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관령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과 강릉시에 걸쳐 있는 고개로, 16세기부터 사용된 명칭이다. 지리적으로 영동과 영서를 구분하는 관문 역할을 했으며, 고려 시대에는 김순식이 왕건을 돕기 위해 이곳에서 승전 기도를 올리기도 했다. 냉대 습윤 기후로 겨울철에는 춥고 여름철에는 시원하며, 일교차가 크다. 1992년에는 7일 이상 안개가 지속된 기록이 있다.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나들목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지방도 제456호선이 대관령을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백산맥 - 금대봉
금대봉은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상함백산의 봉우리로, 한강의 발원지인 골지천이 발원하고 잣나무 수림과 고산 식물 군락을 이루며 산양 등이 서식한다. - 태백산맥 - 설악산
설악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대청봉을 중심으로 내설악, 외설악, 남설악으로 구분되고,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등산 코스를 제공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산이다. - 강릉시의 지리 - 금천층
금천층은 석탄기에 형성된 지층으로, 암회색 사암, 셰일, 석회암을 주 구성 암석으로 하며 얇은 석탄층을 포함하고, 태백산지구에 넓게 분포하며, 석회암층에서 산출되는 화석은 지질시대 및 퇴적 환경 연구에 활용된다. - 강릉시의 지리 - 장성층
장성층은 평안 누층군의 일부로, 흑색 셰일과 사암으로 구성되고 식물 화석이 발견되며, 여러 겹의 무연탄층을 포함하여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층이다. - 강릉시의 교통 - 경강선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경기도 시흥시 월곶역부터 강원도 강릉시 강릉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구간과 강릉선 KTX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되며, 수도권 동서 연결 및 평창 동계올림픽 교통 지원에 기여했고 향후 인천에서 원주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 강릉시의 교통 - 강릉 나들목
강릉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33번 교차로로, 국도 제35호선과 연결되며 2001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2017년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대관령 | |
---|---|
개요 | |
![]() | |
![]() | |
![]() | |
한글 표기 | 대관령 |
한자 표기 | 大關嶺 |
로마자 표기 | Daegwallyeong |
위치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강릉시 성산면 |
지리 | |
해발 고도 | 832m |
2. 명칭 유래
16세기경부터 대관령(大關嶺)이라는 명칭이 통용되기 시작했는데, 12세기 고려 시인 김극기가 '대관(大關)'이라 부른 예도 있다.[7] 이처럼 큰 고개를 뜻하는 '대(大)' 자를 붙이고 험한 요새 관문이라는 뜻을 담았다.[7] '크다'는 말은 고개의 큰 상징성을 가리키며, 관(關)이라 함은 중요한 경계적 요새(要塞)로서 영의 동서를 가르는 출입구임을 말한 것이다.[7]
대관령은 쾨펜의 기후 구분상 냉대 습윤 기후(''Dfb'')에 속한다. 대관령의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일교차가 상당히 크며,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시원하다. 가장 추운 1월의 평균 기온은 -7.7℃이고, 가장 더운 7월의 평균 기온은 19.1℃로, 30년간의 평균값이 존재하는 대한민국의 기상 관측소 중 가장 낮다. 최고 기온 극값은 32.9℃(2018년 7월 22일)이며, 최저 기온 극값은 -28.9℃(1974년 1월 24일)이다. 연 강수량은 1717.2mm로, 여름에 집중되어 있으며, 겨울에는 서쪽에서 불어오는 시베리아 기단과 북동 기류가 태백산맥에서 부딪혀 강제적으로 상승하면서 생성되는 구름으로 인해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5][6]
