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화 붕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질화 붕소(BN)는 붕소와 질소의 화합물로,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지며 압력과 온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존재한다. 1842년 윌리엄 헨리 발메인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육방정계(h-BN), 입방정계(c-BN), 섬아연광형(w-BN)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h-BN은 흑연과 유사한 층상 구조를 가지며, c-BN은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질화 붕소는 높은 열적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우수한 윤활성을 보이며, 절삭 공구, 연마재, 윤활제, 화장품, 고온 장비, 반도체 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질화물 - 보라존
보라존은 다이아몬드에 준하는 경도를 지닌 입방정계 질화붕소 결정체로, 고온 안정성이 뛰어나 연마재, 절삭 공구, 경화강 연삭, 엔진 및 항공우주 부품 가공 등에 사용되며 SF 작품 속 미래 기술 소재로도 등장한다. - 질화물 - 질화 갈륨
질화 갈륨은 광대역 반도체 물질로, LED, 레이저,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자외선 영역의 광원이고, LED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III-V 반도체 - 인화 알루미늄
인화 알루미늄은 알루미늄과 인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유독한 화합물로, 살서제, 살충제, 반도체 재료 등으로 사용되지만, 유독성으로 인해 사망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 III-V 반도체 - 질화 갈륨
질화 갈륨은 광대역 반도체 물질로, LED, 레이저,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자외선 영역의 광원이고, LED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단분자층 - 그래핀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육각형 벌집 격자 형태로 결합된 2차원 물질로, 뛰어난 특성 덕분에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상용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대량생산 및 독성 연구가 필요하다. - 단분자층 - 실리센
실리센은 그래핀과 유사한 육각형 벌집 구조를 가진 물질로, 다양한 전자 소자 응용 가능성을 보이며 기판과의 상호작용, 띠틈 조절, 안정성 확보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질화 붕소 | |
---|---|
기본 정보 | |
![]() | |
CAS 등록 번호 | 10043-11-5 |
UNII | 2U4T60A6YD |
PubChem | 66227 |
ChemSpider ID | 59612 |
EINECS | 233-136-6 |
MeSH 이름 | 엘보어 |
ChEBI | 50883 |
RTECS | ED7800000 |
Gmelin | 216 |
SMILES | B#N |
표준 InChI | 1S/BN/c1-2 |
InChI | 1S/B2N2/c1-3-2-4-1 |
InChI1 | 1S/B3N3/c1-4-2-6-3-5-1 |
InChI2 | 1/BN/c1-2 |
표준 InChIKey | PZNSFCLAULLKQX-UHFFFAOYSA-N |
InChIKey | AMPXHBZZESCUCE-UHFFFAOYSA-N |
InChIKey1 | WHDCVGLBMWOYDC-UHFFFAOYSA-N |
InChIKey2 | PZNSFCLAULLKQX-UHFFFAOYAL |
성질 | |
화학식 | BN |
몰 질량 | 24.818 g/mol |
겉모습 | 무색 결정 |
밀도 | 2.1 g/cm3 (h-BN); 3.45 g/cm3 (c-BN) |
녹는점 | 2973 °C |
녹는점 주석 | 승화 (c-BN) |
전자 이동도 | 200 cm2/(V·s) (c-BN) |
굴절률 | 1.8 (h-BN); 2.1 (c-BN) |
용해도 | 불용성 |
구조 | |
결정 구조 | 육방정계, 섬아연광 구조, 우르츠 광 구조 |
열화학 | |
표준 생성 엔탈피 | −254.4 kJ/mol |
표준 생성 자유 에너지 | −228.4 kJ/mol |
엔트로피 | 14.8 J/K mol |
열용량 | 19.7 J/(K·mol) |
위험성 | |
GHS 신호어 | 경고 |
NFPA 704 | NFPA-H: 0 NFPA-F: 0 NFPA-R: 0 |
관련 화합물 | |
기타 화합물 | 비화 붕소 탄화 붕소 인화 붕소 삼산화 붕소 |
2. 역사
1842년 리버풀 연구소의 화학교사 윌리엄 헨리 발메인(William Henry Balmain)이 붕산과 탄소, 시안화칼륨이 있는 환경에서 환원 반응을 통해 질화 붕소를 발견했다.[4]
질화 붕소는 압력과 온도에 따라 세 가지 주요 결정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육방정 결정 구조, 입방정 결정 구조, 울짜이츠 결정 구조를 갖는다. 흔히 질화 붕소라고 하면 육방정 결정 구조를 가진 질화 붕소를 의미한다.[1]
3. 구조
질화 붕소는 붕소(B)와 질소(N) 원자의 배열이 서로 다른 여러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재료의 다양한 특성으로 나타난다.명칭 화학식 결정구조 최근접 원자간 거리 (pm) 층간 거리 (pm) 상압상 질화붕소 BN 145 334 흑연 C 의 모든 원자가 C 142 335 고압상 질화붕소 BN -- 157 - 다이아몬드 C --의 모든 원자가 C 154 -
흑연은 모든 꼭짓점이 탄소(C) 원자로 채워져 있지만, 육각형 망상이 겹쳐져 있다는 점에서 질화 붕소의 구조와 유사하다.
상압상 질화 붕소(h-BN)의 결정 구조(왼쪽 그림)는 작은 파란색이 붕소, 큰 갈색이 질소를 나타낸다. 붕소와 질소는 번갈아 정육각형 꼭짓점에 위치하며, 그림의 (a)와 (b)에서 붕소와 질소의 위치는 반대이다. (a) 위에 (b), 그 위에 다시 (a)와 같이 2층 주기로 쌓이면 육방정계 질화붕소(h-BN)가 된다. 육각형 망상 겹침이 3층 주기인 능면체정계 질화붕소(r-BN)도 보고되었다.
