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왕자 공룡킹 D키즈 어드벤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왕자 공룡킹 D키즈 어드벤처'는 공룡 카드를 활용한 아케이드 게임, 애니메이션, 만화 등으로 구성된 미디어 믹스 작품이다. 게임은 공룡 카드와 기술 카드를 사용하여 대결하는 방식으로, 혼자 또는 둘이서 플레이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기 형식을 제공한다. 애니메이션은 D-팀이 알파 갱, 우주 해적 잔쟈크 등과 대결하며 공룡 카드를 지키는 내용을 다루며, 만화는 게임 및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다양한 스토리를 선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공룡 - 굿 다이노
《굿 다이노》는 공룡이 멸종하지 않고 진화했다는 가정 아래, 소심한 아파토사우루스 알로와 야생 소년 스팟이 우정을 쌓으며 성장하는 모험을 그린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2015년 장편 영화이다. - 가공의 공룡 - 쥬라기 공원
마이클 크라이튼의 소설을 원작으로 유전자 조작으로 복원된 공룡 테마파크를 배경으로 하는 쥬라기 공원은 영화, 소설, TV 시리즈,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미디어 프랜차이즈이다. - 공룡을 소재로 한 작품 - 쥐라기 월드컵
쥐라기 월드컵은 1993년부터 1994년까지 후지 TV에서 방영된 스튜디오 갤럽 제작의 TV 애니메이션으로, 축구선수를 꿈꾸는 소년이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위너스 축구팀에 들어가 드래곤 월드를 구하는 모험을 그리고 있다. - 공룡을 소재로 한 작품 - 아기공룡 둘리
김수정 작가의 만화에서 시작된 아기공룡 둘리는 고길동의 집에서 둘리와 친구들이 함께 살며 초능력과 타임머신을 통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었으며 사회적 논쟁에도 불구하고 한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게임의 애니메이션화 작품 - 메이플스토리 (애니메이션)
넥슨 게임 《메이플스토리》를 원작으로 매드하우스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메이플스토리》는 세계수 파괴 10년 후 세계수를 되살리기 위한 주인공 알의 모험을 그리며, 알은 여러 종족 동료들과 함께 악의 조직 ‘흑익’에 맞서 싸운다는 내용을 담고 있고, 2007년 10월부터 2008년 3월까지 TXN 계열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 - 게임의 애니메이션화 작품 -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은 《파이널 판타지 VII》 사건 2년 후를 배경으로 한 CG 애니메이션 영화로, 클라우드 스트라이프가 '성흔 증후군'과 세피로스 부활을 꾀하는 카다쥬 일당에 맞서는 이야기이며, 뛰어난 영상미와 액션으로 호평받았으나 스토리 난해함과 표절 논란도 있었다.
고대왕자 공룡킹 D키즈 어드벤처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장르 | 디지털 수집 카드 게임 |
아케이드 게임 정보 | |
개발사 | 세가 |
배급사 | 세가 |
플랫폼 | 아케이드 게임 |
출시일 | 2005년 |
장르 | 디지털 수집 카드 게임 |
만화 정보 | |
종류 | 만화 |
작가 | 요헤이 사카이 |
출판사 | 쇼가쿠칸 |
영어 출판사 | 비즈 미디어 |
대상 독자 | 어린이 (소년) |
잡지 | 코로코로 코믹 |
연재 시작 | 2006년 2월 |
연재 종료 | 2007년 10월 |
권수 | 2권 |
애니메이션 정보 (1기) | |
종류 | TV 시리즈 |
제목 | 고대 왕자 공룡킹 D키즈 어드벤처 |
감독 | 야타베 카츠요시 |
