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인 (신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인(舉人)은 중국 과거제도에서 지방 시험인 향시에 합격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한나라 때부터 청나라 말기까지 사용되었다. 당나라, 송나라 시대에는 진사과 응시자를, 명·청나라 시대에는 향시 합격자를 지칭했으며, 1904년 과거제 폐지와 함께 사라졌다. 거인이 되는 방법으로는 과거 시험을 통과하는 정규 경로와 관직을 매수하는 비정규 경로가 있었다. 거인은 하급 관료로 임용될 자격을 얻고, 사회적 특권과 경제적 혜택을 누렸으며, 무과 시험 합격자에게는 무거인 칭호가 주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교육사 - 동문관
    동문관은 1862년 청나라가 외국어 인재 양성을 위해 설립한 교육 기관으로, 다양한 외국어와 근대 학문을 교육하고 번역 및 출판 활동을 하다가 1900년 의화단 운동으로 폐쇄된 후 1902년 경사대학당에 흡수되었다.
  • 중국의 교육사 - 삼자경
    삼자경은 세 글자씩 짧은 구절로 이루어진 중국 전통 아동 학습서로, 유교적 가치관, 역사, 생활 상식 등을 담고 있으며, 쉬운 어휘와 운율로 암송하기 용이하여 널리 활용되었고 주변 국가에도 전파되었다.
  • 학위 - 박사
    박사는 대학원에서 수여하는 최고 학위로, 대한민국에서는 대학원 박사 과정을 마친 사람에게 수여되는 학위이자 과거 국가 교육기관 교수나 기술자에게 주던 벼슬 명칭이었으며, 영어 'doctorate'는 '가르치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중세 유럽 대학의 교수 자격을 의미했고, 현대에는 연구 및 전문 박사 학위로 나뉜다.
  • 학위 - 법무박사
    법무박사(JD)는 미국 등 영미법 국가에서 변호사 자격 취득에 필수적인 법률 전문 학위로, 로스쿨 3년 과정을 통해 취득하며 판례 방법과 소크라테스식 방법론을 교육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국가별로 교육 과정과 변호사 자격 취득 방식에 차이가 있고 "박사" 호칭 사용에 대한 논쟁이 있다.
거인 (신분)
개요
설명거인(舉人)은 명나라청나라 시대에 향시에 합격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칭호이다.
역할중앙 정부에서 관리직을 얻기 위한 자격 획득.
의미추천된 사람
역사
기원수나라당나라 시대의 지방 정부가 수도로 인재를 추천하는 것에서 유래.
명나라와 청나라과거 제도 하에서 두 번째로 높은 학위.
합격자는 공생이 될 자격이 주어짐.
전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짐.
시험3년에 한 번씩 각 성의 성도에서 치러짐.
합격률평균 1~2%.
특권사회적 지위 상승.
세금 및 요역 면제.
하급 관리 임명 가능.
영향지역 사회에서 상당한 영향력 행사.
신사 계층의 일원.
과거 등급
종류수재(秀才)
거인(舉人)
진사(進士)

2. 역사

“거인(舉人)”이라는 용어는 처음 한나라 시대에 지방 차원에서 관직에 추천된 사람들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5] 이들은 중앙 정부 시험에 합격해야만 관직을 받을 수 있었다.[6] 수나라 때 과거 제도가 처음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3] , , 시대에는 “거인”이라는 용어가 국가 시험의 응시자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5] 시대에 과거 제도는 성숙해지고 확립되었다.[2] 이후 왕조에서는 “거인” 칭호는 지방 시험에 합격한 응시자들에게 수여되었다. 베트남에서도 성(省)급 시험 합격자가 이렇게 불렸다. “거인” 칭호는 1904년 과거제 폐지와 함께 끝났다.[7]

2. 1. 한나라

"거인(舉人)"이라는 용어는 처음 한나라 시대에 지방 차원에서 관직에 추천된 사람들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5] 이들은 중앙 정부 시험에 합격해야만 관직을 받을 수 있었다.[6]

한(漢)에서는 시험을 통해 인재를 채용하는 것이 아니라, 군국의 장관이 인재를 추천하는 향거리선이 시행되었다. 향거리선에서 뽑힌 자를 거인이라 불렀다.

