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라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라오어는 크라 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와 어휘를 공유한다. 1990년대 초 1만 명 이상이었던 화자 수는 급격히 감소하여 2008년에는 약 7,900명으로 추정되며, 젊은 세대는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중국 구이저우성, 윈난성, 광시성, 베트남 등지에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학자들마다 방언 분류에 차이가 있다. 거라오어는 성조 언어이며, 다른 크라-다이어족 언어에서 사라진 접두사를 보존하고 SVO 어순을 따른다. 구이저우성에서 중국 문자로 기록된 단어 목록이 발견되었으나, 고유 문자로 쓰여진 책은 위작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거라오어 | |
---|---|
개요 | |
이름 | 거라오어 |
원어명 | Kláo |
사용 국가 | 중국 베트남 |
사용 지역 | 중국 서부 구이저우성 중국 윈난성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룽린 각족 자치현 베트남 하장성 |
사용자 수 | 7,900명 (2008년) |
어족 | 타이어족 - 크라다이어족 |
어파 | 크라어파 |
분파 | 게-치어파 |
방언 | 반두어 아오어 물라오어 (크라어) 하게이어 (하키) 텔루에어 (두올루오) 카우어 (가오) |
ISO 639-3 | gio |
글롯톨로그 | gela1265 |
글롯톨로그 명칭 | 거라오어파 |
2. 외부 관계
부양어와 마찬가지로, 또 다른 크라어족 언어인 거라오어는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동족어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오스트로-타이어족 가설과 관련된 논의를 뒷받침하는 근거 중 하나로 제시된다.[2]
거라오어 화자 수는 추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1990년대 초에는 10,000명 이상으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연구에서는 수천 명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다.[4][5] 이러한 감소는 거라오족이 인접한 한족, 부이족, 묘족 등 다른 민족과 통혼하고, 중국어 등 다른 언어의 사용이 늘어난 데 기인한다.
Li와 Zhou (1999)의 연구에 따르면,[3] 거라오어는 하이난어족 및 옹베어와 상당수의 어휘를 공유한다. 이는 과거 하이난섬으로 이주하기 전, 하이난어족의 조상 언어를 사용하던 집단과 거라오어 사용 집단 사이에 언어적 접촉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증거로 여겨진다.
3. 사용 현황 및 인구 통계
많은 거라오어 화자들은 부이어, 좡어, 묘어 등 인접 소수민족 언어나 지역 중국어 방언을 함께 구사할 수 있다. 그러나 거라오어를 사용하는 가정 내에서도 젊은 세대로 갈수록 구사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언어 전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소수의 노인 화자만이 남아 있거나 완전히 다른 언어로 전환된 경우도 있다.
거라오어는 주로 중국 구이저우성, 윈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와 베트남 북부 등지에 분포하며, 지역별로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각 지역의 구체적인 사용 현황과 인구 통계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중국
1990년대 초 장지민은 거라오어 화자가 10,000명 이상일 것으로 추정했으나, 1999년 리진팡은 3,000명으로 보고했다.[4] 2008년 제럴드 A. 에드먼슨은 화자 수를 7,900명으로 추정했다.[5] 그러나 거라오족이 인접한 한족, 부이족, 묘족 등 다른 민족과 통혼하는 경우가 늘면서 화자 수는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많은 거라오어 화자는 부이어, 좡어, 묘어 등 다른 소수민족 언어나 지역 중국어 방언을 함께 구사할 수 있다. 거라오어를 사용하는 가정 내에서도 중년층은 거라오어 구사 능력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으며, 젊은 세대는 간단한 단어나 구절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거라오어의 한 분파인 '''수이청 거라오어'''(水城仡佬语, '''다티 거라오어'''(打铁仡佬语)라고도 불림, 자칭: pu55 qau24)는 중국 구이저우성 수이청현의 둥커우(洞口)촌, 허우창향(猴场乡), 다티자이(打铁寨) 등지에서 사용된다.[6] 다티자이의 거라오족은 4세대 전에 둥커우에서 이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 보고에 따르면 수이청 거라오어 화자는 3명밖에 남지 않았다.[6]
물라오어(木佬语) 화자는 약 28,000명으로 추산되며, 중국 구이저우성 남동부의 마장현, 카이리시, 황핑현, 두윈시, 원안현, 푸취안시 등지에 분포한다. 줴이웨이(者뮈)와 지둥(基동) 마을의 물라오족은 자신들을 "Mu"라고 칭하며, 롱리(龙里) 마을에서는 자신들을 'qa24 ɣo53'라고 부른다. 이들은 방언으로서 거라오어의 일종인 물라오어를 사용하며, 이는 광시의 물람족이 사용하는 물람어와는 다른 언어이다(물람어 역시 '물라오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뤄융셴(1997)은 마장현의 'qa24 o53' ('qa24 ɣo53') 방언과 카이리시의 'lei35 wo33' 방언, 두 가지 물라오어 방언을 설명한다.[7] 한 방언은 마장현 줴이웨이구의 바마오자이(巴茅寨)와 마디자이(马碲寨) 자료를 통해, 다른 방언은 카이리시 루산진의 바이라자이(白腊寨) 자료를 통해 대표된다.[7] 후자의 방언은 다펑동(大风洞), 핑량(平良), 충안장(重安江) 등지에서도 사용된다. 마장과 카이리의 물라오어 데이터는 구이저우성 민족사무위원회 등의 1985년 자료에도 제시되어 있다.[8]
시난현에서 사용되었던 멸종된 언어인 투만어(土蛮语) 역시 거라오어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또한, 윈난성 푸닝현 무양진 무강촌 딩지아포(丁家坡)에서는 와이 거라오(歪仡佬语, "비뚤어진 거라오어"라는 의미)라는 방언이 보고되었으나, 2017년 조사 당시 83세의 한 여성만이 일부 친족 용어를 기억하고 있을 뿐이었다.[9]
칭전시에서는 아오 거라오어가 다음 마을들에서 사용된다.[10]
저우궈옌(2004)은 거라오어 화자가 6,000명 이하이며, 이는 전체 거라오족 인구의 1.2%에 불과하다고 보고했다. 다음 표는 1990년대 각 현의 거라오어 화자 수를 보여준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현은 구이저우성에 속한다.