고압상 질화 붕소의 결정 구조(오른쪽 그림)는 정사면체 형태이다. 네 개의 꼭짓점에 붕소 또는 질소 원자가, 무게중심 위치에 질소 또는 붕소 원자가 배치된다. 이 정사면체를 평면 위에 조밀하게 배열하고, (<)(<)(<)(<)……와 같이 (<) 방향으로 층을 쌓으면 입방정형 질화 붕소 (c-BN)가 된다. (<)(>)(<)(>)……형으로 쌓으면 융광석형의 w-BN이라고 불리는 고압상이 되며, 이는 육방정 구조이다.[1]
3. 1. 상압상 질화 붕소
질화붕소는 붕소와 질소 원자의 배열이 서로 다른 여러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재료의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왼쪽 그림은 h-BN의 결정 구조 모형으로, 작은 파란색이 붕소, 큰 갈색이 질소이다. 붕소와 질소가 번갈아 정육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하며, 그림의 (a)와 (b)에서는 붕소와 질소의 위치가 반대이다. (a) 위에 (b), 그 위에 다시 (a)와 같이 2층 주기로 쌓이면 육방정계 질화붕소(h-BN)가 만들어진다. 육각형 망상의 겹침이 3층 주기인 능면체정계 질화붕소(r-BN)도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흑연과 유사하다. 흑연에서는 파란색·갈색의 구분 없이 모든 꼭짓점이 탄소 원자로 채워져 있지만, 역시 육각형 망상이 겹쳐져 있다.
저온 또는 기상법으로 합성한 BN은 무질서한 적층 구조가 되기 쉬운데, 이러한 BN은 난층구조 BN(t-BN, turbostratic BN)이라고 불린다.
명칭 | 화학식 | 결정구조 | 최근접 원자간 거리 (pm) | 층간 거리 (pm) |
---|---|---|---|---|
상압상 질화붕소 | BN | 145 | 334 | |
흑연 | C | 에서 모든 원자가 C | 142 | 335 |
3. 1. 1. 육방정계 질화 붕소 (h-BN)
육방정계 질화 붕소(h-BN)는 흑연과 유사한 층상 구조를 갖는다. h-BN, α-BN, g-BN, 또는 흑연상 질화붕소(graphitic boron nitride)라고도 불린다. 각 층 내에서 붕소와 질소 원자는 강한 공유 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층들은 약한 반데르발스 힘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층간 "배열"은 붕소 원자가 질소 원자 위에 위치하는, 원자들이 서로 겹쳐지는(eclipsed)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배열은 B-N 결합의 국소적 극성과 층간 N-주개/B-받개 특성을 반영한다.[5]왼쪽 그림은 h-BN의 결정 구조 모형으로, 작은 파란색이 붕소, 큰 갈색이 질소이다. 붕소와 질소가 번갈아 정육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하며, 그림의 (a)와 (b)에서는 붕소와 질소의 위치가 반대이다. (a) 위에 (b), 그 위에 다시 (a)와 같이 (a)(b)(a)(b)(a)(b)……와 같이 2층 주기로 쌓이면 육방정계 질화붕소(h-BN)가 만들어진다.
육각형 망상의 겹침이 3층 주기인 능면체정계 질화붕소(r-BN)도 보고되어 있다. 시안화칼륨(KCN)과 메타붕산나트륨(Na2B2O4)에서 합성한 질화붕소에 포함되어 있거나, 고압상 BN이 h-BN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에서 생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h-BN과 흑연은 매우 가까운 이웃이며, 이 물질은 치환 원소로 탄소를 수용하여 BNCs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B와 N 원자를 탄소가 치환하는 BC6N 하이브리드가 합성되었다.[5]
그래핀은 h-BN 단일층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벌집 격자 구조를 가지지만, 검은색이며 전기 전도체인 반면, h-BN 단일층은 흰색이며 절연체이다. 이것은 원자적으로 평평한 절연 기판 또는 2차원 전자공학에서 터널링 유전체 장벽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6]
저온 또는 기상법으로 합성한 BN은 무질서한 적층 구조가 되기 쉽고, 이러한 BN은 난층구조 BN(t-BN, turbostratic BN)이라고 불린다.
