열매가 새에게 먹히는 상황을 피한다. 새에게 먹히는 것으로 번식하는 감탕나무에게 씨벌의 산란은 번식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감탕나무는 꽃가루를 수분하지 않아도 종자를 형성하고 열매까지 성숙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조사 결과 수정되지 않은 종자가 전체의 30%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씨벌은 수정된 종자에만 산란하는 특성이 있어, 시간과 노력을 들여 산란관을 삽입해도 수정되지 않은 종자인 경우에는 산란하지 않고 빼버린다. 수정되지 않은 열매는 발아하지 않으므로 번식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산란에 불필요한 비용을 들이게 함으로써 씨벌의 번식을 방해하는 대항 수단이 된다.
3. 3. 1. 천적
감탕나무에는 천적인 감탕나무씨침벌이 존재한다. 이 씨벌은 여름에 발육 중인 종자 속에 알을 낳아 유충으로 자라 겨울을 난다. 유충은 열매의 색을 조작하는 능력이 있어, 가을이 되면 본래 붉게 변하는 열매를 녹색으로 유지시켜 열매가 새에게 먹히는 상황을 피한다. 새에게 먹히는 것으로 번식하는 감탕나무에게 씨벌의 산란은 번식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감탕나무는 꽃가루를 수분하지 않아도 종자를 형성하고 열매까지 성숙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조사 결과 수정되지 않은 종자가 전체의 30%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씨벌은 수정된 종자에만 산란하는 특성이 있어, 시간과 노력을 들여 산란관을 삽입해도 수정되지 않은 종자인 경우에는 산란하지 않고 빼버린다. 수정되지 않은 열매는 발아하지 않으므로 번식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산란에 불필요한 비용을 들이게 함으로써 씨벌의 번식을 방해하는 대항 수단이 된다.
4. 활용
매연이나 염풍에 강하고 대기오염에도 잘 견디는 강건한 나무이다. 나무껍질을 물 속에서 썩히면 고무질 같은 끈적끈적한 물질이 남는데 이것을 한방약재로 사용한다.
감탕나무( ''Ilex integra'')의 수피(껍질)는 새끈이의 재료로 사용되며, 때로는 신성한 나무로 심어지기도 한다.[3]
깎기에 강하기 때문에 공원, 정원 등에 식재된다. 또한, 방화 기능을 가진 수종(방화수)으로도 알려져 있다.[7]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정원에 없어서는 안 될 단골 정원수로 사랑받아 왔으며, 다양한 형태로 다듬을 수 있기 때문에 둥근 모양으로 만들거나 열을 지어 심어 가림막으로도 이용해 왔다. 바닷바람이나 대기 오염에도 잘 견디기 때문에 공원수로도 자주 사용된다.
4. 1. 약용
나무껍질을 물 속에서 썩히면 고무질 같은 끈적끈적한 물질이 남는데 이것을 한방약재로 사용한다.4. 2. 새끈이 (토리모치)
감탕나무(''Ilex integra'')의 수피(껍질)는 새끈이의 재료로 사용되며, 때로는 신성한 나무로 심어지기도 한다.[3] 수피에서 새끈이(토리모치)를 만들 수 있으며, 이것이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수피를 채취하여 엉성한 주머니에 넣어 가을까지 흐르는 물에 담가둔다. 불필요한 목질은 부패하여 제거되고, 물에 녹지 않는 새끈이 성분만 남는다. 물에서 꺼낸 후 섬유질이 없어질 때까지 절구로 잘게 부수고, 부드러운 덩어리가 된 것을 흐르는 물에 씻어 잔여물을 제거하면 새끈이를 얻을 수 있다. 모치노키에서 얻는 새끈이는 색깔이 희기 때문에, 노박덩굴을 원료로 하는 것(아카모치)과 구별하기 위해 "시로모치" 또는 "혼모치"라고 부르기도 한다. 재목은 굳고 치밀하기 때문에 세공품에 사용된다.4. 3. 기타
구마노 신사 계열의 신사 중에는 나기의 대용목으로 심는 경우가 있다.기후현기난정의 상징 나무이기도 하다.[8]
5. 문화
감탕나무(`Ilex integra`)의 수피(껍질)는 새끈이의 재료로 사용되며, 때로는 신성한 나무로 심어지기도 한다.[3]
신목으로 구마노 신사 계열의 신사 중에는 나기의 대용목으로 심는 경우가 있다.
기후현기난정의 상징 나무이기도 하다.[8]
- ''' 주부 지방 '''
- * 기후현 모토스군 기난정[9]
- * 기후현 모토스군 기타가타정
- * 기후현 안파치군 고베정
- * 아이치현 치타군 아구이정
- ''' 긴키 지방 '''
- * 효고현 카코군 이나미정
- * 나라현 이코마군 안도정
- ''' 시코쿠 지방 '''
- * 도쿠시마현 나루토시
- ''' 규슈 지방 '''
- * 나가사키현 히가시소노기군 하사미정
5. 1. 상징
감탕나무(''Ilex integra'')의 수피(껍질)는 새끈이의 재료로 사용되며, 때로는 신성한 나무로 심어지기도 한다.[3]6. 사진
참조
[1]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03-12
[2]
서적
Gardening for the Million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Literary Archive Foundation
[3]
서적
葉で見わける樹木
http://www.ne.jp/asa[...]
2009-10-06
[4]
간행물
2009-10-06
[5]
간행물
2024-03-07
[6]
서적
新修百科辞典
三省堂
[7]
서적
プロが教える住宅の植栽
学芸出版社
[8]
웹사이트
町の概要/ 岐南町公式ホームページ ぎなんねっと
https://www.town.gin[...]
2023-05-22
[9]
웹사이트
町の概要/ 岐南町公式ホームページ ぎなんねっと
https://www.town.gin[...]
2023-05-22
[10]
서적
궁금할 때 바로 찾는 우리나무 도감
중앙생활사
2008-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