현 | 거라오족 인구 | 거라오어 화자 수 | 거라오족 주요 거주 지역 |
---|---|---|---|
런화이시 | 4,347 | 극소수의 노인 화자만 남음 | 마오바(茅坝, 야탕(哑塘) 포함), 창강(长岗), 윈안(云安), 중수(中枢), 루반(鲁班), 우마(五马) 향 |
준이현 | 2,922 | 핑정향(平正乡)에 소수 화자 | 주로 핑정향(平正乡), 판수이향(泮水乡)에도 일부 거주 |
진사현 | 1,584 | 홍쯔향(红梓乡)에 소수의 노인 화자 | |
다팡현 | 4,000+ | 푸디향(普底乡)에 50명 이상 화자 | |
첸시현 | 7,000+ | 사징향(沙井乡)에 50명 이상 화자 | 화스(化石), 양얼(羊耳) 등지에도 거주 |
즈진현 | 6,250 | 소수의 노인 화자만 있음 | |
푸딩현 | 3,770[11] | 300 | 마오동(猫洞), 마창(马场), 멍저우(猛舟) 등 10개 이상 마을 |
안순시 | 2,559 | 300 | 다거라오(大仡佬), 헤이자이(黑寨), 완쯔자이(湾子寨), 허차오(河桥), 아미안자이(阿棉寨) 등 마을 |
핑바현 | 2,311 | 500 | |
칭전시 | 3,679 | 소수의 노인 화자만 있음 | |
관링 부이족 묘족 자치현 | 6,405 | 500 | 10개 이상 향, 20개 이상 마을: 신푸향(新铺乡)의 마아오(麻垇), 후오스톈(火石田), 롱탄(龙潭), 샤신(沙心) 등에서 하게이어(哈给语, 거라오어 방언) 화자 거주 |
전닝 부이족 묘족 자치현 | 1,555 | 300 | 딩치(丁旗), 류마(六马) 등 향 |
칭룽 현 | 501 | 300 | |
전펑현 | 1,024 | 300 | |
수이청현 | 1,862 | 소수의 노인 화자만 있음 | 잉판(营盘), 허우창(猴场), 미뤄(米箩), 판롱(蟠龙) 등 향 |
류즈 특별구 | 8,218 | 1,000+ | 주로 칭커우향(箐口乡) |
룽린 각 민족 자치현, 광시 | - | 200+ | |
마리포현, 윈난 | - | 100+ | 푸닝현 (딩지아포(丁家坡) 포함)[12][13], 광난현, 마관현 등지에도 거주 |
다음 표는 거라오족 인구가 상당수 존재하지만, 거라오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완전히 서남 관화(西南官话)로 언어 전환이 이루어진 현들이다.
현 | 거라오족 인구 |
---|---|
우추안 거라오족 묘족 자치현 | 145,989 |
다오전 거라오족 묘족 자치현 | 112,025 |
정안현 | 31,706 |
펑강현 | 5,982 |
위칭현 | 4,347 |
준이시 | 2,158 |
스첸현 | 97,500 |
송타오 먀오족 자치현 | - |
시난현 | - |
푸닝현, 윈난 | 60 |
3. 2. 베트남
베트남에서 가장 멸종 위기에 놓인 거라오어 변종인 반두어(적색 거라오어)는 약 50명만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화자들이 서남 관화나 몽어로 언어를 전환하였다. 적색 거라오족은 민족의 지속적인 생존을 위해 베트남 하장성 옌민현의 나케와 바흐딕(또는 비치딕) 마을과 중국 윈난성 마리포현의 판포 마을 간에 신부를 교환하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14]에드몬슨(1998)의 보고에 따르면, 하장성 콴바현의 칸티와 호앙수피현의 퉁산에도 적색 거라오족이 거주하지만, 이들은 더 이상 거라오어를 사용하지 않고 몽어, 타이어, 또는 베트남어를 주로 사용한다.[15][16] 또한 호앙(2013)은 퉁산 사(社)에서 이주해 온 박광현 빈하오 코뮌에도 적색 거라오족이 거주한다고 보고했다.[17]
반면, 하장성 동반현의 포라 마을과 싱릉 마을에 거주하는 백색 거라오족은 여전히 텔루어(백색 거라오어)를 사용하고 있다.
