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방 소프트웨어 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방 소프트웨어 재단(OSF)은 1988년 유닉스 시스템 공급업체들의 공동 개발을 위해 설립된 조직이다. AT&T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유닉스 시스템 통합에 대한 대응으로, 여러 기업들이 참여하여 유닉스 표준화 경쟁에 참여했다. OSF는 OSF/1, Motif, 분산 컴퓨팅 환경(DCE) 등 다양한 기술을 개발했으며, 1996년 X/Open과 합병하여 오픈 그룹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닉스 표준 - 오픈 그룹
    오픈 그룹은 다양한 기술 공급업체, 구매자, 정부 기관을 포함하는 국제 컨소시엄으로, 표준 개발, 인증 프로그램 운영, TOGAF와 같은 IT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제공 및 UNIX 상표 권리 보유를 통해 개방형 IT 표준 개발 및 보급에 기여한다.
  • 유닉스 표준 - X/Open
    X/Open은 유닉스 시스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컨소시엄으로, XPG 규격을 발표하고, Open Software Foundation과 합병하여 The Open Group이 되었다.
  •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재단 - 모질라 재단
    모질라 재단은 넷스케이프 사업부 축소 후 모질라 프로젝트의 독립 운영을 위해 2003년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파이어폭스 개발 지원, 개방형 웹 생태계 유지, 그리고 인터넷 자유 수호를 위한 활동을 전개한다.
  •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재단 - 위키미디어 재단
    위키미디어 재단은 교육적 콘텐츠 제공을 목적으로 2003년 지미 웨일스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며, 위키백과 등 여러 위키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기부금으로 재정을 조달한다.
  • X 윈도 시스템 - 데스크톱 환경
    데스크톱 환경은 아이콘, 창, 메뉴 등으로 컴퓨터 화면을 책상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로, 창 관리자, 파일 관리자 등으로 구성되어 파일 관리 및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 X 윈도 시스템 - 오픈 그룹
    오픈 그룹은 다양한 기술 공급업체, 구매자, 정부 기관을 포함하는 국제 컨소시엄으로, 표준 개발, 인증 프로그램 운영, TOGAF와 같은 IT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제공 및 UNIX 상표 권리 보유를 통해 개방형 IT 표준 개발 및 보급에 기여한다.
개방 소프트웨어 재단
개요
유형비영리 재단
설립일1988년 5월 17일
해산일1996년 (X/Open과 합병하여 오픈 그룹으로 통합)
목표
주요 목표소프트웨어 표준 발전 및 개방형 소프트웨어 환경 제공

2. 역사

개방 소프트웨어 재단(OSF)은 1988년 AT&T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유닉스 표준화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 휴렛 팩커드(HP), IBM 등 주요 컴퓨터 기업들이 연합하여 설립한 조직이다.[3] 이는 당시 업계의 치열한 기술 표준 경쟁, 이른바 유닉스 전쟁의 주요 단면을 보여준다. OSF는 설립 초기 후원사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자체적인 유닉스 호환 운영체제인 OSF/1[20],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개발 도구인 Motif, 분산 컴퓨팅 기술인 DCE 등을 개발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 마이크로소프트의 급부상이라는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에 직면하면서, 유닉스 진영 내부의 경쟁보다는 공동 대응의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1993년 OSF는 경쟁 관계에 있던 UI 진영의 주요 기업들과 함께 COSE 이니셔티브를 결성하며 협력의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4년에는 OSF와 UI가 공식적으로 합병하였고[21], 최종적으로 1996년 X/Open과 합병하여 오늘날의 오픈 그룹으로 통합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88년)

1988년 1월, 여러 유닉스 시스템 공급업체들이 모인 비공개 회의에서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의 아르만도 슈테트너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이 회의는 팔로 알토에 위치한 DEC 사무실에서 열렸기 때문에 "해밀턴 그룹"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3] OSF 설립의 주된 목적은 당시 AT&T 코퍼레이션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가 주도하던 유닉스 시스템 통합 노력에 공동으로 맞서는 것이었다. 다른 기업들은 이들의 움직임으로 인해 자신들이 표준화 과정에서 소외될 것을 우려했다. 해밀턴 그룹은 선과 AT&T에 공동 개발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고, 이후 슈테트너가 작성한 규약을 바탕으로 공식적인 재단 설립이 추진되었다.

