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거(Tridacna gigas)는 껍질을 완전히 닫을 수 없는 유일한 대왕조개로, 외투막의 일부가 보이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 대형 조개이다. 껍질에는 4~5개의 수직 주름이 있으며, 외투막 가장자리에는 수백 개에서 수천 개의 핀홀 눈점이 있다. 이들은 빛의 변화에 반응하여 껍질을 닫는 데 도움을 준다. 거거는 여과 섭식을 하며 주산호조류와의 공생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고, 자웅동체로 난자와 정자를 물에 방출하여 번식한다. 과거에는 식용으로 사용되었으나, 남획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국제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UCN 적색 목록 취약종 - 이낵세시블뜸부기
    이나크세시블뜸부기는 남대서양 이나크세시블섬에 서식하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날지 못하는 새로, 잡식성이고 10월에서 1월 사이에 번식하며 제한된 서식지와 침입종에 취약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IUCN 적색 목록 취약종 - 쿼카
    쿼카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동물'이라는 별명을 가진 캥거루과 동물로, 서호주 남서부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고, 웃는 모습의 사진들이 인기를 얻어 '쿼카 셀카' 열풍을 일으키기도 했다.
  • 1758년 기재된 동물 - 물거미
    물거미는 8~15mm 크기의 검은 거미로, 삶의 대부분을 물속에서 보내는 유일한 거미이며, 잠수종 형태의 집을 짓고 수생 곤충 등을 잡아먹고, 유럽과 아시아에 분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동물 - 물벼룩
    물벼룩은 갑각류의 일종으로, 다양한 수생 서식지에 살면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먹이 역할을 하며, 최초로 게놈이 해독된 갑각류로서 유전자 연구와 생태 독성 시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거거
기본 정보
''T. gigas'', [[Michaelmas Cay]] [[Great Barrier Reef]], Queensland, Australia
T. gigas, 마이클마스 케이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퀸즐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학명Tridacna gigas
이명Chama gigantea
명명자Linnaeus, 1758
무게200 kg
크기120 cm
멸종 위기 등급 (IUCN)위기(CR)
CITES 부록부록 II
분류
Tridacna
gigas
서식
서식지인도양과 태평양의 산호초
기타
참고 자료Neo, M.L.; Li, R. (2024). "Tridacna giga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4: e.T22137A119167161.
Appendices CITES. CITES.
Bouchet, P.; Huber, M. (2013). "Tridacna gigas (Linnaeus, 1758)".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National Geographic Society. "Giant Clam: Tridacna gigas". National Geographic Society.
Syukri bin Othman, Ahmad; Goh, Gideon H. S.; Todd, Peter A. (28 Feb 2010).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GIANT CLAMS (FAMILY TRIDACNIDAE) – A SHORT REVIEW". The Raffles Bulletin of Zoology. 58 (1): 103–111.
Knop, Daniel (1996). Giant clam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identification and care of Tridacnid clams. Dähne Verlag. ISBN 978-3-921684-23-8.
National Geographic Society. "Giant Clam: Tridacna gigas".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 해부학적 특징

어린 거거(Tridacna gigas)는 다른 대왕조개아과 종과 구별하기 어렵다. 하지만 성체 거거는 껍데기를 완전히 닫을 수 없는 유일한 대왕조개이며, 갈색-노란색 외투막이 밖으로 드러나 보인다.[6] 껍질에는 4~5개의 수직 주름이 있는데, 이는 6~7개의 주름을 가진 T. derasa와 구별되는 특징이다.[7] 탄산 칼슘으로 구성된 산호 매트릭스와 유사하게, 대왕조개는 생물 광물화 과정을 통해 껍질을 성장시키는데, 이는 계절 온도에 매우 민감하다.[8][9] 동위 원소 표지를 이용하여 탄산염 내 산소의 동위 원소 비율과 스트론튬칼슘 간의 비율을 함께 사용하여 역사적인 해수면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8]

