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구려인은 고구려 건국 이후 스스로를 지칭한 명칭으로, 고구려의 성장 과정에서 복속된 예맥계 주민들을 포함하여 형성되었다. 668년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 유민들은 신라, 일본 등으로 이주했다. 신라에서는 보덕국을 세우고, 일본에서는 고마씨(高麗氏)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발해와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하려는 의지를 표방했다. 고구려 왕족은 고씨(高氏) 성을 사용했으며, 다양한 성씨가 확인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맥 - 고조선
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 건국설이 널리 알려진 고대 국가로, 단군, 기자, 위만과 관련된 건국 신화가 전해지며, 기원전 4세기 이후 고대 국가로 성장했으나 기원전 108년 한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 예맥 - 동예
동예는 오늘날 원산에서 강릉에 이르는 동해안 중부 지역에 위치했던 부여족 계통의 군장국가로, 옥저와 함께 한사군에 속했으며, 매년 음력 10월에 무천이라는 축제를 열었고,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있었다. - 한국의 고대 민족 - 마한
마한은 기원전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한반도 서남부에 존재했던 소국 연맹으로, 농업 기반의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다 백제에 병합되었다. - 한국의 고대 민족 - 탐라
탐라는 고대 제주도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탐모라국, 섭라, 탁라 등으로 불리며 섬나라를 의미하는 명칭으로 해석되고 삼성혈 건국 신화가 전해지나, 기원전 3000년 이전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주변국과 교류하다 고려에 복속된 후 조선 시대에 통치 체제 변경으로 왕국으로서의 역사가 끝났다. - 고구려 사람 - 연남산
연남산은 연개소문의 아들로, 639년에 태어나 701년에 사망했으며, 아들로 천광부를 두었다. - 고구려 사람 - 말갈
6세기경 중국 동북부에 거주하며 수, 당과 관계를 맺고 고구려와 연합하기도 했던 말갈은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발해 건국에 참여하거나 여진족의 기원이 되기도 한 부족 연맹체였다.
고구려인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고구려 |
언어 | 고구려어 |
종교 | 불교 도교 무속신앙 |
민족 계통 | 예맥족 |
근연 민족 | 부여인 백제인 |
기원 발상 | 만주 |
후예 | 발해인 |
2. 역사
기원전 1세기 고구려 건국 후 주민들은 스스로를 고구려인이라고 불렀으며, 고구려의 성장으로 옥저, 동예, 부여 등 예맥계 부족들이 복속되면서 고구려인을 형성했다.[4]
668년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 유민들은 여러 지역으로 흩어졌다. 일부는 신라에 흡수되었고, 일부는 고구려 부흥운동을 펼쳤으나 실패했다. 발해와 고려가 고구려 계승을 표방했다.
고구려 유민 일부는 일본으로 망명하기도 했다. 703년 보장왕의 아들로 추정되는 고약광(고마노 잣코)은 고구려인 1,799명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고마노고키시(高麗王)라는 성(姓)을 받았다.[15] 750년에는 광개토대왕의 후손인 다카쿠라노 후쿠노부 등이 고마노아손(高麗朝臣)이라는 가바네를 받았는데, 이는 당시 일본에서 이례적인 일이었다.[15]
2. 1. 기원
《선진문헌》에서는 맥족에 대해 북중국의 여러 지역에서부터 요동 지역, 고구려 발흥지인 압록강 중류 지역 주민들의 종족 계통을 맥족이라고 기술했다.[4]기원전 1세기 고구려 건국 후 주민들은 스스로를 고구려인이라고 불렀으며, 고구려의 성장으로 옥저, 동예, 부여 등 예맥계 부족들이 복속되면서 고구려인을 형성했다.[4]
2. 2. 멸망 후
668년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 유민들은 여러 지역으로 흩어졌다. 일부는 신라에 흡수되었고, 일부는 고구려 부흥운동을 펼쳤으나 실패했다. 발해와 고려가 고구려 계승을 표방했다.고구려 유민 일부는 일본으로 망명하기도 했다. 703년 보장왕의 아들로 추정되는 고약광(고마노 잣코)은 고구려인 1,799명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고마노고키시(高麗王)라는 성(姓)을 받았다.[15] 750년에는 광개토대왕의 후손인 다카쿠라노 후쿠노부 등이 고마노아손(高麗朝臣)이라는 가바네를 받았는데, 이는 당시 일본에서 이례적인 일이었다.[15] 고약광의 자손은 고마 신사의 궁사(宮司)를 맡아 오늘날까지 이어져 현대의 고마씨(高麗氏)가 되었다.[15]