명칭 | 화학식 | 결정구조 | 최근접 원자간 거리 (pm) | 층간 거리 (pm) |
---|---|---|---|---|
상압상 질화붕소 | BN | 145 | 334 | |
흑연 | C | 에서 모든 원자가 C | 142 | 335 |
3. 1. 2. 난층구조 BN (t-BN)
저온 또는 기상법으로 합성한 BN은 무질서한 적층 구조가 되기 쉬우며, 이러한 BN은 난층구조 BN(t-BN, turbostratic BN)이라고 불린다.3. 1. 3. 능면체정계 질화 붕소 (r-BN)
r-BN영어은 육각형 망상의 겹침이 3층 주기인 결정구조를 가진다.[1] 시안화칼륨(KCN)과 메타붕산나트륨(Na2B2O4)에서 합성한 질화붕소에 포함되어 있거나, 고압상 BN이 h-BN영어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에서 생성될 것으로 예상된다.[1]3. 2. 고압상 질화 붕소
압력과 온도에 따라 질화 붕소는 3가지 결정구조(육방정, 입방정, 울짜이츠)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질화 붕소는 육방정 결정구조를 뜻한다.[1]오른쪽 그림의 왼쪽 절반의 정삼각형에 금을 그어 접어 올리고, 맞닿는 모서리를 붙이면 정삼각형 네 개의 정사면체가 만들어진다. 정사면체의 네 꼭짓점에는 붕소(B) 또는 질소(N) 원자가, 무게중심 위치에는 질소(N) 또는 붕소(B) 원자가 배치되어 질화 붕소 결정을 이룬다. 다이아몬드에서는 꼭짓점과 무게중심 위치 모두 탄소(C) 원자가 배치된다.[1]
이 정사면체를 평면 위에 조밀하게 배열하면 그림 오른쪽 절반과 같은 그물 모양이 된다. 정삼각형 중앙에서 120° 간격으로 세 개의 다리를 가진 검은 점은 정사면체 꼭짓점의 원자이고, 나머지 검은 원은 정사면체 밑면의 원자이다. 이들은 정사면체로 이루어진 층을 이룬다. 제1층 위에 제2층의 정사면체를 놓을 때는 제1층 꼭짓점, 즉 세 개의 다리가 달린 검은 점을 발판으로 배열한다. 이때 그림 오른쪽 끝에 사선을 친 (<)형과 (>)형, 두 가지 배열 방법이 가능하다(제1층은 (<) 방향).[1]
(<)(<)(<)(<)……와 같이 (<) 방향으로 층을 쌓으면 입방정형 질화 붕소 (c-BN)가 된다. 이 그림의 그물 모양은 입방정의 (111)면에 해당하며, 섬아연광형 구조라고 불린다. (<)(>)(<)(>)……형으로 쌓으면 융광석형의 w-BN이라고 불리는 고압상이 되며, 이는 육방정 구조이다.[1]
3. 2. 1. 입방정계 질화 붕소 (c-BN)
입방정 질화 붕소는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섬아연석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이아몬드가 흑연보다 안정성이 낮은 것과 마찬가지로, 입방형은 육방정계 질화 붕소보다 안정성이 낮지만, 상온에서 두 형태 간의 변환 속도는 무시할 만하다. 입방형은 섬아연석 결정 구조(공간군 = F43m)를 가지며, 이는 다이아몬드(규칙적으로 배열된 B와 N 원자)와 동일하며, β-BN 또는 c-BN이라고도 한다.[1]오른쪽 그림에서 왼쪽 절반의 정삼각형에 금을 그어 접어 올리고, 맞닿는 모서리를 붙이면 정삼각형 네 개의 정사면체가 만들어진다. 그 네 개의 꼭짓점에 B 원자 또는 N 원자, 그리고 무게중심 위치에 N 원자 또는 B 원자를 배치한 정사면체로부터 질화 붕소의 결정을 조립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에서는 꼭짓점과 무게중심 위치가 모두 C이다.[1]
그 정사면체를 평면 위에 조밀하게 배열하면 그림의 오른쪽 절반의 그물 모양이 되고, 정삼각형의 중앙에서 120° 간격의 세 개의 다리를 가진 검은 점이 정사면체의 꼭짓점의 원자이며, 그 외의 검은 원은 정사면체의 밑면의 원자이다. 이들은 정사면체로 이루어진 층을 이룬다. 제1층 위에 놓는 제2층의 정사면체는 제1층의 꼭짓점, 즉 세 개의 다리 달린 검은 점을 발판으로 배열하게 되며, 그 경우 그림의 오른쪽 끝에 사선을 친 (<)형과 (>)형의 두 가지 배열 방법이 있다(제1층은 (<) 방향으로 그려져 있다).[1]
(<) 방향의 층 위에 (<) 방향으로, 그 위에도 (<) 방향으로, (<)(<)(<)(<)……와 같이 쌓아 올리면 입방정형 질화 붕소 (c-BN)가 된다. 그림의 그물 모양이 입방정의 (111)면이다. 이 구조는 섬아연광형이라고 불린다. 다이아몬드도 마찬가지로 (<)(<)(<)(<)……형이다.[1]
3. 2. 2. 섬아연광형 질화 붕소 (w-BN)
섬아연광형 질화 붕소(w-BN)는 탄소의 희귀한 육방정계 다형체인 롱스데일석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입방정과 마찬가지로 붕소와 질소 원자는 사면체로 그룹화되어 있다.[7] 섬아연광형에서 붕소와 질소 원자는 6원자 고리로 그룹화되어 있는데, 입방형에서는 모든 고리가 의자형 배좌에 있는 반면, w-BN에서는 '층' 사이의 고리가 배형 배좌에 있다. 초기에는 섬아연광형이 매우 강하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이아몬드보다 18%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자연계에 존재하는 광물의 양이 적기 때문에 아직 실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8] 경도는 46 GPa로, 상업용 붕소화물보다는 약간 더 단단하지만 질화붕소의 입방형보다는 더 무르다.[3]
섬아연광 구조
롱스데일석과 유사함
3. 3. 비정질 질화 붕소 (a-BN)
비정질 질화 붕소(a-BN)는 비결정질이며, 원자 배열에 장거리 규칙성이 없다. 비정질 탄소와 유사하다.4. 성질
질화 붕소는 높은 열전도율, 낮은 열팽창률, 뛰어난 열충격 저항성, 화학적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상압상 질화붕소(h-BN)는 원자가 단단히 결합된 육각형 망상면이 넓은 간격으로 겹쳐 있으며, 층 사이는 약한 반데르발스 힘으로 연결되어 서로 미끄러지기 쉽다. 이 때문에 "흰 흑연"(화이트 그래파이트)이라고도 불린다. 망상면이 단단하여 격자 진동에 의해 열이 잘 전달되며, 전기 절연체 중에서 열전도율이 높다. 열팽창률이 낮고, 알루미나의 약 1/10이다. 높은 열전도율과 낮은 열팽창률 때문에 세라믹스 중에서 열충격 저항성이 우수하며, 1500°C 이상에서 급냉해도 파괴되지 않는다.
h-BN은 전기음성도가 높은 질소 원자에 전자가 붙잡혀 있어 가시광선을 흡수하지 않아 흰색을 띤다. 대기 중에서는 1000°C까지, 진공에서는 1400°C까지, 불활성 분위기에서는 2800°C까지 안정적이다. 알루미늄, 구리, 아연, 철, 강철, 게르마늄, 규소, 붕소, 빙정석, 유리, 할로겐화물의 용융체에 젖지 않는다.
