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윈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윈난성은 중국 남서부에 위치한 성으로, 다양한 소수 민족과 풍부한 생물 다양성,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1960년대 원모인 화석이 발견되어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삼국 시대에는 촉나라 제갈량이 윈난 지역 부족들을 평정한 역사가 있다. 윈난성은 8개의 지급시와 8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25개 소수 민족이 거주하며 각기 다른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주요 산업은 담배, 농업, 광업, 관광업이며, 쿤밍을 중심으로 철도, 도로, 항공 교통망이 발달했다. 윈난성은 다양한 관광 명소와 생태 관광으로도 유명하며,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을 통해 국제적인 교류도 활발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윈난성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윈난성
중국어 간체云南省
중국어 번체雲南省
병음Yúnnán Shěng
로마자 표기Yunnan
약칭滇 / 雲
누수어ꒊꆈ 또는 ꒊꆈꌜ (Yypnuo 또는 Yypnuose)
좡어Yinznanz
태국어ยูนนาน (Yunnan)
라오어ຢຸນນານ (yun nān)
베트남어Vân Nam (雲南)
버마어ယူနန်ပြည်နယ် (yunanpranynai)
샨어ယူႇၼၢၼ်ႇ၊ မိူင်း (yū⸒nān⸒, möṅː)
태국 북부어ᩅᩥᩮᨵᩉᩁᩣ᩠ᨩ (Witheharat)
리수어ꓬꓱ-ꓠ (ye na)
티베트어ཡུན་ནན་ (yun nan)
타이루어ᦍᦲᧃᧉᦓᦱᧃᧉ (jin naan)
"윈난"의 의미채색된 구름의 남쪽
행정 구분
수도쿤밍 시
가장 큰 도시쿤밍 시
국가중국
설립남조 (738년)
설립 2대장화국 (902년)
설립 3명나라의 운남 정복(1381–1382년)
설립 4윈난 군벌 (1915–1945년)
설립 5인민해방군에 의한 점령 (1951년)
면적394,000 km²
면적 순위8위
최고 고도6,740 m
최고점카와가르보
인구 (2020년)47,209,277명
인구 순위12위
인구 밀도 순위24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ISO 코드CN-YN
HDI (2022년)0.729 (높음)
HDI 순위27위
웹사이트윈난성 공식 웹사이트
정부
정치 체제성급 행정구역
주체윈난성 인민대표대회
중국 공산당 서기왕닝
인민대표대회 주임왕닝
성장왕위보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류샤오카이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90명
행정 구역
지급 행정 구역16개
현급 행정 구역129개
향급 행정 구역1565개
민족
민족 구성한족: 67%
이족: 11%
바이족: 3.6%
하니족: 3.4%
좡족: 2.7%
다이족: 2.7%
먀오족: 2.5%
후이족: 1.5%
티베트족: 0.3%
더앙족: 0.19%
언어
언어 및 방언남서관화
25개 소수 민족 언어
경제
GDP (2023년)3조 20억 위안 (미화 4260억 달러; 18위)
1인당 GDP64,107 위안 (미화 9,097 달러; 23위)
기타
메이리 설산
리장 고성
석림
다리시의 삼탑
홍허 하니족 계단식 논
로마자 표기Yúnnán
간체자云南
번체자雲南
한자云南
일본어 발음ユィンナン
한국어 발음윈난 (운남)
우어 발음Yiuin-noe
민난어 발음Hûn-lâm
하카어 발음Yùn-nàm

2. 역사

윈난성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왕조와 민족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 왔다.

기원전 3세기 무렵 지금의 쿤밍 일대는 전(滇)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며, 초나라의 장군 장교(庄跤)가 장강 상류를 통해 이 지역에 들어간 후에 스스로 전왕이라 칭했다. 그 이후 많은 중국인들이 이 땅으로 들어왔다.[18][19]

기원전 221년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고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하면서 윈난 지역에도 몇 개의 군이 설치되었다. 한나라 때인 기원전 109년 한무제는 익주군을 설치하였고, 당시 버마와 인도를 상대로 한 무역 관계를 확대하기 위해 오척도를 확장했다. 이 시기에 윈난 지역의 농업은 눈에 띄게 발전했다.[1]

사기에 따르면, 장건(張騫)과 사마천(司馬遷)은 윈난 지역에 살고 있는 선두인들의 공동체에 대해 기록했다.

삼국시대에는 현재의 윈난성 지역과 쓰촨성 남부 지역을 합쳐 남중이라고 불렀다. 225년 촉나라의 제갈량이 이 지역의 부족들을 평정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칠종칠금 이야기는 유명한 민담으로 남아있다.[21]

4세기에 북중국이 유목민족에 의해 점령당하자, 320년대에 찬(爨) 군벌이 윈난에 이주해 와서 거의 4세기 동안 윈난 지역을 지배했다.

당나라 때는 남조가 출현해 통일 왕국을 형성하였으며, 송대에는 대리국이 이것을 대신하였다. 남조는 8세기 얼하이호 지역을 지배했고, 필로격은 운남의 서쪽을 통일하고 당나라 황실로부터 운남의 왕으로 인정받았다.[24][25] 남조는 당나라와 여러 차례 충돌했으며, 티베트 제국과 동맹을 맺기도 했다.[27][28] 902년, 남조는 멸망하고 대창하 등의 왕국이 세워졌다.

937년 단사평(段思平)이 건국한 대리국(大理國)은 1253년 몽골 제국의 쿠빌라이에게 정복되었고, 1276년 운남행성이 설치되었다.[29] 몽골 제국은 단씨 일족을 마하라자로 임명하여 통치에 협력하게 했다.[29]

명나라 홍무제는 양왕국을 멸망시키고 윈난을 직접 통치했으며, 무영(Mu Ying)과 그의 가족을 운남의 세습 귀족으로 임명했다. 명나라 때는 운남포정사가 설치되었고, 청나라 때 윈난성이 성립되었다. 명나라 이후 한족이 대량으로 유입되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30][31]

청나라 말기에는 회족의 반란인 두운수의 난이 일어났다. 중일전쟁 기간에는 대일지원로를 둘러싸고 중국 국민당군과 일본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중일전쟁으로 인해 많은 동부 해안 지역의 난민과 산업 시설들이 윈난성으로 이주하면서 윈난성은 변화를 겪었다. 특히 중국-미얀마 도로는 중국의 전쟁 수행에 중요한 보급로였다.[41] 동부 지역의 대학교수와 학생들은 쿤밍으로 피난하여 국립 남서 연합대학을 설립했고, 전쟁 기간 동안 중국의 저명한 학자, 과학자, 지식인들을 배출했다.[42]

21세기 초부터 중국-미얀마 송유관 건설이 시작되었고, 일본과의 항공 노선이 활황을 보이고 있다.[104] 2011년에는 "긍마(맹정) 국경 경제 협력 지역" 프로젝트가 착공되었다.

2. 1. 선사 시대

1960년대 철도 기술자들에 의해 발굴된 원모인(元謀人, ''호모 에렉투스'') 화석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인류 화석으로 밝혀졌다.[1] 신석기 시대에는 滇池 지역에 인류 정착촌이 있었으며,[1] 이들은 석기를 사용하고 간단한 목조 구조물을 건설했다.[1]

2. 2. 고대

기원전 3세기경, 오늘날 쿤밍 주변 윈난성 중앙 지역은 전한으로 알려져 있었다. 장군 庄蹻|장교중국어는 양자강 상류[17]에서 이 지역으로 들어와 "전한왕"으로 자리매김했다.[18] 그와 그의 추종자들은 윈난에 중국 문화 유입을 가져왔으며,[19] 이는 장기간에 걸친 이주와 문화 확장의 역사의 시작이었다. 고대에는 중국의 세력이 침투하여 군현이 설치된 적도 있었지만 진대에는 다시 후퇴하여 여러 민족이 분립하였다.

당대에는 남조가 출현하여 통일 왕국을 형성하였고, 송대에는 대리국이 이를 대신하였다.

대리국은 몽골 제국의 쿠빌라이에게 정복되었고, 명목적으로는 원대의 운남등처행중서성이 설치되었지만, 쿠빌라이의 서자 후비라이를 조상으로 하는 량왕가의 세습 영지가 되었다.

쿠빌라이가 설치한 삼대왕국·이소왕국 중 후자의 하나이다. 이 량왕국은 대리의 옛 왕가 단씨의 협력 아래 1390년까지 이 땅을 지배하였다.

2. 3. 삼국 시대와 찬 왕국

삼국시대 윈난성, 서구이저우, 남쓰촨 지역은 남중이라 불렸다. 중국 중앙 정부의 권위가 약해지자 윈난 지역은 더 많은 자치권을 갖게 되었고, 지역 부족들의 세력도 강해졌다. 225년, 촉의 제갈량은 이 지역 부족들을 진압하기 위해 세 개의 군단을 이끌고 남중으로 향했다.[21] 이 과정에서 제갈량이 지역 유력자였던 맹획을 일곱 번 사로잡았다가 풀어준 칠종칠금 고사는 삼국지연의를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1]

4세기에는 중국 북부 지역이 유목 민족에게 점령당했다. 320년대, 찬(爨)씨 부족이 윈난으로 이주해 왔다. 꾸안 천(爨琛)은 스스로 왕이라 칭하며 뎬츠 호(당시 곤천(昆川)) 주변을 다스렸다. 이후 찬씨 가문은 400년 이상 윈난 동부를 통치했다.

