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종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종당은 청나라 말기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자는 계고, 호는 상상농인이며, 문양(文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는 태평천국의 난, 둥간 혁명, 신장 수복 등 19세기 청나라의 주요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신장 지역의 야쿱 벡의 난을 진압하고 신장성의 설치를 건의하여 국토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농업 개혁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추구하고, 중국 고전의 보급을 통해 사회 안정에 기여하고자 했다. 그가 신장 수복 과정에서 러시아와 외교적 협상을 벌이는 등 만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좌종당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이름
좌종당의 성은 좌(左)이고, 이름은 종당(宗棠)이다. 자(字)는 계고(季高) 또는 존(存)이며, 호(號)는 상상농인(湘上農人)으로 "후난성 출신의 농부"를 의미한다. 그는 스스로를 제갈량에 비유하여 '금량(今亮, 오늘날의 제갈량)'으로 서명하기도 했다. 청나라 황실에서 내린 시호(諡號)는 문양(文襄)이다. 좌종당은 고집스러운 성격 때문에 '좌라자(左騾子, 노새 좌)'라는 별명이 있었다.
3. 생애
=== 유년기 ===
좌종당은 1812년 후난성 샹인현의 사대부 지주 가문에서 태어났다.[4] 그의 가족은 그가 5세부터 지역 사립 학교에 다니도록 지원했으며, 그곳에서 그는 사서오경을 숙달했다. 20세에 그는 국자감에 입학할 자격을 얻었다.[4]
좌종당은 젊은 시절, 과거 시험에 일곱 번이나 낙방하였다(1822년~1835년).[4] 그는 관리가 되려는 계획을 포기하고 샹강 근처의 고향으로 돌아가 누에를 치고, 책을 읽고, 차를 마시는 생활을 하였다.[4] 이 시기에 그는 서학동점 초기, 서양 과학 연구에 처음으로 관심을 돌렸다. 친구 호임익은 좌종당의 재능을 높이 샀으며, 종종 인사에 좌종당을 추천하였다. 1849년(도광 29년) 호남을 방문한 임칙서와 만났으며, 스스로를 청말 제갈량이라고 칭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로부터 괴짜 취급을 받았다.
=== 태평천국의 난 진압 (1850년 ~ 1864년) ===
1850년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하자, 호임익의 천거로 호남 순무 장량기, 낙병장의 막료로 들어가 초군(상군)을 조직하여 장사를 방어했다.[19] 증국번의 추천으로 1861년 절강순무가 되어 영국, 프랑스와 협력하며 진화, 소흥 등을 탈환하고, 1863년 민절총독으로 승진했다.[19] 1864년 항주를 탈환하여 절강을 평정하고, 상군을 파견하여 태평천국 잔당을 소탕했다.[19] 이 과정에서, 서종간, 서린과 협력하여 동남부의 잔당 세력을 소탕하고, 양창준, 유전, 왕덕방, 강국기, 고련승, 포초, 황소춘, 장익례, 임문찰 등의 상군을 파견하여 임무를 완수했다. 그는 증국번, 이홍장과 함께 반란을 진압한 지도자로서 '증, 좌, 이'라고 불렸다. 이후 증국번, 이홍장 등과 함께 양무운동을 추진하여 복주선정국 등을 설립했다.[19]
=== 서북부 평정 (1866년 ~ 1878년) ===
1866년(동치 5년), 좌종당은 섬감총독으로 전임되어 둥간 혁명(회족의 반란) 진압을 맡았다.[17] 그러나 염군이 발호하자 염군 토벌을 우선하게 되었다. 이홍장의 활약으로 염군은 동서로 분열되어 세력이 약화된 상태였고, 좌종당은 위광도, 요응기, 원보항, 진식, 송경, 조병균 등을 이끌고 이홍장과 협력하여 염군 토벌에 나섰다.[17] 1868년 6월, 서염군까지 평정되면서 염군의 난은 완전히 진압되었다.
