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개비사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개비사촌은 1810년 콘스탄틴 새뮤얼 라피네스크에 의해 종으로 분류된 조류로, 학명은 ''Cisticola juncidis''이다. 몸길이는 약 10~12cm로 참새보다 작으며, 갈색 깃털에 검은 줄무늬가 있는 외형을 지닌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최대 18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주로 초원이나 물가에 서식하며, 곤충이나 거미를 먹고 산다. 일부 지역에서는 텃새이며, 번식기에는 수컷이 거미줄로 둥지를 짓는 독특한 습성을 보인다. 대한민국 환경부가 지정한 기후변화 지표종이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는 관심 필요(LC)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2. 분류 및 명칭

개개비사촌은 1810년 자연사학자 콘스탄틴 새뮤얼 라피네스크에 의해 종으로 기술되었으며, 이명법에 따라 ''Sylvia juncidis''라는 학명을 부여받았다. 모식산지는 캄포펠리체 디 로첼라 시칠리아이다.[2][3] 현재 명인 ''Cisticola''는 고대 그리스어 ''kisthos''(바위장미)와 라틴어 ''colere''('거주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종명 ''juncidis'' 역시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iuncus''('갈대'라는 뜻)의 축소형이다.[4]

이 속은 때때로 다른 다양한 남부 휘파람새 속과 함께 분리되어 Cisticolidae로 의 지위를 부여받기도 한다. 이 종은 이전에 부채꼬리 개개비사촌으로 알려졌지만, 현재 이름은 많은 열대 개개비사촌 종과 일관성을 유지하며, 부채꼬리 개개비사촌이라는 이름을 가진 미국 종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

2. 1. 아종

''C. j. uropygialis'' (다카르, 세네갈)


개개비사촌은 넓은 분포 지역에 걸쳐 여러 변종이 관찰되며, 최대 18개의 아종이 인정되고 있다. 이들은 울음소리, 깃털 색깔, 크기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며, 일부에서는 별개의 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3] 기준 아종은 프랑스 남부, 그리스, 터키, 시칠리아, 코르시카, 이집트에서 발견되며, 포르투갈 서부와 스페인에는 ''cisticola''가 있다. 팔레스타인, 시리아, 이라크, 이란의 개체군은 ''neuroticus''이며, 북부 및 동아프리카의 개체군은 ''uropygialis''와 더 남쪽의 ''perennius''이다. 가봉, 앙골라, 남아프리카에는 ''terrestris''가 서식한다. 인도 서고츠의 개체군 ''salimalii''는 번식기가 아닌 계절에 꼬리가 더 긴 인도의 평원과 스리랑카의 건조 지역의 ''cursitans''와 달리 계절별 꼬리 길이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동남아시아 남부에는 ''malaya''가, 중국 남부에는 더 북쪽에서 발견되는 ''tinnabulans''가, 한국과 일본에는 ''brunniceps''가 발견된다. 다른 개체군으로는 ''nigrostriatus''(필리핀), ''constans''(술라웨시), ''fuscicapilla''(동부 자바), ''leanyeri''(호주 북부), ''normani''(퀸즐랜드 북서부), ''laveryi''(호주 북동부) 등이 있다.[3]

3. 형태

몸길이는 10 - 12 cm 정도로[24] 등쪽은 갈색 깃털이고 배쪽 깃털은 희다. 등에 검은 줄무늬가 있으며 수컷의 무늬가 암컷보다 더 뚜렷하지만 암수에 따른 생김새 차이는 적다. 개개비사촌의 길이는 10cm에서 12cm이다.[5] 등 부분은 갈색이며 검은색 줄무늬가 뚜렷하다. 아랫부분은 흰색이며 꼬리는 넓고 흰색 팁이 있으며 자주 홱 움직여서 이 종의 다른 이름이 생기게 되었다. 수컷 성체는 암컷보다 머리 깃털 줄무늬가 적고 등 무늬가 더 많지만, 성별이나 18개의 지리적 아종 간에는 큰 차이가 없다. 목덜미 고리가 없는 점은 금머리개개비(''Cisticola exilis'')와 구별된다.

