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의 시내버스는 2018년 10월 26일 인상된 요금 체계를 사용하며, 좌석버스는 단일 요금, 일반 버스는 나이별로 요금이 다르다. 시내 구간 외 구간에는 구간 요금이 적용되며, 교통카드를 대체 지급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2009년 1월 1일부터 환승 할인 제도가 시행되었으며, 40분 이내에 다른 노선으로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버스 내에서는 EB 안내방송과 LED 전광판, 버스 도착 안내,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부분 디젤버스로 운행하며, 중국산 전기버스가 소수 운행되고 있다. 강릉시는 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500번대, 900번대 노선과 통학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강릉시의 교통 - 경강선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경기도 시흥시 월곶역부터 강원도 강릉시 강릉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구간과 강릉선 KTX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되며, 수도권 동서 연결 및 평창 동계올림픽 교통 지원에 기여했고 향후 인천에서 원주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강릉시의 교통 - 강릉 나들목 강릉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33번 교차로로, 국도 제35호선과 연결되며 2001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2017년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간성시외버스터미널은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특히 강원도 내 접근성이 낮은 지역까지 연결하는 교통망을 형성하여 관광객 편의 증진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대화버스터미널 대화버스터미널은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에 위치하며, 과거 고양시에서 운영했으나 현재는 고양도시관리공사에서 운영하며 동서울, 강릉, 원주, 춘천, 제천 방면 시외버스와 평창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지만, 경영난으로 매표가 중단되고 시설 노후화와 이용객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경제로 (시흥시)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한 경제로는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제정된 도로명으로, 서해안로 등과 교차하며 다양한 기업 및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강릉시의 시내버스는 2008년 12월 22일부터 교통카드 시스템을 시범 운영했고, 2009년 1월 1일부터 정식으로 시행되었다.[2][3] 공식적으로 캐시비가 사용되지만, 티머니, 마이비카드도 사용 가능하다. 교통카드 도입 이후 이용률이 빠르게 증가하여, 2009년 1월 중순에는 40%를,[4] 10월 말에는 65%를 기록했다.[5] 2009년 시내버스 이용객은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5]
2009년 1월 1일부터 하차 후 40분 이내에 다른 노선으로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한 환승 할인 제도가 시행되었다.[1] 2015년 1월 1일부터는 동해시 시내버스와도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환승 할인을 받으려면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하며, 하차 시 단말기에 카드를 대어야 한다. 카드 잔액이 기본 요금 이상이어야 환승이 가능하다.
교통카드 결제 시스템이 정식으로 시행된 후 보름만인 2009년1월 중순에는 교통카드 이용률이 전체 이용객의 40%대를 기록했고,[4] 같은 해 10월 말에는 65%를 기록할 정도로 이용률이 빠르게 증가했다.[5] 또한 2009년 시내버스 이용객은 2008년에 비해 10% 가량 증가했다.[5]
2. 4. 환승 할인
2009년1월 1일 교통카드 도입과 함께 시행된 제도이다. 하차 후 40분 안에 강릉시 소속 다른 노선의 버스를 이용하면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2015년 1월 1일부터는 동해시 시내버스와도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하며,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대어야 한다. 환승할 때는 교통카드 잔액이 기본 요금보다 많아야 하며, 부족하면 환승되지 않으니 유의해야 한다.[1]
3. 버스 이용
강릉시 시내버스를 이용할 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버스 내 안내방송: 시내버스는 EB 안내방송을 사용하며, 대부분 영어 안내방송이 포함되어 있다. 일부 정류소에서는 부연 설명도 제공된다.[1]
버스 전광판: 버스 전면 LED 전광판에 버스 번호, 경유지, 솔향강릉 로고 등이 표시된다.
버스 도착 안내: 일부 정류소에는 도착 안내 LCD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어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음성 안내도 제공된다.[1] 스마트폰 앱으로도 확인 가능하다.[2]
와이파이: 모든 버스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2022년 2월 25일부터 KT 망을 이용한 5G 백홀의 WiFi 6 AP로 교체되고 있다. SSID는 Gangneung WiFi 5G / Gangneung WiFi이다.
3. 1. 버스 내 안내방송
강릉시의 시내버스는 EB안내방송을 이용하고 있으며, 버스를 운영하는 두 회사 모두 동일한 안내방송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안내방송에 영어 안내방송이 삽입되어 있으며, 일부 정류소 안내방송에는 부연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1]
예) 이번 정류소는 '신영극장'입니다. 다음 정류소는 '강릉여고'입니다. This stop is 'ShinYoung theater'. 중앙시장, 성남시장을 방문하실 분들은 이번 승강장에서 하차하여주시기 바랍니다.[1]
3. 2. 버스 전광판
강릉시의 모든 시내버스 노선에는 버스 전면에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전광판에는 버스 번호, 경유지, 솔향강릉 로고 등이 표기된다.