2. 4. 남조와 대리국

당대에는 남조가 출현해 통일 왕국을 형성했으며, 송대에는 대리국이 이를 대신했다. 8세기 이전 운남에는 여러 지역 부족, 씨족, 문화가 정착해 있었다. 洱海호 주변, 즉 대리 지역에는 맹자(蒙巂|멍쒸중국어), 월척(越析|월석중국어), 랑궁(浪穹|랑궁중국어), 등단(邆赕|등단중국어), 실릉(施浪|시랑중국어), 맹사(蒙舍|멍서중국어) 등 여섯 개의 “조(Zhao)”가 나타났다. “조(Zhao)”(诏|자오중국어)는 중국어가 아닌 토착어로 “왕” 또는 “왕국”을 의미하는 용어였다. 여섯 개의 세력 중 맹사는 다른 다섯 개의 남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새로운 더 큰 맥락에서 남조(남쪽 왕국)라고 불렸다.[24]

730년대까지 남조는 얼하이호 지역을 지배하에 두는 데 성공했다. 738년, 남조의 네 번째 왕인 필로격은 운남의 서쪽을 통일하고, 당나라 황실로부터 운남의 왕으로 인정받았다.[25] 대리를 중심으로 통치한 남조의 13명의 왕들은 2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통치하며 당나라와 티베트 제국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에서 중요한 완충 국가 역할을 했다.[26]

750년대까지 남조는 운남을 정복하고 당나라의 잠재적인 라이벌이 되었다. 이후 당나라와 남조 사이에는 여러 차례의 충돌이 있었다. 750년, 남조는 운남에서 가장 큰 당나라의 거점인 요주를 공격하여 점령했다. 751년, 당나라의 젠난(현재 쓰촨성) 지역 사령관 선우중통(鮮于仲通|선우중통중국어)은 남조에 대한 원정을 이끌었다. 남조의 왕 격로봉은 이전 사건을 개인적인 일로 여기고 선우에게 평화를 구하는 편지를 보냈다. 그러나 선우중통은 남조 사신들을 구금하고 호소를 거절했다. 당나라 군대에 맞서 남조는 즉시 티베트 제국에 충성을 돌렸다.[27] 투보와 남조는 "형제 국가"가 되기로 합의했고, 격로봉은 잔푸중("아우")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남조-투보 동맹은 선우의 원정대를 참패로 이끌었고, 당나라 장군의 8만 명에 달하는 군대는 원래 규모의 4분의 1로 줄어들었다.[28]

당나라는 한 번의 실패 후에도 포기하지 않았다. 753년, 또 다른 원정이 준비되었지만 이 또한 남조에게 패배했다. 754년, 당나라는 10만 명이 넘는 군대를 조직하여 대리 평원으로 진격했지만 또 다른 학살로 끝났다. 8세기 말까지 당나라는 더 이상 남조에 대한 큰 위협이 아니었다.

관음보살의 금박상, 천훈탑에서 발견됨, 서기 800년경


남조의 확장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되었다. 829년, 남조는 갑자기 쓰촨성을 약탈하고 청두에 진입했다. 후퇴할 때, 숙련된 장인을 포함한 수백 명의 쓰촨 사람들이 운남으로 끌려갔다. 832년, 남조 군대는 현대 상부 미얀마에 있는 삐우 왕국의 수도를 점령했다. 남조는 참파의 크메르인들도 공격했다. 일반적으로 남조는 당시 본토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이었고, 다국가 상호 작용에서 매우 활동적인 역할을 했다.

859년, 남조는 보주를 점령했고, 이 사건은 남조-당나라의 충돌을 악화시켰다. 다음 해에 당나라의 안남 주지사가 보주를 탈환하자, 남조는 원주민의 도움을 받아 당나라 군대가 보주로 이동하면서 하노이를 점령했다. 당나라 군대가 돌아오자 남조 군대는 하노이에서 후퇴했지만 용주를 공격하여 약탈했다. 862년 겨울, 남조는 지역 집단과 동맹을 맺고 5만 명이 넘는 군대를 이끌고 안남을 다시 침략했다. 당나라 군대는 두 차례의 안남 전투에서 15만 명 이상의 병사가 사망하거나 남조에게 포로로 잡혔다고 알려져 있다. 866년 가을, 당나라가 하노이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곧 모든 남조 군대가 쫓겨났다. 그러나 당나라는 남조를 공격할 능력을 상실했다.

남조가 안남에서 패배하는 동안에도 여전히 가끔씩 쓰촨을 공격했다. 869년, 남조의 여덟 번째 왕이자 첫 번째 제국인 실룡(世隆|세륭중국어)은 쓰촨을 침략했다. 874년, 남조는 다시 쓰촨을 공격했다.

902년, 남조의 청평관(清平官|청평관중국어) 정마이시는 남조의 유아 왕을 살해하고 대창하라는 새로운 왕국을 세웠다. 한때 강력했던 제국이었던 남조는 사라졌다. 928년, 양간진(楊干貞)은 대창하 왕을 찬탈하고, 청평관인 조산정을 대천흥(大天興)의 황제로 세웠다. 929년, 양간진은 조산정을 폐위하고 자신을 대의녕(大義寧)의 황제로 세웠다.

달리의 삼탑


937년, 단사평(段思平)이 대의녕국(大義寧)을 무너뜨리고 대리국(大理國)을 건국하였다. 대리국은 1253년 대리왕 단흥지(段興智)가 몽골에 투항한 후 몽골 제국에 정복당했다.

2. 5. 몽골 제국과 명나라

1253년 쿠빌라이의 몽골 제국대리국을 정복하고, 1276년 운남행성을 설치했다.[29] 몽골 제국은 단씨(Duan) 일족을 마하라자로 임명하여 통치에 협력하게 했다.[29] 원나라 시대 운남성은 몽골의 제1차 미얀마 침공 이후 미얀마 북부의 상당 부분을 포함했다. 1368년 원나라가 멸망하자, 명나라는 1380년대 초 명나라의 운남 정복을 통해 원나라 충신들과 단씨 잔당을 섬멸했다.[30][31]

명나라 홍무제는 양왕국을 멸망시키고 단씨의 대리국 부활 시도를 막은 후 윈난을 직접 통치했다. 명나라는 무영(Mu Ying)과 그의 가족을 운남의 세습 귀족으로 임명했다. 명나라 때는 운남포정사가 설치되었고, 청나라 때 윈난성이 성립되었다. 명대 이후 한족이 대량으로 유입되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2. 6. 청나라와 중일전쟁

명나라 때 운남포정사가 설치되었고, 청나라 때 윈난성이 성립되었다. 명나라 이후 한족이 대량으로 유입되어 다수를 차지하게 되면서 한족의 땅이 되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이 지역에 거주하는 이슬람교도인 회족이 반란을 일으켜 한족과 회족의 분쟁이 계속되었다. 1855년부터 1873년까지는 윈난성에서 두운수의 난이 일어났다.

중일전쟁 기간에는 대일지원로를 둘러싸고 중국 국민당군과 일본군 사이에 공방전(라맹·등월 전투·버마 전투)이 벌어졌다.

2. 7. 현대

중일전쟁으로 인해 많은 동부 해안 지역의 난민과 산업 시설들이 윈난성으로 이주하면서 윈난성은 변화를 겪었다. 특히 미얀마 라시오에서 쿤밍으로 이어지는 중국-미얀마 도로가 중국의 전쟁 수행에 중요한 보급로였기에 전략적 중요성을 띠게 되었다.[41]

동부 지역의 대학교수와 학생들은 원래 후난성의 성도인 창사로 피난을 갔었다. 그러나 일본군이 점점 더 많은 지역을 점령하자 결국 1938년 2월 창사가 폭격을 당했다. 남은 800명의 교수와 학생들은 피난을 가야 했고, 중국 남서부 산악 지대에 있는 윈난성의 성도인 쿤밍까지 1600km의 여정을 떠났다. 바로 이곳에서 국립 남서 연합대학(일반적으로 리안다 대학으로 알려짐)이 설립되었다. 8년 동안 교직원, 교수, 학생들은 일본군의 산발적인 폭격에도 불구하고 임시 시설에서 생활하고 교육 활동을 해야 했다.[42] 식량, 장비, 서적, 의류 및 기타 필수품이 심각하게 부족했지만, 그들은 현대 대학교 운영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8년간의 전쟁(1937~1945) 기간 동안 리안다 대학은 중국에서 가장 저명한 학자, 과학자, 지식인 대부분을 배출한 것으로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중국의 유일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양전닝리정다오 모두 쿤밍의 리안다 대학에서 공부했다.

21세기 초부터 에너지 자원 계획에 기초하여 중국-미얀마 송유관과 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항만 시설 건설이 시작되었다.[104] 차우피우 항구에서 수단 항구로부터 석유를 상륙시켜 석유 파이프라인으로 쿤밍까지 수송할 예정이다.

윈난성과 일본은 여러 항공사가 운항하는 항공 노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거지를 둔 중국동방항공과 윈난샹펑항공을 통해 성내 중심 도시 쿤밍시의 관문인 쿤밍창수이 국제공항과 일본의 3대 도시권(도쿄, 오사카, 나고야)의 국제공항 간에 정기 국제선이 운항되고 있다. 높은 비즈니스 수요로 인해 시기에 따라 이러한 노선에 A330과 같은 대형기가 투입되기도 하며, 활황을 보이고 있다.

2011년 12월 20일 중점 국경 경제 협력 지역인 "긍마(맹정) 국경 경제 협력 지역"의 중점 프로젝트가 착공되었다.

  • 칭수이허 항구
  • 쿤밍-맹정 도로의 칭수이허에 걸쳐 있는 도로와 다리 (미얀마와 윈난성을 연결)
  • 맹정 공항


현대적인 고층 빌딩과 오래된 거리가 혼재하는 쿤밍시 우화구

3. 지리

윈난성은 중국 남서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를 보인다. 중국 내에서 초록의 삼림이 우거진 지역으로, 전체에 걸쳐 황량한 바위산이 눈에 띈다. 지형이 복잡하여 남부 저지대에는 아열대성 기후가, 북부 고산 지대에는 아한대성 기후가 나타나는 등 다양한 기후대를 가진다. 이 때문에 동식물상이 풍부하며, 특히 원예 분야에서는 신종 화훼 산지로 알려져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8°C~17°C이고, 7월 평균 기온은 21°C~27°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600mm~2300mm이며, 이 중 절반 이상이 6월과 8월에 집중된다.

