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옥은 변성암, 화성암 등에서 산출되는 광물로, 결정 구조와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연마재, 내화물 원료 등으로 사용된다. 강옥은 삼방정계 대칭으로 결정화되며, 경도가 높고 융점이 높다. 19세기 초 합성 강옥이 개발된 이후 다양한 합성법이 개발되었으며, 합성 강옥은 장식용뿐만 아니라 기계 부품, 시계 크리스탈, 레이저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다결정 강옥은 아크로에서 용융하여 제조되며, 연마재 및 내화물 원료로 사용된다. 천연 강옥은 보석으로 사용되며, 한국에서도 강옥의 다양한 용도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옥 - 사파이어
사파이어는 루비와 함께 강옥의 주요 보석 품종 중 하나로, 청색이 가장 유명하며 다양한 색상으로 산지, 색상, 투명도, 크기, 연마 상태, 처리 여부 등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고, 스타 사파이어, 컬러 체인지 사파이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합성 사파이어는 산업적으로 활용된다. - 강옥 - 루비
루비는 붉은색을 띠는 강옥으로, 9.0의 경도를 가지는 보석이며, 색상, 컷, 투명도, 캐럿 중량에 따라 가치를 평가하고, 열처리 등의 처리를 통해 품질을 향상시키기도 하며, 고대부터 귀하게 여겨져 왔다. - 초경재료 - 탄화 규소
탄화규소는 탄소와 규소의 화합물로, 다양한 다형체로 존재하며, 연마재, LED, 고성능 전력 반도체, 방탄복, 보석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그래핀 생산과 양자 정보 과학 분야에서도 주목받는 반도체 재료이다. - 초경재료 - 질화 붕소
질화 붕소는 붕소와 질소의 화합물로,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지며, 높은 열적, 화학적 안정성과 우수한 윤활성을 바탕으로 절삭 공구, 연마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강옥 | |
---|---|
일반 정보 | |
![]() | |
종류 | 산화 광물 – 적철석 그룹 |
화학식 | Al₂O₃ |
IMA 기호 | Crn |
화학 성분 | Al₂O₃ |
결정학적 특성 | |
종류 | 삼방정계 |
공간군 | R3c (No. 167) |
격자 상수 | a = 4.75 Å, c = 12.982 Å; Z = 6 |
물리적 특성 | |
색상 | 무색, 회색, 황금색-갈색, 갈색, 자주색, 분홍색-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보라색; 색깔 띠 모양, 성채 효과 주로 회색과 갈색 |
결정형 | 가파른 쌍원뿔, 판상, 기둥 모양, 능면체 결정, 덩어리 또는 과립상 |
쌍정 | 다합성 쌍정 흔함 |
쪼개짐 | 없음 – 3방향으로 분리됨 |
굳기 정도 (모스 척도) | 9 (지표 광물) |
쪼개짐 | 부서지기 쉬움 |
깨짐 | 조개껍데기 모양 ~ 울퉁불퉁함 |
광택 | 금강광택 ~ 유리광택 |
굴절률 | nω = 1.767–1.772, nε = 1.759–1.763 |
광학적 성질 | 단축성 (-) |
다색성 | 없음 |
조흔색 | 무색 |
투명도 | 투명, 반투명 ~ 불투명 |
비중 | 3.95–4.10 |
용융점 | 2044 °C |
용융성 | 녹지 않음 |
용해도 | 녹지 않음 |
기타 특징 | 자외선 하에서 형광 또는 인광을 낼 수 있음 |
변질 | 표면에서 운모로 변질되어 경도가 감소할 수 있음 |
식별 특징 | |
종류 | |
사파이어 | 빨간색을 제외한 모든 색상 |
루비 | 빨간색 |
금강사 | 자철석, 적철석, 또는 헤르시나이트와 밀접하게 혼합된 검은색 입상 강옥 |
어원 | |
단위 부피당 무게 | |
단위 부피당 무게 | 4.02 g/cm³ |
2. 지질학적 산출
강옥은 공간군에서 삼방정계 대칭으로 결정화되며, 단위 세포는 6개의 화학식 단위를 포함한다.[4][24] 강옥 격자에서 산소 원자는 약간 왜곡된 육방 조밀 충전을 형성하며, 산소 이온 사이의 팔면체 위치의 3분의 2는 알루미늄 이온이 점유한다.[29] 세 위치 중 하나에서 알루미늄 이온이 없으면 육방 조밀 충전의 대칭이 깨지고, 결정 족은 삼방정계로 감소한다.[30]
강옥은 변성암 지형의 운모 편암, 편마암 및 일부 대리암에서 광물로 발생한다. 저실리카 화성암인 시에나이트 및 네펠린 시에나이트 관입암에서도 발생한다. 초고철질암 관입암 인접부, 람프로피어 암맥과 관련하여, 그리고 페그마타이트 내의 큰 결정으로도 나타난다.[6]
경도와 풍화에 대한 저항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하천과 해변 모래에서 쇄설성 광물로 발견된다.[6] 기록된 가장 큰 단일 강옥 결정은 약 크기였으며 무게는 였다.[11]
