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호는 701년 5월 3일(율리우스력)부터 704년 6월 16일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다. 쓰시마 섬에서 금을 헌상한 것을 기념하여 개원되었으며, '대보'를 의미한다. 이 시기에는 다이호 율령이 반포되었고, 견당사가 당나라에 파견되어 외교 관계를 증진했다. 또한, 지방 행정 구획이 개편되고, 전국 국인이 주조되는 등 국가 체제가 정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스카 시대 - 다이호 율령
다이호 율령은 701년 일본에서 당나라 율령을 토대로 제정된 법전으로, 율은 당나라 것을 따르고 령은 일본 실정에 맞게 수정되었으며, 천황 중심의 중앙 집권 체제 확립과 행정 효율성 및 투명성 증진, 그리고 통일 국가 건설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지만, 원문은 전해지지 않고 양로령을 바탕으로 복원 중이다. - 아스카 시대 - 야마토 시대
야마토 시대는 4세기 초 일본 긴키 지방을 중심으로 성립되어 오키미를 중심으로 한 귀족 계급이 형성되었으며, 쇼토쿠 태자가 국내 체제를 혁신하고 아스카 문화를 꽃피우다가 710년 헤이조쿄 천도로 나라 시대로 이어진 시대이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다이호 | |
---|---|
개요 | |
시대 | 일본 연호 |
지속 기간 | 701년 ~ 704년 |
이전 시대 | 슈초 |
다음 시대 | 게이운 |
천황 | 몬무 천황 |
서력과의 대비 | |
시작 년도 | 701년 |
종료 년도 | 704년 |
간지 | |
1년 | 신축 |
2년 | 임인 |
3년 | 계묘 |
4년 | 갑진 |
기타 | |
다이호 율령 | 다이호 율령 반포 |
2. 연혁
701년 3월 21일(율리우스력 5월 3일) 몬무 천황 5년에 쓰시마섬에서 금을 헌상받은 것을 기념하여 다이호(大宝)로 개원하였다. 그러나 후에 이 금 헌상은 쓰시마산이 아니라고 지적받았다.[8]
704년 5월 10일(율리우스력 6월 16일) 후지와라쿄에서 상서로운 구름이 나타난 것을 계기로 게이운으로 개원하였다.
2. 1. 유래
쓰시마섬에서 금을 헌상받은 것을 기념해 연호가 제정되었다.[3] '''다이호 간넨'''|大宝元年일본어이라고도 불리는 701년에 조직과 법전을 성문화한 "대보"의 창조를 기념하여 새로운 연호 '''다이호'''(大宝)가 선포되었다. 새로운 시대는 701년 3월 21일에 시작되었다.[3]다이호 연간에 완성된 다이보율령이 시행되었고, 후지와라쿄로의 천도, 견당사 파견과 더불어 연호 제정도 율령 국가 건설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다이호 이전에 다이카(645년 ~ 650년), 하쿠치(650년 ~ 654년), 1년만 존재했던 주초(686년)의 세 개의 연호가 있었다고 하며, 속일본기는 하쿠호와 스자쿠의 존재를 기록하지만, 일본에서의 연호 제도는 단절된 상태였으며, "다이호"의 개원으로 연호 사용이 재개되었다. 다만 다이호 이전의 목간이나 금석문에서 연호가 사용된 예는 없으며, 다이호가 최초의 연호라는 설도 있다.[7]
이후 연호 제도는 끊이지 않고 현재의 레이와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있다.
다이호는 『주역』 계사 하의 "천지(天地)의 큰 덕(德)은 낳는 것이고, 성인(聖人)의 '''대보(大寶)'''는 지위이다."에서 유래했다.
3. 주요 사건
대보 연간에 다이호 율령이 시행되어, 후지와라쿄로의 천도, 견당사 파견과 더불어 연호 제정도 율령 국가 건설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대보 이전에도 다이카(645년 - 650년), 하쿠치(650년 - 654년), 1년만 존재했던 주초(686년)의 세 개의 연호가 있었다고 하며, 『속일본기』는 하쿠호와 스자쿠의 존재를 기록하지만, 일본에서의 연호 제도는 단절된 상태였으며, "대보"의 개원으로 연호 사용이 재개되었다. 다만 대보 이전의 목간이나 금석문에서 연호가 사용된 예는 없으며, 대보가 최초의 연호라는 설도 있다[7]。
이후, 연호 제도는 끊이지 않고 현재의 "레이와"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있다.
702년(다이호 2년)에는 여러 나라에 도량기를 반포했다.
3. 1. 다이호 율령 반포
701년(다이호 원년), 다이호 율령이 완성되어 새로운 법령을 묘호 하카세(明法博士일본어, 옛 일본 최고 교육기관인 다이가쿠료의 법학 교관)에게 강의하게 하였다.[4] 지방 행정 구획도 국군리제로 개편되었다.702년(다이호 2년)에는 다이호 율령이 반포되었다.[5] 이는 646년 다이카 개신으로 시작된 개혁의 많은 부분을 완료하고 중앙 정부를 재편한 것이다. 다이호 율령은 당나라의 율령을 참고하여 일본의 실정에 맞게 편찬한 법전으로, 형법, 행정법, 민법 등을 포괄하는 내용이다. 이는 국가의 기틀을 다지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2. 견당사 파견
702년(다이호 2년) 6월, 아와타노 마히토를 견당사로 당나라에 파견했다.[4][6] 견당사는 당나라의 선진 문물을 수입하고, 외교 관계를 증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이는 당시 일본이 적극적으로 대외 교류를 추진했음을 보여준다.3. 3. 기타
- 702년(다이호 2년) 12월: 지토 태상천황이 서거하였다.[4]
- 703년(다이호 3년): 오사카베 친왕을 지다조칸지(지태정관사)에 임명하였다. 고고노넨쟈쿠(庚午年籍)를 작성하였다.
- 704년(다이호 4년): 전국 국인(國印)을 일제히 주조하였다. 이를 계기로 국명에 사용하는 문자가 개정되었다(예: 시노→시나노).
- 다이호 연간(701년 ~ 704년): 사누키 수호 미치모리가 나카 군 만농(만노) 연못을 축조하였다.
4. 연표
5. 관련 인물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없으므로 관련 인물 섹션은 작성하지 않습니다.)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1834
[2]
서적
Gukanshō
1979
[2]
서적
Jinnō Shōtōki
1980
[3]
서적
[4]
서적
Articulating the Sinosphere: Sino-Japanese Relations in Space and Time
http://www.hup.harva[...]
2009
[5]
서적
The Early Institutional Life of Japan
1903
[6]
서적
Sovereign and Subject
1962
[7]
서적
神皇正統記
[8]
서적
長崎県の歴史
山川出版社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