윈난성의 홍허 하니 계단식 논

3. 1. 지형

윈난성은 중국 남서부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북회귀선이 통과한다. 면적은 394100km2로 중국 전체의 4.1%를 차지한다. 성의 북쪽은 윈구이고원의 일부를 이룬다. 북서부는 티베트 자치구, 북부는 쓰촨성, 북동부는 구이저우성, 동부는 광시 좡족 자치구와 접한다. 서쪽으로 미얀마, 남쪽으로 라오스, 남동쪽으로 베트남과 총 길이 4060km의 국경을 공유한다.

지형은 주로 산지로 특히 북부와 서부가 높다. 서쪽으로는 협곡이 있고 동쪽은 고원 지역이다. 윈난의 주요 강들은 산들 사이의 깊은 협곡을 통해 흐른다. 평균 고도는 1980m이다. 북쪽의 산들이 가장 높아 고도가 5000m가 넘는 곳도 있지만, 남쪽의 산들은 3000m를 넘지 않는다. 가장 높은 지점은 북쪽 디친고원의 더친현에 있는 카와거보봉으로 해발 고도는 6740m이다. 가장 낮은 지점은 허커우현 홍허 계곡으로 76.4m이다. 성의 동쪽은 카르스트 지형과 깊은 협곡을 통해 흐르는 항해할 수 없는 강이 있는 석회암 고원 지대이다. 서쪽은 산맥에 의해 강이 남북으로 흐르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강들로 누강(태국어: 땅륀강), 란창강(태국어: 메콩강) 등이 있다.[43]

3. 2. 기후

윈난성은 남쪽으로 북회귀선이 통과하며, 지형이 복잡하여 남부 저지대의 아열대성 기후와 북부 고산 지대의 아한대성 기후가 공존하는 등 다양한 기후대를 가진다. 쾨펜 기후 분류에 따르면, 윈난성의 대부분은 아열대 고지(쾨펜 Cwb) 또는 아열대 습윤 기후(Cwa) 지역에 속하며, 진정한 열대 기후인 남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시원하거나 따뜻한 겨울과 온화한 여름을 보인다. 남부 지역에서는 연중 따뜻한 절반 동안 기온이 30°C를 꾸준히 웃돈다.[44] 1월 평균 기온은 8°C에서 17°C이며, 7월 평균 기온은 21°C에서 27°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600mm에서 2300mm이며,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6월부터 8월 사이에 집중된다. 고원 지역은 온화한 기온을 보인다. 서부 협곡 지역은 계곡 바닥은 덥지만, 산꼭대기에는 혹한의 바람이 분다.

3. 3. 강과 호수

윈난성의 주요 강들은 산들 사이의 깊은 협곡을 통해 흐르며, 뎬츠호(쿤밍 인근), 푸셴호(유시, 중국에서 두 번째로 깊은 호수), 얼하이호(다리 시 인근) 등 여러 큰 호수가 있다. 면적이 30km²가 넘는 호수는 아홉 개가 있다.[43]

호수 이름설명
뎬츠호쿤밍 인근
푸셴호유시, 중국에서 두 번째로 깊은 호수
싱윈호푸셴 호 남쪽에 위치하며 짧은 강으로 연결됨
치루호푸셴 호와 싱윈 호 남쪽에 위치하며 산으로 분리됨, 통하이현 소재
얼하이호다리 시 인근
루구호닝랑, 쓰촨성과의 경계 근처
양쭝호이량현
이룽호



윈난성은 여섯 개의 주요 강 체계로 배수된다.[43]

강 이름설명
양쯔강(금사강)이 성의 북부를 배수
주 강기원은 취징 근처, 동쪽의 물을 모음
란창 강티베트에서 발원하여 남중국해로 흐름. 라오스미얀마 사이, 라오스와 태국 사이, 라오스, 캄보디아베트남을 통과하며 국경을 형성
홍하(위안 또는 홍허)달리 남쪽 산악 지대에서 발원하여 베트남 하노이를 통해 남중국해로 들어감
누 강미얀마를 통해 마르타반 만과 안다만 해로 흘러 들어감
이라와디 강미얀마 카친 주의 두 강의 합류 지점에서 발원, 돌롱장 및 타핑 강과 같은 운남성 서쪽 끝의 작은 지류와 더훙 지구의 강들이 있음



일반적으로 윈난성의 강들은 교통의 장애물이다. 운난성의 강 시스템 중 항해가 가능한 부분은 매우 작다. 그러나 중국은 수로와 에너지원으로 개발하기 위해 란창 강에 일련의 댐을 건설하고 있으며, 첫 번째 댐은 1993년 만완에 완공되었다.[43]

태국은 육지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라오스를 중간에 두고 트럭을 이용한 3국 간 육상 수송이나 국제하천인 메콩 강을 이용한 수운이 교통 수단이 된다. 메콩강 상류인 란창 강은 푸얼 시와 징훙 시를 흐른다. 선박 운항 협정에 따라 푸얼시 스마오항에서 징훙시 징훙항을 거쳐 하류의 루앙프라방까지 총 886km 구간에서 자유 무역이 가능하게 되었다.[43]


  • 스마오항
  • 징훙항
  • 관레이항

3. 4. 생물 다양성

윈난성은 생물학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중국에서 가장 다양한 성이다.[45] 이 성에는 눈 덮인 산과 열대 환경이 공존하여 다양한 종과 식생 유형을 지탱한다. 윈난동백은 이 성의 상징이다.[46]

여름에는 티베트 고원이 계절풍의 장벽 역할을 하여 윈난성에 수분을 가두어 준다. 이로 인해 특히 고산 식물상이 다른 어떤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무성함을 갖게 된다.[45]

이러한 지형적 다양성과 열대성 습윤 기후는 매우 높은 생물 다양성과 고유종 비율을 유지하며, 아마도 세계 온대 지역 중 식물학적으로 가장 풍부한 곳일 것이다.[45] 이 성에는 약 1만 7천 종의 고등식물이 서식하며, 그중 약 2,500종은 고유종으로 추정된다. 이 성은 "북반구 전체를 합친 것만큼 많은 꽃 피는 식물의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47]

윈난성은 중국 전체 면적의 4% 미만을 차지하지만, 중국 전체 보호 식물 종의 약 42.6%와 보호 야생 동물의 약 72.5%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15%는 윈난성 고유종이다.[48] 윈난성은 특히 동남아시아의 가우르, 숲에 사는 거대한 소과 동물, 인도차이나호랑이와 아시아 코끼리의 서식지이다.[49] 그 외에도 매우 희귀한 종인 윈난 땅거북[50]과 윈난 짧은코 원숭이[51]가 있다. 또 다른 멸종 위기 종인 윈난 긴팔 원숭이는 이미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52] 윈난성에는 11개의 국립 및 지역 자연 보호 구역이 있으며, 중국 내 보호 지역의 총 면적은 약 510000ha에 달한다.[53]

담수어류상 또한 매우 다양하며, 약 620종이 서식하는데, 그중 580종 이상이 토착종이고 나머지는 외래종이다.[54] 이는 중국 담수어 종의 거의 40%에 해당한다. 윈난성 토착종 중 250종 이상이 이 성의 고유종이며, 이들 중 많은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54] 특정 호수(특히 滇池, 洱海, 복선호, 이룡호)에만 서식하는 여러 종은 이미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55] 윈난성에서 가장 다양한 목(目)은 종 수와 고유종 수 모두에서 잉어목이다.[54]

2019년 윈난성에서 독특한 발광 딱정벌레인 ''Sinopyrophorus''가 발견되었다.[56]

윈난성은 다음과 같이 지정되었다.

  • "식물 다양성의 중심지" (IUCN/WWF: Davis 외 1995)
  •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글로벌 200 우선순위 생태지역" (WWF: Olsen과 Dinerstein 1998)
  • "고유종 조류 지역" (Birdlife International: Bibby, C. 외 1992)
  • 횡단산맥 생태계의 일부로서 "세계 생물다양성 핫스팟" (Conservation International: Mittermeier와 Mittermeier 1997)

4. 행정 구역

윈난성은 16개의 지급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8개의 지급시와 8개의 자치주로 나뉜다.[62]

윈난성의 행정 구역
윈난성 행정 구역도
이름한자병음면적
(km2)
인구
(2010년)
시청소재지
1쿤밍 시(곤명시)昆明市Kūnmíng Shì21001.28km26,432,209청궁 구
2취징 시(곡정시)曲靖市Qǔjìng Shì28939.41km25,855,055치린 구
3위시 시(옥계시)玉溪市Yùxī Shì14941.53km22,303,518훙타 구
4바오산 시(보산시)保山市Bǎoshān Shì19064.6km22,506,491룽양 구
5자오퉁 시(소통시)昭通市Zhāotōng Shì22439.76km25,213,521자오양 구
6리장 시(여강시)丽江市Lìjiāng Shì20557.25km21,244,769구청 구
7푸얼 시(보이시)普洱市Pǔ'ěr Shì44264.79km22,542,898쓰마오 구
8린창 시(임창시)临沧市Líncāng Shì23620.72km22,429,497린샹 구
9추슝 이족 자치주(초웅이족자치주)楚雄彝族自治州Chǔxióng Yízú Zìzhìzhōu28436.87km22,684,169추슝 시
10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홍하합니족이족자치주)红河哈尼族彝族自治州Hónghé Hānízú Yízú Zìzhìzhōu32167.67km24,500,896멍쯔 시
11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문산장족묘족자치주)文山壮族苗族自治州Wénshān Zhuàngzú Miáozú Zìzhìzhōu31409.12km23,517,946원산 시
12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서쌍판납태족자치주)西双版纳傣族自治州Xīshuāngbǎnnà Dǎizú Zìzhìzhōu19107.05km21,133,515징훙 시
13다리 바이족 자치주(대리백족자치주)大理白族自治州Dàlǐ Báizú Zìzhìzhōu28299.43km23,456,323다리 시
14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덕굉태족경파족자치주)德宏傣族景颇族自治州Déhóng Dǎizú Jǐngpōzú Zìzhìzhōu11171.41km21,211,440망 시
15누장 리수족 자치주(노강율속족자치주)怒江傈僳族自治州Nùjiāng Lìsùzú Zìzhìzhōu14588.92km2534,337루수이 시
16디칭 티베트족 자치주(적경장족자치주)迪庆藏族自治州Díqìng Zàngzú Zìzhìzhōu23185.59km2400,182샹그릴라 시



이 16개의 지급 행정 구역은 다시 129개의 현급 행정 구역(17개 시할구, 18개 현급시, 65개 현, 29개 자치현)으로 세분화된다.[62] 2021년 말 기준 윈난성의 총 인구는 4801만 명이다.

