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성관 화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성관 화재는 1991년 10월 17일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 위치한 나이트클럽 '거성관'에서 발생한 방화 사건이다. 당시 29세 김정수가 나이트클럽 입장을 거부당한 것에 격분하여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질렀으며, 이로 인해 16명이 사망하고 13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화재는 무대와 탈의실 등을 태워 약 150만 원의 재산 피해를 냈고, 7분 만에 진화되었다. 좁은 정문 폭, 유독 가스, 전원 차단 등으로 인해 인명 피해가 커졌으며, 당시 종업원들의 안전 불감증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서구 - 서구 (대구광역시)
대구 서구는 대구광역시 중서부에 위치하며 섬유, 염색, 기계공업 중심의 경제 지역이고 대구 도시철도 2, 3호선이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자 한국폴리텍6대학 본부대학이 위치한 곳이다. - 대구 서구 - 서문시장
서문시장은 조선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된 대구의 전통 시장으로, 현재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며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이 지나 대중교통 접근성이 용이하다. - 나이트클럽 화재 - 콜렉티브 나이트클럽 화재
2015년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의 콜렉티브 나이트클럽에서 굿바이 투 그래비티 밴드의 콘서트 중 발생한 불꽃으로 인해 가연성 물질로 마감된 클럽 내부에서 화재가 빠르게 확산되어 64명이 사망하고 146명이 부상당한 참사로, 루마니아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정치적 변화를 이끌었다. - 나이트클럽 화재 - 페름 나이트클럽 화재
2009년 러시아 페름의 크롬 나이트클럽에서 발생한 화재는 불꽃놀이 장치에서 시작되어 156명의 사망자와 79명의 부상자를 낸 대형 참사로, 러시아 정부는 국가 애도의 날을 선포하고 화재 안전 규정을 재검토했다. - 대구광역시의 역사 - 경상북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일제강점기)는 1925년부터 1944년까지의 인구, 행정 구역, 도지사, 사법, 경찰, 세무, 교육, 교통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1945년 당시 대구부와 20개 군, 울릉도를 관할 구역으로 두었다. - 대구광역시의 역사 - 현풍군
현풍군은 신라시대부터 이어진 현풍 지역이 조선시대 현풍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달성군에 편입되어 소멸되었고 현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일부이다.
거성관 화재 | |
---|---|
사건 개요 | |
사건 | 거성관 방화 사건 |
날짜 | 1991년 10월 17일 |
시간 | 오후 9시 50분 (KST) |
위치 | 대구직할시 서구 비산동 |
원인 | 방화 |
최초 보고자 | 대구서부소방서 |
참여자 | 김정수 |
피해 | |
보고된 사망자 | 16명 |
보고된 부상자 | 13명 |
보고된 재산 피해 | 재산 피해:약 150만원으로 추산 |
2. 사건 개요
경상북도 금릉군 부항면 부산리 308번지에 거주하던 농민 김정수(당시 29세)가 1991년 10월 17일 오후 9시 50분경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 위치한 나이트클럽 '거성관' 실내 무대 위에 휘발유를 뿌리고 가지고 있던 라이터로 불을 질렀다. 이 방화 사건으로 인해 나이트클럽 안에 있던 손님들 중 16명이 사망하고 13명이 중상 또는 경상을 입었다.
방화범 김정수는 자신의 친구 3명과 대구 시내에서 맥주 6병 정도를 마신 뒤 거성관 나이트클럽에 입장하려 했다. 그러나 종업원이 옷차림이 누추하다는 이유로 입장을 거부하자 이에 격분하여 범행을 결심했다. 김정수는 나이트클럽에서 약 80m 떨어진 인근 주유소에서 휘발유 3천원 어치(6L)를 구입한 뒤, 나이트클럽 뒷문으로 들어가 불을 질렀다.
불은 전체 내부 120여 평 중 무대 5평 및 탈의실 등 방 2칸을 태워 약 150만원 정도의 재산 피해를 내고 화재 발생 7분 만에 진화되었다.
화재로 인해 16명이 사망하고 13명이 중경상을 입는 큰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3. 범행 동기
4. 화재 발생 및 진화
5. 인명 피해
피해가 커진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화재 발생 직후 종업원의 초기 대응 미숙이었다. 종업원은 화재를 누전으로 오인하여 내부 전원을 차단했고, 이로 인해 실내는 순식간에 암흑으로 변했다.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손님들은 출구를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며 큰 혼란에 빠졌다. 게다가 바닥에 깔린 카펫 등이 타면서 치명적인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또한, 화재 초기 손님들 대부분은 불길과 연기를 화려한 무대 연출의 일부로 착각했다. 뒤늦게 화재 사실을 인지했을 때는 이미 전기가 모두 차단된 상태여서 신속한 대피가 어려웠다. 100여 명의 손님들이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단 하나뿐인 출구를 향해 몰리면서 아수라장이 되었다. 거성관의 정문 폭은 2.6m에 불과하여 병목 현상이 발생했고, 이는 탈출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설상가상으로, 화재 발생 후 종업원 20여 명 중 상당수가 손님들의 대피를 돕지 않고 먼저 현장을 벗어난 사실도 인명 피해를 키운 요인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총체적인 대응 부실과 안전 의식 부족은 당시 사회의 안전 불감증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로 남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