4. 하위 방언
거라오어는 다양한 하위 방언으로 나뉘며, 학자마다 분류 방식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허지에(He Jie, 1983)의 연구를 바탕으로 데이비드 브래들리(David Bradley, 2007)는 거라오어를 크게 다섯 방언으로 분류하기도 했다.[38][39]
거라오어의 여러 방언들은 상호 의사소통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베트남에서 사용되는 세 방언(적색, 백색, 녹색 거라오어)은 서로 말이 통하지 않으며[14], 중국 내의 방언들도 사실상 별개의 언어로 간주될 수 있을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에스놀로그''(Ethnologue)는 거라오어를 단일 언어가 아닌 네 개의 개별 언어로 분류하기도 한다.
거라오어 화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1990년대 초 장지민(Zhang Jimin)은 화자 수를 10,000명 이상으로 추정했으나, 리진팡(Li Jinfang)은 1999년에 약 3,000명으로 보았고[4], 제럴드 에드먼슨(Jerold A. Edmondson)은 2008년에 약 7,900명으로 추산했다.[5] 저우궈옌(Zhou Guoyan)은 2004년에 6,000명 이하로, 전체 거라오족 인구의 1.2%에 불과하다고 보고했다. 이는 거라오족이 주변의 한족, 부이족, 먀오족 등 다른 민족과 통혼하고, 젊은 세대가 거라오어 대신 지역 중국어 방언이나 다른 소수민족 언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많은 지역에서는 노년층 일부만이 거라오어를 구사할 수 있다.
저우(2004)를 기반으로 한 1990년대 각 현의 거라오어 화자 수는 다음과 같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현은 구이저우성에 있다.
현 | 거라오족 인구 | 거라오어 화자 수 | 거라오족의 위치 |
---|---|---|---|
런화이시 | 4,347 | 극소수의 노인 화자만 남아 있음 | 마오바 茅坝(야탕 哑塘 포함), 창강 长岗, 윈안 云安, 중수 中枢, 루반 鲁班, 우마 五马의 향 |
준이현 | 2,922 | 핑정 향 平正乡에 몇 명의 화자 | 주로 핑정 平正乡, 판수이 泮水乡에도 몇 명 |
진사현 | 1,584 | 홍쯔 향 红梓乡에 몇 명의 노인 화자 | |
다팡현 | 4,000+ | 푸디 향 普底乡에 50명 이상의 화자 | |
첸시현 | 7,000+ | 사징 향 沙井乡에 50명 이상의 화자 | 화스 化石 및 양얼 羊耳에도 있음 |
즈진현 | 6,250 | 소수의 노인 화자만 있음 | |
푸딩현 | 3,770[11] | 300 | 마오동 猫洞, 마창 马场, 멍저우 猛舟: 10개 이상의 마을 |
안순시 | 2,559 | 300 | 다거라오 大仡佬, 헤이자이 黑寨, 완쯔 湾子寨, 허차오 河桥, 아미안 阿棉寨 등의 마을 |
핑바현 | 2,311 | 500 | |
칭전시 | 3,679 | 소수의 노인 화자만 있음 | |
관링 부이족 묘족 자치현 | 6,405 | 500 | 10개 이상의 향에 20개 이상의 마을: 신푸 향 新铺乡의 마아오 麻垇, 후오스톈 火石田, 롱탄 龙潭, 샤신 沙心 등에서 하게이 화자 |
전닝 부이족 묘족 자치현 | 1,555 | 300 | 딩치 丁旗, 류마 六马 등의 향 |
칭룽현 | 501 | 300 | |
전펑현 | 1,024 | 300 | |
수이청현 | 1,862 | 소수의 노인 화자만 있음 | 잉판 营盘, 허우창 猴场, 미뤄 米箩, 판롱 蟠龙 등의 향 |
류즈 특별구 | 8,218 | 1,000+ | 주로 칭커우 箐口의 향 |
룽린 각 민족 자치현, 광시 | - | 200+ | |
마리포현, 윈난성 | - | 100+ | 푸닝현 (딩지아포 丁家坡)에도 있음,[12][13] 광난, 마관 현. |
다음 현의 거라오족은 거라오어의 어떤 형태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완전히 서남 관화로 전환되었다.
현 | 거라오족 인구 |
---|---|
우추안 거라오족 묘족 자치현 | 145,989 |
다오전 거라오족 묘족 자치현 | 112,025 |
정안현 | 31,706 |
펑강현 | 5,982 |
위칭현 | 4,347 |
준이시 | 2,158 |
스첸현 | 97,500 |
송타오현 | - |
시난현 | - |
푸닝현, 윈난성 | 60 |
몇몇 특정 방언 또는 관련 언어들이 보고되었다.