배후가 안정되자, 같은 해 10월 좌종당은 다시 둥간족 진압에 나서 섬서성 서안으로 진군했다.[17] 우선 북서쪽 동지원의 백언호 회족군을 격파하고 섬서성을 평정했다. 그러나 마화룡 등 잔당들은 감숙성 동부 금적보에서 농성하며 저항했다.[17] 1869년부터 좌종당은 금적보를 포위 공격했지만, 잔당들의 저항이 장기화되면서 북경 정부에서 소환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1871년 1월, 부장 유송산이 야습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전사하는 타격까지 입었다. 그러나 유송산의 조카 유금당이 설욕을 위해 금적보를 급습, 함락시키고 마화룡을 처형함으로써 둥간 혁명 진압 임무를 완수했다.[17] 이후 도망간 백성들을 불러 정착시키고, 토지 개간과 식량 원조를 제공하여 회민(回民)의 불만을 무마시켰다.[17]
같은 해 11월, 린샤를 점령하고 있던 회민의 수령 중 한 명인 마잔아오가 항복하면서 간쑤 중부도 평정되었다.[17] 이듬해인 1873년 7월에는 란저우로 진주했으며, 유금당은 간쑤 동부의 회민 토벌에 나서 시닝의 마구이위안을 토벌하여 동부 지역을 제압했다.[17] 남은 수저우(현재의 주취안시)에 웅거하던 마원루는 항복했다가 백언호에 호응하여 다시 반기를 들었다. 좌종당은 7월부터 직접 포위 지휘를 맡아 9월에 수저우를 함락시키고 마원루를 처형함으로써, 섬서성, 감숙성 등 허시 회랑을 포함한 중국 서북부를 평정하였다.[17]
=== 신장 수복 (1875년 ~ 1881년) ===
1875년, 좌종당은 흠차대신(欽差大臣)으로 임명되어 야쿱 벡의 난으로 청나라의 지배력이 약화된 신장의 군무를 담당했다.[18] 당시 청나라 조정에서는 해방파(海防派) 이홍장과 새방파(塞防派) 좌종당 사이에 신장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이홍장은 해군력 강화를 통해 영국 등 서구 열강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신장을 포기하자는 입장이었고, 좌종당은 러시아에 대한 육상 방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신장 수복을 주장했다.[18] 군기대신(軍機大臣) 문상(文祥)의 지지로 새방론이 채택되어, 좌종당은 본격적으로 신장 원정을 준비했다.[18]
좌종당은 부장 금순(金順), 유금당(劉錦棠) 등과 함께 하미(哈密)에서 둔전(屯田)을 실시하며 출병을 준비했다.[18] 1876년, 청군은 우루무치(烏魯木齊)를 함락시키고,[18] 이듬해인 1877년에는 투르판(吐魯番)을 점령하고 야쿱 벡을 격파하여 신장 대부분을 수복했다.[18] 같은 해, 좌종당은 신장 지역의 방어 강화를 위해 청나라 중앙 정부에 성(省) 설치를 건의하여 1884년 신장성(新疆省) 설치로 이어졌다.[18]
1878년, 좌종당은 러시아와 이리 지방 반환 협상을 시작했다.[8] 숭후(崇厚)가 체결한 리바디아 조약(Treaty of Livadia)이 불평등 조약이었기 때문에 좌종당은 숭후를 강하게 비난하고, 증기택(曾紀澤)을 파견하여 재협상을 추진했다.[18] 1881년, 증기택은 일리 조약(Treaty of Saint Petersburg)을 체결하여 일리 지방을 반환받았다.[18] 좌종당은 군대를 동원하여 러시아를 압박했지만, 평화를 추구하는 정부의 의향에 따라 1880년 중앙으로 소환되었다.[18]
=== 만년 ===
1880년 좌종당은 청 제국의 내각인 군기처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관료 정치에 불편함을 느낀 좌종당은 직무 면제를 요청했고, 1881년 양강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884년 청불 전쟁이 발발하자, 좌종당은 네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총사령관 및 흠차대신으로 임명되어 복건성의 해안 방어를 감독했다.
