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청은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기관이다. 도지사가 대표하며, 행정부지사와 경제부지사를 두어 도정을 분담한다. 산하에는 기획조정실, 재난안전실, 보건복지여성국, 농정국, 올림픽운영국 등 여러 실국을 두고 있으며, 소방본부, 농업기술원, 공무원교육원, 보건환경연구원 등의 직속기관과 강원특별자치도환동해본부 등의 출장소를 운영한다. 또한, 7개의 시와 11개의 군을 관할하며, 총 1,425명의 지방공무원 정원을 둔다. 2018년 예산은 약 4조 7,278억 원 규모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설립 - 포카라 국제공항
포카라 국제공항은 네팔 포카라시에 위치하며, 2016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3년 1월 1일에 개항했고, 중국의 지원을 받아 건설되었으며, 항공사 운항과 사고 발생, 건설 비용 관련 의혹이 있는 국제공항이다. - 2023년 설립 - 충북 청주 FC
충북 청주 FC는 2023년 창단하여 K리그2에 참가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으로, 청주 FC와 청주 시티 FC의 통합 및 청주시의 지원으로 프로화에 성공, 충청북도에 7년 만에 프로 축구 클럽을 탄생시켰다. - 강원특별자치도청 -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광복 이후부터 존재한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수반으로, 관선 시대에는 정부 임명, 민선 시대에는 도민 직선으로 선출되어 다양한 도지사들이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했으며, 현재는 김진태 도지사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청 - 강원특별자치도 부지사
강원특별자치도 부지사는 도지사를 보좌하여 도의 행정事務를 총괄하는 직위로, 행정부지사, 경제부지사, 정무부지사로 나뉘어 운영되었으며, 현재는 김명선 행정부지사와 정광열 경제부지사가 재임 중이다. - 강릉시 소재의 관공서 - 강릉교도소
강릉교도소는 대한민국 교정 시설로, 총무과, 보안과, 직업훈련과 등 부서에서 교도소 운영, 수용자 관리, 사회 복귀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강릉시 소재의 관공서 - 국군강릉병원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국군강릉병원은 내과, 외과, 정신건강의학과, 치과 등 다양한 진료 과목을 운영하며 장병들의 건강을 책임지는 군 병원으로서, 특히 정신건강의학과는 장병들의 정신 질환 진단, 치료 및 예방을 통해 건강한 군 복무를 지원한다.
강원특별자치도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현지어 이름 | Gangwon Provincial Office (영어) |
모토 | 평화와 번영 강원시대 |
설립일 | 2023년 6월 11일 |
소재지 | 본청사: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중앙로 1 (봉의동) 제2청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연주로 270 |
조직 | |
직원 | 1,425명 (국가직 제외) |
예산 | 4조 7278억 2600만 원 |
기관장 | 김진태 (도지사) |
부지사 (행정) | 김명선 |
부지사 (경제) | 정광열 |
상급 기관 | (정보 없음) |
산하 기관 | 직속기관 21, 출장소 1, 사업소 13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강원특별자치도청 공식 웹사이트 |
2. 조직
강원특별자치도청의 조직은 도지사, 행정부지사, 경제부지사로 구성된다. 도지사는 도정을 총괄하며, 행정부지사와 경제부지사는 각각 행정 사무와 경제·투자·통상 관련 사무를 보좌한다.