2. 2. 수, 당, 송나라

수나라 때 과거 제도가 처음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3] , , 시대에는 “거인”이라는 용어가 국가 시험의 응시자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5] 당나라송나라에서는 과거 제도를 통해 인재를 등용하였는데, 그중 진사과에 응시하는 자를 거인이라 불렀다.

2. 3. 명, 청나라

명나라·청나라 시대에 과거 시험 중 향시에 합격한 사람을 거인(舉人)이라 불렀으며, “대회상(大会状)”, “대춘원(大春元)”이라고도 칭했다.[2] 그 외에 “노야(老爺)”라고 속칭하거나, 칭찬하는 뜻으로 “효렴(孝廉)”이라고도 했다. 거인이 되는 것을 “발해(発解)”, “발달(発達)”이라고 불렀다.[7]

청나라의 향시 시험장

2. 4. 근대

“거인(舉人)”이라는 용어는 처음 한나라 시대에 지방에서 관직에 추천된 사람들을 가리킬 때 사용되었다.[5] 이들은 중앙 정부 시험에 합격해야만 관직을 받을 수 있었다.[6]

수나라 시대에 과거 제도가 처음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3] , , 시대에는 “거인”이라는 용어가 국가 시험 응시자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5] 시대에 과거 제도는 성숙해지고 확립되었다.[2] 이후 왕조에서는 지방 시험에 합격한 응시자들에게 “거인” 칭호가 수여되었다. 이 칭호는 1904년 과거제 폐지와 함께 사라졌다.[7]

3. 선발 과정

명나라청나라 시대에는 거인(舉人)이 되는 두 가지 주요 경로가 있었다. 하나는 과거 시험을 통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관직을 매수하는 것이었다.[4]

한(漢)에서는 군국의 장관이 인재를 추천하는 향거리선 제도를 통해 인재를 채용했으며, 이때 뽑힌 자를 거인이라 불렀다. 당나라송나라에서는 과거 제도를 통해 인재를 등용했는데, 그중 진사과에 응시하는 자를 거인이라 불렀다. 명나라청나라에서는 과거 시험 중 향시에 합격한 자를 거인(挙人)이라 불렀으며, “대회상(大会状)”, “대춘원(大春元)”이라고도 칭했다. 그 외 속칭으로는 “노야(老爺)”, 칭찬하는 뜻으로는 “효렴(孝廉)”이라고 했다. 거인이 되는 것을 “발해(発解)”, “발달(発達)”이라고 한다. 베트남에서도 마찬가지로 성(省)급 시험 합격자를 거인이라 불렀다.

3. 1. 과거 시험 (정도, 正途)

명나라청나라 시대에 지방급 과거 시험인 향시에 합격한 응시자는 주자격(舉人)을 수여받았다.[2] 이 시험은 생원(生員) 학위 소지자만이 응시할 수 있었으며, 사회경제적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남성에게 응시 자격이 주어졌다.[2] 여성, 불교 및 도교 승려, 상인은 응시할 수 없었으나,[13] 명나라 시대부터는 상인의 아들도 응시할 수 있게 되었다.[11]

과거 시험에서 1등을 차지한 주자격은 해원(解元) 칭호를 받았다.[3] 응시자는 자신이 등록된 성에서만 시험을 치를 수 있었고, 다른 성에서 응시하는 것은 금지되었다.[8] 이러한 과정을 정도(正途)라고 불렀다.[3]

시험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답안은 채점 전에 붉은 잉크로 옮겨 적어 채점관이 응시자의 필체를 통해 신분을 파악하거나 특정인에게 유리하게 판정하는 것을 방지했다.[11][13]

한(漢)에서는 군국의 장관이 인재를 추천하는 향거리선 제도를 통해 인재를 채용했으며, 이때 뽑힌 자를 거인이라 불렀다. 당나라송나라에서는 과거 제도를 통해 인재를 등용했는데, 그중 진사과에 응시하는 자를 거인이라 불렀다.