각본 | 히라노 야스시 |
음악 | 후쿠다 유코 |
제작사 | 선라이즈 |
방송사 | ANN (나고야 TV, TV 아사히) |
영어 방송사 | 네트워크 텐, 일레븐 (호주) 제틱스 (영국, 아일랜드) YTV (캐나다) Kix (영국) 폭스 (4Kids TV), The CW (The CW4Kids/툰자이), 신디케이션 (키즈클릭) (미국) |
방영 시작일 | 2007년 2월 4일 |
방영 종료일 | 2008년 1월 27일 |
에피소드 수 | 49화 |
게임 정보 (닌텐도 DS) | |
개발사 | 클라이맥스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 세가 |
플랫폼 | 닌텐도 DS |
출시일 | 2007년 9월 22일 |
장르 | 디지털 수집 카드 게임 |
애니메이션 정보 (2기) | |
종류 | TV 시리즈 |
제목 | 고대 왕자 공룡킹 D키즈 어드벤처: 익룡 전설 |
감독 | 야타베 카츠요시 |
각본 | 히라노 야스시 |
음악 | 후쿠다 유코 |
제작사 | 선라이즈 |
방송사 | 나고야 TV, TV 아사히 |
영어 방송사 | The CW (The CW4Kids, 툰자이) (미국) YTV (캐나다) 유니마스 (미국) 제틱스, Kix! (영국) 네트워크 10 (호주) 일레븐 (호주) 카툰 네트워크 (필리핀) |
방영 시작일 | 2008년 2월 3일 |
방영 종료일 | 2008년 8월 31일 |
에피소드 수 | 30화 |
2. 게임
게임을 하기 위해 100円일본어을 넣으면 공룡 카드나 기술 카드 중 한 장이 나온다.[8]
플레이 모드는 크게 '혼자서 플레이'와 '둘이서 플레이'로 나뉜다.
- '혼자서 플레이'는 각 시리즈의 스토리에 맞는 여러 게임 모드가 있다.
- '둘이서 플레이'는 '승자 연승전', '태그 매치', '팀 배틀'의 세 가지 경기 형식이 있다.
하얀 바코드를 스캔하면[10]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 공룡 카드를 스캔하면 플레이어의 파트너 공룡이 등장한다. 캐릭터 카드를 함께 스캔하면 원하는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다.
- 공룡 카드를 스캔하지 않으면 트리케라톱스(비김 타입)가 자동으로 나온다.
- 기술 카드를 공룡 카드 뒤에 스캔하면 공룡에게 다양한 기술을 부여할 수 있다.
- 기술 카드를 스캔하지 않으면 게임 내 공룡 등장 화면에 '없음'으로 표시된다.
가위바위보에서 이긴 쪽이 기술로 공격하며, 제시 시간은 서로 10초이다. 비기면 5초, 다시 비기면 3초로 줄어든다. 상대 체력을 먼저 0으로 만들면 승리한다.
기본 규칙은 단순하지만, 배틀 타입과 기술 조합에 따라 공룡 능력이 크게 달라진다. 특정 조건에서는 가위바위보에서 지거나 비겨도 공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심리전과 전략이 필요하다.
가위바위보 기반이므로 비기는 경우가 있지만, 무승부는 없다. 양쪽 체력이 매우 적은 상태에서 비기면 기술 버튼을 빨리 누른 쪽이 이긴다. 단, 카운트 수에 차이가 있으면 카운트가 많은 쪽이 우선한다.[11]
2. 1. 게임 방법
100円일본어을 넣으면 공룡 카드나 기술 카드 중 한 장이 나온다.[8]플레이 모드는 크게 '혼자서 플레이'와 '둘이서 플레이'로 나뉜다.
- '혼자서 플레이'는 각 시리즈의 스토리에 맞는 여러 게임 모드가 있다.
- '둘이서 플레이'는 '승자 연승전', '태그 매치', '팀 배틀'의 세 가지 경기 형식이 있다.
- '승자 연승전'은 1대1, 2대2, 3대3 중 선택할 수 있다. 이긴 쪽은 체력이 남을 때까지 계속 싸우고, 진 쪽은 다음 공룡을 내보내는 방식이다. 모든 공룡을 먼저 쓰러뜨린 쪽이 승리한다. 세가(SEGA) 공식 대회에서는 2대2 승자 연승전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 '태그 매치'는 2대2로 시작해 경기 중 '체인지' 기회에 조건을 만족하면[9] 공룡을 교체할 수 있다.
- '팀 배틀'은 1대1 배틀을 여러 번 진행하고, 각 배틀 내용에 따라 시스템이 부여한 점수를 합산해 총점이 높은 팀이 승리한다.