3. 1. 유년기
좌종당은 1812년 후난성 샹인현의 사대부 지주 가문에서 태어났다.[4] 그의 가족은 그가 5세부터 지역 사립 학교에 다니도록 지원했으며, 그곳에서 그는 사서오경을 숙달했다. 20세에 그는 국자감에 입학할 자격을 얻었다.[4]
좌종당은 젊은 시절, 과거 시험에 일곱 번이나 낙방하였다(1822년~1835년).[4] 그는 관리가 되려는 계획을 포기하고 샹강 근처의 고향으로 돌아가 누에를 치고, 책을 읽고, 차를 마시는 생활을 하였다.[4] 이 시기에 그는 서학동점 초기, 서양 과학 연구에 처음으로 관심을 돌렸다. 친구 호임익은 좌종당의 재능을 높이 샀으며, 종종 인사에 좌종당을 추천하였다. 1849년(도광 29년) 호남을 방문한 임칙서와 만났으며, 스스로를 청말 제갈량이라고 칭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로부터 괴짜 취급을 받았다.
3. 2. 태평천국의 난 진압 (1850년 ~ 1864년)
1850년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하자, 호임익의 천거로 호남 순무 장량기, 낙병장의 막료로 들어가 초군(상군)을 조직하여 장사를 방어했다.[19] 증국번의 추천으로 1861년 절강순무가 되어 영국, 프랑스와 협력하며 진화, 소흥 등을 탈환하고, 1863년 민절총독으로 승진했다.[19] 1864년 항주를 탈환하여 절강을 평정하고, 상군을 파견하여 태평천국 잔당을 소탕했다.[19] 이 과정에서, 서종간, 서린과 협력하여 동남부의 잔당 세력을 소탕하고, 양창준, 유전, 왕덕방, 강국기, 고련승, 포초, 황소춘, 장익례, 임문찰 등의 상군을 파견하여 임무를 완수했다. 그는 증국번, 이홍장과 함께 반란을 진압한 지도자로서 '증, 좌, 이'라고 불렸다. 이후 증국번, 이홍장 등과 함께 양무운동을 추진하여 복주선정국 등을 설립했다.[19]
3. 3. 서북부 평정 (1866년 ~ 1878년)
1866년(동치 5년), 좌종당은 섬감총독으로 전임되어 둥간 혁명(회족의 반란) 진압을 맡았다.[17] 그러나 염군이 발호하자 염군 토벌을 우선하게 되었다. 이홍장의 활약으로 염군은 동서로 분열되어 세력이 약화된 상태였고, 좌종당은 위광도, 요응기, 원보항, 진식, 송경, 조병균 등을 이끌고 이홍장과 협력하여 염군 토벌에 나섰다.[17] 1868년 6월, 서염군까지 평정되면서 염군의 난은 완전히 진압되었다.
배후가 안정되자, 같은 해 10월 좌종당은 다시 둥간족 진압에 나서 섬서성 서안으로 진군했다.[17] 우선 북서쪽 동지원의 백언호 회족군을 격파하고 섬서성을 평정했다. 그러나 마화룡 등 잔당들은 감숙성 동부 금적보에서 농성하며 저항했다.[17] 1869년부터 좌종당은 금적보를 포위 공격했지만, 잔당들의 저항이 장기화되면서 북경 정부에서 소환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1871년 1월, 부장 유송산이 야습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전사하는 타격까지 입었다. 그러나 유송산의 조카 유금당이 설욕을 위해 금적보를 급습, 함락시키고 마화룡을 처형함으로써 둥간 혁명 진압 임무를 완수했다.[17] 이후 도망간 백성들을 불러 정착시키고, 토지 개간과 식량 원조를 제공하여 회민(回民)의 불만을 무마시켰다.[17]
같은 해 11월, 린샤를 점령하고 있던 회민의 수령 중 한 명인 마잔아오가 항복하면서 간쑤 중부도 평정되었다.[17] 이듬해인 1873년 7월에는 란저우로 진주했으며, 유금당은 간쑤 동부의 회민 토벌에 나서 시닝의 마구이위안을 토벌하여 동부 지역을 제압했다.[17] 남은 수저우(현재의 주취안시)에 웅거하던 마원루는 항복했다가 백언호에 호응하여 다시 반기를 들었다. 좌종당은 7월부터 직접 포위 지휘를 맡아 9월에 수저우를 함락시키고 마원루를 처형함으로써, 섬서성, 감숙성 등 허시 회랑을 포함한 중국 서북부를 평정하였다.[17]