1873년 광둥의 7,500개 칸으로 구성된 중국 과거 시험장. 이러한 칸들은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3. 1. 1. 응시 자격

거인(舉人)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지방 과거 시험인 향시에 합격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칭호였다.[2] 향시는 3년마다 각 성의 성도(省都)에서 실시되었다.[2]

응시 자격은 사회경제적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남성에게 주어졌지만, 몇 가지 제한이 있었다. 우선, 응시자는 생원(生員) 학위를 소지하고 있어야 했다.[2] 또한, 응시자는 자신이 등록된 성에서만 시험을 치를 수 있었으며, 다른 성에서 응시하는 것은 금지되었다.[8]

나이 제한이나 응시 횟수 제한은 없었고, 관리의 추천도 필요하지 않았다.[2][9] 그러나 여성, 불교 및 도교 승려, 상인은 응시할 수 없었다.[13] 명나라 시대에 이르러서야 상인의 아들도 과거 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되었다.[11]

3. 1. 2. 시험 단계 및 내용

향시(鄕試)라고 불리는 지방 시험은 3단계의 필기 시험으로 진행되었다.[9] 응시자는 시험의 세 단계 모두에 참여해야 했다.[10]

지방 시험은 각 시험이 하루에 걸쳐 진행되는 세 차례의 세션으로 이루어졌으며,[3][13] 각 시험일 사이에는 3일의 간격이 있었다.[3] 시험은 하루 일찍 시작되었고, 응시자들은 시험장 문에 모였으며, 이름이 호명된 후에만 시험장에 입장할 수 있었다.[13] 각 응시자에게는 응시자가 시험에서 차지할 시험 칸을 식별하는 종이가 주어졌고, 시험장은 응시자들이 시험을 치르는 개방된 칸이 늘어선 긴 복도로 나뉘어져 있었다.[13] 한때, 밤낮으로 최대 1만 명에서 1만 2천 명의 응시자가 같은 시험장에 있을 수 있었다.[13]

지방시험의 세 차례 시험은 모두 교육과정의 서로 다른 영역을 평가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첫 번째 시험에서 응시자는 사서를 바탕으로 한 세 문제와 오경 중 하나를 바탕으로 한 네 문제에 답해야 했다. 네 문제의 답변에 사용할 경전은 응시자가 선택했다.[10] 두 번째 시험에서는 효경에 대한 논술을 작성해야 했다. 또한, 판결문 작성에 대한 다섯 편의 수필을 작성하고, 황제에게 올리는 상소문, 황제의 선언, 또는 다른 형태의 황제 칙령과 같은 정치적 글쓰기 형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작성해야 했다.[10] 세 번째 시험에서는 오경, 역사 및 행정 업무와 관련된 다섯 문제의 수필형 문제에 답해야 했다.[10]

시험 내용 외에도, 문체는 응시자 제출물의 평가 대상이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모든 응시자의 수필은 엄격한 병렬 산문 양식을 강제 적용하는 팔고문 형식으로 작성해야 했다. 이는 일종의 산문이었다.[15] 이 표준화된 형식에서 벗어난 구조로 글을 작성하면 탈락했다.[10]

과거 제도가 시행되는 동안 지방시험의 형식과 교육과정에는 사소한 변화가 있었다.

연도내용[10]
1663년과거 시험에서 팔고문 형식으로 글을 쓰는 것이 금지됨.
1668년팔고문 형식이 다시 도입됨.
1687년두 번째 시험에서 응시자를 위한 가능한 정치적 글쓰기 형태로 황제 선언과 칙령이 제외됨.
1758년첫 번째 시험에 송나라 신유학 합리주의 서적에 대한 질문이 추가됨.
1767년첫 번째 시험이 사서에 관한 세 문제로만 구성되도록 변경되었고, 오경에 대한 논술은 두 번째 시험으로 이동됨. 판결문 작성과 황제에게 올리는 상소문도 폐지됨. 대신 시 문제가 도입됨.
1782년시 문제가 첫 번째 시험으로 이동되었고, 송나라 신유학 합리주의에 대한 질문은 두 번째 시험으로 이동됨.
1787년시험에서 오경 중 하나를 선택하여 논술할 수 있었던 응시자의 선택권이 변경되어 응시자가 반드시 답해야 하는 오경의 특정 책이 설정됨. 같은 해에 신유학 합리주의에 대한 질문은 교육과정에서 제거됨.
1793년응시자는 모든 오경에 대한 수필을 작성해야 함.
1793년 이후지방시험의 교육과정이 고정됨.