하얀 바코드를 스캔하면[10]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 공룡 카드를 스캔하면 플레이어의 파트너 공룡이 등장한다. 캐릭터 카드를 함께 스캔하면 원하는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다.
- 공룡 카드를 스캔하지 않으면 트리케라톱스(비김 타입)가 자동으로 나온다.
- 기술 카드를 공룡 카드 뒤에 스캔하면 공룡에게 다양한 기술을 부여할 수 있다.
- 기술 카드를 스캔하지 않으면 게임 내 공룡 등장 화면에 '없음'으로 표시된다.
가위바위보에서 이긴 쪽이 기술로 공격한다. 제시 시간은 서로 10초이며, 비기면 5초, 다시 비기면 3초로 줄어든다. 상대 체력을 먼저 0으로 만들면 승리한다.
기본 규칙은 단순하지만, 배틀 타입과 기술 조합에 따라 공룡 능력이 크게 달라진다. 특정 조건에서는 가위바위보에서 지거나 비겨도 공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심리전과 전략이 필요하다.
가위바위보 기반이므로 비기는 경우가 있지만, 무승부는 없다. 양쪽 체력이 매우 적은 상태에서 비기면 기술 버튼을 빨리 누른 쪽이 이긴다. 단, 카운트 수에 차이가 있으면 카운트가 많은 쪽이 우선한다.[11]
2. 2. 게임 규칙
ジャンケン|쟌켄일본어(가위바위보)을 기반으로 하지만, 배틀 타입과 기술의 성능에 따라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비기는 경우도 있지만, 시합으로서의 무승부는 없다.[8]- 혼자서 플레이: 각 시리즈의 스토리에 맞는 게임 모드가 여러 개 준비되어 있으며, 게임 모드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상대의 패에 대한 힌트가 나온다.
- 둘이서 플레이: 통상 2명의 플레이어가 플레이하며, 「승자 연승전」, 「태그 매치」, 「팀 배틀」의 3가지 경기 형식이 있다.
- 승자 연승전: 1VS1, 2VS2, 3VS3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공룡을 1마리씩 싸우게 하는 것이지만, 공룡이 여러 마리 있는 경우, 이긴 쪽은 체력이 남아 있는 한 계속 이기고, 진 쪽은 다음 공룡을 출전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모든 공룡을 먼저 쓰러뜨린 쪽이 승리한다. 세가(SEGA)에 의한 공식 대회에서는 2VS2의 승자 연승전이 가장 일반적인 경기 형식이었다.
- 태그 매치: 2VS2로 시작하지만, 경기 도중에 「체인지」 기회가 여러 번 있으며, 조건[9]을 만족하면 공룡을 교체할 수 있다. 싸우고 있는 공룡이 1턴을 이기면 대기하고 있는 공룡의 속성에 따른 지원 효과를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 팀 배틀: 1VS1 형식의 배틀을 여러 번에 걸쳐 진행하고, 그 전체를 1경기로 간주한다. 각 배틀에서는 내용에 따라 시스템이 점수를 부여하며, 모든 배틀이 끝난 시점에서 총점수가 높은 팀이 승리한다. 이 모드에서는 공룡의 최대 등록 수가 10이기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10명 1팀으로 하면 20명이서 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얀 바코드를 스캔한다.[10]
- 공룡 카드를 스캔하면 플레이어의 파트너가 될 공룡이 등장한다. 캐릭터 카드를 공룡 카드 앞에 스캔하면 좋아하는 캐릭터를 자신이 조작할 수 있다.
- 공룡 카드를 스캔하지 않으면 트리케라톱스(비김 타입)가 자동으로 등장한다. 캐릭터 카드를 공룡 카드 앞에 스캔하지 않으면 「둘이서 플레이」를 선택했을 때 류타가 자동으로 등장하지만, 「혼자서 플레이」에서는 D 키즈 3명 중에서 좋아하는 캐릭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 기술 카드를 공룡 카드 뒤에 스캔하여 자신의 공룡에게 다양한 기술을 익히게 한다.
- 기술 카드를 공룡 카드 뒤에 스캔하지 않으면, 게임 내 공룡 등장 화면에서는 「없음」으로 표시된다. 1장도 스캔하지 않으면, 류타로부터 「다음에는 파워업 시켜줘!」라고 충고받는다.