- '''수이청 거라오어'''(水城仡佬语) 또는 '''다티 거라오어'''(打铁仡佬语, 자칭: pu55 qau24)는 구이저우성 수이청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2016년 기준으로 화자가 3명밖에 남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6]
- '''물라오어'''(木佬语)는 구이저우성 남동부 마장현, 카이리시 등지에서 약 28,000명이 사용하는 거라오어의 한 방언으로 간주된다. 이들은 광시성의 무람족이 사용하는 무람어(Mulam, 仫佬语)와는 다르다.[7]
- 윈난성 푸닝현에서는 '''와이 거라오어'''(歪仡佬语, "비뚤어진 거라오어")라는 방언이 보고되었으나, 극소수의 노인만이 일부 단어를 기억하는 수준이다.[9]
- 칭전시 일부 마을에서는 '''아오 거라오어'''(阿欧仡佬语)가 사용된다.[10]
- 베트남 북부 하장성 일대에서 사용되는 '''반두어'''(적색 거라오어, 자칭: va35 ntɯ31)는 화자가 약 50명에 불과한 심각한 소멸 위기 방언이다.[14]
- 과거 시난현에서 사용된 '''투만어'''(土蛮语)는 거라오어의 일종이었으나 현재는 사멸했다.
거라오어는 부양어와 마찬가지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관련된 어휘를 다수 포함하고 있어, 오스트로-타이어족 가설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2] 또한 하이난어파 및 옹베어와 어휘를 공유하는데, 이는 과거 하이난섬으로 이주하기 전의 조상 집단과 접촉이 있었음을 시사한다.[3]
4. 1. Ostapirat (2000), Edmondson (2008)
Ostapirat (2000)은 거라오어를 중부, 북부, 서남부의 세 가지 주요 하위 분류로 나누었으며, 총 17개의 방언이 존재한다고 제안했다.[18] 그는 중부 및 서남부 방언들이 다양한 음운론적 혁신을 공유한다는 점을 들어, 이들이 북부 방언과 초기에 분리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Jerold A. Edmondson (2008) 역시 일부 방언에 대해 언급하며[19], 중국-베트남 국경의 홍(紅) 거라오어가 실제로는 거라오어의 별도 주요 분파를 구성할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Ostapirat이 제안한 분류는 다음과 같다.
'''중부 (가오)'''
- 완쯔(弯子寨), 안순, 구이저우성 (헤이자이(黑寨)에서도 사용됨)
- 다거우창(大狗场), 훠롱샹(活龙乡), 핑바, 구이저우
- 신자이(新寨), 바이옌샹(白岩乡), 푸딩, 구이저우 (워쯔(窝子)에서도 사용됨)
- 산충(三冲村), 룽린현, 광시성[19]
- 베트남 호앙쑤피현의 녹(綠) 거라오어[19]
'''북부 (홍 거라오)'''
- 챠오샹(桥上), 슝자자이샹(熊家寨乡), 롱창구(龙场区), 즈진, 구이저우
- 비궁(比贡), 딩치샹(丁旗乡), 전닝, 구이저우
- 롱리(龙里), 마장, 구이저우 (장(Zhang)은 이 방언을 물라오(木佬)라고 부름; 자칭: 'qa23 ɣo53' 가워(嘎窝)). 두 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보 원저(Bo Wenze) 2003):[20]
- * 시아스(下司) (롱리자이(龙里寨) 등)와 롱산(龙山) (푸싱춘(复兴村)의 바마오자이(芭茅寨), 웡파오춘(翁袍村)의 황투자이(黄土寨), 바이라자이(白腊寨) 등) 마장현
- * 루산(炉山), 다펑동(大风洞)의 충바이자이(重摆寨) (자칭: 'lei35 wo33' 레이워(类窝)[21]), 그리고 카이리시의 핑량(平良); 황핑현의 창안장(长安江)[22]
- 롱자자이(龙家寨), 즈진, 구이저우
'''서남부 (백 및 녹 거라오어)'''
- 라오자이(老寨), 말리포, 윈난성 (양완샹(杨万乡)의 위에량완(月亮弯)[23][24], 둥두춘(董度村)의 펑옌(峰岩), 둥간샹(董干乡)의 충바(铳八)에서 사용되는 관련 방언)
- 반 마 체, 동반, 하장성, 베트남
- 하장성의 백 거라오어: 동반, 호앙쑤피, 꾸안바, 메오박 지구[19]
- 판포(翻坡)의 홍 거라오어, 말리포, 윈난성 (?)[19]
- 모지(摩/磨/么基), 룽린, 광시성 상충(上冲)과 샤충(下冲) (< 400명의 화자; 다시징(大水井) 근처; 옌차샹(岩茶乡)의 완타오(弯桃)와 저아이(者艾)에서 관련 방언)
- 니우포(牛坡), 류즈, 구이저우 (가장 인구가 많음; 푸딩현의 마창(马场镇)과 즈진현의 아궁(阿弓镇)에서도 사용; 류즈(六枝)의 주두(居都), 옌자오(岩脚), 호우쯔톈(猴子田), 랑자바(郞家坝), 그리고 둬자오(堕脚))
- 다티에자이(打铁寨), 수이청, 구이저우[25] (가오스(高石)와 밀뤄(米箩)에서도 사용)
- 딩인샤오(定银哨), 전닝, 구이저우
- 푸디(普底), 다팡, 구이저우 (홍펑춘(红丰村)에서도 사용)
- 젠산(尖山), 쭌이, 구이저우[26] (홍 거라오어와 녹 거라오어와 함께 쭌이의 핑정(平正)에서도 사용; 500명 미만의 화자)
- 칭롱(青龙), 쭌이, 구이저우
- 산충(三冲村), 룽린, 광시성 (선 유마이(Shen Yumay)와 제럴드 A. 에드먼슨(Jerold A. Edmondson)은 중부로 분류함[27])
4. 2. Zhang (1993)
장지민(Zhang Jimin, 1993)은 거라오어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하위 방언으로 분류한다.- '''중앙 방언''' (黔中方言): 화자 약 10,000명.