3. 4. 신장 수복 (1875년 ~ 1881년)
1875년, 좌종당은 흠차대신(欽差大臣)으로 임명되어 야쿱 벡의 난으로 청나라의 지배력이 약화된 신장의 군무를 담당했다.[18] 당시 청나라 조정에서는 해방파(海防派) 이홍장과 새방파(塞防派) 좌종당 사이에 신장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이홍장은 해군력 강화를 통해 영국 등 서구 열강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신장을 포기하자는 입장이었고, 좌종당은 러시아에 대한 육상 방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신장 수복을 주장했다.[18] 군기대신(軍機大臣) 문상(文祥)의 지지로 새방론이 채택되어, 좌종당은 본격적으로 신장 원정을 준비했다.[18]
좌종당은 부장 금순(金順), 유금당(劉錦棠) 등과 함께 하미(哈密)에서 둔전(屯田)을 실시하며 출병을 준비했다.[18] 1876년, 청군은 우루무치(烏魯木齊)를 함락시키고,[18] 이듬해인 1877년에는 투르판(吐魯番)을 점령하고 야쿱 벡을 격파하여 신장 대부분을 수복했다.[18] 같은 해, 좌종당은 신장 지역의 방어 강화를 위해 청나라 중앙 정부에 성(省) 설치를 건의하여 1884년 신장성(新疆省) 설치로 이어졌다.[18]
1878년, 좌종당은 러시아와 이리 지방 반환 협상을 시작했다.[8] 숭후(崇厚)가 체결한 리바디아 조약(Treaty of Livadia)이 불평등 조약이었기 때문에 좌종당은 숭후를 강하게 비난하고, 증기택(曾紀澤)을 파견하여 재협상을 추진했다.[18] 1881년, 증기택은 일리 조약(Treaty of Saint Petersburg)을 체결하여 일리 지방을 반환받았다.[18] 좌종당은 군대를 동원하여 러시아를 압박했지만, 평화를 추구하는 정부의 의향에 따라 1880년 중앙으로 소환되었다.[18]
3. 5. 만년
1880년 좌종당은 청 제국의 내각인 군기처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관료 정치에 불편함을 느낀 좌종당은 직무 면제를 요청했고, 1881년 양강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884년 청불 전쟁이 발발하자, 좌종당은 네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총사령관 및 흠차대신으로 임명되어 복건성의 해안 방어를 감독했다.
4. 가족 관계
좌종당의 증조부모는 좌봉성(쭈어 펑셩/左逢聖zh-Hant)과 장씨 부인(쨩 쓰/蔣氏zh-Hant)이었다. 그의 조부모는 좌인금(쭈어 런진/左人錦zh-Hant)과 양씨 부인(양 쓰/楊氏zh-Hant)이었다. 그의 부모는 좌관란(쭈어 관란/左觀瀾zh-Hant; 1778–1830)과 여씨 부인(위 쓰/余氏zh-Hant; 1775–1827)이었다.
좌종당에게는 두 명의 형이 있었는데, 좌종유(쭈어 쫑위/左宗棫zh-Hant; 1799–1823)와 좌종식(쭈어 쫑즈/左宗植zh-Hant; 1804–1872)이었다.
1832년, 좌종당은 상탄현 파이토우진 출신의 여성 주이돤(쩌우 이돤/周詒端zh-Hant; 1812–1870)과 결혼했다. 주이돤의 자는 "준신"(윈신/筠心zh-Hant)이었다. 그들은 슬하에 4명의 딸과 4명의 아들을 두었다.