각 카드에는 성능 등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며, 상성 및 암호표와 타입 체커가 2007년 시리즈까지 기재되어 있었지만, 격잔 시리즈 이후에는 생략되었다.
- 공룡 카드: 이 게임의 주역으로 싸우는 고생물. 기술 카드를 조합하면 파워 업한다. 상세 정보는 공룡 카드를 참조한다.
- 노멀 기술 카드: 어떤 공룡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 상대에게 단순한 공격을 주체로 하는 통상 기술, 기능을 가진 특수 기술로 대별된다. 통상 기술은 공룡의 초기 테크닉에 유래하는 상성이 있으며, 특수 기술은 테크닉 값에 따라 능력과 발동 확률이 변화한다. 상세 정보는 노멀 기술을 참조한다.
- 초 기술 카드: 통상의 6속성이 있는 기술. 공룡 카드와 가위바위보 마크를 맞추면, 초필살 초 기술이 된다. 필살 기술의 위력이 올라가면, 일격 필살로 주는 데미지가 커진다. 상세 정보는 초 기술을 참조한다.
2. 3. 카드 종류
100엔을 넣으면 『'''공룡 카드'''』 또는 『'''기술 카드'''』 중 하나가 1장씩 나온다[8]。카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공룡 카드''': 플레이어의 파트너가 될 공룡이 등장한다.
- * 공룡 카드를 스캔하지 않으면 트리케라톱스(비김 타입)가 자동으로 등장한다.
- '''기술 카드''': 공룡 카드 뒤에 스캔하여 자신의 공룡에게 다양한 기술을 익히게 한다.
- * 기술 카드를 공룡 카드 뒤에 스캔하지 않으면, 게임 내 공룡 등장 화면에서는 「없음」으로 표시된다. 또한, 1장도 스캔하지 않으면, 류타로부터 「다음에는 파워업 시켜줘!」라고 충고받는다.
요약에 따르면, 공룡 카드는 게임의 주역으로 싸우는 고생물이며, 기술 카드를 조합하여 파워 업 할 수 있다. 노멀 기술 카드는 어떤 공룡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며, 통상 기술과 특수 기술로 나뉜다. 초 기술 카드는 6가지 속성이 있으며, 공룡 카드와 가위바위보 마크를 맞추면 초필살 초 기술이 된다.
2. 4. 게임 시리즈
100円일본어을 넣으면 『'''공룡 카드'''』 또는 『'''기술 카드'''』 중 하나가 1장씩 나온다[8]。「혼자서 플레이」와 「둘이서 플레이」로 크게 나뉜다.
- 「혼자서 플레이」는 각 시리즈의 스토리에 맞는 게임 모드가 여러 개 준비되어 있으며, 게임 모드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상대의 패에 대한 힌트가 나온다.
- 「둘이서 플레이」는 통상 2명의 플레이어가 플레이하며, 「승자 연승전」, 「태그 매치」, 「팀 배틀」의 3가지 경기 형식이 있다.
- 「승자 연승전」은 1VS1, 2VS2, 3VS3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공룡을 1마리씩 싸우게 하는 것이지만, 공룡이 여러 마리 있는 경우, 이긴 쪽은 체력이 남아 있는 한 계속 이기고, 진 쪽은 다음 공룡을 출전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모든 공룡을 먼저 쓰러뜨린 쪽이 승리한다. 또한, 세가(SEGA)에 의한 공식 대회에서는 2VS2의 승자 연승전이 가장 일반적인 경기 형식이었다.
- 「태그 매치」는 2VS2로 시작하지만, 경기 도중에 「체인지」 기회가 여러 번 있으며, 조건[9]을 만족하면 공룡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싸우고 있는 공룡이 1턴을 이기면 대기하고 있는 공룡의 속성에 따른 지원 효과를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 「팀 배틀」은 1VS1 형식의 배틀을 여러 번에 걸쳐 진행하고, 그 전체를 1경기로 간주하는 것이다. 각 배틀에서는 내용에 따라 시스템이 점수를 부여하며, 모든 배틀이 끝난 시점에서 총점수가 높은 팀이 승리한다. 이 모드에서는 공룡의 최대 등록 수가 10이기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10명 1팀으로 하면 20명이서 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얀 바코드를 스캔한다[10]。
- 공룡 카드를 스캔하면 플레이어의 파트너가 될 공룡이 등장한다. 또한, 캐릭터 카드를 공룡 카드 앞에 스캔하면 좋아하는 캐릭터를 자신이 조작할 수 있다.