고마 신사는 고약광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으며, 일본에서는 출세명신(出世明神|슛세이묘진일본어)으로 숭상받는 명소이다. 하마구치 오사치, 와카쓰키 레이지로, 사이토 마코토, 고이소 구니아키, 시데하라 기주로, 하토야마 이치로 등 여러 총리들이 참배한 뒤 총리에 임명되기도 하였고, 1990년대에는 "큰 사건이 있을 땐 고마 신사에 가서 빌어야 수사가 잘 풀린다"는 얘기가 퍼져 도쿄지검·도쿄고검 검사들이 줄줄이 참배하기도 했다.[15]
2. 2. 1. 고구려 부흥운동
668년 고구려가 멸망한 뒤 고구려 왕족 안승과 검모잠 등이 고구려 부흥운동을 일으켰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내분이 일어나 안승이 검모잠을 죽이고 고구려 백성 4천 호(추산 2만 명)와 함께 신라에 귀순하는 사태가 벌어졌다.[5]신라 문무왕은 안승과 고구려 유민들을 금마저(전라북도 익산)로 옮겨 살게 하고 안승을 보덕왕(報德王)에 봉했다. 보덕국은 신라의 번속국(藩屬國)으로 있으면서 고구려와 동일한 5부와 관등 체계를 갖추고 나당 전쟁에 참전하거나 일본과는 견고려사(遣高麗使)라는 이름으로 사신을 주고받는 등 대내외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683년 신라 신문왕이 안승을 수도 경주로 불러 소판(蘇判) 관등과 김씨 성을 부여하고 집과 토지를 주며 수도에 거주하게 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보덕국의 장수 대문[6]이 금마저에서 난을 일으켰지만[7] 신라에 진압되어 흡수되었다. 보덕국 멸망 후 고구려 귀족과 유민들은 신라의 9주 5소경 중 하나인 남원경(전라북도 남원)으로 이전되었다.[8] 이 과정에서 고구려의 현악기인 거문고가 전래되었다.[9]
한편 8세기 말~9세기 초에는 요동 지역에서 고구려 유민들이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 나라(소고구려)[10]가 등장하기도 했지만 고려국에서 사신을 보냈다는 단편적인 기록 외에는 관련 기록이 없어서 국가 성립 과정과 배경, 멸망 시기 등은 알 수 없다.[11]
고구려 부흥 운동은 실패로 끝났으나, 698년에 성립된 발해[12][13]와 918년에 성립된 고려[14]가 고구려 계승을 천명했다.
2. 2. 2. 고구려 유민들의 일본 망명
다이호 3년(703년), 일본 조정은 고구려의 왕족이자 보장왕의 아들로 추정되는 고약광(고마노 잣코)에게 고마노고키시(高麗王)라는 성(姓)를 주었다. 이때 1,799명의 고구려인들이 일본으로 망명했다.[15] 덴표쇼호 2년(750년)에는 광개토대왕의 5대 손 배내복덕의 후예 다카쿠라노 후쿠노부 등의 일족에게 고마노아손(高麗朝臣)이라는 가바네를 내렸는데, 이는 도래인에게 아손이라는 가바네를 내리는 것은 당시 일본에서는 이례적인 일이었다. 그 뒤 후쿠노부는 다시 성을 다카쿠라(高倉)로 고쳤다. 약광의 자손은 대대로 고마 신사의 궁사(宮司)를 맡아 오늘날까지 이어져 현대의 고마씨(高麗氏)가 되었다.[15]고마 신사는 고약광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으며, "출세하고 싶으면 고마 신사에 가서 빌라"는 속설이 있을 정도로 일본에서는 명소이다. 하마구치 오사치, 와카쓰키 레이지로, 사이토 마코토, 고이소 구니아키, 시데하라 기주로, 하토야마 이치로가 참배한 뒤에 총리에 임명되었기에, 출세명신(出世明神|슛세이묘진일본어)이라 하며 숭상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큰 사건이 있을 땐 고마 신사에 가서 빌어야 수사가 잘 풀린다"는 얘기가 퍼져, 도쿄지검·도쿄고검 검사들이 줄줄이 참배하기도 했다.[15]
3. 성씨
고구려 왕족은 국호를 따라 고씨(高氏) 성을 사용했다.[16] 그 외에 해(解), 을(乙), 예(禮), 송(松), 목(穆), 우(于), 주(周), 마(馬), 손(孫), 창(倉), 동(董), 예(芮), 연(淵), 명림(明臨), 을지(乙支), 남(南) 등 10여 개의 성씨가 확인되었다.[16]
참조
[1]
서적
新唐书·高麗传
[2]
서적
通典
[3]
서적
三国史记·新罗本纪六
[4]
웹인용
고구려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웹사이트
보덕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6]
웹사이트
대문(大文)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7]
웹사이트
대문 -한국고전용어사전
https://terms.naver.[...]
[8]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9]
웹사이트
전북일보 7. 옥보고와 남원 운상원 - 거문고 주법 완성한 국악의 성지
http://www.jjan.kr/n[...]
[10]
웹사이트
소고구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11]
문서
[12]
서적
속일본기
http://db.history.go[...]
[13]
문서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14]
웹사이트
서희의 외교 담판
http://contents.hist[...]
[15]
뉴스
1300년, 일본 한복판에서 지켜온 고구려의 魂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6-04-23
[16]
뉴스
성씨 (姓氏)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