- 다거우창 방언 (平坝县大狗场土语): 안순시 완쯔(弯子)와 헤이자이(黑寨), 핑바현 다거우창(大狗场)과 왕자이(王寨)에서 사용된다. 안순 지역의 자칭은 ''klɑu55''이며, 핑바 지역의 자칭은 ''lɑu55'' 또는 ''pɯ55 lɑu55''이다.
- 신자이 방언 (普定县新寨土语): 푸딩현 바이옌구(白岩区)의 신자이(新寨), 워즈(窝子), 창충(长冲), 웨이치(未七) 마을에서 사용된다. 자칭은 ''qɑu13''이다.
- 슝자이 방언 (织金熊寨土语): 즈진현 롱창구(龙场区) 챠오상촌(桥上村)과 슝자이향(熊家寨乡)에서 사용된다.
- '''북중앙 방언''' (黔中北方言): 화자 약 14,000명.
- 방언 1 (하게이어): 런화이시 마오바구(茅坝区) 야탕(亚塘), 칭룽현 량수이향(凉水乡) 산베이허우촌(山背后村), 광시 룽린현 산충(三冲)에서 사용된다. 자칭은 ''hɑ53 ke53''이다. 런화이시 양류촌(杨柳村)의 녹색 거라오어(青仡佬)도 여기에 속하며, 자칭은 ''pu55 hɑ55 kei53''이다.
- 방언 2: 런화이시 마오바구(茅坝区) 판리완(板栗湾)의 붉은색 거라오어(红仡佬)와 쭌이현 핑정향(平正乡)의 일부 마을(톈바(田坝), 헤이자오옌(黑脚岩) 포함)에서 사용된다. 자칭은 ''pu55 mu33 hen55''이며, 여기서 ''mu33 hen55''는 '사람'을 의미한다.
- '''남서 방언''' (黔西南方言): 화자 약 12,000명.
- 니우포 방언 (六枝牛破土语): 류즈특구 둬취(堕脚), 허우즈톈(猴子田), 랑자바(郎家坝), 푸딩현 마창구(马场区) 상관(上关)과 하관(下关)(노인들만 기억), 즈진현 아궁구(阿弓区)의 일부 마을에서 사용된다.
- 모지 방언 (隆林么基土语): 광시 룽린현 다시징(大水井) 및 인근 마을에서 사용된다. 화자는 약 400명이다.
- 라오자이 방언 (麻栗坡县老寨土语): 윈난성 마리포현 테창구(铁厂区) 라오자이(老寨)와 위에량완(月亮湾)에서 사용된다.
- 다톄자이 방언 (水城大铁寨土语): 수이청현 가오스향(高石乡), 양메이구(杨梅区), 어가향(俄嘎乡), 미뤄구(米箩区)에서 사용된다(노인들만 기억).
- 젠산 방언 (遵义尖山土语): 쭌이현 핑정향(平正乡) 젠산(尖山)에서 사용된다. 화자는 500명 미만이다.
- '''서부 방언''' (黔西方言): 화자 약 15,000명.
- 푸디 방언 (大方县普底土语): 다팡현 푸디향(普底乡) 홍펑촌(红丰村)에서 사용된다. 자칭은 ''pu55 ɣɯ55''이다. 첸시현 사징향(沙井乡) 란니거우(滥泥沟), 첸시현 다관구(大观区)의 몇몇 마을, 칭전시 펑황촌(凤凰村) 다자이(大寨)와 가오칸자이(高坎寨), 칭전시 마이샹(麦巷) 및 허우자이향(后寨乡)에서도 사용된다.
- 비공 방언 (镇宁比贡土语): 전닝현 안시구(安西区) 신팡향(新房乡) 비공촌(比贡村)과 마오차오(茅草)에서 사용된다. 자칭은 ''zəɯ35''이다.