당나라송나라에서는 과거 제도를 통해 인재를 등용하였는데, 그중 진사과에 응시하는 자를 거인이라 불렀다. 베트남에서도 마찬가지로 성(省)급 시험 합격자가 이렇게 불렸다. 명나라청나라에서는 과거 시험 중 향시에 합격한 자를 거인(挙人)이라 불렀다.

3. 1. 3. 공정성 확보 노력

과거 시험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엄격한 규칙이 적용되었다. 답안은 모두 채점 전에 붉은 잉크로 옮겨 적어 채점관이 응시자의 필체를 통해 신분을 파악하거나 특정인에게 유리하게 판정하는 것을 방지했다.[11][13] 최대 8명의 채점관이 응시자의 이름을 가린 채 시험지를 채점했으며, 채점 과정에서 특정 응시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사실이 드러나면 파면되었다.[14] 황제의 사신이 시험 감독을 위해 지방에 머무는 동안에는 그의 거처를 경비하여 응시자나 그들의 친척, 친구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였다.[13]

지방 시험은 각 시험이 하루 동안 진행되는 세 번의 회차로 구성되었고,[3][13] 각 시험일 사이에는 3일의 간격이 있었다.[3] 시험은 하루 일찍 시작되었고, 응시자들은 시험장 문에 모여 이름이 불린 후에야 시험장에 들어갈 수 있었다.[13] 각 응시자에게는 시험에서 사용할 칸을 알려주는 종이가 주어졌다. 시험장은 응시자들이 시험을 치르는 개방된 칸이 늘어선 긴 복도로 나뉘어 있었다.[13] 한때, 밤낮으로 최대 1만 명에서 1만 2천 명이 같은 시험장에 있기도 했다.[13]

3. 1. 4. 경쟁률

명나라 시대에 과거 시험을 통해 주자격(舉人) 학위를 취득하는 것은 경쟁이 매우 치열했다.[12] 1630년에는 중국 전역에서 약 49,200명의 응시자가 1,279개의 주자격 학위를 놓고 경쟁하여, 합격률은 2.6%에 불과했다.[12] 1800년부터 1905년까지는 매 지방 시험 이후 중국 전역에서 약 1,500명의 남성이 주자격 학위를 받았다.[7]

지방 차원의 할당제로 인해 주자격의 수는 제한되었다.[11]

3. 2. 관직 매수 (이도, 異途)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과거 시험 외에도 관직 매수를 통해 거인(舉人)이 될 수 있었다.[4] 관직 매수를 통한 학위 취득은 이도(異途) 또는 비정규적인 학위 취득 경로로 알려져 있었다.[3]

관직 매수는 捐納(juanna)라고 불렸으며, 과거 시험 합격 대신 매수를 통해 학위와 관직을 얻는 방식이었다. 이 제도는 명나라 때 공식적으로 도입되어 청나라 시대까지 이어졌다.[4] 이는 합법적인 과정이었으며 정부의 감독을 받았다.[4]

청나라 시대에는 남성들이 정부에 은을 지불하여 관리가 될 수 있었다. 관직 매수를 통해 거인(舉人) 직책에 임명되기 위한 자격 요건을 충족할 필요가 없었다. 관직 매수로 거인(舉人) 학위를 취득한 사람들은 과거 시험을 통해 학위를 취득한 사람들과 동일한 혜택, 특권, 승진 기회를 누렸다.[4] 남성들은 현급 입시 시험에 등록한 후 거인(舉人) 학위를 매수할 수 있었다.[7] 거인(舉人) 학위 소지자들이 자신의 경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관직 매수를 이용하는 것도 일반적이었다.[4]

4. 권한과 특권

주인(舉人)은 단순한 학위가 아니라 개인과 가문에 다양한 권한과 특권을 부여하는 중요한 사회적 지위였다. 이러한 특권에는 관직 진출, 사회적 지위 상승, 경제적 혜택, 법적 보호 등이 포함되었다.