윈난성의 행정 구역 (중국어 및 로마자 표기)
영어중국어병음
윈난성云南省중국어Yúnnán Shěng
쿤밍 시昆明市중국어Kūnmíng Shì
취징 시曲靖市중국어Qǔjìng Shì
위시 시玉溪市중국어Yùxī Shì
바오산 시保山市중국어Bǎoshān Shì
자오퉁 시昭通市중국어Zhāotōng Shì
리장 시丽江市중국어Lìjiāng Shì
푸얼 시普洱市중국어Pǔ'ěr Shì
린창 시临沧市중국어Líncāng Shì
추슝 이족 자치주楚雄彝族自治州중국어Chǔxióng Yízú Zìzhìzhōu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红河哈尼族彝族自治州중국어Hónghé Hānízú Yízú Zìzhìzhōu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文山壮族苗族自治州중국어Wénshān Zhuàngzú Miáozú Zìzhìzhōu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西双版纳傣族自治州중국어Xīshuāngbǎnnà Dǎizú Zìzhìzhōu
다리 바이족 자치주大理白族自治州중국어Dàlǐ Báizú Zìzhìzhōu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德宏傣族景颇族自治州중국어Déhóng Dǎizú Jǐngpōzú Zìzhìzhōu
누장 리수족 자치주怒江傈僳族自治州중국어Nùjiāng Lìsùzú Zìzhìzhōu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迪庆藏族自治州중국어Díqìng Zàngzú Zìzhìzhōu


4. 1. 지급시

윈난 성의 행정 구역
이름한자병음면적
(km2)
인구
(2010년)
시청소재지비고
1쿤밍 시(곤명시)昆明市Kūnmíng Shì21001.28km26,432,209청궁 구성도
2취징 시(곡정시)曲靖市Qǔjìng Shì28939.41km25,855,055치린 구
3위시 시(옥계시)玉溪市Yùxī Shì14941.53km22,303,518훙타 구
4바오산 시(보산시)保山市Bǎoshān Shì19064.6km22,506,491룽양 구
5자오퉁 시(소통시)昭通市Zhāotōng Shì22439.76km25,213,521자오양 구
6리장 시(여강시)丽江市Lìjiāng Shì20557.25km21,244,769구청 구
7푸얼 시(보이시)普洱市Pǔ'ěr Shì44264.79km22,542,898쓰마오 구
8린창 시(임창시)临沧市Líncāng Shì23620.72km22,429,497린샹 구


4. 2. 자치주

윈난 성의 자치주
번호명칭중국어 표기병음면적(km2)인구(2020년)정부 소재지
9추슝 이족 자치주楚雄彝族自治州Chǔxióng Yízú Zìzhìzhōu28436.87km22,416,747추슝 시
10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红河哈尼族彝族自治州Hónghé Hānízú Yízú Zìzhìzhōu32167.67km24,478,422멍쯔 시
11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文山壮族苗族自治州Wénshān Zhuàngzú Miáozú Zìzhìzhōu31409.12km23,503,218원산 시
12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西双版纳傣族自治州Xīshuāngbǎnnà Dǎizú Zìzhìzhōu19107.05km21,301,407징훙 시
13다리 바이족 자치주大理白族自治州Dàlǐ Báizú Zìzhìzhōu28299.43km23,337,559다리 시
14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德宏傣族景颇族自治州Déhóng Dǎizú Jǐngpōzú Zìzhìzhōu11171.41km21,315,709망 시
15누장 리수족 자치주怒江傈僳族自治州Nùjiāng Lìsùzú Zìzhìzhōu14588.92km2552,694루수이 시
16디칭 티베트족 자치주迪庆藏族自治州Díqìng Zàngzú Zìzhìzhōu23185.59km2387,511샹그릴라 시


5. 인구

윈난성은 중국에서 소수민족이 가장 많은 성으로, 25개의 소수민족이 거주하며 전체 인구의 약 38%를 차지한다.[105][106][107][108][109][110][111][112][113][114] '민족 전시장'이라고 불릴 만큼 다양한 소수민족이 살고 있으며, 중국 내에서 윈난성에만 있는 소수민족도 15개 부족 정도가 된다.

소수민족 분포


소수민족들은 넓게 퍼져서 거주하고 있으며, 5,000명 이상의 25개 소수민족은 군락을 이루어 생활하고 있다. 국경 지역과 협곡에는 후이족, 만주족, 바이족, 나시족, 몽골족, 좡족, 다이족, 아창족, 부이족, 수이족 등 10개 소수민족(총 4만 5천 명)이, 고산지대에는 먀오족, 리수족, 티베트족, 푸미족, 두롱족 등(총 4백만 명)이 거주한다.

윈난성에서 가장 많은 소수 민족은 이족으로 400만 명이 넘는다. 그 외 바이족(3.6%), 하니족(3.4%), 좡족(2.7%), 먀오족(2.5%), 후이족(1.5%) 등이 있다.

5. 1. 민족 구성

윈난성은 중국 내에서 소수민족 인구가 가장 많은 성으로, '민족 전시장'이라고 불릴 정도이다. 중국 정부가 공인한 56개 소수민족 중 25개 민족이 윈난성에 거주하며, 전체 인구의 약 38%를 차지한다. 윈난성에만 존재하는 소수민족도 15개 부족이나 된다.

주요 소수민족으로는 이족, 바이족, 하니족, 좡족, 다이족, 먀오족, 후이족, 리수족, 라후족, 와족, 나시족, 야오족, 티베트족, 징포족, 부랑족, 푸미족, 누족, 아창족, 지눠족, 몽골족, 두롱족, 만주족, 수이족, 부이족 등이 있다.[77] 이 외에도 여러 소수민족이 존재하지만, 군집을 이루어 생활하지 않거나 중국 정부의 공인을 받지 못한 경우도 있다. 모쒀족과 같이 과거에 소수민족 지위를 신청하여 공인된 민족도 있다.

윈난성 내 소수민족 분포는 매우 광범위하다. 5,000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25개 소수민족은 군락을 이루어 생활하고 있다. 국경 지역과 강 유역에는 후이족, 만주족, 바이족, 나시족, 몽골족, 좡족, 다이족, 아창족, 부이족, 수이족 등 10개 소수민족(총 450만 명)이, 저산지대에는 하니족, 야오족, 라후족, 와족, 징포족, 부랑족, 지눠족 등(총 500만 명)이, 고산지대에는 먀오족, 리수족, 티베트족, 푸미족, 두롱족 등(총 400만 명)이 거주한다.

윈난성에서 가장 많은 소수민족은 이족으로, 400만 명이 넘는다.

민족인구거주지언어
이족471만윈난 동부와 중부의 각 도시,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추슝 이족 자치주좡미엔어족
바이족151만다리 바이족 자치주좡미엔어족
하니족142만남부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좡미엔어족
다이족114만서남부 중부 변경의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둥타이어족
좡족114만윈난 동남부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둥타이어족
먀오족104만동부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자오퉁 시 등지의 산악지대먀오야오어족
후이족64만윈난 전 지역에 산재
리수족61만서북부의 누장 리수족 자치주, 리장, 디칭좡미엔어족
라후족45만좡미엔어족
와족38만린창 시, 시멍 와족 자치현
나시족30만서북부의 리장 시좡미엔어족
야오족19만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원산먀오야오어족
징포족13만서부의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좡미엔어족
티베트족13만서북부의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좡미엔어족
부랑족9만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부이족5.5만둥타이어족
아창족3.4만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푸미족3.2만서북부 리장 시, 누장좡미엔어족
몽골족2.8만위시 시 퉁하이 현 싱멍 몽골족 자치향
누족2.8만서북부 누장 리수족 자치주 비장, 푸공, 공샨 3현의 누장대협곡둥타이어족
지눠족2.1만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더앙족1.8만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루씨시 싼타이산과 린캉 시 젠강현 준롱 (1985년 이전엔 벵롱족이라 함)
수이족1.3만둥타이어족
만주족1.2만
두롱족5884서북쪽 누장 리수족 자치주 공샨현 두롱강 유역



윈난성 내 주요 자치구역 (후이족 제외)


성도 쿤밍에는 관광객을 위한 윈난 민족촌이 있다.