입방정 질화붕소(c-BN)는 다이아몬드와 결정 구조가 유사하고 원자 간 거리도 거의 같다. 다이아몬드와 달리 철, 니켈 및 기타 합금에 녹지 않는다. 900°C의 산화 분위기에서는 B2O3 보호 피막을 생성하지만, 이 피막은 1200°C~1300°C에서 증발한다. 1400°C 전후에서 상압상(h-BN)으로 돌아오며, 수증기가 존재하면 약 900°C에서 붕산과 암모니아로 분해된다.
4. 1. 물리적 성질
h-BN은 층 내에서는 강한 공유 결합으로, 층 사이에서는 약한 반데르발스 힘으로 결합되어 있어 이방성을 보인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경도, 전기 전도도, 열전도율 등 대부분의 특성이 층 내에서와 층에 수직인 방향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경도, 전기 전도도, 열전도도는 층 내부에서 훨씬 높다.[18] 반면, c-BN과 w-BN은 더 균질하고 등방성인 특성을 갖는다.[18]c-BN의 경도는 다이아몬드보다 약간 작지만, w-BN은 다이아몬드보다 더 높을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18] 또한, 10 nm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가진 다결정 c-BN은 다이아몬드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비커스 경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BN의 열전도도는 모든 전기 절연체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20]
재료 | 질화 붕소 (BN) | 흑연 | 다이아몬드 | |||
---|---|---|---|---|---|---|
비정질[11][12][13] | 육방정계 | 입방정계[14][10] | 섬유상 | |||
밀도 (g/cm3) | 2.28 | ~2.1 | 3.45 | 3.49 | ~2.1 | 3.515 |
누프 경도 (GPa) | 10 | 45 | 34 | 100 | ||
열전도율 (W/m·K) | 3 | 600 ∥, 30 ⟂ | 740 | 200–2000 ∥, 2–800 ⟂ | 600–2000 | |
밴드갭 (eV) | 5.05 | 5.9–6.4 [15] | 10.1-10.7 [16] | 4.5–5.5 | 0 | 5.5 |
h-BN 층의 부분적인 이온 결합성은 공유 결합성과 전기 전도도를 낮추지만, 층간 상호작용을 강화시켜 흑연보다 h-BN의 경도를 높인다. 육방정계 BN에서 감소된 전자 비편재화는 무색과 큰 밴드갭으로 이어진다. h-BN은 기저면 (붕소와 질소 원자가 공유 결합으로 결합된 면) 내부에서는 강한 공유 결합을, 면 사이에서는 약한 결합을 가져 대부분의 특성에서 높은 이방성을 유발한다.
상압상 질화붕소는 원자가 단단히 결합된 육각형 망상면이 넓은 간격으로 겹쳐 있으며, 층 사이는 약한 반데르발스 힘으로 연결되어 서로 미끄러지기 쉽다. 이 때문에 "흰 흑연"(화이트 그래파이트)이라고도 불린다. 망상면이 단단하여 격자 진동으로 열이 잘 전달되며, 전기 절연체 중에서 가장 높은 열전도율을 가진다.
결정 구조가 다이아몬드와 유사하고 원자 간 거리도 거의 같기 때문에, 다이아몬드에 준하는 높은 경도를 갖는다. 누프 경도 (kgf/mm2)는 다이아몬드의 7000~8000에 비해 4500~4700이다.
4. 2. 화학적 성질
h-BN과 c-BN은 모두 화학적, 열적 안정성이 뛰어나다. 일반적인 산에는 부식되지 않지만, LiOH, KOH, NaOH-Na₂CO₃, NaNO₃, Li₃N, Mg₃N₂, Sr₃N₂, Ba₃N₂, Li₃BN₂과 같은 알칼리성 용융염과 질화물에는 용해된다. 이러한 물질들은 BN을 식각하는 데 사용된다.[14]상압상 질화붕소(h-BN)는 육각형 망상면이 넓은 간격으로 겹쳐진 구조를 가지며, 층 사이는 약한 반데르발스 힘으로 연결되어 있어 서로 미끄러지기 쉽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흰 흑연"(화이트 그래파이트)이라고도 불린다. h-BN은 전기 절연체이며, 전기음성도가 높은 질소 원자에 전자가 붙잡혀 있어 가시광선을 흡수하지 않아 흰색을 띤다.
대기 중에서는 1,000℃, 진공에서는 1,400℃, 불활성 분위기에서는 2,800℃까지 안정적이다. 알루미늄, 구리, 아연, 철, 강철, 게르마늄, 규소, 붕소, 빙정석, 유리, 할로겐화물의 용융체에 젖지 않는다.
입방정 질화붕소(c-BN)는 결정 구조가 다이아몬드와 유사하고 원자 간 거리도 거의 같아 다이아몬드에 준하는 높은 경도를 가진다. 다이아몬드와 달리 철, 니켈 및 기타 합금에 녹지 않는다. 900℃의 산화 분위기에서는 B₂O₃ 보호 피막을 생성하지만, 이 피막은 1200~1300℃에서 증발한다. 1400℃ 전후에서 상압상(h-BN)으로 돌아오며, 수증기가 존재하면 약 900℃에서 붕산과 암모니아로 분해된다.