재단의 초기 후원 회원사는 아폴로 컴퓨터, 그루프 불,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 휴렛 팩커드, IBM, 닉스도르프 컴퓨터, 지멘스 AG로, 이들을 "7인조"(Gang of Seven)라고 부르기도 했다. 나중에 필립스히타치가 후원 회원사로 합류했으며, 일반 회원사 수는 100개를 넘어섰다.[4][5] OSF는 연구 합작 및 표준 개발 기구의 반독점 문제 부담을 줄여주는 미국의 국가 협력 연구법(National Cooperative Research Act)에 따라 등록되었다.[6]

후원사들은 OSF에 상당한 자금과 광범위한 권한("7가지 원칙"), 그리고 독립성을 보장했다. OSF는 기술 선정을 위해 제안 요청(Request for Proposals, RFP)을 진행하는 공급업체 중립적인 "개방 프로세스"를 운영하기로 했으며, 이를 통해 선정된 기술은 OSF를 통해 대중에게 라이선스가 부여될 예정이었다.

OSF의 설립은 UNIX System V 릴리스 4를 공동 개발하던 AT&T와 Sun에 대한 직접적인 견제 성격이 강했다. 이러한 대립 구도는 소위 유닉스 전쟁으로 불리게 되었다. 당시 Sun의 CEO였던 스콧 맥닐리는 OSF가 "Oppose Sun Forever"(영원히 Sun에 반대한다)의 약자라고 농담하기도 했다.[7] 한편 AT&T는 OSF의 출범에 맞서 같은 해 말, 유닉스 인터내셔널(Unix International, UI)이라는 별도의 조직을 설립했다.

2. 2. 유닉스 전쟁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초반)

개방 소프트웨어 재단(OSF)의 창설은 1988년 AT&T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가 공동으로 개발하던 UNIX System V Release 4에 대한 다른 유닉스 공급업체들의 대응에서 비롯되었다. 이들 업체는 자신들이 새로운 유닉스 표준화 과정에서 소외될 것을 우려했다.[3] 이러한 배경 속에서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의 아르만도 슈테트너는 여러 유닉스 시스템 공급업체들이 모인 비공개 회의("해밀턴 그룹")에서 공동 개발을 위한 조직 설립을 처음 제안했다.[3] AT&T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가 이 제안을 거부하자, 슈테트너가 작성한 조직 규약을 바탕으로 OSF가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OSF의 초기 후원 회원사는 다음과 같으며, 이들은 "7인조"(Seven Dwarfs)라고 불리기도 했다.

회원사
아폴로 컴퓨터
그루프 불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
휴렛 팩커드
IBM
닉스도르프 컴퓨터
지멘스 AG



이후 필립스히타치가 후원 회원사로 합류했으며, 일반 회원사는 100개가 넘었다.[4][5] OSF는 미국의 국가 협력 연구법에 따라 등록되어 반독점 관련 법적 책임을 줄일 수 있었다.[6] 후원사들은 OSF에 상당한 자금과 독립성을 보장했으며, 공급업체 중립적인 "개방 프로세스"를 통해 기술을 선정하고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OSF의 등장은 AT&T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진영과의 본격적인 경쟁을 예고했으며, 이는 이른바 유닉스 전쟁으로 불리게 되었다.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스콧 맥닐리는 OSF가 "Oppose Sun Forever"(영원히 선에 반대한다)의 약자라고 농담하기도 했다.[7] 이에 맞서 AT&T는 같은 해 유닉스 인터내셔널(UI)이라는 별도의 조직을 설립했다. UI는 OSF와 유사한 목표를 가졌으나 자체 개발 인력 없이 유닉스 시스템 연구소(USL)가 개발을 담당했다.

OSF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본사를 두었으며, 데이비드 토리 사장을 비롯한 여러 임원진과 300명 이상의 직원을 갖춘 실제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으로 성장했다.[8] 이 시기 OSF는 독립 보안 소프트웨어 회사인 Addamax로부터 반경쟁적 행위 혐의로 소송을 당했으나 법원은 OSF의 손을 들어주었다.[9] 또한 1991년에는 연방거래위원회(FTC)로부터 기술 획득 과정에서의 "불공정 거래 관행" 혐의로 조사를 받기도 했다.[10][11]

OSF는 자체 표준 유닉스 운영체제인 OSF/1을 개발하여 1992년 DEC를 통해 출시했다.[20] 그러나 OSF/1은 널리 채택되지 못했고, 1994년 OSF가 개발을 중단할 당시에는 DEC와 히타치 제작소만이 주요 사용자였다. DEC는 이후 OSF/1을 Digital UNIX(이후 컴팩에 인수된 뒤 Tru64 UNIX로 변경)로 이름을 바꾸어 계속 개발했다. OSF는 OSF/1 외에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위젯 툴킷인 Motif와 분산 컴퓨팅 기술인 DCE 등을 개발했다.