5. 2. 언어

윈난성에서는 북경어 그룹의 남서 관화에 속하는 다양한 중국어 방언이 사용되며, 인접한 쓰촨성구이저우성의 방언과 매우 유사하다. 많은 윈난 방언에서는 종성 /n/과 /ŋ/의 구분이 부분적 또는 완전히 상실되었고, /y/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지역 방언 외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표준 중국어(''푸통화'')를 사용하며, 이는 미디어, 정부 및 교육 기관에서 사용된다.[1]

윈난의 다양한 민족 구성은 언어의 다양성에도 반영된다. 윈난성에서 사용되는 언어에는 티베트-버마어족의 백어, 이어, 티베트어, 하니어, 징포어, 리수어, 라후어, 나시어, 타이어족의 좡어, 부예이어, 동어, 수이어, 타이 뤼어, 타이 뉴어, 그리고 몬-크메르어족이 있다.[1]

특히 나시족은 동바 문자를 사용하는데, 이는 오늘날 세계에서 유일하게 사용되는 상형 문자 시스템이다. 동바 문자는 주로 동바 사제들에게 의례를 집행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관광 명소로서의 기능이 더 크다. 서양의 동바 학자 중 가장 잘 알려진 인물은 조셉 록이다.[1]

1971년 윈난성의 언어 및 민족 집단 분포도(CIA 지도)


민족인구거주지언어비고
이족471만윈난 동부와 중부의 각 도시,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추슝 이족 자치주좡미엔어족
바이족151만다리 바이족 자치주좡미엔어족
하니족142만남부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좡미엔어족
다이족114만서남부 중부 변경의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둥타이어족
좡족114만윈난 동남부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둥타이어족
먀오족104만동부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자오퉁 시 등지의 산악지대먀오야오어족
후이족64만윈난 전 지역에 산재
리수족61만서북부의 누장 리수족 자치주, 리장, 디칭좡미엔어족
라후족45만좡미엔어족
와족38만린창 시, 시멍 와족 자치현
나시족30만서북부의 리장 시좡미엔어족
야오족19만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원산먀오야오어족
징포족13만서부의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좡미엔어족
티베트족13만서북부의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좡미엔어족
부랑족9만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부이족5.5만둥타이어족
아창족3.4만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푸미족3.2만서북부 이장, 누장좡미엔어족
몽골족2.8만위시 시 퉁하이 현 싱멍 몽골족 자치향
누족2.8만서북부 누장 리수족 자치주 비장, 푸공, 공샨 3현의 누장대협곡둥타이어족
지눠족2.1만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더앙족1.8만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루씨시 싼타이산과 린캉 시 젠강현 준롱1985년 이전엔
벵롱족이라 함
수이족1.3만둥타이어족
만주족1.2만
두롱족5884서북쪽 누장 리수족 자치주공샨현 두롱강 유역


5. 3. 종교

윈난성에는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고 있다. 불교, 이슬람교, 기독교, 도교 등 여러 종교가 있으며, 조상 숭배와 같은 전통 신앙도 널리 퍼져 있다.[79] 소수민족들은 고유한 종교를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한족은 중국 민간 종교, 이족은 비모교, 바이족은 번주교를 믿는다. 다이족상좌부 불교를 따르며, 후이족이슬람교를, 리수족, 징포족, 더룽족 등은 기독교를 주로 믿는다.[78]

2005년 기준으로 윈난성에는 중국 정부가 승인한 5개의 종교 단체 신자가 약 400만 명 있었다. 그 중 260만 명(전체 인구의 약 6%)은 불교도, 62만 명(1.4%)은 무슬림, 53만 명(1.2%)은 개신교도, 24만 명(0.5%)은 도교도(사제만 포함), 6만 6천 명(0.1%)은 가톨릭 신자였다.

쿤밍의 금 도교 사원(Hall of the Golden Taoist Temple) 전각.


뤄디안 현의 투오구 모스크(Tuogu Mosque).


시쌍반나 다이족 자치주 맹해 현에 있는 다이족 상좌부 불교 사찰.

중전 숨체링 수도원.


곤산 현 빙중뤄의 중딩 천주교회(Zhongding Catholic Church).

6. 경제

윈난성은 중국의 다른 성들에 비해 덜 개발되고 가난한 지역이지만, 풍부한 천연자원과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1994년에는 700만 명의 사람들이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하고 있었으나, 중앙 정부의 지원과 빈곤 완화 계획을 통해 농촌 인구가 감소하고 도시 기반 시설이 개선되었다.[88]

2008년 윈난성의 명목 GDP는 5.7조위안(8300억달러)였고, 1인당 GDP는 12587CNY(1843USD)였다. 산업별 비중은 1차 산업 17.9%, 2차 산업 43%, 3차 산업 39.1%를 차지했다. 윈난성은 중국의 구리, 납, 아연, 주석, 알루미늄의 주요 생산지이며, 거주 시는 "아연 왕국"으로 알려져 있다. 전력 산업 또한 중요한 경제 기둥으로, "서부-동부 송전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87]

리장시의 현지 상인들


쿤밍 시내 항공 사진

6. 1. 산업

윈난성의 4대 기둥 산업은 담배, 농업, 광업, 관광업이다. 주요 제조산업에는 철강 생산과 구리 제련, 상업용 차, 화학, 비료, 직물, 광학 도구 등이 있다.[83] 윈난성은 전 세계 70개 국가 및 지역과 교역하며, 주로 담배, 기계, 전기 장비, 화학, 농산품, 비철금속을 수출한다. 2008년 총 수출입은 96억달러였고, 외국인 직접 투자는 16.9억달러였다. 2008년 말 윈난성의 실업률은 4.21%였다.

윈난성은 농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쌀이 주요 작물이며, 옥수수, 보리, 밀, 유채, 고구마, 콩, 차, 사탕수수, 담배, 면화 등도 재배된다. 담배는 주요 수출품이며, 윈난성 총생산(GDP)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83] 또한, 윈난성은 야채와 과일 경작도 활발하다. 특히, 윈난성은 중국에서 재배되는 커피의 대부분을 생산하며, 가장 흔하게 재배되는 품종은 카티모르이다.[80] 윈난성은 고품질 차로도 유명하며, 특히 윈난차가 유명하다. 윈난 홍차는 ‘전홍’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해발 1000~2000미터의 산악 지역에서 재배되는 완전히 산화된 차이다.[81][82]

딸기밭 (유시 근처)


윈난성은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야생 식용 버섯 자원을 보유한 지역 중 하나로, 중국 전체 식용 버섯의 800종 이상이 윈난성에서 발견된다. 2004년에는 약 7,744톤의 야생 식용 버섯이 수출되어 중국 전체 수출량의 70%를 차지했다. 특히 ‘송이버섯’은 윈난성의 주요 상품이며, 대량으로 일본에 수출된다.

윈난성의 유제품 산업은 중국의 유제품 소비 증가로 인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아세안 이웃 국가로의 수출도 목표로 하고 있다. 윈난성의 화훼 산업은 1980년대 후반부터 발전하여 중국 전체 절화 생산량의 50%를 차지하며, 일본, 한국, 홍콩, 태국, 싱가포르 등 여러 국가 및 지역에 수출하고 있다.

윈난성은 중국의 구리, 납, 아연, 주석, 알루미늄의 주요 생산 기반이다. 거주 시는 "아연 왕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 제1의 매장량을 자랑한다. 윈시라는 상표의 제련된 주석은 거주의 주요 생산품 중 하나이다. 게다가 게르마늄, 인듐, 지르코늄, 백금, 암염, 니켈, 인산염, 비소 또한 많이 매장되어 있다. 구리의 주요 매장지는 둥촨이고, 철광석 매장지는 우딩이며, 석탄은 쉬안웨이와 카이위안에 많이 매장되어 있다. 윈난성에서 확인된 광물 매장량의 잠재적 가치는 3조 위안이다.

윈난성은 강우량이 풍부하고 많은 강과 호수를 가지고 있어 수력 자원이 풍부하다.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연간 유량은 황하의 세 배에 달하며, 풍부한 수력 에너지를 제공한다. 중국은 메콩강에 일련의 댐을 건설하여 수로 및 에너지원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1993년 만완에 첫 번째 댐이 완공되었다. 전기 공업은 윈난성의 또 다른 경제 기둥으로, 윈난성에서 생산된 전기는 주로 광둥성으로 보내진다.

2004년 윈난성의 성 전체 생산 총액(GDP)은 2959.5억 위안이었다. 서부 대개발 정책에 따라 윈난성에서는 베트남, 미얀마와의 국경 무역이 활발해지고 있다.

6. 2. 무역

윈난성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지역 및 국경 무역에서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다. 란창강(메콩강 상류)은 동남아시아로 가는 수로이다. 최근 육상 운송이 개선되어 대메콩권 국가들 간의 경제 및 무역 협력이 강화되었다. 루이리현에는 미얀마와의 국경을 따라 무세 국경 무역 지대가 설치되어 있다.[86] 윈난성은 주로 담배, 기계, 전기 장비, 화학, 농산품, 비철금속을 수출한다.[86]

19세기 중반, 윈난성은 광저우의 상점들에 새, 놋쇠, 주석, 보석, 사향, 견과류, 공작 깃털을 수출하고 비단, 모직, 목화 천, 담배, 책을 수입했다.[84]

2011년 12월 20일, "긍마(맹정) 국경 경제 협력 지역"의 중점 프로젝트가 착공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칭수이허 항구
  • 쿤밍-맹정 도로의 칭수이허에 걸쳐 있는 도로와 다리 (미얀마와 윈난성을 연결)
  • 맹정 공항


2004년 윈난성의 대외 수출액은 전년 대비 33.6% 증가한 22.4억달러, 수입액은 전년 대비 52% 증가한 15억달러였다.

주요 국경 통과 지점은 다음과 같다.

국경 통과 지점인접 국가 및 지역설명
허커우베트남 라오까이도로와 철도를 통해 이동 가능하며, 중국인/베트남인 이외의 외국인에게 개방된 유일한 중국-베트남 육상 국경 통과 지점이다.
보텐라오스중국-라오스 국경
루이리-무세미얀마중국인/미얀마인 이외의 외국인에게 개방된 유일한 중국-미얀마 국경 통과 지점이다.
달뤄미얀마 샨 주 몬라쿤밍에서 아시아 고속도로 3호선을 따라 남서쪽으로 가면 징훙시에서 서쪽과 남쪽 두 방향으로 갈라진다. 서쪽 노선을 따라가면 달뤄 국경 검문소가 나온다.
칭수이허미얀마껑마 타이족 와족 자치현의 성도 319호선과 평행하는 쿤멍 도로 정비 계획에서 도로 공사와 중국-미얀마 국경 검문소인 칭수이허 국경 검문소 부근이 정비되고 있으며, 검문소 부근에 난딩허(남정하)를 가로지르는 다리가 건설될 예정이다.
하구베트남 라오까이쿤밍에서 아시아 고속도로 14호선을 남동쪽으로 가면 중월 국경 검문소인 하구 국경 검문소에 이른다.
모한라오스징훙시에서 남쪽으로 갈라지는 아시아 고속도로 3호선을 따라가면 중국과 라오스 국경에 있는 모한 국경 검문소에 이른다.



