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상북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북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경상북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1925년부터 1944년까지의 인구 통계, 행정 구역, 역대 도지사, 사법, 경찰, 세무, 전매, 기상, 고등교육기관, 군사, 교통, 광업, 신사, 기업, 미디어, 출신 유명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1945년 당시 경상북도에는 대구부가 있었고, 20개의 군과 울릉도가 관할 구역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역사 - 독도의 달
    독도의 달은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에 대한 반발로 제정되어 독도가 대한민국 고유 영토임을 알리고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10월에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개최되는 행사 기간이다.
  • 경상북도의 역사 - 대구읍성
    대구읍성은 왜구 침략에 대비해 축성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파괴된 후 석성으로 재축성되었지만, 일본인들의 상권 확장과 도시 개발을 이유로 철거되었고, 이로 인해 대구의 상권이 일본인들에게 넘어가 조선인들의 상권이 쇠퇴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전라북도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의 지배 아래 놓인 전라북도 지역으로, 조선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일본인이 소수를 이루었으며, 부, 군,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과 전주지방법원, 전주형무소 등의 사법 및 치안 기관, 그리고 전주지방전매국, 군산세무서 등의 경제 기관이 설치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활동과 철도, 도로, 항만을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하고 일본어 신문과 라디오 방송국이 운영되었으며,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전주신사를 비롯한 여러 신사가 설치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경상남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는 인구가 증가하고 농림수산업, 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철도와 항만이 주요 교통 시설로 이용되었고, 부산, 마산 등지에 신사가 있었으며, 조선방송협회 방송국이 운영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역사 - 현풍군
    현풍군은 신라시대부터 이어진 현풍 지역이 조선시대 현풍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달성군에 편입되어 소멸되었고 현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일부이다.
  • 대구광역시의 역사 - 대구부 (1910년)
    대구부(1910년)는 일제강점기인 1910년에 대구 지역의 행정 구역을 지칭하며, 13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구부(1914년) 등으로 개편되었다.
경상북도 (일제강점기)
지도
1945년 8월 15일 당시 경상북도
기본 정보
행정 구역 명칭경상북도
로마자 표기Gyeongsangbuk-do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Kyŏngsangbuk-to
영어 표기Keishōhoku-dō / Gyeongsangbuk-do
한글 표기경상북도
한국 한자 표기慶尙北道
일본어 표기けいしょうほくどう
일본어 가타카나 표기キョンサンブクト
통계
국가 정보
국가j
상징
기타

2. 인구

1925년부터 1944년까지 일제강점기 경상북도의 인구는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1940년에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으나, 1944년에는 다시 증가하여 260만 명을 넘어섰다.

1936년 현주민구조사에 따르면, 경상북도 전체 인구 2,454,275명 중 조선인이 2,402,970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일본인은 49,887명, 기타 민족은 1,418명이었다.

2. 1. 인구 변화 추이

연도인구비고
1925년2,332,572명
1930년2,416,762명
1935년2,563,251명
1940년2,472,211명
1944년2,605,461명



1944년 조사에서 민족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았다.

민족인구
조선인2,562,914명
일본인42,055명
기타492명


3. 행정 구역

1945년 당시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경상북도는 한반도 동남부 경상도 지방의 북쪽에 위치한다. 동쪽은 동해에 접하고, 북쪽으로는 강원도, 서쪽으로는 충청북도·전라북도, 남쪽으로는 경상남도와 인접해 있다.

3. 1. 부 (府)

대구부

3. 2. 군 (郡)

군명
달성군공산면, 동촌면, 가창면, 다사면, 하빈면, 성서면, 월배면, 화원면, 옥포면, 논공면,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
군위군군위면, 소보면, 효령면, 부계면, 우보면, 의흥면, 산성면, 고로면
의성군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옥산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안동군안동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산면,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월곡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청송군청송면, 부동면, 부남면, 현동면, 현서면, 안덕면, 파천면, 진보면
영양군영양면, 입암면,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석보면
영덕군영덕면,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
영일군포항읍, 구룡포읍, 달전면, 흥해면, 곡강면,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죽장면, 기계면, 연일면, 대송면, 오천면, 동해면, 지행면
경주군경주읍, 감포읍, 내동면, 양북면, 양남면, 외동면, 내남면, 산내면, 서면, 현곡면, 강서면, 강동면, 천북면
영천군영천읍, 청통면, 신녕면, 화산면, 화북면, 자양면, 임부면, 고경면, 북안면, 대창면, 금호면
경산군경산면, 고산면, 안심면, 하양면, 와촌면, 진량면, 자인면, 용성면, 남산면, 압량면, 남천면
청도군청도면, 화양면, 각남면, 풍각면, 각북면, 이서면, 운문면, 금천면, 매전면
고령군고령면,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성주군성주면,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월항면
칠곡군왜관면, 지천면, 칠곡면, 동명면, 가산면, 인동면, 석적면, 북삼면, 약목면
김천군김천읍, 농소면, 남면, 아포면, 개령면, 감문면, 어모면, 봉산면, 대항면, 감천면, 조마면, 구성면, 지례면, 부항면, 대덕면, 증산면
선산군선산면,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산동면, 장천면, 구미면, 고아면
상주군상주읍, 사벌면, 중동면, 낙동면, 청리면, 공성면, 외남면, 내서면, 모동면, 모서면, 화동면, 화서면, 화북면, 외서면, 은척면, 공검면, 함창면, 이안면
문경군문경면, 마성면, 가은면, 농암면, 호계면, 호서남면, 영순면, 산양면, 산북면, 동로면
예천군예천읍, 용문면, 상리면, 하리면, 감천면, 보문면, 호명면, 유천면, 용궁면, 개포면, 지보면, 풍양면
영주군영주읍, 이산면, 평은면, 문수면, 장수면, 안정면, 봉현면, 풍기면, 순흥면, 단산면, 부석면
봉화군내성면, 물야면, 봉성면, 법전면, 춘양면, 소천면, 상운면, 재산면, 명호면