1993년에 이르러 유닉스 진영의 경쟁 상대가 서로가 아닌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업 시장 진출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같은 해 5월, OSF와 UI의 주요 회원사들(HP, IBM, 썬, USL, SCO)은 COSE 이니셔티브를 결성하여 협력하기로 발표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는 OSF에 참여하게 되었고, Motif의 인증은 X/Open으로 이관되었다.

1994년 3월, OSF와 UI는 공식적으로 합병했으며, 조직 명칭은 OSF를 유지했다. 합병된 OSF는 COSE의 개발 모델을 도입하고 CDE 개발을 주도했다.[21] 1995년 9월에는 OSF/Motif와 CDE 프로젝트가 하나로 통합되었다.[22] 유닉스 전쟁은 1996년 2월, OSF가 X/Open과 다시 합병하여 The Open Group을 결성함으로써 사실상 종결되었다.

2. 3. COSE 이니셔티브와 OSF의 변화 (1993년)

1993년이 되자, 유닉스 시스템 공급업체들에게 서로 간의 경쟁보다는 기업 컴퓨팅 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영향력 확대가 더 큰 위협으로 다가왔다. 이에 대응하여 1993년 5월, 휴렛 팩커드(HP), IBM, , 유닉스 시스템 연구소(USL), 산타 크루즈 오퍼레이션(SCO) 등 당시 유닉스 진영의 주요 기업들은 COSE(Common Open Software Environment)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이 합의를 통해 썬과 AT&T는 OSF의 후원 회원사가 되었고, OSF는 Motif의 인증 및 브랜딩 권한을 X/Open 컨소시엄에 넘겼다. 또한, 노벨유닉스 상표권의 관리 및 라이선스를 X/Open에 이관했다.

1994년 3월, OSF는 새로운 조직 모델을 발표하며 COSE의 기술 모델을 사전 구조화 기술(Pre-Structured Technology, PST) 프로세스로 도입했다. 이는 OSF가 더 이상 직접 중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역할을 하지 않게 되었음을 의미했다.[17] OSF는 이후 CDE(Common Desktop Environment) 개발에 대한 책임을 맡게 되었다.

1995년 9월에는 OSF/Motif와 CDE를 단일 프로젝트인 CDE/Motif로 통합한다고 발표했다.[18][22]

결국 1996년 2월, OSF는 X/Open과 합병하여 오픈 그룹(The Open Group)을 형성하게 되었다.

2. 4. 합병과 오픈 그룹의 탄생 (1996년)

1993년까지 유닉스 시스템 공급업체들에게 더 큰 위협은 서로 간의 경쟁이 아니라 기업 컴퓨팅 분야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입지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 명백해졌다. 같은 해 5월, UI 및 OSF 진영의 주요 유닉스 업체들인 휴렛 팩커드, IBM, , USL, 그리고 SCO는 COSE (Common Open Software Environment) 계획을 발표했다. 이 합의에 따라 썬과 AT&T는 OSF의 후원 회원사가 되었고, OSF는 Motif의 인증 및 브랜딩을 X/Open 컨소시엄에 맡겼다. 또한 노벨은 유닉스 상표권의 관리 및 라이선스를 X/Open 컨소시엄에 넘겼다.

1994년 3월, OSF는 새로운 조직 모델을 발표하고 COSE 기술 모델을 사전 구조화 기술 (Pre-Structured Technology, PST) 프로세스로 도입했는데, 이는 OSF가 주요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로서의 역할을 종료했음을 의미했다.[17][21] 또한 OSF는 CDE (Common Desktop Environment)에 대한 향후 작업 책임을 맡았다. 1995년 9월, OSF/Motif와 CDE가 단일 프로젝트인 CDE/Motif로 합병될 것이 발표되었다.[18][22]

1996년 2월, OSF는 X/Open과 합병하여 오픈 그룹 (The Open Group)이 되었다.

3. 주요 기술

개방 소프트웨어 재단(OSF)은 여러 중요한 기술을 개발했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유닉스 호환 운영 체제인 OSF/1[12][1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위젯 툴킷인 Motif[14], 그리고 분산 컴퓨팅 환경 구축을 위한 기술 패키지인 DCE(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가 있다. Motif는 1994년 IEEE 표준(P1295)으로 채택되기도 했다.[14]

이 외에도 분산 시스템 관리를 위한 분산 관리 환경(DME, Distributed Management Environment), 아키텍처 중립 배포 형식(ANDF, Architecture-Neutral Distribution Format), 개발 및 테스트를 위한 개방형 개발 환경(ODE, Open Development Environment)과 테스트 환경 툴킷(TET, Test Environment Toolkit)[15], 그리고 OSF 연구소에서 개발한 Mach 3.0 기반의 OSF/1 MK 등이 있다. ODE와 TET는 오픈 소스로 공개되었으며[15], IBM은 ODE 버전을 GitHub에 게시했다.[16] OSF 기술들은 상세 매뉴얼과 함께 Prentice-Hall 출판사를 통해 제공되었다.