- 공룡 카드를 스캔하지 않으면 트리케라톱스(비김 타입)가 자동으로 등장한다. 또한, 캐릭터 카드를 공룡 카드 앞에 스캔하지 않으면 「둘이서 플레이」를 선택했을 때 류타가 자동으로 등장하는 것이 통례이지만, 「혼자서 플레이」에서는 D 키즈 3명 중에서 좋아하는 캐릭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 기술 카드를 공룡 카드 뒤에 스캔하여 자신의 공룡에게 다양한 기술을 익히게 한다.
- 기술 카드를 공룡 카드 뒤에 스캔하지 않으면, 게임 내 공룡 등장 화면에서는 「없음」으로 표시된다. 또한, 1장도 스캔하지 않으면, 류타로부터 「다음에는 파워업 시켜줘!」라고 충고받는다.
설명은 격찬 2기 이후의 캐릭터 카드 뒷면의 소개 문구에 준거한다. 캐릭터 카드화되어 있다면, 공룡 카드 전에 스캔하면 게임 대전 시 좋아하는 캐릭터를 직접 사용할 수 있다.
3. 애니메이션
선라이즈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2007년 2월 4일 TV 아사히에서 처음 방영되었다.[6] 이야기는 공룡을 좋아하는 D키즈(맥스, 렉스, 조)와 알파단의 공룡 카드 쟁탈전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D키즈는 디노 홀더라는 장치로 공룡 카드를 사용해 공룡을 소환하고, 기술 카드로 강화할 수 있다.
2기 '익룡 전설'에서는 D키즈가 부모님을 찾고 우주 해적 잔쟈크와 맞서는 내용이 추가되어 연속 드라마 요소가 강화되었다. 각 이야기는 4화 완결 구성이며, B파트 시작 시 가위바위보 코너, 엔딩에는 사토 히로미치의 노래 '공룡 체조'에 맞춰 등장인물과 공룡들이 춤추는 애니메이션을 넣어 저연령층을 위한 기획을 선보였다. 2007년 4월 15일부터는 초등학생 이하 시청자를 대상으로 'D키즈 대원 모집' 기획을 공식 사이트에서 진행했다.
미국에서는 2007년 말 폭스의 4Kids TV에서 영어 더빙판이 방영되었고, 2008년 9월 6일 The CW의 The CW4Kids로 이동했다. 2018년 2월 5일부터 8월 24일까지 키즈클릭에서 재방송되었다.[6] 샤우트! 팩토리에서 2008년 9월 23일부터 2009년 6월 30일까지 DVD 3개 볼륨으로 발매했고, 디스코텍 미디어에서 2018년 11월 27일 각 시즌별 SD 블루레이 세트 2개를 출시했다.
3. 1. 개요
선라이즈가 제작하고 TV 아사히에서 2007년 2월 4일에 첫 방영된 애니메이션이다.[6]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방영되었다.맥스 테일러, 렉스 오웬, 조이 드레이크는 공룡 카드를 제어하기 위해 D-팀을 결성한다. 이들은 3억 5천만 년 전의 초식 공룡인 트리케라톱스 콤프, 1억 년 전의 육식 공룡인 카르노타우루스 에이스, 2억 5천만 년 전의 초식 공룡인 파라사우롤로푸스 파리스를 조종한다. D-팀은 공룡 카드와 6개의 석판을 차지하여 세계를 지배하려는, 서기 2126년에서 온 알파 갱에 맞서 싸운다.