태국은 육지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라오스를 거쳐 트럭을 이용한 3국 간 육상 수송이나 국제하천인 메콩강을 이용한 수운이 교통 수단이 된다. 메콩강 상류인 란창강은 푸얼시와 징훙시를 흐른다. 선박 운항 협정에 따라 푸얼시 스마오항에서 징훙시 징홍항을 거쳐 하류의 루앙프라방까지 총 886km 구간에서 자유 무역이 가능하게 되었다.


  • 스마오항: 가장 상류에 있는 국제 항구이다.
  • 징홍항: 징홍항-치앙센군-치앙콩군 간에는 여객선이나 화물여객선이 운항되고 있다.
  • 관레이항: 스마오항이나 징홍항에서의 항로는 건기에 수심이 얕아져 선박의 적재 능력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항로의 수심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류에 건설했다.


6. 3. 경제 개발

윈난성은 1994년 당시 1인당 연 소득 300위안 미만의 빈곤층이 700만 명에 달할 정도로 중국 내에서도 낙후된 지역이었다. 중앙 정부의 재정 지원과 함께, 2002년에는 31.5억위안이 투입되어 빈곤 완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이 사업은 토질 개선, 수질 보호, 전력, 도로, 녹지 건설 등 기반 시설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다.[88]

윈난성의 4대 주요 산업은 담배, 농업, 광업, 관광업이다. 철강, 구리 제련, 차, 화학, 비료, 직물, 광학 도구 등이 주요 제조 품목이다. 윈난성은 전 세계 70여 개국과 교역하며, 특히 미얀마와의 국경 무역이 활발하다. 루이리 현에는 미얀마와의 무역을 위한 뮤즈 국경 무역 지대가 설치되어 있다.[90] 2008년 윈난성의 총 수출입액은 96억달러, 외국인 직접 투자는 16.9억달러였다.

2008년 윈난성의 명목 GDP는 5.7조위안(8300억달러)으로 연 11% 성장했으며, 1인당 GDP는 12587CNY(1843USD)이었다. 산업별 비중은 1차 산업 17.9%, 2차 산업 43%, 3차 산업 39.1%였다.

윈난성은 구리, 납, 아연, 주석, 알루미늄의 주요 생산지이다. 거주 시는 "아연 왕국"으로 불리며, 제련된 주석이 주요 생산품이다. 게르마늄, 인듐, 지르코늄, 백금 등도 많이 매장되어 있다. 구리는 둥촨, 철광석은 우딩, 석탄은 쉬안웨이와 카이위안에 주로 매장되어 있다.

전력 산업은 윈난성 경제의 또 다른 기둥으로, "동서 전기 교환 프로젝트"의 핵심 역할을 한다. 윈난성에서 생산된 전기는 주로 광둥성으로 보내진다.

윈난성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경제 개발구 및 협력구가 있다.

명칭설립 연도위치주요 산업면적(km²)
쿤밍 경제기술개발구1992윈난성 중동부담배 가공, 기계 제조, 전자 정보, 생명공학[88]-
쿤밍 고신기술산업개발구1992쿤밍 북서부-9km2[89]
쿤밍 디엔치 관광 휴양구----
쿤밍 공항 경제구----
뤄이 국경 경제협력구1992뤄이 시무역, 가공, 농업, 생물자원[90]-
완딩 국경 경제협력구1992뤄이 시 완딩진무역, 가공, 농업, 관광[91]6km2
취징 경제기술개발구1992취징 시 동부-106km2[92]
위시 경제기술개발구----
다리 경제기술개발구----
츠슝 이족 자치주 경제기술개발구---12km2[93]
송밍 양린 현·향급 산업 실험구----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 국경 경제협력구1992--4.02km2[94]
지에가오 국경 무역 경제구----
리장 고성 옥룡설산 관광구----
창산 & 얼하이호 관광 휴양구----
시숴왕반나 관광 휴양구----
텅충 관광 휴양구----
양종하이 호 관광 휴양구----
푸시엔 호 관광 휴양구----



21세기 초부터는 중국-미얀마 송유관 건설 등 에너지 자원 개발 계획이 추진되었다.[104] 일본과의 항공 노선도 활발하여,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일본 주요 도시(3대 도시권 (도쿄, 오사카, 나고야)) 간 정기 국제선이 운항되고 있다.

2011년에는 칭수이허 항구, 쿤밍-맹정 도로, 맹정 공항 건설 등 "긍마(맹정) 국경 경제 협력 지역" 프로젝트가 착공되었다.

2004년 윈난성의 GDP는 전년 대비 11.5% 증가한 2.9595조위안이었다. 서부 대개발 정책에 힘입어 베트남, 미얀마와의 국경 무역이 활발해졌으며, 대외 수출액은 22.4억달러, 수입액은 15억달러였다. 재정 총수입은 6663억위안이었다.

7. 문화

윈난성의 문화는 놀라울 정도로 다양하다.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쿤밍 남쪽 진닝에서는 우아한 청동기가 있는 신성한 매장 구조물이 발굴되었고, 윈난성 북동부 자퉁시에서는 진나라 시대의 벽화가 발견되었다.[100] 이후 시대에도 많은 중국 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 원주민들의 부족적인 삶의 계보는 20세기 중반까지 현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되었다. 이족의 노예 소유와 와족의 두개골 채집과 같은 부족 전통은 그 이후로 폐지되었다.[100] 여러 소수 민족의 문화 및 종교적 관행이 억압되었던 문화 대혁명(1966-76) 이후, 윈난성은 문화 다양성을 기념하게 되었고 그 결과 많은 지역 관습과 축제가 번성하게 되었다.[100]

춘절 시를 손으로 그려 사람들의 집으로 통하는 문 옆에 붙여 놓은 모습, 옛 도시 리장.


시쌍반나 맹해 현에 있는 다이족 상좌부 불교 사찰.


7. 1. 소수민족 문화

윈난성은 민족 전시장이라고 불릴 만큼 다양한 소수민족들이 살고 있으며, 소수민족 인구가 가장 많은 성이다. 중국 정부에서 공인된 56개의 소수민족 중 25개가 윈난에 있으며, 전체 인구의 38%가 소수민족이다. 윈난성에서 가장 많은 소수민족은 이족으로, 400만 명이 넘는다. 또한 윈난은 소수민족의 천국으로 중국에서는 윈난성에만 있는 소수민족이 15개 정도 존재한다.

민족인구거주지언어
이족471만윈난 동부와 중부의 각 도시,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추슝 이족 자치주좡미엔어족
바이족151만다리 바이족 자치주좡미엔어족
하니족142만남부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좡미엔어족
다이족114만서남부 중부 변경의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둥타이어족
좡족114만윈난 동남부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둥타이어족
먀오족104만동부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자오퉁 시 등지의 산악지대먀오야오어족
후이족64만윈난 전 지역에 산재
리수족61만서북부의 누장 리수족 자치주, 리장, 디칭좡미엔어족
라후족45만좡미엔어족
와족38만린창 시, 시멍 와족 자치현
나시족30만서북부의 리장 시좡미엔어족
야오족19만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원산먀오야오어족
징포족13만서부의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좡미엔어족
티베트족13만서북부의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좡미엔어족
부랑족9만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부이족5.5만둥타이어족
아창족3.4만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푸미족3.2만서북부 이장, 누장좡미엔어족
몽골족2.8만위시 시 퉁하이 현 싱멍 몽골족 자치향
누족2.8만서북부 누장 리수족 자치주 비장, 푸공, 공샨 3현의 누장대협곡둥타이어족
지눠족2.1만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더앙족1.8만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루씨시 싼타이산과 린캉 시 젠강현 준롱1985년 이전엔
벵롱족이라 함
수이족1.3만둥타이어족
만주족1.2만
두롱족5884서북쪽 누장 리수족 자치주공샨현 두롱강 유역



쿤밍 남쪽 진닝에서는 청동기가 있는 신성한 매장 구조물이, 윈난성 북동부 자퉁시에서는 진나라 시대의 벽화가 발견되었다. 이족의 노예 소유와 와족의 두개골 채집과 같은 부족 전통은 20세기 중반까지 현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되었으나, 이후 폐지되었다. 문화 대혁명(1966-76) 이후, 윈난성은 문화 다양성을 기념하게 되었고 그 결과 많은 지역 관습과 축제가 번성하게 되었다.[100] 성도인 쿤밍에는 윈난 민족촌이 관광 목적으로 있다.

7. 2. 음식

윈난성은 다양한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다채로운 음식 문화를 자랑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음식들이 유명하다.

  • 푸얼차: 윈난성을 대표하는 차로, 독특한 향과 맛으로 유명하다.
  • 운남커피: 중국 커피 생산의 98%를 차지한다.[80]
  • 운남백약: 윈난성에서 생산되는 전통 약재이다.
  • 과교미선: 쌀국수의 일종으로, 뜨거운 육수에 각종 재료를 넣어 먹는 음식이다.
  • 선화병: 꽃잎을 넣어 만든 빵으로, 윈난성의 특산품이다.
  • 홍당: 윈난성에서 생산되는 흑설탕의 일종이다.

7. 3. 차 문화

윈난성은 고품질 차로 유명하다. 특히 윈난차가 유명하며, 윈난 홍차는 '전홍'(滇紅, 윈난성의 약칭인 '전(滇)'과 진한 붉은색 차액을 의미하는 '홍(紅)'을 합친 말)으로도 알려져 있다. 전홍은 해발 1000~2000미터의 산악 지역에서 재배되는 완전히 산화된 차로, 독특한 흙내음이 특징이다.[81][82]

윈난성에는 여러 차 생산 지역이 있다.[101] 윈난성에서 가장 잘 알려진 차 중 하나는 푸얼차(Pu-erh tea)로, 옛 차 무역 도시인 푸얼(Pu-erh)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또한 윈난성은 20세기에 개발된 윈난금침(Golden Needle tea)과 다른 전홍(Dianhong) 차로도 유명하다.