3. 1. OSF/1

Open Software Foundation OSF/1 릴리스 레터 1990년 12월 7일


OSF/1은 개방 소프트웨어 재단(OSF)이 개발한 유닉스 참조 구현 운영 체제이다. 1990년 12월에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12], 다음 달인 1991년 1월에 Digital(DEC)이 이를 채택했다.[13] 1992년에는 DEC가 OSF/1을 기반으로 한 상용 제품을 출시했다.[20]

OSF/1의 개발은 당초 IBMAIX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할 계획이었으나, 개발 지연과 이식성 문제로 인해 계획이 변경되었다. 대신 OSF는 여러 회사의 기술을 조합하여 새로운 유닉스 참조 운영 체제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이는 특정 회사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원활하게 작동하는 운영 체제를 목표로 했으며, 개발에는 약 1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OSF/1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을 통합하여 개발되었다.

OSF/1의 개발은 AT&T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공동으로 개발하던 UNIX System V Release 4에 대한 견제의 성격이 강했다. 당시 다른 유닉스 회사들은 표준화 과정에서 소외될 것을 우려하여 OSF 설립에 참여했으며, 이는 유닉스 시장의 주도권을 둘러싼 이른바 'UNIX 전쟁'의 중요한 단면이었다.

하지만 OSF/1 운영 체제 전체를 채택한 주요 유닉스 시스템 회사는 많지 않았다. 1994년 OSF가 OSF/1의 개발을 중단했을 당시, 이를 상용 제품으로 사용하던 주요 회사는 DEC와 히타치 제작소 정도였다.[20] DEC는 OSF/1을 'Digital UNIX'라는 이름으로 판매했으며, 이후 회사가 Compaq에 인수되면서 제품명은 'Tru64 UNIX'로 변경되었다.

비록 OSF/1 전체 시스템의 채택은 제한적이었지만, 그 안에 포함된 개별 기술 요소들은 많은 유닉스 시스템 회사들이 라이선스하여 자사 제품에 통합했다. Apple과 같은 소프트웨어 회사들도 OSF/1의 기술을 라이선스하여 활용했다. 이러한 이유로 OSF/1의 일부 기술은 매우 광범위하게 퍼져나가, 역사상 가장 널리 배포된 유닉스 관련 기술 중 하나로 평가받기도 한다.

한편, OSF 연구소에서는 Mach 3.0 마이크로커널을 기반으로 한 OSF/1 MK라는 별도의 버전도 개발했다.

3. 2. Motif

OSF에서 개발한 다른 기술로는 Motif와 분산 컴퓨팅 환경 (DCE)이 있으며, 각각 위젯 툴킷과 분산 네트워크 컴퓨팅 기술 패키지이다. Motif 툴킷은 1994년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 (IEEE) 내에서 P1295로 공식 표준으로 채택되었다.[14]

3. 3. 분산 컴퓨팅 환경 (DCE)

OSF는 위젯 툴킷인 Motif와 함께 분산 네트워크 컴퓨팅 기술 패키지인 DCE를 개발했다.

3. 4. 기타 기술



OSF의 유닉스 참조 구현은 ''OSF/1''로 명명되었다. 이는 1990년 12월에 처음 출시되었으며[12], 한 달 뒤 Digital에서 채택했다.[13] OSF 창립 당시에는 IBMAIX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할 예정이었으나, 개발 지연과 이식성 문제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대신 OSF는 업계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통합하여 여러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새로운 유닉스 참조 운영 체제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다양한 하드웨어에서의 이식성과 특정 벤더에 얽매이지 않는 중립성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새로운 OSF/1은 약 1년 만에 개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통합했다.

1996년 OSF가 OSF/1 개발을 중단했을 때, 완전한 OSF/1 패키지를 사용한 주요 유닉스 시스템 벤더는 Digital뿐이었으며, 이 회사는 이를 Digital UNIX (이후 Compaq에 인수된 후 Tru64 UNIX로 변경)로 브랜드를 변경하여 출시했다. 그러나 다른 많은 유닉스 벤더들은 자사 제품에 OSF/1의 특정 구성 요소를 통합하기 위해 라이선스를 받았다. Apple을 포함한 다른 소프트웨어 벤더들도 OSF/1을 라이선스했으며, OSF/1의 일부 구성 요소는 매우 많은 유닉스 버전에 포함되어 역사상 가장 널리 배포된 유닉스 기술 중 하나로 평가받기도 한다.