전장은 약 13cm이고[17][18] 참새보다 작다. 날개 펼친 길이는 약 16cm이다.[18] 성조의 여름깃은 머리 윗부분이 갈색이고, 몸의 윗면은 황갈색에 흑갈색의 세로 얼룩, 몸의 아랫면은 옅은 황갈색이다. 꼬리깃은 흑갈색이며 끝이 흰색이다. 또한 꼬리를 펼치면 부채꼴이 된다. 겨울깃은 머리 윗부분도 황갈색에 흑갈색의 세로 얼룩이 된다. 암수 동색이다.[17][18] 단, 수컷 성조는 입 안이 검다. 또한 암컷의 부리는 수컷보다 흰색을 띤다.

4. 생태

개개비사촌은 평소 수풀에 숨어 지내기 때문에 발견하기 어렵지만, 짝짓기 철에는 수풀 밖에서도 발견된다.[25][26] 대부분 텃새로 생활하지만,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겨울에 남쪽으로 이동하는 철새로 살기도 한다. 히말라야산맥에 서식하는 개체는 여름철 해발 1,900m 정도에서 서식하다가 겨울철 1,300m까지 내려오며, 유럽 서식 개체들은 북유럽의 추운 겨울을 피해 이동한다.[27]

개개비사촌은 매우 작은 조류로, 때때로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주로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는다.[9] 나 억새 등이 자라는 평지에서 산지초원, 강가, 등에서 서식한다. 몸 크기나 깃털 색깔로는 평소에 눈에 띄지 않지만, 번식기에는 "히히히히히・・・・쟉쟉쟉쟉" 울음소리를 내며 파선 모양으로 낮게 비행하면서 암컷에게 구애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

4. 1. 번식

개개비사촌은 보통 1년에 두 번 짝짓기를 한다.[28]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과 짝짓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암수 한 쌍이 배우자를 바꾸지 않고 생활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29]

짝짓기철이 되면 수컷은 수풀 속 깊숙한 곳에 둥지를 만들고 암컷을 부른다. 둥지는 살아있는 풀을 접어 만든 뒤 그 위로 부드러운 풀잎을 깐다. 암컷이 수컷의 부름에 응해 둥지에 자리 잡으면 짝짓기를 하고 알을 낳는다. 한 번에 낳는 알의 수는 3 - 6 개 정도이며 부화까지는 10일 정도가 걸린다.[25] 암컷은 때때로 짝을 바꿔 다른 둥지를 튼 수컷에게 가버릴 수 있다. 암컷이 다른 짝을 맞아 떠나가 버리면 수컷은 같은 자리 근처에 새 둥지를 만들고 다른 암컷을 불러들인다. 수컷은 암컷을 맞을 때까지 매일 새 둥지를 짓는다.[30][31] 암컷은 생후 1년 정도부터 짝짓기를 할 수 있을 만큼 성숙한다.[32]

개개비사촌의 번식기는 우기와 관련이 있으며, 많은 지역에서 연간 두 번의 번식이 일어난다.[9] 수컷은 일반적으로 일부다처제이지만, 일부는 일부일처제를 보인다.[10] 수컷은 풀 속 깊숙이 둥지의 초기 구조를 짓고, 특별한 과시 행동을 통해 암컷을 유인한다. 수컷을 받아들인 암컷이 둥지를 완성한다. 둥지는 살아있는 잎을 펠트 모양의 식물 솜털, 거미줄, 풀의 부드러운 천에 묶어 만든다. 개개비사촌의 둥지는 컵 모양이며, 위에는 위장을 위해 잎이나 풀을 묶어 캐노피를 만든다.[6]

나 억새 등이 자라는 평지에서 산지초원, 강가, 에 서식하며, 번식 시기에는 수컷이 풀이나 억새 잎 등을 거미줄 중에서도 알을 보호하기 위한 특수한 실(끈적거리지 않음)로 꿰매어 타원형 둥지를 만들고 암컷을 부른다. 암컷은 띠 이삭 등으로 내부를 만든다.