2. 1. 외투막과 눈점

외투막 가장자리에는 직경이 약 0.5mm인 수백 개에서 수천 개의 핀홀 반점이 덮여 있다.[12][10] 각 반점은 동공과 같은 조리개가 있는 작은 구멍과 자외선을 포함하여 세 가지 다른 범위의 빛에 민감한 100개 이상의 눈점 장치 광수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연체동물 중에서 유일할 수 있다.[10] 이러한 수용체는 거거가 빛이 어두워지거나, 빛의 방향이 바뀌거나, 물체가 움직일 때 껍질을 부분적으로 닫을 수 있게 한다.[11] 광학 시스템은 조리개색소를 사용하여 일부 눈의 순차적이고 국소적인 어두움을 통해 이미지를 형성한다.[12]

2. 2. 최대 크기 표본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T. gigas'' 표본은 137cm였으며, 죽은 상태에서 무게는 230kg, 살아있을 때는 약 250kg으로 추정된다. 이 표본은 1817년경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북서 해안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이 표본의 껍데기는 북아일랜드의 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6][13]

더 무거운 대왕조개는 1956년 일본 이시가키섬 근해에서 발견되었다. 껍데기 길이는 115cm였으며, 죽은 상태에서 무게는 333kg, 살아있을 때는 약 340kg으로 추정되었다.[6]

3. 생태

대왕조개는 여과 섭식을 하면서 주산호조류와의 공생을 통해 영양분의 65~70%를 얻는다.[14] 이러한 공생 관계는 대왕조개가 영양분이 부족한 산호초 해역에서도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왕조개는 특별한 순환계를 통해 많은 수의 공생체를 유지하며, 외투 가장자리에는 공생 주산호조류가 가득하여 이산화 탄소, 인산염, 질산염을 공급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작은 조개(건조 조직 무게 10mg)는 여과 섭식을 통해 탄소의 약 65%를 얻지만, 큰 조개(10g)는 34%만 얻는다. 주산호조류는 대왕조개와 인근 산호의 공생체일 수 있다.

3. 1. 번식

대형 조개는 성적으로 번식하며 자웅동체로, 한 개체가 난자정자를 모두 생산한다. 자가 수정은 불가능하지만, 이러한 특성 덕분에 다른 개체와 번식할 때 짝을 찾는 부담을 줄이면서 더 많은 자손을 생산할 수 있다.[6]

대형 조개는 스스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정자와 난자를 물속으로 방출하는 방란 방식을 이용한다. 사이펀을 통해 방출되는 '산란 유도 물질'(SIS)은 정자와 난자의 방출 시기를 조절하여 수정이 잘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다른 조개는 유입되는 물을 통해 SIS를 감지하고, 이는 대뇌 신경절로 전달된다.[6]

SIS를 감지한 대형 조개는 외투를 팽창시키고 내전근을 수축시킨다. 껍질이 격렬하게 수축하면서 유출 챔버의 내용물이 유출 사이펀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처음에는 물만 나오다가, 이후 난자와 정자가 함께 배출된다. 암컷 난자의 크기는 100micrometre이며, 성체는 한 번에 5억 개 이상의 난자를 방출할 수 있다.[6]

산란은 주로 밀물 때, 달 위상의 두 번째(보름달), 세 번째 및 네 번째(그믐달) 분기 근처에서 일어난다. 산란 수축은 2~3분마다 발생하며, 30분에서 2시간 30분 동안 지속된다. 주변 조개의 산란에 반응하지 않는 조개는 생식 능력이 없을 수 있다.

3. 2. 성장 과정

수정된 난자는 약 12시간 동안 바다에 떠다니다가 유충(트로코포어)으로 부화한다. 그 후 탄산 칼슘 껍질을 만들기 시작한다. 수정 후 이틀 만에 160micrometre 크기가 된다. 곧 "발"을 발달시키는데, 이것은 바닥에서 이동하는 데 사용된다. 유충은 또한 적절한 서식지를 찾기 위해 헤엄칠 수 있다.[6]