5. 평가 및 영향
좌종당은 군사적인 능력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는 교육받고 번영하는 시민들이 있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스스로를 "샹 출신의 농부"라고 칭하며 농업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3] 그는 중국의 경제적 자립을 강화하고, 시민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며, 재배 작물의 종류를 통제하여 시민들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상업적 농업의 과학적 개혁을 옹호했다. 중국 북서부에서 12년 동안 다양한 작물과 방법에 대한 광범위한 농업 연구를 수행했다. 좌종당은 더 잘 확립된 장전법, 윤작법 (代田法zh-Hant)과 덜 일반적인 집약적인 소규모 경작법 (區田法zh-Hant)의 이점과 징후를 비교하면서, 후자의 방법, 즉 밀집된 단일 작물을 재배하는 소규모 밭을 경작하는 것이 북서부 지역의 건조하고 극한 기후에 더 적합하다고 믿었다. 그는 이 방법을 설명하는 두 개의 소책자를 저술했고, 지역 농업 공동체에 무료로 배포했다.[3]
좌종당은 또한 아편이 국가의 안정과 경제적 건강에 미치는 위협을 인식하고, 아편 양귀비를 간쑤성과 산시성의 주요 현금 작물인 면화로 대체할 것을 옹호했다. 그는 면화 종자의 대량 보급을 승인하고 재배 및 가공에 관한 소책자를 출판했다. 1878년에는 현재의 물란현에 대규모 직조 공장을 설립하여 이 지역에 새로운 섬유 산업을 창출하고 여성에게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고용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
좌종당은 경제적 상황을 개선하여 농민을 관리하는 것 외에도, 전통 중국 철학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불안을 겪고 있는 지역을 진정시키고 궁극적으로 더 만족하고 통합된 국민을 만들 것이라고 믿었다. 이를 위해 좌종당은 중국 북서부에 인쇄소를 설립하여 중국 고전과 농업 소책자를 인쇄했다. 좌종당이 처음 그 지역에 도착했을 때, 10년 간의 끊임없는 전쟁으로 인해 그 지역의 모든 출판이 사실상 중단되었다. 좌종당은 인쇄 산업의 재건을 우선순위로 두고 그가 승인한 출판물의 수천 부를 닝샤, 칭하이성, 간쑤성, 산시성, 신장에 배포했다. 좌종당이 베이징으로 돌아갔을 때 인쇄는 중단된 것으로 보이지만, 이 노력은 나중에 인쇄소를 세우는 데 영감을 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3]
좌종당은 그를 따르는 많은 장군들에게 존경을 받았다. 중화민국 시대에, 국민당 장군 바이충시는 좌종당의 방식대로 신장을 국민 정부를 위해 재정복하고, 그 지역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몰아내기를 원했다.[9] 좌종당은 또한 국민당 장군 마중잉 (살라족 귀족의 후손)에 의해 그의 모델 중 한 명으로 언급되었는데, 마중잉은 국민혁명군의 제36사단을 이끌고 쿠물 반란 동안 친소련 총독 진수런으로부터 신장을 국민 정부를 위해 재정복했기 때문이다.[10]
5. 1. 좌종당 치킨
미국식 중화 요리인 좌종당 치킨은 1970년대에 대만에서 처음 소개된 후 미국에 소개되었으며, 후난 요리 전문 대만 요리사 펑창쿠이(팽장계(彭長貴))가 원래 준비한 요리에서 영감을 받았다.[11] 펑창쿠이는 좌종당을 기리기 위해 이 요리의 이름을 지었다.[12][13]아무런 증거는 없지만,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속을 채운 팬케이크인 아팜 발릭이 좌종당 장군이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는 현지 제품을 사용하고 병사들을 더 비싼 재료에서 구하기 위해 이 요리를 발명했다고 한다.[14]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长沙方言研究
湖南教育出版社
1999
[2]
간행물
Tso Tsung-t'ang
[3]
서적
甘肃出版史略
读者出版集团
[4]
서적
Political Leaders of Modern China: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5]
서적
Tso Tsungt'ang, soldier and statesman of old China
Kelly and Walsh, Limited
[6]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Curzon Press
[7]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8]
서적
The Canadian spectator, Volume 1
[9]
서적
Region and nation: the Kwangsi clique in Chinese politics, 1925-193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Wild West China: the taming of Xinjiang
Rutgers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Inventor of General Tso's Chicken dies in Taipei at age 98 {{!}} Taiwan News
http://www.taiwannew[...]
2016-12-03
[12]
서적
Chop Suey: A Cultural History of Chinese Food in the United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13]
문서
The Search for General Tso
[14]
웹사이트
Apam Balik
https://www.196flavo[...]
2020-08-27
[15]
문서
今谷、P173 - P174、P183 - P184
[16]
문서
梁、P70、P75、P90 - P95、並木、P165、今谷、P165 - P172、岡本、P50
[17]
문서
今谷、P173 - P184、岡本、P129 - P132
[18]
문서
並木、P194 - P197、P213 - P214、今谷、P184 - P202、岡本、P132 - P135
[19]
문서
梁, P70, P75, P90 - P95、並木, P165、今谷, P165 - P172, 岡本, P5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