주인(舉人)은 더 높은 관직을 얻을 수 있었으며, 중국 황제 시대에는 시험과 공적이 사회적 지위, 부, 명성, 정치적 권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11] 주인(舉人) 학위는 상속될 수 없었지만,[2] 생원 학위와 달리 평생 유지되는 칭호였다.[7]

주인(舉人)은 문과 과거 급제자를 제외한 모든 일반 백성에게 요구되는 노역이 면제되었고,[17] 일반적인 형법체벌에서 면제되었으며, 특별한 황제의 명령 없이는 체포될 수 없었다.[17]

4. 1. 관직 진출

탕 시대에는 진사 학위 소지자만 관직을 얻을 수 있었다.[16] 그러나 명나라청나라에서는 향시(鄕試)를 통과하여 주인(舉人) 학위를 얻으면 하급 관료가 될 자격이 주어졌다.[16] 명나라 초기와 중기에는 주인(舉人)이 현(縣), 주(州), 부(府)의 교육관으로 일했다.[12] 이는 그들에게 향시 시험관으로 활동할 자격을 부여했다. 진사 학위를 얻지 못한 주인은 곧바로 교육관이 되어 부와 현의 학교 교장과 부교장을 역임할 수 있었다.[17]

명나라 후기에는 주인(舉人)이 현령(縣令)직과 학교 교장 및 부교장직에 임명되었다.[12][17] 현령으로 임명된 자는 관할 지역 주민들에게서 세금을 징수할 책임이 있었다. 또한 현령은 관할 지역의 법과 질서, 그리고 도덕적 윤리 기준을 유지할 책임이 있었다.[18] 그러나 명나라 말기와 청나라에 이르러 진사 학위 소지자들이 고위 관직에서 주인 학위 소지자들을 대체하기 시작했다.[12]

중국의 문과 과거 제도 계층 구조


회시(會試)를 통해 문과 과거 제도의 최고 학위인 진사 학위를 얻을 기회를 가진 자는 주인 학위를 받은 자들뿐이었다.[7] 청나라에서는 진사 등급의 후보자는 향시를 통과하고 적어도 주인 등급을 획득한 아버지를 둔 것이 요구 사항이 되었다.[19]

4. 2. 사회적 특권

거인 등급은 학위 소지자와 그 가족에게 여러 특권을 부여했다. 과거 시험에 합격하면 관직을 얻을 수 있었는데, 탕 시대에는 진사 학위 소지자만 관직을 얻을 수 있었지만, 명나라청나라에서는 향시(鄕試)를 통과하여 거인(舉人) 학위를 얻으면 하급 관료가 될 자격이 주어졌다.[16] 명나라 초기와 중기에는 거인(舉人)이 현(縣), 주(州), 부(府)의 교육관으로 일했으며, 향시(鄕試) 시험관으로 활동할 자격도 주어졌다.[12] 진사(進士) 학위를 얻지 못한 거인(舉人)은 곧바로 교육관이 되어 부(府)와 현(縣)의 학교 교장과 부교장을 역임할 수 있었다.[17] 명나라 후기에는 거인(舉人)이 현령(縣令)직과 학교 교장 및 부교장직에 임명되었다.[12][17] 현령(縣令)은 관할 지역 주민들에게서 세금을 징수하고, 법과 질서, 도덕적 윤리 기준을 유지할 책임이 있었다.[18]

가정에서는 유망한 빈곤층 출신 개인을 지원하기 위해 자원을 모으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거인 등급이 가져다주는 특권 때문이었다.[2] 회시(會試)를 통해 최고 학위인 진사(進士) 학위를 얻을 기회는 거인(舉人) 학위를 받은 자들에게만 주어졌다.[7] 청나라에서는 진사(進士) 등급 후보자는 향시(鄕試)를 통과하고 적어도 거인(舉人) 등급을 획득한 아버지를 둔 것이 요구되었다.[19] 거인(舉人) 학위는 평생 유지되는 칭호였으며, 상속될 수는 없었다.[2][7]

거인(舉人)은 더 높은 관직을 얻을 가능성 외에도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얻었다. 일반 백성들은 거인(舉人)을 "라오예(老爺, your honor)"라고 불렀다.[17] 거인(舉人) 계급에 오르면 좋은 결혼의 전망이 개선되었고, 가족이 엘리트 지위를 얻거나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4][7] 예를 들어 거인(舉人) 학위 소지자는 자신의 업적을 알리기 위해 주택에 붉고 금색 비단 깃발이 달린 깃대를 세울 자격이 있었으며, 그 가족은 "깃대 가족"으로 불리며 명예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상징했다.[16][20]