대관령은 냉대 습윤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fb'')에 속한다. 태백산맥 서사면 고위 평탄면에 위치하여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일교차가 크고,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시원하다. 가장 추운 1월 평균기온은 -6.9°C로 대한민국 기상 관측소 중 가장 낮으며, 가장 더운 7월 평균기온도 19.6°C로 가장 낮다.[9][10] 연강수량은 1695.1mm로 여름철에 집중되며,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과 북동기류가 태백산맥에 부딪혀 만들어지는 구름으로 인해 눈이 많이 내린다. 1971년 관측 이래 2020년 8월 14일 기록한 23.3°C가 일최저기온 최고일 정도로 열대야가 없는 시원한 곳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대로 대관령은 영동의 진산으로 중앙과 지방, 영동과 영서를 구분하는 지리적 방어적 관문이자 문화적 경영, 상징적 공간이었다.[7] 고려 초기 강릉 장군 김순식이 태조 왕건을 돕기 위해 출병하였는데, 이때 그는 대관령에 이르러 제단을 만들고 승전의 기도를 올렸다고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대관령은 다른 지역으로 들어가는 초입이자 신성한 영역으로 전하는 것이다.[7] 풍수가들은 대관령을 '자물쇠 형국'이라 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관문으로서 대관령을 넘나드는 것이 쉽지 않았음을 암시한다.[7] 그러므로 강릉지역에는 어려움이 없는 삶을 가리켜 "평생 대관령을 한번 넘지 않고 사는 것이 가장 행복하다"는 말이 전해지기도 한다.[7]
3. 지리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최고 기온 극값 (℃) 9.3 16.5 20.5 30.1 31.0 32.3 32.9 32.7 29.0 26.1 21.5 13.5 평균 최고 기온 (℃) -1.8 0.6 5.5 12.9 18.4 21.3 23.4 23.6 19.4 14.6 7.5 0.5 평균 기온 (℃) -6.9 -4.6 0.4 7.0 12.5 16.2 19.6 19.7 14.6 8.8 2.3 -4.5 평균 최저 기온 (℃) -12.2 -10.1 -4.7 1.2 6.8 11.6 16.6 16.5 10.4 3.5 -2.6 -9.4 최저 기온 극값 (℃) -28.9 -27.6 -23.0 -14.6 -4.7 -1.7 4.4 3.3 -2.3 -9.9 -18.7 -24.7 강수량 (mm) 53.1 49.2 72.6 93.5 108.2 162.5 336.3 368.4 249.6 97.6 69.4 34.7 평균 강수일수 (0.1 mm) 9.4 8.9 11.2 10.4 10.8 12.9 17.8 18.1 13.1 8.9 10.2 8.5 평균 상대 습도 (%) 66.3 65.7 65.8 61.9 67.5 79.4 86.2 87.2 85.5 76.8 70.3 66.6 일조 시간 199.3 193.5 210.9 223.1 237.2 192.4 143.0 138.2 149.6 196.2 177.2 193.3
4. 기후
4. 1. 상세 기후 데이터
대관령의 상세 기후 데이터는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한다. 아래 표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값과 1971년부터 현재까지의 극값을 나타낸다.[7][8]
월 | 최고 기온 (℃) | 평균 기온 (℃) | 최저 기온 (℃) | 강수량 (mm) | 강수 일수 | 습도 (%) | 일조 시간 (시간) |
---|---|---|---|---|---|---|---|
1월 | 9.3°C | -6.9°C | -28.9°C | 53.1mm | 9.4 | 66.3 | 199.3 |
2월 | 16.5°C | -4.6°C | -27.6°C | 49.2mm | 8.9 | 65.7 | 193.5 |
3월 | 20.5°C | 0.4°C | -23°C | 72.6mm | 11.2 | 65.8 | 210.9 |
4월 | 30.1°C | 7°C | -14.6°C | 93.5mm | 10.4 | 61.9 | 223.1 |
5월 | 31°C | 12.5°C | -4.7°C | 108.2mm | 10.8 | 67.5 | 237.2 |
6월 | 32.3°C | 16.2°C | -1.7°C | 162.5mm | 12.9 | 79.4 | 192.4 |
7월 | 32.9°C | 19.6°C | 4.4°C | 336.3mm | 17.8 | 86.2 | 143.0 |
8월 | 32.7°C | 19.7°C | 3.3°C | 368.4mm | 18.1 | 87.2 | 138.2 |
9월 | 29°C | 14.6°C | -2.3°C | 249.6mm | 13.1 | 85.5 | 149.6 |
10월 | 26.1°C | 8.8°C | -9.9°C | 97.6mm | 8.9 | 76.8 | 196.2 |
11월 | 21.5°C | 2.3°C | -18.7°C | 69.4mm | 10.2 | 70.3 | 177.2 |
12월 | 13.5°C | -4.5°C | -24.7°C | 34.7mm | 8.5 | 66.6 | 193.3 |
연간 | 32.9°C | 7.1°C | -28.9°C | 1695.1mm | 140.2 | 73.3 | 2253.9 |
5. 안개
대관령 기상대는 평창군 동쪽 끝에 위치하며, 주변이 1000m가 넘는 높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다. 1987년부터 2003년까지 대관령 기상대에서 관측된 안개는 총 2,464회였다. 안개는 여름에 42%, 가을에 27%, 봄에 21%, 겨울에 10% 정도 발생한다. 연평균 안개 지속 시간은 10.4시간이며, 동풍계 기류가 유입될 경우 안개가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11][12]