연마재용 강옥은 짐바브웨,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러시아, 스리랑카 및 인도에서 채굴된다. 역사적으로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의 둔암과 관련된 매장지, 그리고 온타리오주 크레이그몬트의 네펠린 시에나이트에서 채굴되었다.[6] 에머리 등급의 강옥은 그리스 낙소스 섬과 미국 뉴욕주 피크스킬 인근에서 발견된다.[6]
량주 문화와 산싱춘 문화(후자는 진탄 구에 위치)에서 기원전 2500년경의 강옥 축 4개가 중국에서 발견되었다.[13][14]
3. 결정 구조 및 물리적 특성
강옥의 인성은 표면 거칠기[25][26] 및 결정학적 배향에 민감하다.[27] 강옥(사파이어)의 영률은 여러 출처에서 보고되었으며, 값은 300~500 GPa 사이에서 다양하지만, 계산에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값은 345 GPa이다.[32] 강옥의 전단 탄성 계수는 145 GPa이고,[33] 체적 탄성 계수는 240 GPa이다.[33]
결정 격자 내의 이온 반경은 알루미늄이 68pm, 산소가 126pm이다. Al과 O의 위치는 모두 왜곡되어 있다. 3개의 O2-가 만드는 움푹 들어간 곳에 Al3+ 이온이 자리 잡고 (= Al을 중심으로, O를 꼭짓점으로 하는 6배위 팔면체를 형성), 움푹 들어간 곳의 1/3은 규칙적으로 비어 있다.
강옥의 주요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4. 합성 강옥
19세기 초, 프랑스의 과학자 마르크 앙투안 고댕이 소량의 크롬을 착색제로 사용하여 고온에서 알루미나를 반응시켜 최초로 합성 루비를 만들었다.[15] 1847년, J. J. 에벨멘은 붕산에서 알루미나를 반응시켜 흰색 합성 사파이어를 만들었다. 1877년에는 프레믹과 프레일이 작은 돌을 잘라낼 수 있는 결정질 강옥을 만들었으며, 프리미와 오귀스트 베르누이는 와 를 소량의 크롬과 함께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하여 인공 루비를 제조했다. 1903년, 베르누이는 이 화염 용융 공정(베르누이 공법)을 사용하여 상업적인 규모로 합성 루비를 생산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16]
베르누이 공법은 자연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크기의 흠 없는 단결정 사파이어와 루비 보석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 플럭스 성장 및 수열 합성으로도 보석 품질의 합성 강옥을 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강옥 합성에 관련된 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체가 대량으로 시장에 나와 천연석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17]
합성 강옥은 파괴적인 채광을 피하고 자원을 보존함으로써 천연 강옥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18][19] 그러나 생산 과정에서 화석 연료를 사용하면 에너지 집약적이며 탄소 배출에 기여하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화학 물질을 사용한다.[20]
합성 강옥은 장식용 외에도 기계 부품(튜브, 막대, 베어링 및 기타 가공 부품), 긁힘 방지 광학, 긁힘 방지 시계 크리스탈, 인공위성 및 우주선의 기기 창(자외선에서 적외선 범위까지의 투명성 때문에) 및 레이저 부품을 생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KAGRA 중력파 검출기의 주 거울은 약 22.68kg 사파이어이며,[21] Advanced LIGO는 40kg 사파이어 거울을 고려했다.[22] 강옥은 높은 경도로 인해 세라믹 갑옷 개발에도 사용되고 있다.[23]
코런덤(루비, 사파이어)의 단결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인조할 수 있다.
방법 | 설명 | 특징 | 개발자 및 시기 |
---|---|---|---|
베르누이법 (화염 용융법) | α-알루미나 등의 미세 분말을 수소-산소 불꽃 속에 떨어뜨려 액적으로 만들고, 이것을 받침대의 종자 결정 위에 떨어뜨려 종자 결정과 같은 결정 방위로 재결정화시키며, 받침대를 1시간에 수 mm의 속도로 내려 긴 단결정으로 성장시킨다. | 생성 속도가 빠르고 비용이 저렴, 동심원 모양의 성장선 | 오귀스트 베르누이, 1903년 |
플럭스법 (용융법) | 명반을 물에 진하게 녹여 결정 입자를 매달아 단결정으로 성장시키는 방법과 유사. 알루미나는 상압 하에서 물에 녹지 않으므로 용융된 플럭스(플루오린화 납, 산화 납 등)에 녹인다. {{cvt|} | }℃ 이상으로 유지하여 알루미나 등을 녹인 후, 1시간에 수 도의 속도로 냉각하여 과포화 상태로 만들면 약 900°C에서 커런덤 단결정이 석출된다. || 격자 결함이 적은 mm 단위 단결정 제조에 적합, 실용적인 보석 크기로 키우는 데 시간이 걸림, 연기 모양의 내포물로 천연물과 구별 || 1960년대부터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