2. 1. 도지사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강원특별자치도를 대표하고, 도정을 총괄한다.[4][5] 산하에 대변인실을 두고 있다.2. 2. 행정부지사
도지사를 보좌하여 행정 사무를 처리하는 행정부지사는 총무행정관실[4], 감사관실[6][5], 기획조정실, 재난안전실, 보건복지여성국, 농정국, 올림픽운영국, 소방본부[13] 등을 관할한다.2. 2. 1. 기획조정실
강원특별자치도청 기획조정실은 예산과[8], 세정과[4], 회계과[4], 균형발전과[8], 교육법무과[4]를 담당한다.[7]2. 2. 2. 재난안전실
안전총괄과, 방재과, 비상기획과를 두고 있다.[9]2. 2. 3. 보건복지여성국
복지정책과한국어[8]경로장애인과한국어[4]
여성청소년가족과한국어[4]
보건정책과한국어[8]
공공의료과한국어[8]
식품의약과한국어[8]
2. 2. 4. 농정국
농정국은 농정과, 축산과, 유통원예과, 농업기반과, 동물방역과를 담당한다.[10]2. 2. 5. 올림픽운영국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원하고, 올림픽 유산을 관리한다.[10][12]2. 3. 경제부지사
경제부지사는 도지사를 보좌하여 경제, 투자, 통상, 관광, 환경, 건설, 교통 등의 사무를 처리한다.[10] 경제진흥국, 글로벌투자통상국, 문화관광체육국, 녹색국, 건설교통국 등을 관할한다.2. 3. 1. 경제진흥국
경제진흥국은 경제진흥, 일자리, 사회적경제, 전략산업, 에너지, 자원개발, 정보산업 등을 담당한다.[10] 산하 부서로는 경제진흥과[8], 일자리과[4], 사회적경제과[4], 전략산업과[4], 에너지과[8], 자원개발과[8], 정보산업과[8]가 있다.2. 3. 2. 글로벌투자통상국
투자유치과, 중국통상과, 일본구미주통상과, 항공해운과, 레고랜드지원과를 산하에 두고 있다.[10] 각 과별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과 | 주요 업무 |
---|---|
투자유치과 | 투자 유치[8] |
중국통상과 | 중국 통상[4] |
일본구미주통상과 | 일본, 구미, 주 통상[4] |
항공해운과 | 항공, 해운[4] |
레고랜드지원과 | 레고랜드 지원[8] |
2. 3. 3. 문화관광체육국
강원특별자치도청의 문화관광체육국은 관광마케팅, 관광개발, 문화예술, 체육 등을 담당한다.[10] 산하 부서는 다음과 같다.2. 3. 4. 녹색국
녹색국은 산림소득과, 산림관리과, 환경과, 수질보전과, 설악산 삭도 추진단으로 구성되어 있다.[10] 산림소득[8], 산림관리[11], 환경[8], 수질보전[11], 설악산 삭도 추진[8][14] 등을 담당한다.2. 3. 5. 건설교통국
지역도시과, 건축과, 토지과, 도로철도과, 교통과, 치수과, 춘천속초철도추진단[11][15]을 담당한다.[10]2. 4. 직속기관
-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 강원특별자치도공무원교육원
- 강원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
- 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
- 춘천소방서
- 원주소방서
- 강릉소방서
- 동해소방서
- 태백소방서
- 속초소방서
- 삼척소방서
- 홍천소방서
- 횡성소방서
- 영월소방서
- 평창소방서
- 정선소방서
- 철원소방서
- 인제소방서
- 고성소방서
- 양양소방서
- 양구소방서
2. 5. 출장소
강원특별자치도환동해본부가 있다.2. 6. 사업소
- 강원특별자치도서울본부
- 강원특별자치도자연환경연구공원
- 강원특별자치도여성가족연구원
- 강원특별자치도농산물원종장
- 강원특별자치도디엠제트박물관
- 강원특별자치도감자종자진흥원
- 강원특별자치도축산기술연구소
- 강원특별자치도동물위생시험소
- 강원특별자치도산림과학연구원
- 강원특별자치도도로관리사업소
- 강원특별자치도수산자원연구원
- 강원특별자치도내수면자원센터
- 강원특별자치도한해성수산자원센터
3. 산하 자치단체
시 | 군 |
---|---|
4. 정원
강원특별자치도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16]
구분 | 총계 |
---|---|
총계 | 1,425명 |
정무직 계 | 1명 |
도지사 | 1명 |
일반직 계 | 1,170명 |
1급 이하 2급 이상 | 1명 |
3급 이하 5급 이상 | 317명[17] |
6급 이하 | 847명[18] |
전문경력관 | 5명 |
별정직 계 | 6명 |
1급 상당 이하 2급 상당 이상 | 1명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3명 |
6급 상당 이하 | 2명 |
연구직 계 | 3명 |
연구사 | 3명 |
소방공무원 계 | 245명 |
소방정 | 5명 |
소방령 이하 | 240명[19] |
5. 재정
2018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0.3% 증가한 472.78억원이며, 구체적인 세입·세출은 다음과 같다.[3]
; 세입 예산액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지방세수입 | 1.015조원 | +6.8% |
세외수입 | 920억원 | -25.0% |
지방교부세 | 9540억원 | +14.4% |