4. 3. 열적 안정성
육방정계 질화 붕소(h-BN)는 공기 중에서 1000°C, 진공에서는 1400°C, 불활성 기체 환경에서는 2800°C까지 안정하다.[14]5. 제조 방법
질화 붕소는 고온의 전기로에 암모니아나 요소 등의 증기를 만들고 삼산화이붕소(
다음은 대표적인 제조 방법이다.[37]
- 무수붕산(B₂O₃)을 용융시켜 질소 또는 암모니아(NH₃)와 인산칼슘(Ca₃(PO₄)₂)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시킨다.
- 붕산이나 붕화알칼리와 요소, 구아니딘, 멜라민(C₃H₆N₆) 등의 유기질소화합물을 고온의 질소-암모니아 분위기에서 반응시킨다.
- 붕산나트륨(Na₃BO₃)을 용융시켜 염화암모늄과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반응시킨다.
- 삼염화붕소(BCl₃)와 암모니아를 고온에서 반응시킨다(고순도품을 얻을 수 있다).
상압상 질화붕소는 18GPa, 1,730~3,230℃ 환경에서 고압상으로 변하며, 그것은 상온 상압하에서도 준안정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원료의 상압상에 1족 원소, 2족 원소 또는 그것들의 질화물을 첨가하면 4~7GPa, 1500℃에서 변환된다.

고압상 질화 붕소를 제조하기 위해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수압 고압 합성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장치는 "벨트형"이라고도 불리며, 원료와 줄 열 발생용 히터 등을 채우고 압력을 가하여 고압상으로 변환시킨다.
폭약을 사용하여 순간적으로 고온 고압 상태를 만들어 고압상으로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5. 1. 상압상 질화 붕소
육방정계 질화붕소는 불활성 분위기에서 삼산화붕소() 또는 붕산()을 암모니아() 또는 요소( )와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37]: (''T'' = 900 °C)
: (''T'' = 900 °C)
: (''T'' > 1000 °C)
: (''T'' > 1500 °C)
결과적으로 생성된 비정질 물질은 92–95%의 BN과 5–8%의 를 포함한다. 남은 는 BN 농도를 98% 이상으로 높이기 위해 두 번째 단계에서 1500 °C 이상의 온도로 증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는 BN을 결정화시키며, 결정 크기는 열처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한다.[20][38]
h-BN 부품은 열간 프레스 후 가공을 통해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 부품들은 더 나은 압축성을 위해 산화붕소를 첨가한 질화붕소 분말로 만들어진다. 질화붕소 박막은 삼염화붕소와 질소 전구체로부터 화학 기상 증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39]
다음은 대표적인 제조법이다.
- 붕산이나 붕화알칼리와 요소, 구아니딘, 멜라민(C₃H₆N₆) 등의 유기질소화합물을 고온의 질소-암모니아 분위기에서 반응시킨다.
- 붕산나트륨(Na₃BO₃)을 용융시켜 염화암모늄과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반응시킨다.
- 삼염화붕소(BCl₃)와 암모니아를 고온에서 반응시킨다(고순도품을 얻을 수 있다).
5. 2. 고압상 질화 붕소
육방정계 질화 붕소(h-BN)는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입방정계 질화 붕소(c-BN)나 섬아연광 구조(w-BN)로 변환될 수 있다.c-BN은 육방정계 질화 붕소(h-BN)를 5~18 GPa의 압력과 1730~3230 °C의 온도에서 직접 변환시켜 얻을 수 있다. 소량의 산화 붕소를 첨가하면 변환에 필요한 압력과 온도를 낮출 수 있다.[45] 리튬, 칼륨, 마그네슘 등의 촉매나 그 질화물, 불화질화물, 암모늄 화합물이 포함된 물 또는 히드라진을 첨가하여 변환 압력과 온도를 더욱 낮출 수도 있다.[46][47]
정수압 고압 합성 장치를 사용하여 고온, 고압 조건을 만들 수 있다. 오른쪽 그림과 같은 장치는 "벨트형"이라고도 불리며, 원료와 줄 열 발생용 히터 등을 채운 후 압력을 가하고 가열하여 고압상으로 변환시킨다.
w-BN은 폭발적인 충격파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생성된 w-BN은 융압석형(wurtzite type) 구조를 가진다.[48]
6. 응용 분야
질화 붕소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체 윤활제: 질화 붕소는 저온부터 고온(900℃)까지 사용 가능한 고체 윤활제이다. 이황화 몰리브덴(MoS₂)이나 흑연과 달리 고온에서도 산화되지 않아 500℃ 이상에서 사용 가능하다. 수분이 필요 없어 우주 공간에서도 사용 가능하지만, 진공에서는 마찰 계수가 높아 잘 사용되지 않는다. 세라믹, 합금, 수지, 고무 등에 혼합하여 윤활성을 높이고, 열전도율, 전기 절연성,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열쇠 구멍처럼 먼지 막힘이나 오염이 우려되는 부분의 윤활제로도 사용된다.
- 이형제: 자동차 엔진 주조용 금형이나 유리 성형 금형 등에 도포하거나 뿌림가루로 사용된다.
- 소결 촉진제: 질화알루미늄이나 질화규소 소결체용 세터, 금속·유리용 도가니 등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트랜지스터 등의 히트싱크나 CVD 방식으로 제작된 화합물 반도체용 도가니로도 사용된다.
- 화장품: 미분말 형태로 화장품에 배합된다.
- 기타: 고압상 질화 붕소의 원료, 결합제를 첨가한 연마석, 소결체를 이용한 절삭 공구, 전기 절연성 히트싱크 등으로 사용된다.