5. 1. 1992년 8월 최장 안개 기록
대관령 기상대는 평창군 동쪽 끝, 해발 1,000m가 넘는 높은 산들로 둘러싸인 곳에 위치한다. 1987년부터 2003년까지 대관령 기상대에서 관측된 안개는 총 2,464회였으며, 여름(42%), 가을(27%), 봄(21%), 겨울(10%) 순으로 발생했다. 연평균 안개 지속 시간은 10.4시간이며, 동풍 계열의 기류가 유입될 때 안개가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1992년 8월 15일 오전 3시에 발생한 안개는 8월 22일 오전까지 무려 '''175시간'''(7일 7시간) 동안이나 지속되어 최장 안개 기록을 세웠다.[11][12]대한민국 기상청 기상실황표, 1992년 8월 23일 오전 0시 이전 | |||||||||||||||||||||||||||||||||||||||||||||||||
---|---|---|---|---|---|---|---|---|---|---|---|---|---|---|---|---|---|---|---|---|---|---|---|---|---|---|---|---|---|---|---|---|---|---|---|---|---|---|---|---|---|---|---|---|---|---|---|---|---|
시각 | 8월 14일 | 8월 15일 | 8월 16일 | 8월 17일 | 8월 18일 | 8월 19일 | 8월 20일 | 8월 21일 | 8월 22일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
0시 | 3.5 | 16.1 | 15.5 | 96 | 4.5 | 13.8 | 12.8 | 94 | 0.3 | 16.1 | 15.8 | 98 | <0.1 | 15.9 | 15.4 | 97 | <0.1 | 14.9 | 14.6 | 98 | <0.1 | 17.5 | 17.0 | 97 | <0.1 | 16.4 | 15.9 | 97 | <0.1 | 16.7 | 16.2 | 97 | 0.4 | 15.8 | 15.2 | 96 | |||||||||||||
3시 | 4.5 | 16.7 | 16.1 | 96 | 0.1 | 14.3 | 13.8 | 97 | 0.2 | 16.4 | 16.1 | 98 | <0.1 | 15.9 | 15.4 | 97 | <0.1 | 14.7 | 14.2 | 97 | <0.1 | 16.9 | 16.4 | 97 | <0.1 | 16.3 | 15.8 | 97 | <0.1 | 16.7 | 16.2 | 97 | 0.7 | 15.6 | 14.9 | 95 | |||||||||||||
6시 | 2.5 | 16.3 | 15.1 | 92 | 0.1 | 14.4 | 14.1 | 98 | <0.1 | 16.1 | 15.8 | 98 | <0.1 | 15.8 | 15.3 | 97 | <0.1 | 15.2 | 14.9 | 98 | <0.1 | 16.9 | 16.4 | 98 | <0.1 | 16.5 | 16.0 | 97 | <0.1 | 16.3 | 16.0 | 98 | <0.1 | 15.6 | 15.1 | 96 | |||||||||||||
9시 | <0.1 | 17.0 | 15.9 | 93 | <0.1 | 15.1 | 14.8 | 98 | <0.1 | 16.8 | 16.4 | 97 | <0.1 | 15.8 | 15.3 | 97 | <0.1 | 15.7 | 15.4 | 98 | <0.1 | 16.7 | 16.4 | 98 | <0.1 | 17.3 | 16.7 | 96 | <0.1 | 16.6 | 16.3 | 98 | 3.5 | 17.9 | 17.2 | 96 | |||||||||||||
12시 | <0.1 | 16.6 | 16.0 | 96 | <0.1 | 15.9 | 15.4 | 97 | <0.1 | 17.1 | 16.8 | 98 | <0.1 | 16.1 | 15.6 | 97 | <0.1 | 15.7 | 15.2 | 97 | <0.1 | 16.7 | 16.2 | 97 | <0.1 | 17.4 | 16.9 | 96 | <0.1 | 17.1 | 16.8 | 98 | >20 | 22.4 | 17.7 | 74 | |||||||||||||
15시 | <0.1 | 15.9 | 15.3 | 96 | <0.1 | 16.8 | 16.4 | 97 | <0.1 | 17.1 | 16.8 | 98 | <0.1 | 16.1 | 15.6 | 97 | <0.1 | 16.1 | 15.6 | 97 | <0.1 | 16.5 | 16.0 | 97 | <0.1 | 17.3 | 16.7 | 96 | <0.1 | 16.7 | 16.4 | 98 | 15.0 | 21.8 | 20.2 | 90 | |||||||||||||
18시 | <0.1 | 14.6 | 14.1 | 97 | <0.1 | 16.7 | 16.2 | 97 | <0.1 | 16.6 | 16.3 | 98 | <0.1 | 15.6 | 15.1 | 97 | <0.1 | 16.4 | 15.9 | 97 | <0.1 | 16.7 | 16.4 | 97 | <0.1 | 17.1 | 16.5 | 96 | <0.1 | 16.7 | 16.4 | 98 | 15.0 | 21.2 | 19.6 | 90 | |||||||||||||
21시 | 15.0 | 14.1 | 12.2 | 88 | <0.1 | 16.4 | 15.9 | 97 | <0.1 | 16.3 | 15.8 | 97 | <0.1 | 15.2 | 14.7 | 97 | <0.1 | 17.3 | 16.9 | 97 | <0.1 | 16.4 | 15.9 | 97 | <0.1 | 17.1 | 16.6 | 97 | <0.1 | 16.3 | 16.0 | 98 | 4.5 | 18.5 | 18.0 | 96 | |||||||||||||