4. 3. Bradley (2007), He (1983)
Bradley (2007)[38]는 He (1983)[39]의 정보에 기반하여 거라오어를 5개의 방언으로 분류하며, 이는 ''세계 멸종 위기 언어 백과사전''(2007)에서도 He (1983)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28]- '''하키''' (哈给 Hagei, ha53 kei33, 녹색 거라오어): 구이저우성 중서부, 광시성 서부, 윈난성 남동부, 베트남 북부에서 사용된다. 런화이시의 양류(杨柳) 방언, 싼충(三冲)과 칭롱(青龙)의 '''서남부''' 거라오어를 포함한다. 하키어 방언은 관링현(关岭县)의 마아오(麻凹村), 전펑현(贞丰县)의 포마오(坡帽), 쭌이시(遵义)의 핑정 거라오족 향(平正仡佬族乡)에서도 사용된다. He (1983)는 화자 수를 1,700명으로 추정했으며, 런화이시(仁怀县)의 안량(安良)과 타이양(太阳), 화장전(花江镇)과 전닝현(镇宁县)의 마아오(麻垇), 관링현(关岭县)의 딩잉(顶营), 칭전시(清镇) 근처의 마이샹(麦巷), 칭룽현(晴隆县)의 량수이잉(凉水营) 등도 사용 지역으로 언급했다.
- '''톨로''' (多罗 Duoluo, to31 ʔlo5, 백색 거라오어): 구이저우성 중서부, 광시성 서부, 윈난성 남동부, 베트남 북부에서 사용된다. 하키(Hagei)에 속하지 않는 다른 모든 '''서남부''' 거라오어 방언을 포함한다. 뉴포(Niupo) 방언은 안순시 푸딩현(普定县)의 마창 마을(马场镇)과 비제시 즈진현(织金县)의 아궁 마을(阿弓镇)에서도 사용된다. 다티에자이(Datiezhai) 방언은 수이청현(水城)의 가오스(高石)와 미루오(米箩)에서 사용된다. He (1983)는 화자 수를 1,200명으로 추정했다.
- '''아오''' (阿欧 A'ou/Ao, 적색 거라오어): 구이저우성 중서부, 광시성 서부, 윈난성 남동부, 베트남 북부에서 사용된다. 런화이시의 반리(板栗湾) 방언, 모든 '''북부''' 거라오어 방언, 그리고 푸딩현(普定县)과 즈진현(织金县)의 마오차오자이(茅草寨)의 서남부 거라오어를 포함한다. He (1983)는 화자 수를 1,500명으로 추정했으며, 첸시현(黔西县)의 사워(沙窝), 신카이톈(新开田), 란니거우(滥泥沟)를 아오어 사용 지역으로 언급했다.
- '''아카오''' (稿 Gao): 구이저우성 중서부에서 사용되며, 모든 '''중앙''' 거라오어 방언을 포함한다. He (1983)는 화자 수를 2,000명으로 추정했으며, 수이청현(水城县)의 둥커우(洞口)와 즈진현(织金县)의 뉴동(牛洞)을 가오어 사용 지역으로 언급했다. (초기 분류에서는 한꺼라오(汉仡佬)의 언어로 언급되었다.)
- '''차우''': 쓰촨성 구린현(古蔺县)에서 사용되었던 방언으로, 상세 불명의 소수민족인 이족(羿人)이 사용했다. 대부분 기록되지 않았으며, 거라오어의 가장 알려지지 않은 하위 그룹이다. 20세기에 사멸한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 분류에서는 이어(羿, Qaw)로 언급되었다.)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된 방언은 완쯔(Wanzi) 방언과 전펑(Zhenfeng) 방언이며, 가장 멸종 위기에 놓인 방언은 아오어(적색 거라오어)이다.
4. 4. Zhou (2004)
저우(Zhou, 2004)는 거라오어의 4가지 방언을 다음과 같이 열거한다.- 하게이 (哈给): 자칭어로는 ''pu42 ha35 kei42'' (布哈给)와 ''pu55 mu33 hen55'' (布目亨) 등이 있다. 주로 런화이, 전닝, 관링, 칭롱, 전펑, 룽린 현에서 사용된다.
- 坡帽村(포마오촌), 전펑 현
- 두오루오 (多罗): 자칭어로는 ''to31ʔ lo35''와 ''tə31ʔ lɯ33'' 등이 있다. 주로 류즈특구, 푸딩, 룽린, 마리포 현에서 사용된다.
- 箐口彝族仡佬族布依族乡(칭커우 이족 거라오족 부이족 향), 류즈 특구
- 马场寨(마창자이), 푸딩 (사멸)
- 猛舟村(멍저우춘), 푸딩 (사멸)
- 가오 (稿): 자칭어로는 ''pəɯ55 klɑu55'', ''pəu35 qɑu35'' (垌口村(둥커우촌), 猴场乡(허우창샹)에서), ''pəu35 lɑu31'' 등이 있다. 주로 핑바, 안순, 푸딩, 수이청 현에서 사용된다. 이 방언의 4개 하위 방언은 핑바의 大狗场(다거우창), 푸딩의 新寨(신자이), 수이청의 洞口(둥커우), 즈진의 熊寨(슝자이)이다(슝자이 방언은 사멸).
- 垌口村(둥커우촌), 猴场乡(허우창샹), 수이청 현
- 双坑村(솽컹춘), 푸딩
- 아오 (阿欧): 자칭어로는 ''a33 ɣeu33'' (阿欧), ''pu42 ɣeu33'' (补欧, 补尔), ''zəu31 le31'' (柔勒) 등이 있다. 전닝, 다팡, 첸시 현에 소수의 화자가 남아 있다. 이 방언의 3개 하위 방언은 必贡(비궁), 红枫(훙펑), 尖山(젠산)이다.