6. 1. 육방정계 질화 붕소 (h-BN)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는 흑연과 유사한 층상 구조를 가지는 가장 안정적인 결정 형태이다. 각 층 내에서 붕소와 질소 원자는 강한 공유 결합으로 결합되어 있고, 층들은 약한 반데르발스 힘으로 결합되어 있다. h-BN은 흑연과 매우 유사하지만, 원자 배열 방식이 달라 B-N 결합의 극성과 층간 특성을 반영한다. h-BN 단일층은 그래핀과 유사한 벌집 격자 구조를 가지지만, 그래핀과 달리 흰색이며 절연체이다.
h-BN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 고체 윤활제: 저온 및 고온(최대 900 °C, 산화성 분위기)에서 우수한 윤활제 역할을 한다. 흑연의 전기 전도성이나 화학적 반응성이 문제가 되는 경우, 또는 우주 공간과 같이 진공 환경에서 특히 유용하다. 화장품, 페인트, 치과용 시멘트, 연필심에도 사용된다.[50]
- 화장품: 1940년대에 일본에서 처음으로 화장품에 사용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 생산 공정 최적화 이후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아이섀도우, 블러셔, 콜 연필, 립스틱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20]
- 고온 장비: 뛰어난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질화붕소 세라믹과 코팅은 고온 장비에 사용된다. 세라믹, 합금, 수지, 플라스틱, 고무 등에 포함되어 자체 윤활 특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베어링 제작 및 제강에도 사용된다.[20]
- 전자 장치: 다층 h-BN은 양자 장치의 기판 재료, 저항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유전체로 사용된다.[51][52] 제록스 공정 및 레이저 프린터에서 광드럼의 전하 누설 방지층으로 사용된다.[53]
- 자동차 산업: 바인더(산화붕소)와 혼합된 h-BN은 연료 흐름 조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산소 센서의 밀봉에 사용된다.[20]
- 기타: 질화붕소 나노시트(h-BN)는 화학 기상 증착으로 증착되어 그래핀 기반 장치의 기판으로 사용되며, 연료 전지와 수전해에도 응용될 수 있다.[55][56] 정밀 사격용 소총에서 총알 및 총열 윤활제로 사용되기도 한다.[57] 용융 금속 및 유리 응용 분야에서 이형제로 사용된다.[58][59][60][61][62]
h-BN은 열간 프레싱하여 부품을 만들 수 있으며, 사용되는 바인더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나뉜다. 산화붕소 바인더를 포함하는 등급은 물에 민감하며, 붕산칼슘 바인더를 사용하는 등급은 1600 °C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가 없는 등급은 3000 °C까지 사용할 수 있다.[54]
6. 2. 입방정계 질화 붕소 (c-BN)
입방정 질화 붕소(c-BN)는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가진 물질이다. 육방정 질화 붕소보다 안정성은 낮지만, 상온에서 두 형태 간 변환 속도는 매우 느리다. c-BN은 섬아연석 결정 구조를 가지며, β-BN이라고도 불린다.c-BN은 널리 사용되는 연마재이다.[63] 철, 니켈, 합금에 잘 녹지 않아 다결정 c-BN ('''PCBN''') 연마재는 강철 가공에 사용된다. 반면 다이아몬드 연마재는 알루미늄 합금, 세라믹, 석재 가공에 적합하다. c-BN은 고온에서 산소와 만나면 산화붕소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하며, 금속 보라이드나 질화물 중간층을 통해 금속과 잘 결합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c-BN 결정을 포함한 재료는 절삭공구의 선삭공구에 사용된다. 연마 용도로는 수지, 다공성 세라믹, 연성 금속 등의 결합제가 사용되며, 세라믹 결합제도 사용 가능하다. 상업용 제품으로는 "보라존"(Hyperion Materials & Technologies[64]) 및 "엘보어" 또는 "큐보나이트"(러시아 공급업체[50]) 등이 있다.
c-BN은 BN 분해 온도보다 약간 낮은 온도에서 질소 흐름 하에 c-BN 분말을 어닐링(소결)하여 큰 펠릿 형태로 만들 수 있다. c-BN과 h-BN 분말의 용융 능력 덕분에 대형 BN 부품을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50]
c-BN은 다이아몬드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율이 높고 전기 저항률이 커 방열판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c-BN은 가벼운 원자로 구성되어 있고 화학적, 기계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에 X선 막의 주요 재료 중 하나이다. 낮은 질량으로 인해 X선 흡수가 적고, 우수한 기계적 특성 덕분에 얇은 막을 사용할 수 있어 흡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65]
6. 3. 비정질 질화 붕소 (a-BN)
비정질 질화 붕소(a-BN) 층은 MOSFET와 같은 반도체 소자에 사용된다.[66] 이는 트리클로로보라진을 세슘으로 화학적으로 분해하거나, 열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열화학 기상 증착법(CVD)은 h-BN 층을 증착하거나, 고온에서는 c-BN을 증착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66]6. 4. 기타
탄소섬유와 유사한 h-BN 섬유가 제조되고 있다.풀러렌 형태 및 탄소나노튜브 형태의 질화붕소도 연구되고 있다.
CVD, 열 CVD, PVD 등을 이용하여 전자소자용 h-BN, c-BN을 제조하려는 시도도 진행 중이다.
MgB₂, Mg, BN을 함께 소결하여 MgB₂ 초전도체 단결정을 만드는 시스템(Mg-B-N 시스템)이 확립되었다.
2009년 중국 티베트 자치구의 크롬 광상에서 고압 상에 해당하는 질화붕소가 자연계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2013년에 Qingsongite|청송석영어으로 명명되었다.[110][111]
7. 안전성
질화 붕소(Si₃N₄, NbN, BNC와 함께)는 일반적으로 무독성이며 생체 시스템에서 화학적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106] 우수한 안전성 프로필과 윤활 특성으로 인해 질화 붕소는 화장품과 식품 가공 장비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107][108]
참조
[1]
문서
for h-BN
[2]
서적
RubberBible92nd
[3]
논문
Myths about new ultrahard phases: Why materials that are significantly superior to diamond in elastic moduli and hardness are impossible
[4]
논문
Observations on the formation of compounds of boron and silicon with nitrogen and certain metals
https://books.google[...]