6. 계절
대관령은 800m 이상의 높은 지대에 위치하여, 전반적으로 한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연평균 기온이 낮고, 일교차가 크며, 강수량이 많다. 냉대 습윤 기후(Dfb)에 속하며,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일교차가 크다.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시원하며, 가장 추운 1월의 평균 기온(-7.7℃)과 가장 더운 7월의 평균 기온(19.1℃)은 모두 30년간의 평균값이 존재하는 한국의 기상 관측소 중 가장 낮다. 최고 기온 극값은 32.9℃(2018년 7월 22일), 최저 기온 극값은 -28.9℃(1974년 1월 24일)이다. 연 강수량은 1717.2mm로, 여름에 집중되며, 겨울에는 서쪽에서 불어오는 시베리아 기단과 북동 기류가 태백산맥에서 부딪혀 강제 상승하면서 생성되는 구름으로 인해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 중 하나이다.[5][6]
6. 1. 봄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이 약해지면서 비교적 춥지 않고 쌀쌀한 날씨가 이어진다.6. 2. 여름
대관령은 고지대의 특성상 여름에도 덥지 않고 시원하다. 특히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남서 기류가 불어와 바람받이 지역의 특성으로 인해 집중호우가 잦은 편이다. 가장 더운 7월의 평균 기온은 19.1℃로 대한민국의 기상 관측소 중 가장 낮다. 최고 기온 극값은 32.9℃(2018년 7월 22일)이다. 연 강수량은 1717.2mm로, 여름에 집중되어 있다.[5][6]6. 3. 가을
가을에는 비교적 맑고 청명한 날씨가 이어지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다. 또한, 대한민국 다른 지역보다 일찍 서리나 눈이 관측된다.[5][6]6. 4. 겨울
겨울에는 영하 15°C 내외의 혹한이 잦으며, 따뜻해도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는 일이 드물 정도로 매우 춥다.[5] 게다가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북동 기류가 유입되면 많은 눈이 내리기 때문에, 눈이 많이 내리는 대표적인 장소로 꼽힌다.[6] 대관령은 냉대 습윤 기후(Dfb)에 속하며, 겨울에는 춥고 눈이 많이 내린다. 최저 기온 극값은 -28.9℃(1974년 1월 24일)이다.7. 교통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나들목으로 나오면 갈 수 있으며, 인근에 도암댐이 있다. 태백시에서 올라오는 국도 제35호선과 연결되며, 대관령 횡단 도로는 지방도 제456호선이다. 이 도로는 1975년 10월 14일부터 2001년 11월 27일까지 26년간 영동고속도로에 해당하는 구간이었다.
8.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dynamic-k[...]
[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1-31
[3]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10-10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7
[5]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대관령(100)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6]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대관령(100)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10-02
[7]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대관령(100)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8]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대관령(100)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9]
웹사이트
기후자료 - 대관령의 1971년 ~ 2000년 평년값 자료
http://www.kma.go.kr[...]
대한민국 기상청
[10]
웹사이트
대관령지방 기후특성
http://www.kma.go.kr[...]
대한민국 기상청
[11]
저널
대관령 산악지역 안개조절을 위한 구름특성 조사 (Investigation on Cloud Properties for Fog Modification at Daegwallyeong Mountains)
https://scienceon.ki[...]
2005년
[12]
웹사이트
도시별관측 - 대관령
https://www.weather.[...]
대한민국 기상청
1992-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