거인(舉人)이 누린 법적 특권에는 문과 과거 급제자를 제외한 모든 일반 백성에게 요구되는 노역 면제가 포함된다.[17] 이들은 또한 일반적인 형법체벌에서 면제되었으며, 특별한 황제의 명령 없이는 체포될 수 없었다.[17] 거인(舉人) 가구는 지역 사회에서 최저 고용 수준과 임금 보장뿐만 아니라 세금 감면과 면제와 같은 경제적 특권도 누렸다.[4][15]

거인(舉人) 계급의 다른 특권으로는 일반 백성과 다른 의복, 마차, 경비병, 하인, 그리고 장례식 및 묘지 의식을 치를 권리가 포함되었다.[17] 예를 들어 학위 소지자는 선비의 도포를 입을 자격이 있었다.[21]

4. 3. 경제적 특권

명나라청나라에서는 향시(鄕試)를 통과하여 주인(舉人) 학위를 얻으면 하급 관료가 될 자격이 주어졌다.[16][2] 그 이전 당나라 시대에는 진사 학위 소지자만 관직을 얻을 자격이 있었다.[16] 명나라 초기와 중기에는 주인(舉人)이 현(縣), 주(州), 부(府)의 교육관으로 일했으며,[12] 이는 그들에게 향시(鄕試) 시험관으로 활동할 자격을 부여했다. 진사(進士) 학위를 얻지 못한 주인(舉人)은 곧바로 교육관이 되어 부(府)와 현(縣)의 학교 교장과 부교장을 역임할 수 있었다.[17] 명나라 후기에는 주인(舉人)이 현령(縣令)직과 학교 교장 및 부교장직에 임명되었다.[12][17] 현령(縣令)은 관할 지역 주민들에게서 세금을 징수하고, 법과 질서, 도덕적 윤리 기준을 유지할 책임이 있었다.[18] 그러나 명나라 말기와 청나라에 이르러 진사(進士) 학위 소지자들이 고위 관직에서 주인(舉人) 학위 소지자들을 대체하기 시작했다.[12]

주인(舉人) 가구는 지역 사회에서 최저 고용 수준과 임금 보장뿐만 아니라 세금 감면과 면제와 같은 경제적 특권도 누렸다.[4][15]

4. 4. 법적 특권

당나라 시대에는 진사 학위 소지자만 관직을 얻을 수 있었다.[16] 그러나 명나라청나라에서는 향시(鄕試)를 통과하여 주인(舉人) 학위를 얻으면 하급 관료가 될 자격이 주어졌다.[16] 명나라 초기와 중기에는 주인(舉人)이 현(縣), 주(州), 부(府)의 교육관으로 일했으며, 이는 향시(鄕試) 시험관으로 활동할 자격을 부여했다.[12] 진사(進士) 학위를 얻지 못한 주인(舉人)은 곧바로 교육관이 되어 부(府)와 현(縣)의 학교 교장과 부교장을 역임할 수 있었다.[17] 명나라 후기에는 주인(舉人)이 현령(縣令)직과 학교 교장 및 부교장직에 임명되었다.[12][17] 현령(縣令)은 관할 지역 주민들에게서 세금을 징수하고, 법과 질서, 도덕적 윤리 기준을 유지할 책임이 있었다.[18] 그러나 명나라 말기와 청나라에 이르러 진사(進士) 학위 소지자들이 고위 관직에서 주인(舉人) 학위 소지자들을 대체하기 시작했다.[12]

주인(舉人) 등급은 학위 소지자와 그 가족에게 상당한 특권을 가져다주었기 때문에, 가정에서 자원을 모아 유망한 빈곤층 출신 개인을 시험 과정 동안 지원하는 것이 드문 일이 아니었다.[2] 회시(會試)를 통해 문과 과거 제도의 최고 학위인 진사(進士) 학위를 얻을 기회를 가진 자는 주인(舉人) 학위를 받은 자들뿐이었다.[7] 청나라에서는 진사(進士) 등급의 후보자는 향시(鄕試)를 통과하고 적어도 주인(舉人) 등급을 획득한 아버지를 둔 것이 요구 사항이었다.[19] 주인(舉人) 학위는 생원(生員) 학위와 달리 평생 유지되는 칭호였으며, 상속될 수 없었다.[7][2]