보조금 | 2.356조원 | -3.9%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3100억원 | -12.3% |
; 세출 예산액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분야 | 부문 | ||
일반공공행정 | 3580억원 | -6.1% | |
입법및선거관리 | 200억원 | +175.2% | |
지방행정·재정지원 | 2660억원 | -6.2% | |
일반행정 | 710억원 | -5.6% | |
공공질서및안전 | 2270억원 | -16.0% | |
경찰 | 4.28억원 | +51.2% | |
재난방재·민방위 | 670억원 | -15.3% | |
소방 | 1600억원 | -16.3% | |
교육 | 2570억원 | +14.3% | |
유아및초중등교육 | 2390억원 | +15.2% | |
고등교육 | 180억원 | +3.9% | |
문화및관광 | 2360억원 | -59.1% | |
문화예술 | 560억원 | -11.7% | |
관광 | 620억원 | -32.7% | |
체육 | 910억원 | -76.8% | |
문화재 | 250억원 | -3.0% | |
문화및관광일반 | 4.04억원 | -81.8% | |
환경보호 | 2860억원 | +4.7% | |
상하수도·수질 | 2250억원 | -3.4% | |
폐기물 | 340억원 | +55.3% | |
대기 | 35.32억원 | +412.9% | |
자연 | 150억원 | +40.2% | |
환경보호일반 | 89.68억원 | +16.6% | |
사회복지 | 1.637조원 | +18.7% | |
기초생활보장 | 4550억원 | +4.1% | |
취약계층지원 | 1390억원 | +19.5% | |
보육·가족및여성 | 3510억원 | +18.6% | |
노인·청소년 | 5590억원 | +24.5% | |
노동 | 640억원 | +197.6% | |
보훈 | 9.63억원 | +35.4% | |
주택 | 450억원 | +6.9% | |
사회복지일반 | 210억원 | +41.5% | |
보건 | 940억원 | +24.5% | |
보건의료 | 900억원 | +27.9% | |
식품의약안전 | 46.26억원 | -17.7% | |
농림해양수산 | 4940억원 | -1.2% | |
농업·농촌 | 3090억원 | +1.5% | |
임업·산촌 | 1370억원 | -3.7% | |
해양수산·어촌 | 480억원 | -9.7% | |
산업·중소기업 | 1770억원 | +48.7% | |
산업금융지원 | 190억원 | +18.2% | |
산업기술지원 | 80.98억원 | +19.4% | |
무역및투자유치 | 110억원 | +41.6% | |
산업진흥·고도화 | 930억원 | +103.0% | |
에너지및자원개발 | 440억원 | +6.8% | |
수송및교통 | 1850억원 | -2.2% | |
도로 | 1530억원 | -10.3% | |
대중교통·물류등기타 | 310억원 | +73.1% | |
국토및지역개발 | 2540억원 | -2.4% | |
수자원 | 930억원 | -13.4% | |
지역및도시 | 1600억원 | +5.5% | |
과학기술 | 21.59억원 | +0.6% | |
과학기술연구지원 | |||
예비비 | 620억원 | +25.8% | |
예비비 | |||
기타 | 4510억원 | +11.9% | |
기타 |
참조
[1]
문서
국가직 제외
[2]
문서
강원특별자치도 공무원 정원 규칙 별표
[3]
웹사이트
강원특별자치도청 - 세입세출예산서
http://www.provin.ga[...]
[4]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5]
문서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6]
문서
지방부이사관 또는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7]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8]
문서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9]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10]
문서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11]
문서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12]
문서
2017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3]
문서
소방준감으로 보한다
[14]
문서
2018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5]
문서
2019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6]
조례
조례 제4161호 「강원특별자치도 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 부칙제4조 및 조례 제4161호 「강원특별자치도 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 부칙제2조
[17]
문서
한시정원 41명 포함
[18]
문서
한시정원 1명 포함
[19]
문서
한시정원 8명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