윈난성 푸얼차

8. 관광

윈난성은 아름다운 풍경, 온화한 기후, 다양한 문화 덕분에 중국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성도인 쿤밍에서는 2년마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중국 국제 여행 박람회가 개최되어, 해당 분야 전문가들에게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한다. 2005년에는 8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이 참가했다. 쿤밍시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4,000개 미만의 객실을 보유한 중고급 호텔 11개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103]

8. 1. 주요 관광지

윈난성은 아름다운 풍경, 온화한 기후, 다양한 문화 덕분에 중국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2004년 관광 수입은 370억위안에 달해, 당시 성 전체 GDP의 12.6%를 차지할 정도로 관광 산업은 윈난성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03] 2010년에는 230만 명이 넘는 해외 관광객이 윈난성을 방문했으며, 윈난성 관광국은 더 많은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103]

윈난성의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주요 관광지설명이미지
리장 고성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나시족의 도시이다.
리장 고성
옥룡설산백수하와 함께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백수하와 배경의 옥룡설산
호도협 (후탸오샤)깊은 협곡으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샹그릴라윈난 북서부 산악 지대에 위치한 티베트족 마을이자 현이다.
송찬림 사원 (샹그릴라 시)
다리남조와 달리국의 역사적인 중심지이다.
시솽반나자연과 문화 관광 명소로 유명한 국가급 풍경구이다.
석림쿤밍 동쪽에 있는 일련의 카르스트 지형이다.
유양광대한 계단식 논이 있는 하니족 마을이다.
유양 현의 계단식 논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관광지들이 있다.


  • 축슝: 이족 소수민족과 그들의 고대 도시
  • 징홍: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의 중심지이자 주도
  • 흑룡담
  • 백수대
  • 감산
  • 이리호
  • 감란분지
  • 녹색호수공원
  • 란창강 (메콩강)
  • 만정공원
  • 메리설산
  • 푸젠사
  • 삼차하자연보호구
  • 사평시장
  • 샤시
  • 삼탑
  • 등충 (온천)
  • 운남성 북서부 자연 문화 방문자 센터
  • 서쌍판납 열대화훼식물원
  • 원통사
  • 운남성 박물관

8. 2. 생태 관광

윈난성은 아름다운 풍경, 온화한 기후, 다양한 문화 덕분에 중국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대부분 관광객은 중국인이지만, 점점 더 많은 외국 여행사에서 윈난 여행 상품을 기획하고 있다. 중국 본토 관광객들은 대규모로 여행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난 10월 국경절 기간에는 275만 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윈난을 방문했다.[103] 반면 소규모 친환경 생태관광이라는 새로운 추세도 서서히 발전하고 있다. 현재 이 분야의 프로젝트는 종종 NGO의 도움을 받아 설립되고 있다.

자연보전협회와 중국 정부는 협력하여 중국 남서부 강에서 모험 관광을 도입할 가능성을 모색했다. [http://www.snagfilms.com/films/title/the_yunnan_great_rivers_expedition 메콩강의 문곡에서 양자강의 대곡까지 이어지는 두 달간의 급류 탐험]은 이 파트너십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윈난성의 안전, 문화, 경제, 보존을 고려하도록 장려했다. 모험 관광 부문을 조성하면 산림 벌채 금지 이전에 벌목에 의존했던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주민들에게 귀중한 경제적 자원을 가져다줄 것이다.

9. 교통

쿤밍을 중심으로 여러 철도 노선과 고속도로망이 뻗어 있으며, 모든 현청 소재지와 대부분의 향, 마을에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2급 국도는 958km, 3급 국도는 7571km, 4급 국도는 52248km에 달한다. 윈난성은 쿤밍에서 쓰촨성, 구이저우성, 광시 좡족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로 뻗어나가고, 더 나아가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태국으로 이어지는 통신망을 형성하고 있다.

멀리 옥룡설산이 보이는 리장의 도로


롱링 현의 중국 국도 320호선


윈난성을 통과하는 국도는 다음과 같다.

국도 번호노선
중국 국도 108호선
중국 국도 213호선
중국 국도 214호선
중국 국도 320호선
중국 국도 323호선
중국 국도 324호선
중국 국도 326호선



2007년 10월, 윈난성과 광시 좡족 자치구를 잇는 최초의 고속도로인 뤄푸(羅浮) 고속도로의 수얼롱쓰(梭羅寺)에서 핑위안제(平遠街) 구간이 개통되었다. 뤄푸 고속도로는 윈난성에서 광시 좡족 자치구와 연안 항구로 가는 주요 도로가 되었으며, 총 길이는 79.3km로, 윈난성과 광시 좡족 자치구 간의 통근 시간을 3시간 30분에서 50분으로 단축했다.

윈난성을 통과하는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고속도로 번호 및 이름구간
쿤밍-방콕 고속도로 (G8511 쿤모 고속도로)
G5611 따리 고속도로따리 ~ 리장
G78 산쿤 고속도로산터우 ~ 쿤밍
G80 광쿤 고속도로광저우 ~ 쿤밍
G8011 카이허 고속도로훙허 주 카이위안 ~ 베트남 국경의 허커우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은 2012년 6월 28일에 개항하여 쿤밍 우지바 국제공항을 대체하였다.[99] 이 외에도 바오산, 자오퉁, 리장, 푸얼, 린창 등 각 지급시와 망시, 샹그릴라시, 다리시, 징홍시 등 각 현급시에 공항이 설치되어 중국 각지와 연결되어 있다.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은 국제공항으로서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유럽, 미국 등 각국의 도시들과 더불어 일본과의 항공 노선도 보유하고 있다.

9. 1. 철도

쿤밍을 중심으로 여러 철도 노선이 방사형으로 뻗어 있다. 베트남 국경의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까지는 쿤밍-위시선이 운행되고 있다. 라오스 국경의 멍라현까지는 위시-모허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그곳에서는 중국-라오스 철도에 연결된다. 미얀마 국경의 뤄이시까지는 다쭈이선이 건설 중이다. 또한 티베트 자치구와 전장선으로 연결하는 계획이 존재하며, 샹그릴라시까지 개통되어 있다.

9. 2. 도로

쿤밍을 중심으로 고속도로망이 구축되어 있으며, 모든 현청 소재지와 대부분의 향, 마을에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현재 모든 현청 소재지는 쿤밍에서 포장된 사계절 도로로 접근 가능하며, 모든 향(鄕)에도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모든 마을의 약 절반이 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2급 국도는 958km, 3급 국도는 7571km, 4급 국도는 52248km에 달한다. 운남성은 쿤밍에서 쓰촨성, 구이저우성, 광시 좡족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로 뻗어나가고, 더 나아가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태국으로 이어지는 통신망을 형성하고 있다.

운남성을 통과하는 국도는 다음과 같다:

국도 번호노선
중국 국도 108호선
중국 국도 213호선
중국 국도 214호선
중국 국도 320호선
중국 국도 323호선
중국 국도 324호선
중국 국도 326호선



2007년 10월, 운남성과 광시 좡족 자치구를 잇는 최초의 고속도로인 뤄푸(羅浮) 고속도로의 수얼롱쓰(梭羅寺)에서 핑위안제(平遠街) 구간이 개통되었다. 뤄푸 고속도로는 운남성에서 광시 좡족 자치구와 연안 항구로 가는 주요 도로가 되었다. 뤄푸 고속도로는 운남성과 광시 좡족 자치구의 경계에 있는 뤄(羅) 마을 삼거리에서 시작하여 원산 주푸닝 현에서 끝난다. 고속도로 총 길이는 79.3km이며, 운남성과 광시 좡족 자치구 간의 통근 시간을 이전의 3시간 30분에서 단 50분으로 단축했다.

운남성을 통과하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고속도로 번호 및 이름구간
쿤밍-방콕 고속도로 (G8511 쿤모 고속도로)
G5611 따리 고속도로따리 ~ 리장
G78 산쿤 고속도로산터우 ~ 쿤밍
G80 광쿤 고속도로광저우 ~ 쿤밍
G8011 카이허 고속도로훙허 주 카이위안 ~ 베트남 국경의 허커우



주요 고속도로로는 수도 방사선을 구성하는 경곤고속도로(京昆高速道路), 남북 종관선을 구성하는 유곤고속도로(渝昆高速道路), 동서 횡단선을 구성하는 항취고속도로·호곤고속도로·산쿤고속도로·광쿤고속도로가 성내를 통과한다. 미얀마 국경의 루이리시까지는 항취고속도로, 라오스 국경의 멍라현까지는 곤마고속도로, 베트남 국경의 허커우까지는 개하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9. 3. 항공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은 2012년 6월 28일에 개항하여 쿤밍 우지바 국제공항(Kunming Wujiaba International Airport)을 대체하였다.[99] 윈난성에는 쿤밍에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청두, 하이커우, 충칭, 선양, 하얼빈, 우한, 시안, 란저우, 항저우, 샤먼, 난닝, 선전, 구이양, 창사, 구이린, 라싸, 홍콩으로 향하는 20개의 국내선 항공 노선이 있다. 또한 쿤밍에서 징홍, 망시, 린창, 텅충, 리장, 다리, 샹그릴라, 자오퉁, 바오산, 푸얼, 닝랑 르구호로 향하는 11개의 성 내 항공 노선과 쿤밍에서 방콕, 콜카타, 치앙마이, 양곤, 싱가포르, 서울, 하노이, 호찌민시, 쿠알라룸푸르, 비엔티안으로 향하는 10개의 국제선 항공 노선이 있다.