대략 일주일 정도 되면 조개가 바닥에 정착하지만, 처음 몇 주 동안은 위치를 자주 바꾼다. 유충은 아직 공생 조류가 없으므로, 완전히 플랑크톤에 의존한다. 또한, 부유하는 플랑크톤은 먹이를 걸러내는 동안 포획된다. 결국 앞쪽의 부착 근육이 사라지고 뒤쪽 근육이 조개의 중심으로 이동한다. 이 단계에서 많은 작은 조개들이 죽는다. 조개는 길이가 명시되지 않아 해당 문장을 제거함 에 도달하면 미성숙 개체로 간주된다.[6] 야생에서 ''T. gigas''의 성장 속도를 관찰하기는 어렵지만, 실험실에서 사육된 거대 조개는 1년에 12cm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다.

4. 진화 발달 생물학적 관점

''Tridacna''가 살이 많은 외투막과 껍질의 가장자리 너머로 확장되는 이러한 큰 크기로 성장하는 능력은 진화 발달 생물학에 의해 이매패류의 발달과 형태가 완전히 재구성된 결과로 여겨진다.[16] 역사적으로, 이 과정에 대해 두 가지 진화론적 설명이 제시되었다. 영국인 Sir Yonge는 내장-발 신경절 복합체가 껍질에 대해 180도 회전하여 독립적으로 발달하고 진화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여러 해 동안 유지했다.[17] Stasek는 대신 성장이 대부분의 이매패류에서 더 일반적인 배쪽 방향이 아닌 후방 방향으로 발생하며, 이는 미성숙 개체가 겪는 성장 방식의 과도기적 단계에 반영된다고 제안했다.[18]

5. 인간과의 관계

대왕조개는 일본(히메자코), 프랑스, 동남아시아 및 여러 태평양 섬에서 진미로 여겨져 식용으로 남획되었다. 중국 의학에서는 최음제 효능이 있다고 믿어 관자 부위에 많은 돈이 지불되기도 했다.[6] 암시장에서는 대합 조개 껍데기가 장식용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이러한 무분별한 포획으로 인해 대왕조개는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특히 크고 수익성이 높은 성체들이 주요 포획 대상이었다.[6]

5. 1. 전설과 오해

역사적으로 특이하게 큰 종들이 흔히 그렇듯이, 대왕조개는 오해를 받아왔다.[19]

대왕조개를 쉽게 볼 수 있는 나라에서도 대왕조개를 공격적인 존재로 잘못 묘사하는 이야기가 있다. 예를 들어, 조개는 껍데기를 완전히 닫을 수 없지만, 폴리네시아 민담에서는 원숭이의 손이 조개에게 물렸다고 전해지며, 유생 단계를 거친 후에는 조개가 부착 생활을 하지만, 마오리 전설에서는 대왕조개가 카누를 공격했다고 한다.[20] 18세기부터 서구 세계에서는 위험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1920년대에 권위 있는 과학 잡지인 ''인기 역학''은 이 거대한 연체동물이 사망을 초래했다고 주장한 적이 있다. ''미 해군 잠수 매뉴얼''의 버전에는 껍데기를 닫는 데 사용되는 폐각근을 절단하여 조개에게서 벗어나는 자세한 지침이 포함되어 있었다.[20] 라오쯔의 진주 발견에 대한 설명에서 윌번 코브는 다야크 잠수부가 ''트리다크나''가 팔에 껍데기를 닫아 익사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21] 실제로는 폐각근 수축 속도가 느리고 닫는 동안 껍데기에서 물을 빼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을 가두는 것이 불가능하다.[4][19]

다른 신화는 대왕조개의 거대한 크기를 긴 수명과 연관 짓는 데 초점을 맞춘다.[19] 대왕조개가 실제로 오래 살고 역사적 기후 조건을 위한 생체 측정 지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그들의 큰 크기는 빠른 성장과 더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5. 2. 양식 및 보존 노력

1980년대부터 미크로네시아 해양 양식 시범 센터에서 대왕조개 대량 양식이 시작되었다.[22] 1985년부터 1992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은 대규모 프로젝트가 제임스 쿡 대학교 오르페우스 섬 연구소에서 대왕조개, 특히 ''T. gigas''를 대량 양식했으며, 태평양 제도와 필리핀의 부화장 개발을 지원했다.[23][24][25]