- 沙井苗族彝族仡佬族乡(사징 묘족 이족 거라오족 향): 铁乐村(티엘러춘), 灯明村(덩밍춘), 黄泥村(황니춘)
- 化石(화스), 첸시
- 羊儿(양얼), 첸시
- 龙家寨(롱자자이), 즈진
- 猛架(멍자), 푸딩
- 卫城镇(웨이청전), 칭전시
- 麦巷村(마이샹춘), 칭전시
- 핑정 거라오족 먀오족 향(平正仡佬族乡) (石板上(스반샹)을 포함한 일부 마을, 尖山(젠산)이라고도 불림)
- 坝养(바양), 푸딩 (사멸)
4. 5. Wei (2008)
웨이밍잉(Wei Mingying, 2008:45)[29]은 거라오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두어 多罗'''
- *베트남 백색 겔라오 越白
- *위에량완 月亮湾, 라오자이 老寨
- *쥐두 居都, 모지 磨基, 완타오 湾桃
- '''가오 稿'''
- *둥커우 洞口, 다티에자이 打铁寨[30]
- *신자이 新寨
- *완즈 湾子, 다거우창 大狗场
- '''하게이 哈给'''
- *산총 三冲, 산베이허우 山背后, 마아오 麻垇, 포마오 坡帽, 양류 杨柳, 톈바 田坝, 베트남 녹색 겔라오 越青
- '''아오 阿欧'''
- *반리완 板栗湾
- *젠산 尖山, 마리포 홍색 겔라오 麻红, 베트남 적색 겔라오 越红
- *훙펑 红丰, 마이샹 麦巷, 롱자자이 龙家寨, 허우즈톈 猴子田
- *차오샹 桥上, 롱리 龙里
웨이(Wei, 2008: 39-40)는 아오어(적색 거라오어) 방언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아오 阿欧方言
- *제1 방언 권역 第一次方言
- **롱자자이-허우즈톈 방언 龙家寨、猴子田土语
- *제2 방언 권역 第二次方言
- **차오샹 방언 桥上土语
- **롱리 방언 龙里土语
- **비궁 방언 比贡土语
- *제3 방언 권역 第三次方言
- **젠산 방언 尖山土语
- **반리완 방언 板栗湾土语
웨이(Wei, 2008: 39)는 허우즈톈 猴子田 적색 겔라오어가 북부 직금현의 롱자자이 龙家寨의 겔라오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본다. 허우즈톈에는 겔라오족 가구가 약 10가구 정도밖에 없다. 슈이청현 水城县 아가향 阿嘎乡 도니 마을의 겔라오어 화자는 수십 년 전에 허우즈톈에서 이주해 왔으며, 그 방언을 기억하는 노인은 거의 없다.
4. 6. Hsiu (2013, 2019)
(내용 없음)5. 음운
거라오어는 성조 언어이다. 성조는 평성(3 및 5), 상승조(13 및 35), 하강조(31 및 53)를 포함할 수 있다.
많은 거라오어 방언, 예를 들어 텔루어와 반두어는 많은 구개수 자음과 비음화 자음을 가지고 있다.[33] 많은 방언들은 또한 다른 대부분의 관련 언어에서 손실된 자음군을 보존하고 있다. 이러한 자음군은 pl, bl, pʰl, ml, mpl, vl, kl 등이며, 라치어, 물라오어, 카비아오어(푸비아오어), 부양어 및 다양한 카다이어와 규칙적으로 대응된다. 거라오어는 또한 부이어 및 다른 인접한 비크라 언어와 많은 음운론적 특징을 공유한다.
류즈(六枝)와 전펑 현(贞丰) 방언 간의 음운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3]
류즈 | 전펑 |
---|---|
pl | pj |
pʰl | p |
ml | m |
mp | m |
ntɕ | ȵ (또는 ɲ로 표기) |
ŋk | ŋ 또는 k |
6. 문법
모든 주변 언어와 마찬가지로, 거라오어는 머리-처음 언어이며, SVO 어순을 따른다. 부양어와 마찬가지로, 거라오어의 특이한 점은 부정어가 보통 문장의 뒤에 온다는 것이다. 반복은 매우 흔하며, 축소형이나 반복적인 의미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33] 그 외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연쇄 동사 구문과 복합 명사의 사용이 있다. 수사와 분류사는 명사 앞에 오지만, 형용사(지시사 포함)는 항상 명사 뒤에 온다. 전치사나 조동사와 같은 기능어는 동사에서 파생되는 경우가 많다.
부양어와 동어와 마찬가지로, 거라오어는 다른 대부분의 크라-다이어족 언어에서 사라진 많은 접두사를 보존하고 있다. Zhang (1993:300)은 백색 거라오어의 모지(磨基) 롱린 방언이 명사, 동사, 형용사 앞에 접두사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고 언급했다.[34] 이러한 접두사는 재구축 목적에 특히 중요하다.
거라오어의 많은 단어는 남서관화 중국어에서 파생되었다. 이러한 차용어는 종종 고유의 거라오어 단어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매우 풍부한 분류사 체계가 존재한다.
거라오어는 다른 크라-다이어족 언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풍부한 대명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33] 특히 자신의 가구를 지칭하는 대명사도 있다.