OSF에서 개발한 다른 주요 기술로는 Motif와 분산 컴퓨팅 환경 (DCE)이 있다. Motif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위젯 툴킷이며, 1994년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 (IEEE)에서 P1295 표준으로 채택되었다.[14] DCE는 분산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 패키지이다.

이 외에도 OSF는 분산 관리 환경(DME), 아키텍처 중립 배포 형식(ANDF) 등을 개발했다. OSF가 직접 제작한 기술로는 유연한 개발, 빌드, 소스 제어 환경인 개방형 개발 환경(ODE, Open Development Environment)과 자동 테스트 케이스 구축 및 실행을 위한 개방형 프레임워크인 테스트 환경 툴킷(TET, Test Environment Toolkit)이 있다.[15] 또한 OSF 연구소(OSF Research Institute)에서는 Mach 3.0 마이크로커널 기반의 운영 체제인 OSF/1 MK를 개발하기도 했다. ODE와 TET는 오픈 소스로 제공되었으며, 특히 TET는 OSF, 유닉스 인터내셔널, X/Open 컨소시엄 간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졌다. OSF의 모든 기술은 상세한 매뉴얼과 지원 간행물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는 주로 OSF 직원이 작성하고 Prentice-Hall에서 출판했다. IBM은 ODE의 버전을 GitHub에 게시했다.[16]

참조

[1] 간행물 New Foundation to Advance Software Standards, Develop and Provide Open Software Environment http://groups.google[...] Open Software Foundation 2007-07-31
[2] 웹사이트 X/Open and OSF Join to Create The Open Group https://tech-insider[...] 2018-12-04
[3] 뉴스 Apollo VP Gives Inside Look at OSF Formation https://books.google[...] 2011-04-13
[4] 웹사이트 New Foundation to Advance Software Standards, Develop and Provide Open Software Environment https://tech-insider[...] 2018-12-04
[5] 웹사이트 Philips Newest Sponsor For Open Software Foundation https://tech-insider[...] 2018-12-04
[6] 웹사이트 First Circuit Court of Appeals Opinion 97-1807.01A http://www.ca1.uscou[...] First Circuit Court of Appeals 2009-07-19
[7] 서적 High Noon: The Inside Story of Scott McNealy and the Rise of Sun Microsystem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8] 간행물 Network World Industry Update https://books.google[...] Network World 2020-12-08
[9] 웹사이트 ADDAMAX CORP. v. OPEN SOFTWARE FOUNDATION, INC. https://www.leagle.c[...] Leagale 2020-12-08
[10] 뉴스 OSF probed by feds; unfair trade alleged 1991-02-04
[11] 뉴스 Are Open Software's Standards Shutting Out Competitors?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1991-05-12
[12] 웹사이트 Open Software Foundation releases OSF/1 operating system, offering customers powerful function, industry standards https://tech-insider[...] 2018-12-04
[13] 간행물 Digital Delivers on the Open Advantage Promise of OSF/1 and DCE http://groups.google[...]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2007-07-18
[14] 웹사이트 OSF Flash – Motif an IEEE Standard http://diswww.mit.ed[...] Open Software Foundation 2013-09-02
[15] 웹사이트 TET History http://tetworks.open[...] The OpenGroup 2009-07-18
[16] 웹사이트 OSF Open Development Environment as modified by IBM https://github.com/I[...] 2020-10-08
[17] 간행물 Leading Vendors Unify to Accelerate Open Systems http://groups.google[...] AT&T Global Information Systems,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Hewlett-Packard Company, IBM Corporation, SunSoft Incorporated, et al. 2007-07-18
[18] 간행물 OSF Announces Formal Launch of CDE/Motif Project http://groups.google[...] Open Software Foundation 2007-07-18
[19] 문서 Open Software Foundation https://groups.googl[...] 1988-05-17
[20] 문서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https://groups.googl[...] 1992-01-22
[21] 문서 AT&T Global Information Systems,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Hewlett-Packard Company, IBM Corporation, SunSoft Incorporated, et al. https://groups.googl[...] 1994-03-23
[22] 문서 Open Software Foundation https://groups.googl[...] 1995-09-07
[23] URL http://groups.google[...]
[2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a1.uscou[...] 2009-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