1842-10-18
[5]
논문
Electronic Structure and Intercalation Chemistry of Graphite-Like Layered Material with a Composition of BC6N
[6]
논문
Chemical and Bandgap Engineering in Monolayer Hexagonal Boron Nitride
[7]
서적
Chemistry: The Molecular Nature of Matter and Change
McGraw-Hill
[8]
웹사이트
Diamond no longer nature's hardest material
https://www.newscien[...]
2014-05-13
[9]
서적
Graphite and Precursors
CRC Press
[10]
웹사이트
BN – Boron Nitride
http://www.ioffe.ru/[...]
[11]
논문
Properties of Amorphous Boron Nitride Thin Films
[12]
논문
Thermal Conductivities of Thin, Sputtered Optical Films
https://digital.libr[...]
[13]
논문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ulsed Laser Deposited Boron Nitride Films
[14]
서적
Landolt-Börnstein – Group VIII Advanced Materials and Technologies: Powder Metallurgy Data. Refractory, Hard and Intermetallic Materials
Springer
[15]
논문
Tuning colour centres at a twisted hexagonal boron nitride interface
https://escholarship[...]
[16]
논문
Optical gap and optically active intragap defects in cubic BN
https://journals.aps[...]
[17]
논문
Magnetic Relaxation Properties of Helium-3 Adsorbed on Hexagonal Boron Nitride
[18]
논문
Harder than Diamond: Superior Indentation Strength of Wurtzite BN and Lonsdaleite
[19]
논문
Ultrahard nanotwinned cubic boron nitride
[20]
논문
Hexagonal Boron Nitride (hBN) – Applications from Metallurgy to Cosmetics
http://www.esk.com/u[...]
[21]
논문
Deep Ultraviolet Light-Emitting Hexagonal Boron Nitride Synthesized at Atmospheric Pressure
[22]
논문
Direct-Bandgap Properties and Evidence for Ultraviolet Lasing of Hexagonal Boron Nitride Single Crystal
[23]
논문
Ultraviolet Light Emission from Self-Organized p–n Domains in Cubic Boron Nitride Bulk Single Crystals Grown Under High Pressure
[24]
논문
Sublimation and Decomposition Studies on Boron Nitride and Aluminum Nitride
[25]
논문
Cubic Form of Boron Nitride
[26]
논문
Thermal Transport in Hexagonal Boron Nitride Nanoribbons
[27]
논문
Thermal Conductivity and Thermal Rectification in Graphene Nanoribbons: A Molecular Dynamics Study
[28]
논문
Thermal Transport in Hexagonal Boron Nitride Nanoribbons
[29]
논문
Mechanical properties of atomically thin boron nitride and the role of interlayer interactions
2017-06-22
[30]
논문
Elasticity of hexagonal boron nitride: Inelastic x-ray scattering measurements
https://link.aps.org[...]
2006-01-19
[31]
논문
Directional anisotropy, finite size effect and elastic properties of hexagonal boron nitride
https://iopscience.i[...]
2016-07-27
[32]
논문
Strong anisotropy in strength and toughness in defective hexagonal boron nitride
https://link.aps.org[...]
2019-04-17
[33]
논문
Qingsongite, IMA 2013-030
[34]
논문
Qingsongite, natural cubic boron nitride: The first boron mineral from the Earth's mantle
http://www.minsocam.[...]
[35]
웹사이트
Qingsongite
https://www.mindat.o[...]
[36]
웹사이트
List of Minerals
https://www.ima-mine[...]
2011-03-21
[37]
논문
Boron Nitride (BN)
http://www.a-m.de/de[...]
[38]
웹사이트
Synthesis of Boron Nitride from Oxide Precursors
http://hubacek.jp/bn[...]
2009-06-06
[39]
논문
Review of Advances in Cubic Boron Nitride Film Synthesis
https://zenodo.org/r[...]
[40]
논문
Synthetic Routes to Boron Nitride
[41]
논문
Nitrogen Triiodide
[42]
서적
Inorganic Chemistry
Pearson education
[43]
논문
''In situ'' Studies of Boron Nitride Crystallization from BN Solutions in Supercritical N–H Fluid at High Pressures and Temperatures
[44]
논문
Intercalation of Hexagonal Boron Nitride with Potassium
[45]
논문
Synthesis of the Cubic Form of Boron Nitride
1961-03-01
[46]
논문
Cubic Boron Nitride: Synthesi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47]
논문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Recent Development of Boron Nitride Materials
[48]
논문
Creation of Superhard B–C–N Heterodiamond Using an Advanced Shock Wave Compression Technology
[49]
논문
Characterization of Wurtzite Type Boron Nitride Synthesized by Shock Compression
[50]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VCH
[51]
논문
Coexistence of Grain-Boundaries-Assisted Bipolar and Threshold Resistive Switching in Multilayer Hexagonal Boron Nitride
2017-01-01
[52]
서적
2016 IEEE International Electron Devices Meeting (IEDM)
2016-12-01
[53]
논문
Electrophotography and Development Physics
Springer-Verlag
[54]
서적
Handbook of Ceramics, Glasses and Diamonds
McGraw-Hill
[55]
논문
Large-Area Monolayer Hexagonal Boron Nitride on Pt Foil
[56]
논문
Proton transport through one-atom-thick crystals
[57]
웹사이트
Hexagonal Boron Nitride (HBN)—How Well Does It Work?
http://bulletin.accu[...]
2015-12-28
[58]
웹사이트
colourdeverre.com/img/projects/advancedpriming.pdf
http://www.colourdev[...]
[59]
웹사이트
Wettability, Spreading, and Interfacial Phenomena in High-Temperature Coatings
https://www.research[...]
