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선역은 평안남도 강서군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1923년 조선총독부 철도에 의해 개업했으며, 인근에는 천리마 제강 연합 기업소가 있어 화물 수송이 이루어진다.
2018년, 미국 국방정보국(DIA) 보고서를 통해 강선에 북한의 비밀 우라늄 농축 시설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강선에는 영변 핵시설보다 많은 12,000개의 원심분리기가 위치해 있으며, 이를 통해 북한이 연간 최대 320kg의 고농축 우라늄(HEU)을 생산할 수 있다는 추정이 제기되었다. 북한은 2002년부터 독자적인 원심분리기 기술을 개발했으며, 2014년에는 영변 핵시설을 확장하여 총 16,000개의 원심분리기를 가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강선 핵시설은 평양 외곽의 천리마군에 위치하며, 영변 핵시설보다 일찍 건설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남도의 철도역 - 숙천역
숙천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평의선에 속하며, 어파역과 문덕역 사이에 위치하고 1905년 11월 5일 경의선 구간과 함께 개업했으며, 1945년 7월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 평안남도의 철도역 - 석탕온천역
석탕온천역은 1941년 평원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평라선으로 편입되었으며, 내동역과 거차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 북핵문제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북핵문제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1923년 개업한 철도역 - 군북역
군북역은 경전선에 위치한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있는 철도역으로, 192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97년 새 역사 준공, 2005년 화물 취급 중단, 2012년 역사 이전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 1923년 개업한 철도역 - 함안역
함안역은 경상남도 함안군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1923년 영업을 시작하여 2012년 역사를 이전했으며, 현재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강선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한국어 이름 | 강선역 (강선驛) |
로마자 표기 | Gangseon-yeok |
위치 | 남포특별시 천리마구역 강철동 |
상세 정보 | |
노선 | 평남선 평남선 箴津里 지선 |
플랫폼 수 | 3 (1개 섬식) |
선로 수 | 8 |
개업일 | 1923년 7월 1일 |
소유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이전 소유주 | 조선총독부 철도국 |
전철화 여부 | 예 |
노선 정보 | |
평남선 인접 역 | 이전 역: 대평 다음 역: 강서 |
箴津里 지선 인접 역 | 이전 역: 箴津里 다음 역: (종착역) |
2. 역사
강선역은 1923년 7월 1일에 조선총독부 철도에 의해 개업하였다. 이 지역은 원래부터 강선(Kangson)으로 불렸고, 해방 당시에는 평안남도 강서군 초리면(草里面) 강선리였다.[3]
2. 1. 철도
1923년 7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에 의해 평남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3] 역 바로 남쪽에 있는 천리마 제강 연합 기업소는 북한 최대의 제철소 중 하나로, 공장 부지 내 궤도망을 통해 이 역에서 화물을 수송한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평남선
::대평역 - '''강선역''' - 강서역
:평남선 잠진리 지선(화물선)
::'''강선역''' - 잠진리역
3. 핵무기 공장
미국 국방정보국(DIA)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영변 핵시설 외에도 강선에 대규모 우라늄 농축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강선 핵시설은 영변 핵시설보다 이른 2000년대 초반부터 건설되기 시작했으며,[7] 평양 외곽의 천리마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미국은 파키스탄 등에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북한의 원심분리기가 P2형이라고 추정하지만, 북한은 2002년부터 독자 개발했으며, 롯카쇼무라를 참고했다고 주장한다.
3. 1. 미국 국방정보국(DIA) 보고서
2018년 6월 30일, 워싱턴포스트는 북한이 핵탄두 및 관련 장비시설 은폐를 추구하고 있다는 내용의 미국 국방정보국(DIA) 보고서를 보도했다. 영변 핵시설의 우라늄 농축 공장에 있는 원심분리기 4,000개보다 많은 12,000개의 원심분리기가 강선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4]DIA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2002~2003년에 이미 P2 타입 원심분리기 8,000개~12,000개를 만들기에 충분한 관련 부품을 조달했다. 올브라이트 ISIS 소장은 2010년에 영변 핵시설의 우라늄 농축 공장을 방문하여, 막 건설이 완료된 1,000개의 원심분리기를 목격했다. 따라서 미국은 2000년대 중반에 강선에 12,000개의 원심분리기를 설치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파키스탄이 개발한 2세대 원심분리기라는 의미에서 P2라고 부르며, 2,000개의 P2 형식 원심분리기를 가동하면 농축률 90%의 고농축 우라늄(HEU)을 연간 40kg까지 생산할 수 있다.[5] DIA는 강선에 12,000개, 영변에 4,000개의 원심분리기가 있다고 추정하므로, 북한은 매년 농축률 90%의 고농축 우라늄(HEU)을 320kg 생산할 수 있다.