수컷이 거미줄을 잎에 통과시키는 모습은 동물 사진 작가 히라노 노부아키에 의해 2021년 봄에 처음 촬영되었고, NHK "다윈이 왔다!" [19]에서 방송되었다. 수컷은 솜 뭉치 모양이 된 특수한 거미줄을 풀어 느슨한 실로 만들고, 끝을 물고 잎(이 영상에서는 갈대)에 구멍을 내어 그대로 실을 꿰뚫는다. 수컷은 통과시킨 실을 다시 같은 구멍에 통과시키는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여 꼼꼼하게 꿰맨다. 이 작업으로 인해 계속 당겨진 거미줄은 점차 가늘어지지만 끝은 작은 덩어리 모양으로 남아 잎맥을 따라 열린 좁은 구멍에 걸려 풀리지 않는 구조가 된다. 이 바느질로 잎을 조합한 둥지를 만든다. [20]

둥지는 먼저 아래에서부터 여러 잎을 번갈아 겹쳐 꿰매어 바닥을 만들고, 더 나아가 그 잎들을 주변의 다른 풀 잎과 꿰매어 옆면을 굳혀 항아리 모양으로 형성된다. 수컷은 지저귐으로 암컷을 불러 모아 이 상태까지 만든 둥지를 제시하고, 마음에 든 암컷은 이곳을 산란 장소로 정한다. 그 경우 수컷의 작업은 여기까지이고, 더 나아가 새로운 둥지 만들기에 들어간다. 최대 20개나 되는 둥지를 만든다고 한다. 암컷은 띠 이삭 등으로 둥지의 내벽을 만들어 둥지를 완성하고, 새끼가 지내기 좋은 환경으로 만든다. 육아는 암컷만 한다. 5개 정도의 알을 낳고, 주로 곤충을 먹이로 새끼에게 운반한다. 수컷이 육아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는, 열린 장소의 낮은 위치에 만들어진 둥지는 뱀이나 족제비 등의 천적에게 습격당하기 쉽고 육아 성공률이 30% 정도로 낮기 때문에, 번식기를 통해 수컷은 손이 많이 가는 둥지 만들기를 계속하여 번식의 토대를 늘리기 위해서라고 한다. 암컷 또한 연간 여러 차례의 육아를 통해 종으로서 개체 수를 늘려 자손을 남기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한다.

둥지 재료를 문 수컷 개개비사촌

4. 2. 둥지 짓기

개개비사촌은 보통 1년에 두 번 짝짓기를 한다.[28]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과 짝짓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암수 한 쌍이 배우자를 바꾸지 않고 생활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29]

짝짓기철이 되면 수컷은 수풀 속 깊숙한 곳에 둥지를 만들고 암컷을 부른다. 둥지는 살아있는 풀을 접어 만든 뒤 그 위로 부드러운 풀잎을 깐다. 암컷이 수컷의 부름에 응해 둥지에 자리잡으면 짝짓기를 하고 알을 낳는다. 한 번에 낳는 알의 수는 3-6개 정도이며 부화까지는 10일 정도가 걸린다.[25] 암컷은 때때로 짝을 바꿔 다른 둥지를 튼 수컷에게 가버릴 수 있다. 암컷이 다른 짝을 맞아 떠나가 버리면 수컷은 같은 자리 근처에 새 둥지를 만들고 다른 암컷을 불러들인다. 수컷은 암컷을 맞을 때까지 매일 새 둥지를 짓는다.[30][31] 암컷은 생후 1년 정도부터 짝짓기를 할 수 있을 만큼 성숙한다.[32]

개개비사촌 수컷은 나 억새 등의 잎을 거미줄, 특히 알을 보호하기 위한 특수한 끈적거리지 않는 실로 꿰매어 타원형 둥지를 만든다. 2021년 봄, 동물 사진 작가 히라노 노부아키는 수컷이 솜 뭉치 모양의 거미줄을 풀어 실로 만들고, 끝을 물고 잎(영상에서는 갈대)에 구멍을 내어 실을 꿰뚫는 모습을 처음 촬영했다. 이 모습은 NHK "다윈이 왔다!"에서 방송되었다.[19] 수컷은 이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여 잎을 꼼꼼하게 꿰매고, 잎들을 조합하여 둥지를 만든다.[20]

둥지는 아래에서부터 여러 잎을 번갈아 겹쳐 꿰매어 바닥을 만들고, 주변의 다른 풀 잎과 꿰매어 옆면을 굳혀 항아리 모양으로 형성된다. 수컷은 지저귐으로 암컷을 불러 둥지를 제시하고, 마음에 든 암컷은 이곳을 산란 장소로 정한다. 수컷의 작업은 여기까지이며, 암컷은 띠 이삭 등으로 둥지 내벽을 만들어 둥지를 완성하고 새끼를 키운다. 수컷은 최대 20개나 되는 둥지를 만들기도 한다.

