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둥오리사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둥오리사촌(Melanitta stejnegeri)은 오리과의 조류이다. 수컷은 검은색 깃털과 흰색 눈 주위, 붉은색과 노란색이 섞인 부리, 부리 기저부의 혹이 특징이며, 암컷은 흑갈색 깃털과 얼굴 옆의 흰색 점을 가진다. 이들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조개류, 갑각류, 곤충 등을 먹는다. 주로 아시아 극북 지역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아시아 남부, 중국까지 이동한다. 과거에는 3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새 - 황새
황새는 흰색 몸과 검은 날개, 긴 목둘레 깃털을 가진 동아시아 서식 육식성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국제적 보호를 받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러시아의 새 - 원앙
화려한 수컷과 회갈색 암컷 깃털을 가진 원앙은 동아시아 원산의 오리과 조류로, 부부 금슬 상징으로 여겨지나 실제로는 매년 짝을 바꾸며,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다. - 일본의 새 - 가마우지
가마우지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 깃털과 부리 기부 주변의 흰색, 노란색 피부가 특징인 바닷새로, 암초 해안에 서식하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일본에서는 우카이 어업에 이용되며 일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 일본의 새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검둥오리사촌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 | |
상태 | 관심 필요 |
상태 기준 | IUCN3.1 |
속 | 검둥오리속 |
종 | 검둥오리사촌 |
학명 | Melanitta stejnegeri |
학명 명명자 | Ridgway, 1887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기러기목 |
과 | 오리과 |
2. 생김새
암수 모두 날아갈 때 날개깃이 흰색이어서 비행 시 명확하게 보인다. 수컷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며 눈 주위가 흰색이다. 부리는 붉은색과 노란색이 섞여 있으며, 윗부리 기부가 혹처럼 돌출되어 있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흑갈색이고 얼굴 옆에 흰색 점이 있다. 어린새는 암컷과 비슷하지만 배 부분이 때 묻은 듯한 흰색을 띤다.
러시아 예니세이 강 동쪽부터 태평양 연안, 남쪽으로는 몽골 북부에서 번식하며, 캄차카,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한국에서는 적은 수가 겨울을 나는 겨울철새이다.
검둥오리사촌과 흰뺨오리는 여러 특징에서 차이를 보인다. 흰뺨오리 수컷은 옆구리가 갈색을 띠고, 부리는 대부분 어두운 노란색이며, 부리 혹은 벨벳오리에 가깝게 덜 솟아 있다. 반면 검둥오리사촌 수컷은 부리 기저부가 주로 주황색-노란색이고 매우 높은 혹을 가지고 있다. 두 종의 수컷은 매우 유사하여 머리 모양으로 가장 잘 구별할 수 있다. 흰뺨오리는 부리와 머리 사이에 "2단계" 윤곽을 보이는 경향이 있는 반면, 검둥오리사촌은 참바다오리와 유사하게 긴 "로마 코" 모양의 윤곽을 보인다.[5] 또한, 흰뺨오리는 위턱 기저부의 깃털이 직각을 이루지만, 검둥오리사촌은 예각을 이룬다.[6]
3. 생태
3. 1. 먹이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때때로 검둥오리 무리와 섞여 먹이를 찾기도 한다. 서식하는 환경에 따라 먹이 종류가 달라진다. 담수 지역에서는 주로 갑각류와 곤충을 먹고, 바다와 같은 염수 지역에서는 연체동물(조개류 등)과 갑각류를 주로 먹는다.
4. 분포
러시아 예니세이 강 동쪽부터 태평양 연안, 남쪽으로는 몽골 북부 지역에서 번식한다. 겨울에는 캄차카,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남쪽 온대 지역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한국에서는 비교적 적은 수가 겨울을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때로는 검둥오리와 섞여 먹이를 찾기도 한다. 연안 해역에서 큰 무리를 이루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들은 빽빽하게 모여 있다가 함께 날아오르는 경향이 있다.
과거 북아메리카에서는 보기 드문 종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알래스카 서부에서 정기적으로 관찰되며 번식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놈, 세인트 폴 섬, 갬벨 등지에서 관찰 기록이 있다. 2015년 4월과 5월 사이에는 몬태나주 헬레나 밸리에서 한 마리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알래스카 남쪽 지역에서 확인된 유일한 북아메리카 기록이다. 2014년 1월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 만에서 관찰된 검둥오리는 검둥오리사촌의 특징과 유사했으나, 사진의 화질 문제로 공식 기록으로 인정되지는 못했다.[7]
유럽에서도 드물게 관찰되는데, 프랑스, 핀란드, 폴란드,[8]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노르웨이,[2] 스코틀랜드[9] 등에서 기록된 바 있다.
5. 분류
과거에는 3아종으로 분류했으나, 최근에는 검둥오리사촌(Siberian scoter영어, ''Melanitta stejnegeri''), White-winged Scoter(''Melanitta deglandi''), 노랑부리검둥오리사촌(Velvet scoter영어, ''Melanitta fusca'') 세 종을 각각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는 추세이다.
검둥오리사촌(''Melanitta stejnegeri'')은 1887년 미국의 조류학자 로버트 리지웨이가 처음 기술하였으며, 이명법에 따라 ''Oidemia stejnegeri''로 명명되었다.[2] 종명 ''stejnegeri''는 노르웨이 출신 조류학자 레온하르트 스테이네거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3]
과거에는 흰뺨검둥오리와 동종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새로운 연구에서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4]
참조
[1]
간행물
"''Melanitta stejnegeri''"
2018
[2]
서적
A Manual of North American Birds
https://biodiversity[...]
Lippincott
[3]
웹사이트
"''stejnegeri''"
https://www.hbw.com/[...]
Lynx Edicions
2019-06-24
[4]
웹사이트
Siberian Scoter (Melanitta stejnegeri)
http://www.hbw.com/s[...]
[5]
웹사이트
Velvet, White-winged and Stejneger's Scoters: A Photographic Guide
https://www.birdguid[...]
Birdwatch
2018-12-23
[6]
서적
Waterfowl of North America, Europe, and Asia : an identification guide
https://www.worldcat[...]
2015
[7]
논문
The 44th Annual Report of the California Bird Records Committee: 2018 Records
https://www.westernf[...]
2020-07-31
[8]
웹사이트
White-winged scoter taxonomy
https://birdingfront[...]
Birding Frontiers
2011-06-17
[9]
웹사이트
Rarity finders: Stejneger's Scoter in Lothian
https://www.birdguid[...]
Birdguides
2023-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