3. 3. 섬

울릉도

4. 역대 도지사

武永 憲樹|다케나가 가즈키일본어嚴昌燮
武永 憲樹|다케나가 가즈키일본어1943년 9월 30일1944년 8월 17일조선인이창근李昌根1944년 8월 17일1945년 6월 16일조선인김대우金大羽1945년 6월 16일1945년 8월 15일광복



1919년 8월 이전에는 “경상북도 도장관”이었다.

5. 사법

1941년 당시 경상북도에는 대구고등법원, 대구지방법원 및 여러 지청과 대구형무소, 김천소년형무소가 있었다.

5. 1. 법원 (재판소)

1941년 당시 경상북도 지역의 법원
대구고등법원
대구지방법원
대구지방법원 김천지청
대구지방법원 상주지청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
대구지방법원 경주지청
대구지방법원 영덕지청


5. 2. 형무소

1941년 당시 경상북도에는 다음의 형무소가 있었다.

6. 경찰

1927년 당시 경상북도 경찰부는 대구경찰서를 비롯하여 군위경찰서, 의성경찰서, 안동경찰서, 청송경찰서, 영양경찰서, 영덕경찰서, 포항경찰서, 경주경찰서, 영천경찰서, 경산경찰서, 청도경찰서, 고령경찰서, 성주경찰서, 왜관경찰서, 김천경찰서, 선산경찰서, 상주경찰서, 문경경찰서, 예천경찰서, 영주경찰서, 봉화경찰서, 울릉도경찰서 등 총 23개의 경찰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6. 1. 헌병경찰제도 하 헌병부대

1915년(다이쇼 4년) 당시 대구헌병대 예하에 다음의 헌병분대가 있었다.

7. 세무

昭和일본어 16년(1941년) 당시

8. 전매

1941년 당시 대구지방전매국이 있었다.

9. 기상

1942년 당시 경상북도 지역에는 대구기상관측소와 울릉도기상관측소가 있었다.

10. 고등교육기관

학교명개교 연도소관비고
상주공립농잠학교1921년경상북도현재의 경북대학교
대구사범학교1923년조선총독부현재의 경북대학교
대구의학전문학교1929년조선총독부현재의 경북대학교
대구농업전문학교1944년조선총독부현재의 경북대학교


11. 군사

보병 제80연대 (대구부)

12. 교통

1945년 당시 경상북도에는 경부선, 경원선, 동해선, 경북선, 대구선 등의 철도 노선이 있었다.

12. 1. 철도

12. 2. 도로

1927년(쇼와 2년) 당시 경상북도 내의 도로는 다음과 같았다.

도로명
경성부산선
대구안동선
대구경주선
대구통영선
영천의성선
경주양양선
진주상주선
부산경주선
영천울진선
충주-영덕선
함창-안동선


12. 3. 항만

1931년 당시 경상북도 지역의 주요 항구는 다음과 같았다.

항구 이름
강구항
포항항
구룡포항
감포항
추산항


13. 광업

경상북도 지역의 주요 광산으로는 득수광산(납), 칠보광산(은·구리·비소), 금정금산, 문경무연탄광업소, 봉명흑연광업소가 있었다.

14. 신사

15. 기업

회사명자본금 (1940년 기준)
감포어업(甘浦鰛産業)500000JPY 이상
사에이구미 수산(三栄組水産)500000JPY 이상
영일만 어업(迎日湾漁業)500000JPY 이상
조선생사500000JPY 이상
경북화물자동차500000JPY 이상
경북산업500000JPY 이상
경북상공500000JPY 이상
경상합동은행500000JPY 이상
경북무진500000JPY 이상
조선토지흥업500000JPY 이상
선만산업500000JPY 이상


16. 미디어

1945년 8월 당시 조선방송협회 대구방송국(호출 부호: JBGK)이 있었다. 1941년 당시 조선민보와 대구일보가 있었다.

16. 1. 라디오 방송국

조선방송협회 대구방송국(호출 부호: JBGK)이 있었다.

16. 2. 일본어 신문

1941년 당시 경상북도 지역의 일본어 신문은 다음과 같다.

17. 출신 유명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