참조
[1]
서적
Edmondson (2008)
[2]
논문
Kra–Dai and Austronesian: Notes on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and vocabulary distribution.
Routledge Curzon
2005
[3]
서적
仡央语言探索/Geyang yu yan tan suo
中央民族大学出版社/Zhong yang min zu da xue chu ban she
1999
[4]
웹사이트
http://www.ethnologu[...]
2008-09-18
[5]
서적
The Tai–Kadai Languages
Routledge
2008
[6]
논문
Guizhou Shuicheng Gelaoyu chutan 贵州水城仡佬语初探
Minzu Yuwen 民族语文
2016
[7]
서적
The ethnic Mulao of Guizhou
Guizhou People's Press
1997
[8]
간행물
Guizhou ethnic classification materials, no. 5: Ethnic classification of the Mulao people
Guizhou provincial ethnic classification commission
1985
[9]
웹사이트
Gelao (Dingjiapo)
https://sites.google[...]
2017
[10]
서적
The Gelao people of Qingzhen City
Qingzhen Ethnic and Religious Affairs Bureau
2004
[11]
문서
Includes Daya Gelao 打牙仡佬 and Red Gelao 红仡佬
[12]
웹사이트
¸»ÄþÏØÄ¾ÑëÕòľ¸Ü´åί»á¶¡¼ÒÆÂ´åС×é
http://www.ynszxc.go[...]
Ynszxc.gov.cn
2013-11-30
[13]
웹사이트
¸»ÄþÏØÄ¾ÑëÕòľ¸Ü´åί»á¶¡¼ÒÆÂ´åС×é
http://www.ynszxc.go[...]
Ynszxc.gov.cn
2013-11-30
[14]
웹사이트
麻栗坡县杨万乡杨万村委会翻坡自然村
http://www.ynszxc.go[...]
Ynszxc.gov.cn
2013-11-30
[15]
웹사이트
Nét đẹp trong đám cưới của người Cờ Lao
http://bienphong.com[...]
Bienphong.com.vn
2013-11-30
[16]
웹사이트
The language corridor : New evidence from Vietnam
http://sealang.net/s[...]
Sealang.net
2013-11-30
[17]
서적
Văn hóa dân gian của người Cơ Lao Dỏ
Nhà xuất bản văn hóa thông tin
2013
[18]
논문
Proto-Kra
http://sealang.net/s[...]
Linguistics of the Tibeto-Burman Area
2000
[19]
웹사이트
Red Gelao, the most endangered form of the Gelao language
http://ling.uta.edu/[...]
Ling.uta.edu
2013-11-30
[20]
서적
Mulao yu yan jiu (A Study of Mulao)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2003
[21]
간행물
Guizhou Ethnic Gazetteer
2002
[22]
문서
The Mulao of these locations variously classified as ethnic Miao, Buyi, and Mulao by the Chinese government.
[23]
웹사이트
ÂéÀõÆÂÏØÌú³§ÏçÆÕÁú´åί»áÉÏÔÂÁÁÍå×ÔÈ然´å
http://www.ynszxc.go[...]
Ynszxc.gov.cn
2013-11-30
[24]
웹사이트
ÂéÀõÆÂÏØÌú³§ÏçÆÕÁú´åί»áÏÂÔÂÁÁÍå×ÔÈ然´å
http://www.ynszxc.go[...]
Ynszxc.gov.cn
2013-11-30
[25]
문서
Hagei dialect according to Zhou (2004:63)
[26]
문서
Red Gelao according to Zhou (2004:63)
[27]
학위논문
Phonology of Sanchong Gelao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2003
[28]
논문
East and Southeast Asia
Routledge
2007
[29]
학위논문
A reclassification of Gelao dialects
Minzu University
2008
[30]
문서
Documented in Li, Jinfang 李锦芳; Yang, Liuyan 阳柳艳. 2016. Guizhou Shuicheng Gelaoyu chutan 贵州水城仡佬语初探. In Minzu Yuwen 民族语文 2016(3):70-81.
[31]
웹사이트
Kra-Dai
https://sites.google[...]
2019
[32]
기타
The Gelao languages: Preliminary classification and state of the art
https://zenodo.org/r[...]
2013
[33]
웹사이트
Kra or Kadai languages
http://ling.uta.edu/[...]
Ling.uta.edu
2013-11-30
[34]
서적
仡佬语研究/Gelao yu yan jiu (A Study of Gelao)
贵州民族出版社/Guizhou min zu chu ban she
1993
[35]
뉴스
"Heaven Book" Reveals the Mystery of Gelao Minority's History - Culture China
http://news.cultural[...]
News.cultural-china.com
2009-02-03
[36]
간행물
Fake Gelao manuscript
http://languagelog.l[...]
Language Log
2013-11-29
[37]
웹사이트
Fake Gelao 仡佬 writing system and manuscript
http://cangjie.info/[...]
2013-11-29
[38]
서적
East and Southeast Asia
Routledge
2007
[39]
서적
Gelao yu jian zhi 仡佬语简志 (A sketch of Gelao)
Ethnic Publishing House 民族出版社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