3. 3. 버스 도착안내
강릉시 일부 버스 정류소에는 버스 번호, 운영 회사, 도착 예정 시간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도착 안내 LCD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음성 안내도 제공된다.[1] 스마트폰 앱으로도 강릉시 버스 도착 안내를 확인할 수 있다.[2]
3. 4. 와이파이
모든 버스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2022년 2월 25일부터 KT 망을 이용한 5G 백홀의 WiFi 6 AP로 교체되고 있다.
강릉시에서 구축된 버스 WiFi의 SSID는 Gangneung WiFi 5G / Gangneung WiFi으로 운영되며, 접속 시 자동으로 WiFi 사용 안내 페이지가 열리며 인터넷에 연결된다.
4. 차량
대부분 디젤버스로 운행하며, 천연가스버스는 없고 소수의 전기버스가 다닌다. 전기버스는 전량 중국산이다.[1]
4. 1. 차량 현황
대부분 디젤버스로 운행하며, 천연가스버스는 없고 소수의 전기버스가 다닌다. 전기버스는 전량 중국산이다.[1]
4. 2. 천연가스버스 도입 거부 논란
강릉시는 2013년부터 도시가스 공급이 시작되면서 2018년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대기 환경 개선을 위해 시내버스 업체에 천연가스버스 도입을 여러 차례 권고했다. 그러나 버스 업체들은 경제성을 이유로 도입을 강력하게 거부했다.[6]
업체들은 강릉시의 도시가스 요금이 비싸고, 천연가스 충전소를 갖춘 공영 차고지 조성 비용이 너무 높다는 점을 들었다. 또한, CNG(압축천연가스)는 유가보조금을 받지 못하고, 천연가스버스의 유지보수 비용이 디젤버스보다 비싸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천연가스버스 도입을 사실상 거절했다.[6]
결국 강릉시는 2017년 11월 천연가스버스 대신 중국포톤에서 만든 전기버스인 그린어스 4대를 우선 도입해 운행하기 시작했다.[7] 이후 킹롱 시티라이트도 도입했다.
[1]
문서
T형과 M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2]
뉴스
22일부터 시내버스 교통카드제 시범운행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08-12-19
[3]
뉴스
강릉 시내버스 교통카드제 본격 시행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9-01-05
[4]
뉴스
강릉시, 버스카드이용률 40%넘어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1-18
[5]
뉴스
강릉 시내버스 이용객 증가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09-11-14
[6]
뉴스
강릉 천연가스 버스 도입 '불투명'
https://www.g1tv.co.[...]
G1강원민방
[7]
뉴스
포톤 전기버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위해 대한민국 진출
https://www.hellot.n[...]
헬로티
[8]
문서
토, 일, 방학평일 막차 감회
[9]
문서
솔향수목원 4회 경유
[10]
문서
일,공휴일 1회 104번 운행
[11]
문서
토, 일요일 왕복 6회
[12]
문서
왕편 1회 성덕초교 경유, 3회 금진초교 연장, 프라임솔트 2회 경유
[13]
문서
복편 썬크루즈 1회 경유
[14]
문서
토, 일, 공휴일 왕편 27회, 복편 29회
[15]
문서
방학평일 왕편 33회, 복편 29회
[16]
문서
토요일, 방학평일 왕복 8회 운행
[17]
문서
토요일 1회, 일,공휴일 2회 감회
[18]
문서
일,공휴일 1회 감회 운행
[19]
문서
토요일 : 22.5회, 일,공휴일 : 16.5회
[20]
문서
토요일 : 왕편 10회, 복편 12회, 일,공휴일 왕복 9.5회 운행
[21]
문서
토요일 : 29회, 일, 공휴일 : 28회, 방학평일 : 40회
[22]
문서
토요일 : 31회, 일, 공휴일 : 30회, 방학평일 : 43회
[23]
문서
방학평일 복편 1회만 운행
[24]
문서
토,일,공휴일 8회 운행
[25]
문서
토,일,공휴일 2회 감회 운행
[26]
문서
일,공휴일 3회 감회 운행
[27]
문서
일,공휴일 52회 운행
[28]
문서
일,공휴일 49회 운행
[29]
문서
일,공휴일 48회 운행
[30]
문서
일,공휴일 51회 운행
[31]
문서
토요일 8회, 일,공휴일 4회 운행
[32]
문서
토요일 4회, 일,공휴일 2회 운행
[33]
문서
일, 공휴일 복편 1회 운행 없음
[34]
문서
토요일 5.5회, 방학평일 9회 운행
[35]
문서
토,일,공휴일,방학평일 1회 감회 운행
[36]
문서
평일,토요일 복편 1회 증회
[37]
문서
토,일,공휴일,방학 4.5회 운행
[38]
문서
왕편 경포고발
[39]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