동티모르의 녹색 및 청색 대형 조개


보존론자들은 이 종을 생계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과도하게 남획하는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야생 개체수는 식량과 수족관 거래를 위한 광범위한 채취로 인해 크게 감소했다.[16] 이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록 II에 등재되어 국제 거래(부분품 및 파생상품 포함)가 규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2]

''T. gigas''는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지역 멸종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T. derasa''와 ''Hippopus porcellanus''는 동말레이시아에 국한되어 있다.[5] 이러한 최근의 지역 멸종은 양식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하와이와 미크로네시아에 대형 조개를 종 복원하게 만들었다.[26] 필리핀에서 재고된 개체들은 불과 10년 만에 자체적으로 산란된 유충을 최소 수백 미터 떨어진 곳까지 성공적으로 확산시켰다.[27]

6.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Tridacna gigas''" 2024-12-13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WoRMS "''Tridacna gigas'' (Linnaeus, 1758)" 2014-04-09
[4] 웹사이트 Giant Clam: ''Tridacna giga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23-11-19
[5] 학술지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GIANT CLAMS (FAMILY TRIDACNIDAE) – A SHORT REVIEW 2010-02-28
[6] 서적 Giant clam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identification and care of Tridacnid clams https://www.worldcat[...] Dähne Verlag 1996
[7] 학술지 The family Tridacnidae in the Indo-Pacific. 1965
[8] 학술지 Sr/Ca profile of long-lived Tridacna gigas bivalves from South China Sea: A new high-resolution SST proxy http://dx.doi.org/10[...] 2013-07
[9] 학술지 A biomineralization study of the Indo-Pacific giant clam Tridacna gigas http://dx.doi.org/10[...] 2017-01-06
[10] 학술지 Ultraviolet sensitivity in hyperpolarizing photoreceptors of the giant clam Tridacna http://dx.doi.org/10[...] 1984-05
[11] 학술지 The visual system of the giant clam Tridacna: behavioral adaptations. https://www.biodiver[...] 2022-06-25
[12] 학술지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pinhole eyes of giant clams
[13] 학술지 Sizing ocean giants: patterns of intraspecific size variation in marine megafauna 2015-01-13
[14] 웹사이트 Giant Clams' Poop Hosts Symbiotic Algae https://www.asiansci[...] 2019-09-05
[15] 학술지 The behaviour of giant clams (Bivalvia: Cardiidae: Tridacninae)
[16] 학술지 The biology, exploitation, and mariculture of giant clams (Tridacnidae) http://dx.doi.org/10[...] 1994-01
[17] 학술지 Functional morphology and evolution in the Tridacnidae (Mollusca: Bivalvia: Cardiacea) http://dx.doi.org/10[...] 1981-10-31
[18] 학술지 Orientation and form in the bivalved Mollusca http://dx.doi.org/10[...] 1963-05
[19] 학술지 Quick Guide: Giant Clams
[20] 웹사이트 The History, Myth, and Future of the Giant Clam http://www.atlasobsc[...] 2023-11-18
[21] 웹사이트 Accounts by Wilburn Dowell Cobb http://www.pearlforp[...] 2007-07-01
[22] 학술지 Mass culture of giant clams (F. Tridacnidae) in Palau
[23] 서적 Giant Clams in Asia and the Pacific. ACIAR Monograph No. 9
[24] 학술지 Farming the Giant Clam
[25] 서적 Biology and Mariculture of Giant Clams; a workshop held in conjunction with the Seventh International Coral Reef Symposium, 21–26 June 1992, Guam, USA
[26] 웹사이트 Tridacna gigas: Wells, S. http://dx.doi.org/10[...] 1996-08-01
[27] 학술지 Bringing back the giants: juvenile Tridacna gigas from natural spawning of restocked giant clams http://dx.doi.org/10[...] 2017-02-16
[28] 웹인용 Giant Clam: "''Tridacna giga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7-06-02
[29] 문서 Knop, p. 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