2013년 8월, 북한은 영변 핵시설의 우라늄 농축 공장을 기존 2,000개 규모에서 4,000개의 원심분리기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확장했고, 2014년 4월에 원심분리기를 설치한 것이 정찰위성에 관측되었다. 따라서 2014년 5월부터는 모두 16,000개의 원심분리기가 가동을 시작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보도된 DIA 보고서는 2018년 현재 북한의 HEU 핵폭탄을 최대 44발로 추정했다. 그러나 NRDC의 토머스 코크란 박사는 1994년에 핵무기 개발 수준을 상중하 3등급으로 나누었다.[6] 언론에서는 북한이 수소폭탄 완성 이전에 중급으로 평가했다. 따라서 수소폭탄이 완성된 이후에는 상급으로 평가할 수 있다. 코크란 박사는 상급 수준일 경우 HEU 5kg으로 20kt 핵폭탄 1개를 제조할 수 있다고 본다. 보통 무기화를 할 경우 핵물질의 30%가 손실된다고 알려져있다. 북한이 16,000개의 원심분리기를 1년 동안 가동하면 농축률 90%의 고농축 우라늄(HEU) 320kg을 생산하며, 손실률 30%를 감안하면 20kt 핵폭탄 44발을 생산할 수 있다. DIA는 HEU 핵폭탄 전체량이 44발이라고 하지만, 이러한 계산으로는 매년 HEU 핵폭탄 44발 생산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보통 핵폭탄 1발은 20kt 핵폭탄을 의미한다.
2005년 강선 12,000개, 2010년 영변 2,000개, 2014년 영변 2,000개를 설치했다는 뉴스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2018년 현재 3,200kg의 HEU를 생산했을 수 있다. DIA 보고서는 2018년 현재 북한이 보유한 HEU 총량이 최대 1,000kg이라고 추정했다. 3,200kg의 HEU에 손실률 30%를 적용하면, 20kt HEU 핵폭탄 504발을 만들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미국은 파키스탄 등에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북한의 원심분리기가 P2형이라고 추정하지만, 북한은 2002년부터 파키스탄 방식이 아닌 독자 개발 방식이며, 롯카쇼무라를 참고했다고 주장한다. 롯카쇼무라 원심분리기는 P2형보다 3~4배 빠르며, 최근에는 5배 속도를 높인 신형 원심분리기로 교체했다. 북한이 일본 기술자를 통해 최신형 원심분리기 기술을 획득했다면, P2형보다 10여 배 빠를 수도 있다.
북한의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로 알려진 강선단지의 위치는 평양 외곽의 천리마구역이라고 미국 외교안보 전문지 디플로맷이 보도했다. 미국 정부도 이를 확인했다. 이곳은 영변 핵시설보다 이른 2000년대 초반부터 건설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7]
3. 2. 핵무기 생산 능력 추정
2018년 6월 30일,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국방정보국(DIA)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이 핵탄두 및 관련 장비 시설을 은폐하려 한다고 보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영변 핵시설의 우라늄 농축 공장에 있는 원심분리기 4,000개보다 훨씬 많은 12,000개의 원심분리기가 강선에 위치해 있다고 추정된다.[4]DIA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이미 2002~2003년에 P2형 원심분리기 8,000개에서 12,000개를 만들기에 충분한 부품을 확보했다. 2010년 올브라이트 ISIS 소장이 영변 핵시설의 우라늄 농축 공장을 방문했을 때, 1,000개의 원심분리기가 새로 건설된 것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은 2000년대 중반에 강선에 12,000개의 원심분리기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키스탄이 개발한 2세대 원심분리기를 P2형이라고 부르며, 2,000개의 P2형 원심분리기로 연간 40kg의 농축률 90% 고농축 우라늄(HEU)을 생산할 수 있다.[5] DIA는 강선에 12,000개, 영변에 4,000개의 원심분리기가 있다고 추정하므로, 북한은 매년 320kg의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2013년 8월, 북한은 영변 핵시설의 우라늄 농축 공장을 확장하여 4,000개의 원심분리기를 수용할 수 있게 되었고, 2014년 4월에 원심분리기를 설치한 것이 위성사진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2014년 5월부터는 총 16,000개의 원심분리기가 가동되기 시작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DIA 보고서는 2018년 현재 북한의 HEU 핵폭탄을 최대 44발로 추정했다. 그러나 1994년 NRDC의 토머스 코크란 박사는 핵무기 개발 수준을 상중하 3등급으로 나누었고,[6] 언론에서는 북한이 수소폭탄 완성 이전에 중급으로 평가했다. 코크란 박사는 상급 수준일 경우 HEU 5kg으로 20kt 핵폭탄 1개를 제조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핵물질의 30%가 손실된다고 가정하면, 북한이 16,000개의 원심분리기를 1년 동안 가동하여 320kg의 HEU를 생산하고, 손실률 30%를 고려하면 20kt 핵폭탄 44발을 생산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DIA가 추정한 HEU 핵폭탄 전체량과 일치하지만, 매년 44발의 핵폭탄 생산이 가능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2005년 강선에 12,000개, 2010년과 2014년에 영변에 각각 2,000개의 원심분리기를 설치했다는 보도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2018년 현재 3,200kg의 HEU를 생산했을 수 있다. DIA 보고서는 북한이 보유한 HEU 총량을 최대 1,000kg으로 추정했지만, 3,200kg의 HEU에 손실률 30%를 적용하면 20kt HEU 핵폭탄 504발을 만들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미국은 파키스탄 등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북한의 원심분리기가 P2형이라고 추정하지만, 북한은 2002년부터 독자 개발했으며, 롯카쇼무라를 참고했다고 주장한다. 롯카쇼무라 원심분리기는 P2형보다 서너 배 빠르며, 최근에는 5배 더 빠른 신형으로 교체되었다. 북한이 일본 기술자를 통해 최신 원심분리기 기술을 획득했다면, P2형보다 10배 이상 빠를 수도 있다.