주인(舉人)은 더 높은 관직을 얻을 가능성 외에도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얻었다. 중국 황제 시대에는 시험과 공적이 사회적 지위, 부, 명성, 정치적 권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11] 일반 백성들은 주인(舉人)을 "라오예(老爺, your honor)"라고 불렀다.[17] 주인(舉人) 계급에 오르면 좋은 결혼의 전망이 개선되는 등 사회적 특권을 누릴 수 있었다. 또한 주인(舉人)은 가족이 엘리트 지위를 얻거나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4][7] 예를 들어 주인(舉人) 학위 소지자는 자신의 업적을 알리기 위해 주택에 붉고 금색 비단 깃발이 달린 깃대를 세울 자격이 있었으며, 그들의 가족은 "깃대 가족"으로 불리며 명예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상징했다.[16][20]

주인(舉人)이 누린 법적 특권에는 문과 과거 급제자를 제외한 모든 일반 백성에게 요구되는 노역 면제가 포함된다.[17] 그들은 또한 일반적인 형법체벌에서 면제되었으며, 특별한 황제의 명령 없이는 체포될 수 없었다.[17] 주인(舉人) 가구는 지역 사회에서 최저 고용 수준과 임금 보장뿐만 아니라 세금 감면과 면제와 같은 경제적 특권도 누렸다.[4][15]

주인(舉人) 계급의 다른 특권으로는 일반 백성과 다른 의복, 마차, 경비병, 하인, 그리고 장례식 및 묘지 의식을 치를 권리가 포함된다.[17] 예를 들어 학위 소지자는 선비의 도포를 입을 자격이 있었다.[21]

4. 5. 기타 특권

주인(舉人) 등급은 학위 소지자와 그 가족에게 상당한 특권을 가져다주었다. 가정에서는 자원을 모아 유망한 빈곤층 출신 개인이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했다.[2] 회시(會試)를 통해 최고 학위인 진사 학위를 얻을 기회를 가진 자는 주인(舉人) 학위를 받은 자들뿐이었다.[7] 청나라에서는 진사(進士) 등급 후보자는 향시(鄕試)를 통과하고 적어도 주인(舉人) 등급을 획득한 아버지를 두어야 했다.[19] 주인(舉人) 학위는 상속될 수 없었지만,[2] 하급 시험인 생원 학위와 달리 평생 유지되는 칭호였다.[7]

더 높은 관직을 얻을 가능성 외에도, 주인(舉人)은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얻었다. 중국 황제 시대에는 시험과 공적이 사회적 지위, 부, 명성, 정치적 권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11] 일반 백성들은 주인(舉人)을 "라오예(老爺, your honor)"라고 불렀다.[17] 주인(舉人) 계급에 오르면 좋은 결혼을 할 가능성이 커졌고, 가족이 엘리트 지위를 얻거나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4][7] 예를 들어 주인(舉人) 학위 소지자는 자신의 업적을 알리기 위해 주택에 붉고 금색 비단 깃발이 달린 깃대를 세울 자격이 있었고,[16] 그 가족은 "깃대 가족"으로 불리며 명예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상징했다.[20]

주인(舉人)이 누린 법적 특권에는 문과 과거 급제자를 제외한 모든 일반 백성에게 요구되는 노역 면제가 포함된다.[17] 그들은 또한 일반적인 형법체벌에서 면제되었으며, 특별한 황제의 명령 없이는 체포될 수 없었다.[17] 주인(舉人) 가구는 지역 사회에서 최저 고용 수준과 임금 보장뿐만 아니라 세금 감면과 면제와 같은 경제적 특권도 누렸다.[4][15]

주인(舉人) 계급의 다른 특권으로는 일반 백성과 다른 의복, 마차, 경비병, 하인, 그리고 장례식 및 묘지 의식을 치를 권리가 포함된다.[17] 예를 들어 학위 소지자는 선비의 도포를 입을 자격이 있었다.[21]

5. 무과 거인 (武舉人)