5. 분포

개개비사촌은 대부분 텃새로 생활하지만,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겨울에 남쪽으로 이동하는 철새로 살기도 한다. 히말라야산맥에 서식하는 개체는 여름에는 1900m 정도에서 살다가 겨울에는 1300m 이하로 내려와 생활한다. 유럽에 사는 개체들은 북유럽의 추운 겨울을 피해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27] 유럽에서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북부 개체군은 혹독한 겨울에 특히 취약하다.[8]

아프리카, 유럽 남부,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타이완,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오키나와 열도에서 도호쿠 지방에 걸쳐 분포하며, 북일본에 사는 개체는 겨울이 되면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한다.

6. 보전 상태

개개비사촌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LC)종으로 지정되어 있다.[14]

6. 1. 한국의 보전 노력

개개비사촌은 대한민국 환경부가 지정한 기후변화 지표종이다.[33]

6. 1. 1. 일본의 레드 리스트 등급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LC)종으로 지정되어 있다.[14]

일본의 다음 광역 자치 단체에서 레드 리스트 지정을 받고 있다.[21]


참조

[1] 간행물 Cisticola juncidis 2017
[2] 서적 Caratteri di alcuni nuovi generi e nuove specie di animali e piante della Sicilia https://www.biodiver[...] Per le stampe di Sanfilippo
[3]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ume 11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4]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5] 웹사이트 Zitting Cisticola (Cisticola juncidis) http://www.hbw.com/n[...] Lynx Edicions 2017-08-27
[6]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Volume 8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Volume 2 Smithsonian Institution and Lynx Edicions
[8] 논문 First record of the Zitting Cisticola (Cisticola juncidis Rafinesque, 1810) in Hungary http://opuscula.elte[...]
[9] 논문 Nesting biology, seasonality, and mating system of Malaysian fantail warblers http://sora.unm.edu/[...]
[10] 논문 Successive nest building and polygyny of Fan-tailed Warblers Cisticola juncidis
[11] 논문 Simultaneous territory mapping of male fan-tailed warblers (Cisticola juncidis) http://sora.unm.edu/[...]
[12] 논문 A Polygamous Social System of the Fan-tailed Warbler Cisticola juncidis
[13] 논문 Juvenile female breeding of the Fan-tailed Warbler Cisticola juncidis: occurrence of two generations in the year
[14] 간행물 Cisticola juncidis
[15] 웹사이트 Cisticola juncidis(Rafinesque, 1810) http://www.itis.gov/[...] ITIS 2012-05-20
[16] 서적 新訂 日本の鳥550 山野の鳥 文一総合出版
[17] 문서 山溪ハンディ図鑑7 日本の野鳥(2006)、505頁
[18] 문서 ひと目でわかる野鳥(2010)、199頁
[19] 웹사이트 ダーウィンが来た!「多摩川で大スクープ 鳥が裁縫をした!」 https://www.nhk.jp/p[...] 2022-05-16
[20] 웹사이트 ワイルドライフ「多摩川トライアングル 密着3年!激変する東京の大自然」 https://www.nhk.jp/p[...] 2022-10-11
[21]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セッカ)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2-05-20
[22] 웹사이트 개개비사촌 https://species.nibr[...] 국립생물자원관
[23] 뉴스 영종도 마지막 습지 지키는 ‘작은 거인’ 개개비사촌 https://www.hani.co.[...] 한겨레 2022-05-31
[24] 웹인용 Zitting Cisticola (Cisticola juncidis) http://www.hbw.com/n[...] Lynx Edicions
[25]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Volume 8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Volume 2 Smithsonian Institution and Lynx Edicions
[27] 논문 First record of the Zitting Cisticola (Cisticola juncidis Rafinesque, 1810) in Hungary http://opuscula.elte[...]
[28] 논문 Nesting biology, seasonality, and mating system of Malaysian fantail warblers http://sora.unm.edu/[...]
[29] 논문 Successive nest building and polygyny of Fan-tailed Warblers Cisticola juncidis
[30] 논문 Simultaneous territory mapping of male fan-tailed warblers (Cisticola juncidis) http://sora.unm.edu/[...]
[31] 논문 A Polygamous Social System of the Fan-tailed Warbler Cisticola juncidis
[32] 논문 Juvenile female breeding of the Fan-tailed Warbler Cisticola juncidis: occurrence of two generations in the year
[33] 웹사이트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https://species.nibr[...] 국립생물자원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