미국 외교안보 전문지 디플로맷은 북한의 비밀 우라늄 농축 시설로 알려진 강선 단지가 평양 외곽의 천리마구역에 있다고 보도했고, 미국 정부도 이를 확인했다. 이곳은 영변 핵시설보다 이른 2000년대 초반부터 건설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7]
3. 3. 원심분리기 기술 논란
2018년 6월 30일, 워싱턴포스트는 북한이 핵탄두 및 관련 장비 시설 은폐를 추구하고 있다는 내용의 미국 국방정보국(DIA) 보고서를 보도했다. 영변 핵시설의 우라늄 농축 공장에 있는 원심분리기 4,000개보다 많은 12,000개의 원심분리기가 강선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4]DIA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2002~2003년에 P2 타입 원심분리기 8,000개~12,000개를 만들기에 충분한 관련 부품을 조달했다. 2,000개의 P2 형식 원심분리기를 가동하면 농축률이 90%인 고농축 우라늄(HEU)을 연간 40kg까지 생산할 수 있다.[5]
북한은 2013년 8월, 영변 핵시설의 우라늄 농축 공장 규모를 기존 2,000개에서 4,000개의 원심분리기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확장 공사했고, 2014년 4월에 원심분리기를 설치한 것이 정찰위성에 관측되었다.
미국은 파키스탄 등에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북한의 원심분리기가 P2형이라고 추정하지만, 2002년부터 북한은 파키스탄제가 아닌 독자 개발한 것이며, 롯카쇼무라를 참고했다고 주장한다. 롯카쇼무라 원심분리기는 P2형보다 서너 배 빠르며, 최근에는 다시 5배 속도를 높이는 신형 원심분리기로 교체했다. 북한이 일본 기술자를 통해 최신형 원심분리기 기술을 획득했다면, P2형보다 10여 배 고속일 수도 있다.
북한의 비밀 우라늄 농축 시설로 알려진 강선단지의 위치는 평양 외곽의 천리마구역이라고 미국 외교안보 전문지 디플로맷이 보도했고, 미국 정부도 확인했다. 이곳은 영변 핵시설보다 더 이른 2000년대 초반부터 건설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7] 강선역은 평양 외곽의 천리마구역에 있다.
3. 4. 강선 핵시설 위치
미국 외교안보 전문지 디플로맷은 북한의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로 알려진 강선단지의 위치가 평양 외곽의 천리마구역이라고 보도했으며, 미국 정부도 이를 확인했다.[7] 강선역은 평양 외곽의 천리마구역에 있으며, 과거에는 강성읍으로 불렸으나 현재는 천리마군으로 불린다. 이곳은 영변 핵시설보다 이른 2000년대 초반부터 건설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7]2018년 6월 30일, 워싱턴포스트는 북한이 핵탄두 및 관련 장비시설 은폐를 추진하고 있다는 내용의 미국 국방정보국(DIA) 보고서를 보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영변 핵시설의 우라늄 농축 공장에 있는 원심분리기 4,000개보다 훨씬 많은 12,000개의 원심분리기가 강선에 위치해 있다고 추정된다.[4]
참조
[1]
서적
将軍様の鉄道
Shōgun-sama no Tetsudō
[2]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겟: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千里馬製鋼聯合企業所) North Korean Human Geography: Ch'ŏllima Steel Complex (in Korean)
http://www.cybernk.n[...]
2016-12-14
[3]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朝鮮・台湾
新潮社
2009
[4]
뉴스
北이 숨겨온 비밀 핵시설은 영변보다 두배 더 큰 '강성'
중앙일보
2018-07-02
[5]
뉴스
北 고농축우라늄 생산능력 2배로
동아일보
2015-08-12
[6]
간행물
The Amount of Plutonium and Highly-enriched Uranium Needed for Pure Fission Nuclear Weapons
National Resources Defense Council
1994
[7]
뉴스
북한 강선 우라늄시설은 평양외곽 천리마구역
연합뉴스TV
2018-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