측천무후 시대에 도입되어 청나라까지 이어진 무과 시험 제도가 있었다.[3] 무과 시험은 문과 시험을 본떠 3년마다 한 번씩 실시되었으며, 합격자에게는 무거인(武舉人)이라는 칭호가 주어졌다.[3] 무과 시험에는 궁술, 승마, 창술 등의 다양한 체력 시험이 포함되었다.[3] 수험생들은 체력 검정을 통과해야 할 뿐만 아니라, 손자손자병법과 같은 군사 관련 고전이나 경전을 숙지해야 하는 필기 시험도 치러야 했다.[22] 무거인(武舉人) 자격을 얻은 자만이 중앙에서 치러지는 무과 시험에 응시할 수 있었고, 이 시험에 합격하면 무진사(武進士)가 되었다.[3]

6. 주요 인물

다음은 거인(舉人)이 최고 학위인 주요 인물 목록이다.


  • 천더푸[25]
  • 양수경: 학자
  • 위원: 학자
  • 좌종당: 장군
  • 량치차오: 학자, 정치인
  • 우즈후이: 아나키즘주의자 작가
  • 선득부(沈德符)[23]
  • 황쭌셴: 청나라 말기 관리, 학자, 작가
  • 주싱위안: 정치가, 일본 협력자

7. 현대적 의의

거인은 본래 향거리선에서 추천받은 인재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과거 제도가 시행되면서 그 의미가 변화하였다.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거인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 과거 시험 합격자: 명나라청나라 시대에는 향시에 합격한 사람들을 거인이라고 불렀다. 이는 현대의 국가 공무원 시험 합격자와 유사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1]
  • 지방 인재: 베트남에서는 성(省)급 시험 합격자를 거인이라고 불렀다. 이는 현대의 지방 고시 합격자나 지역 인재와 유사한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1]

참조

[1] 서적 The Chines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An Annotated Bibliography Rowman & Littlefield
[2] 학술지 Elite Recruitment and Political Stability: The Impact of the Abolition of China's Civil Service Exam 2016
[3] 웹사이트 The Chines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21-05-15
[4] 학술지 Legacy of Success: Office Purchase and State-Elite Relations in Qing China https://muse.jhu.edu[...] 2013
[5] 웹사이트 juren 舉人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21-05-15
[6] 학술지 Merits and Demerits of Political Systems in Dynastic China https://doi.org/10.1[...] 2019
[7]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China https://www.worldcat[...] 2009
[8] 서적 Marginalization in China https://doi.org/10.1[...] 2009
[9] 문서 The History of China's Economic Structure Management https://doi.org/10.1[...] Springer 2021-05-15
[10] 학술지 Syllabus of the Provincial Examination (hsiang-shih) under the Early Ch'ing (1644–1795) https://www.cambridg[...] 1974-05
[11] 학술지 The Civil Examination System in Late Imperial China, 1400–1900 https://journal.hep.[...] 2021-05-15
[12] 서적 Civil Examinations and Meritocracy in Late Imperial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11-01
[13] 서적 The Civilization of China 1st World Publishing, Incorporated
[14] 학술지 Long Live Keju! The Persistent Effects of China's Civil Examination System 2020-10-16
[15] 학술지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Reproduction via Civil Service Examinations in Late Imperial China https://www.cambridg[...] 1991-02
[16] 학술지 Milestones on the Road to Maturity: Growing up with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http://sjeas.skku.ed[...] 2004
[17] 서적 The Ladder of Success in Imperial China https://www.degruyt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2-03-02
[18] 학술지 Perceptions of Provincial Officialdom in Early T'ang China http://www.jstor.org[...] 1989
[19] 학술지 From the imperial examination to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 dynamics of political centralism in China's educational enterprise https://doi.org/10.1[...] 1995-01-01
[20] 문서 Heritage of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Republic of China: Replacement of Old Education by New Education https://doi.org/10.1[...] Springer 2021-05-15
[21] 학술지 Farewell to Confucianism: The modernizing effect of dismantling China's imperial examination system https://www.scienced[...] 2019-11-01
[22] 학술지 Chinese military institutions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1850—1860 https://www.jstor.or[...] 1974
[23] 웹사이트 Survey of the Legitimate and Illegitimate Dynasties in History https://www.wdl.org/[...] 2013-06-07
[24] 서적 中國紳士 上海社科
[25] 웹사이트 Survey of the Legitimate and Illegitimate Dynasties in History https://www.wdl.org/[...] 2013-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