윈난성의 성도 쿤밍시의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을 비롯하여, 바오산시, 자오퉁시, 리장시, 푸얼시, 린창시 등 각 지급시와 망시, 샹그릴라시, 다리시, 징홍시 등 각 현급시에 공항이 설치되어 중국 각지와 연결되어 있다.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은 국제공항으로서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유럽, 미국 등 각국의 도시들과 더불어 일본과의 항공 노선도 보유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oing Business in Yunnan Province of China http://english.mofco[...] Ministry of Commerc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8-05
[2]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Seven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No. 3)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1-05-11
[3] 웹사이트 National Data https://data.stats.g[...]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4-03-01
[3] 웹사이트 2023年云南省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s://www.yn.gov.c[...] yunnan.gov.cn 2024-03-29
[4]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ices (8.0)- China https://globaldatala[...]
[5] 백과사전 Yunnan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6] 사전 Yunnan Merriam-Webster
[7] 웹사이트 Yunnan http://www.china.org[...] PRC Central Government Official Website
[8] 학술지 The Legacy of Immigration in Southwest China, 1250–1850 https://www.persee.f[...]
[9] 서적 Pains and Gains of Ethnic Multilingual Learners in China: An Ethnographic Case Stud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4-18
[10] 서적 Genetic,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perspectives on human diversity in Southeast Asia World Scientific 2001
[11] 뉴스 A Tea From the Jungle Enriches a Placid Village https://www.nytimes.[...] 2008-04-21
[12] 학술지 The origin of the genus Cannabis 2022-04-01
[13] 서적 祥云县志 Zhonghua Book Company 1996
[14] 서적 云南地方沿革史 Yunnan People's Publishing House 1990
[15] 서적 云南地名探源 Yunnan People's Publishing House 1988
[16] 학술지 我国省区名称的来源 1980
[17] 학회 Conference on Ancient China and Social Science Generalizations, June 21–26, 1986, Airlie House, Virginia 1986
[18] 서적 Studies in Chinese archaeology and art Pindar Press 1998
[19] 서적 Yunnanese and Kunming Chinese : a study of the language communities, the phonological systems, and the phonological developments Lincom Europa 2001
[20] 서적 The Making of a Maritime Power : China's Challenges and Policy Responses Springer 2016-10-25
[21] 서적 Three kingdoms and Chinese culture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7
[22] 서적 Between Winds and Clouds The Making of Yunnan Second Century BCE to Twentieth Century C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23] 서적 The Golden Peaches of Samarkand: A Study of Tang Exo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3
[24] 서적 Treatises of the supervisor and guardian of the Cinnamon Sea (Guihai yuheng zhi)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0
[25] 서적 Study and teaching guide for the history of the medieval world National Geographic Books 2016-01-11
[26]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Facts On File 2009
[27] 서적 The Teachings of Master Wuzhu : Zen and religion of no-relig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
[28]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900 Routledge 2007
[29] 서적 Kublai Khan
[30] 웹사이트 Delimiting the Realm under the Ming Dynasty https://web.archive.[...]
[31] 서적 Ming China, 1368–1644: A Concise History of a Resilient Empi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32] 서적 The Song –Yuan-Ming Transition in Chinese History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3
[33] 학술지 The legacy of immigration in Southwest China, 1250–1850 https://www.persee.f[...] 1982
[34]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5] 서적 The Chinese Sultanate: Islam, Ethnicity, and the Panthay Rebellion in Southwest China, 1856–1873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36] 서적 Belief and Bloodshed: Religion and Violence across Time and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9-05-10
[37] 서적 The Islam Quintet: Shadows of the Pomegranate Tree, The Book of Saladin, The Stone Woman, A Sultan in Palermo, and Night of the Golden Butterfly https://books.google[...] Open Road Media 2019-05-10
[37] 서적 Night of the Golden Butterfly (Vol. 5) (The Islam Quintet)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9-05-10
[38] 논문
[39] 논문
[40] 간행물 An Australian in China http://gutenberg.net[...] 1895
[41] 웹사이트 Burma Road is reopened https://www.history.[...] 2019-06-05
[42] 서적 Lianda: a Chinese university in war and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43] 서적 Regional Geology of Yunnan Province https://books.google[...] Geological Publishing House
[44] 웹사이트 http://www.nmc.cn/pu[...] National Meteorological Centre of the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06-26
[45] 웹사이트 Biodiversity in China's Yunnan province https://unu.edu/publ[...] United Nations University 2011-04-26
[46] 웹사이트 Camellia – Star on Star in a Garden or Grove in Australia https://www.thecultu[...] The Cultural Concept 2014-03-27
[47] 웹사이트
[48] 논문 Biodiversity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Yunnan, China 2004-04-01
[49] 서적 A Guide to the Mammal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50] 논문 The Yunnan box turtle, Cuora yunnanensis (Boulenger 1906); historical background and an update on the morphology, distribution and vulnerabilities of the only known living specimens
[51] 웹사이트 Yunnan snub-nosed monkey, China https://gdri-ehede.u[...] University of Franche-Comté 2019-04-07
[52] 논문 Are Hylobates lar Extirpated from China?
[53] 웹사이트 Solving a dilemma caused by elephants http://www.ecns.cn/n[...] 2020-09-03
[54] 논문 Checklist of fishes of Yunnan
[55] 논문 Six decades of changes in vascular hydrophyte and fish species in three plateau lakes in Yunnan, China
[56] 논문 Sinopyrophorinae, a new subfamily of Elateridae (Coleoptera, Elateroidea) with the first record of a luminous click beetle in Asia and evidence for multiple origins of bioluminescence in Elateridae Pensoft Publishers 2019-07-17
[57] 웹사이트 Lijiang is to build Laojunshan National Park http://www.kunming.o[...] Kunming 2009-01-09
[58] 웹사이트 South China Karst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13-11-17
[59] 웹사이트 http://files2.mca.go[...] Ministry of Civil Affairs 2015-12-11
[60] 웹사이트 http://www.sztj.gov.[...] 中国统计出版社 2015-05-29
[61] 서적 中国统计出版社 2012
[62] 서적 中国统计出版社 2014-08
[63] 서적 中国统计出版社 2022
[64] 서적 中国统计出版社 2012
[65] 뉴스 Qin Guangrong re-elected governor of Yunnan Province http://news.xinhuane[...] 2008-01-24
[66] 웹사이트 http://www.ier.hit-u[...] 2014-03-06
[67] 웹사이트 http://www.ier.hit-u[...] 2014-03-06
[68] 웹사이트 http://www.ier.hit-u[...] 2014-03-06
[69] 웹사이트 http://www.ier.hit-u[...] 2014-03-06
[70]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1] 웹사이트 第二次全国人口普查结果的几项主要统计数字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2]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关于一九八二年人口普查主要数字的公报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3]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关于一九九〇年人口普查主要数据的公报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4] 웹사이트 现将2000年第五次全国人口普查快速汇总的人口地区分布数据公布如下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5]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Major Figures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6] 뉴스 FACTBOX-Key takeaways from China's 2020 population census https://www.reuters.[...] 2021-05-11
[77] 웹사이트 中国云南省五个民族DYS287位点多态性的调查 http://www.windrug.c[...] Windrug.com 2013-11-17
[78] 웹사이트 云南省宗教信教群众达400余万人 http://yn.cppiae.com[...] 2005-07-27
[79] 논문 https://baylor-ir.td[...] Baylor University 2015
[80] 웹사이트 Yunnan coffee https://urbandweller[...] 2017-05-12
[81] 웹사이트 Chinese Tea in World History https://www.asianstu[...] 2024-09-11
[82] 웹사이트 Tea and the Chinese Way of Life - All about China {{!}} Radio86.com http://en.radio86.co[...] 2011-08-16
[83] 웹사이트 China Economy @ China Perspective http://www.thechinap[...] Thechinaperspective.com 2013-11-13
[84]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http://www.wdl.org/e[...] Harper & Brothers
[85] 서적 How China Works: An Introduction to China's State-led Economic Development Palgrave Macmillan
[86] 웹사이트 Myanmar to open second largest border trade zone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2006-02-13
[87] 웹사이트 统计公报--云南省统计局-- http://stats.yn.gov.[...]
[88] 웹사이트 Kunming Economic & Technology Development Zone http://rightsite.asi[...] RightSite.asia
[89] 웹사이트 Kunming High-tech Industrial Development Zone http://rightsite.asi[...] RightSite.asia
[90] 웹사이트 Ruili Border Economic Cooperation Zone http://rightsite.asi[...] RightSite.asia
[91] 웹사이트 Wanding Border Economic Cooperation Zone | China Industrial Space http://rightsite.asi[...] Rightsite.asia
[92] 웹사이트 Qujing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Zone http://rightsite.asi[...] RightSite.asia
[93] 웹사이트 Chuxiong Economic Development Zone http://rightsite.asi[...] RightSite.asia
[94] 웹사이트 Hekou Border Economic Cooperation Zone http://rightsite.asi[...] RightSite.asia
[95] 논문 Women's status, institutional barriers and reproductive health care: A case study in Yunnan, China
[96] 웹사이트 Literacy Co-ordination Office of Yunnan Province http://portal.unesco[...] Portal.unesco.org
[97] 간행물 Yunnan DQ Testing Turns Up Fake Artesunates, Health Officials Alerted http://www.usp.org/p[...] USP Drug Quality and Information Program
[98] 논문 Spatial variation of ''Yersinia pestis'' from Yunnan Province of China
[99] 웹사이트 昆明长水国际机场2012年6月28日08:00正式启用 http://www.kmgairpor[...]
[100] 웹사이트 Headhunting days are over for Myanmar's "Wild Wa" http://www.alertnet.[...] Alertnet.org
[101] 웹사이트 Article on the tea growing regions of Yunnan http://www.the-leaf.[...] The-leaf.org 1985-06-11
[102] 논문 Plant diversity in Yunna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2020-08-01
[103] 웹사이트 Yunnan catches up http://www.ttgmice.c[...] TTGmice 2024-02
[104] 뉴스 Burmese junta profits from Chinese pipeline http://www.telegraph[...] 2008-01-14
[105] 웹인용 1912年中国人口 http://www.ier.hit-u[...] 2014-03-06
[106] 웹인용 http://www.ier.hit-u[...] 2014-03-06
[107] 웹인용 http://www.ier.hit-u[...] 2014-03-06
[108] 웹인용 http://www.ier.hit-u[...] 2014-03-06
[109]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110]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111]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112]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113]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114] 웹인용 Communiqué of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Major Figures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