[60]
웹사이트
Substrate Release Mechanisms for Gas Metal Arc 3-D Aluminum Metal Printing.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https://hal.science/[...]
[61]
웹사이트
Wear properties of squeeze cast in situ Mg2Si–A380 alloy
https://www.research[...]
[62]
웹사이트
INTERFACIAL REACTION WETTING IN THE BORON NITRIDE/MOLTEN ALUMINUM SYSTEM
http://www.jwri.osak[...]
[63]
서적
Manufacturing Processes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Industrial Press Inc.
[64]
웹사이트
Diamond and Cubic Boron Nitride (CBN) Abrasives
https://www.hyperion[...]
2022-06-21
[65]
논문
Physical Properties of the X-Ray Membrane Materials
[66]
논문
Positive Drift Effect of BN-InP Enhancement N-Channel MISFET
[67]
논문
Atomically Thin Boron Nitride: Uniqu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68]
논문
Mechanical properties of atomically thin boron nitride and the role of interlayer interactions
2017-06-22
[69]
논문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high-quality monolayer boron nitride and its thermal expansion
2019-01-01
[70]
논문
Strong Oxidation Resistance of Atomically Thin Boron Nitride Nanosheets
[71]
논문
Nanosheets: Boron Nitride Nanosheets for Metal Protection (Adv. Mater. Interfaces 8/2014)
[72]
논문
Ultrathin high-temperature oxidation-resistant coatings of hexagonal boron nitride
2013-10-04
[73]
논문
High-quality sandwiched black phosphorus heterostructure and its quantum oscillations
2015-06-23
[74]
논문
Molecule-Induced Conformational Change in Boron Nitride Nanosheets with Enhanced Surface Adsorption
2016-08-29
[75]
논문
Inside Back Cover: Boron Nitride Nanosheets Improve Sensitivity and Reusability of 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Angew. Chem. Int. Ed. 29/2016)
2016-05-20
[76]
논문
Boron Nitride Nanosheet-Veiled Gold Nanoparticles for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2016-06-14
[77]
논문
Dielectric Screening in Atomically Thin Boron Nitride Nanosheets
[78]
논문
Hunting for Monolayer Boron Nitride: Optical and Raman Signatures
2011-01-07
[79]
논문
Raman signature and phonon dispersion of atomically thin boron nitride
https://pure.qub.ac.[...]
[80]
논문
Ultralight boron nitride aerogels via template-assisted chemical vapor deposition
[81]
논문
Boron Nitride Nanomesh
[82]
논문
Self-Assembly of a Hexagonal Boron Nitride Nanomesh on Ru(0001)
[83]
웹사이트
Graphene and Boronitrene (White Graphene)
http://jacobs.physik[...]
[84]
논문
Surface X-Ray Diffraction Study of Boron-Nitride Nanomesh in Air
https://www.dora.lib[...]
[85]
논문
Boron Nitride Nanomesh: Functionality from a Corrugated Monolayer
[86]
논문
Electrolytic ''in situ'' STM Investigation of h-BN-Nanomesh
http://webmail.physi[...]
[87]
논문
Polymer nanocomposites from free-standing, macroscopic boron nitride nanotube assemblies
[88]
논문
Theory of Graphitic Boron Nitride Nanotubes
https://zenodo.org/r[...]
[89]
논문
Boron Nitride Nanotubes
[90]
논문
Stability and Band Gap Constancy of Boron Nitride Nanotubes
[91]
논문
Transformation of BxCyNz Nanotubes to Pure BN Nanotubes
http://www.glue.umd.[...]
[92]
논문
Boron Nitride Nanotubes
[93]
서적
Handbook of Composite Reinforcements
John Wiley and Sons
[94]
웹사이트
Diverse Classification Factors of Boron Nitride and Their Correlation with PBN, HBN, CBN, and ZSBN Variants
https://www.precisec[...]
2024-06-08
[95]
서적
New Steel: Mini & Integrated Mill Management and Technologies
Chilton Publishing
1996
[96]
논문
Fabricatio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boron nitride and their composite nanomaterials
https://www.scienced[...]
2024-06-08
[97]
논문
Boron nitride (BN) and BN composites for high-temperature applications
https://www.scienced[...]
[98]
웹사이트
About Pyrolytic Boron Nitride
https://www.precisec[...]
2024-05-31
[99]
웹사이트
Pyrolytic Boron Nitride (PBN)
https://www.shinetsu[...]
2024-05-31
[100]
논문
Compression Annealing of Pyrolytic Boron Nitride
https://www.nature.c[...]
2024-05-31
[101]
웹사이트
An Overview of Pyrolytic Boron Nitride (PBN)
https://www.sputtert[...]
2024-05-31
[102]
논문
Hexagonal boron nitride: Fabric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103]
논문
Characterization of pyrolytic boron nitride for semiconductor materials processing
[104]
논문
Highly ordered pyrolytic BN obtained by LPCVD
[105]
논문
Micromorphology and structure of pyrolytic boron nitride synthesiz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from borazine
[106]
웹사이트
EWG Skin Deep® What is BORON NITRIDE
http://www.ewg.org/s[...]
2023-07-26
[107]
웹사이트
UNII - 2U4T60A6YD
https://precision.fd[...]
2023-07-26
[108]
웹사이트
NSF International / Nonfood Compounds Registration Program
https://info.nsf.org[...]
[109]
서적
化学便覧 基礎編
丸善出版
[110]
웹사이트
Qingsongite mindat.org
https://www.mindat.o[...]
[111]
뉴스
チベットで新鉱物発見 中国人科学者を記念し「青松鉱」と命名
https://spc.jst.go.j[...]
Science Portal China (科学技術振興機構)
2022-09-20
[112]
간행물
RubberBible92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