3. 2. 줄거리
맥스 테일러는 고생물학자인 스파이크 테일러 박사의 아들이다. 어느 날 아침, 맥스는 하늘에서 유성이 떨어지는 것을 목격하고 친구 렉스 오웬, 조이 드레이크와 함께 숲으로 향한다. 그곳에서 그들은 번개, 바람, 풀의 상징이 새겨진 돌과 트리케라톱스 그림이 그려진 카드를 발견한다. 맥스가 카드를 돌에 문지르자 트리케라톱스 촙이 활성화된다.D-팀은 닥터 Z, 어슐라, 잔더, 에드, 세스, 로라, 로드, 헬가, 그리고 알파 드로이드로 구성된 알파 갱을 만난다. 알파 갱은 타임머신 폭발로 현재에 갇히게 되었고, 잃어버린 공룡 카드를 찾으려 한다. 렉스는 카르노타우루스 카드인 에이스를, 조이는 파라사우롤로푸스 카드인 파리를 활성화한다. D-팀과 알파 갱은 공룡 카드가 활성화될 때마다 공룡 소유권을 놓고 자주 충돌한다.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세스는 블랙 티라노사우루스를 이끌고 동료들을 배신하지만, 결국 패배한다. 세스는 촙을 과거로 데려가려 하지만 실패하고 혼자 과거로 보내진다. D-팀은 눈물을 흘리며 렉스의 부모에게 공룡들을 넘겨준다.
두 번째 시리즈에서는 알파 갱과 고대인들이 돌아온다. D-팀의 부모님들이 스펙트럼 우주 해적의 일원인 가브로에게 납치되자, 알파 갱과 D-팀은 코스모스 스톤이라는 우주 보석을 얻으려는 우주 해적에 맞서 힘을 합치게 된다. 세스는 나중에 스펙트럼 우주 해적의 동맹으로 돌아온다. 우주 해적의 리더인 스펙터는 공룡 카드를 제공한다. 75화에서 세스는 D-팀에게 도움을 요청하지만, 이는 D-팀이 가진 두 개의 코스모스 스톤을 얻기 위한 속임수였다. 결국 스펙트럼 우주 해적은 일곱 개의 코스모스 스톤을 모두 잡지만, 세스와 프테로사우루스는 블랙 프테로사우루스를 물리친다. 렉스, 그의 부모님, 그리고 알파 갱은 스펙트럼 우주 해적들이 포드 안에서 떠돌아다니는 동안 자신들의 시간으로 떠난다.
3. 2. 1. 제1기
6500만 년 전 백악기 후기, 지구상의 공룡들은 우주에서 온 운석에 의해 멸종하고 공룡 시대가 끝났다. 그리고 현대 지구에서, 공룡을 매우 좋아하는 초등학생 '''맥스'''(古代 竜太|고대 류타일본어)는 어느 날 아침 공룡 책을 보다가 하늘에서 운석이 떨어지는 것을 보게 된다. 맥스는 같은 멤버인 '''렉스''', '''조'''와 함께 운석이 떨어진 곳으로 간다. 그곳에서 세 개의 석판과 공룡 트리케라톱스를 봉인한 카드를 발견한다. 맥스가 석판을 만지자 트리케라톱스가 나타나고, 3명은 트리케라톱스에게 쫓긴다. 맥스가 석판을 문지르자 트리케라톱스는 작은 모습으로 변해 맥스를 따른다. 맥스는 트리케라톱스에게 '''가부'''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공룡 박사인 아버지 '''검룡'''에게 말하여 조사받는다.그때, 티라노사우루스를 데리고 온 '''알파단'''(비밀 결사 행위단)이 나타나 가부를 노린다. 맥스 일행은 가부를 안고 도망치지만, 검룡이 완성한 '''D홀더'''로 '''디노 슬래시'''하여 가부를 진화시켜 티라노사우루스의 위협을 막는다.
석판이 들어있는 D홀더에서 멸종한 공룡들의 목소리가 들려와 도움을 요청한다. 맥스 일행은 파트너 공룡들과 함께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공룡 카드를 회수하고 알파단으로부터 공룡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시즌 1에서, 맥스 테일러와 그의 친구 렉스 오웬, 조이 드레이크는 공룡 카드를 제어하기 위해 D-팀을 결성한다. 맥스 테일러는 트리케라톱스 콤프를, 조이는 파라사우롤로푸스 파리스를, 렉스 오웬은 카르노타우루스 에이스를 조종한다.
이들 셋은 서기 2126년에서 온 알파 갱에 대항하며, 알파 갱은 공룡 카드와 6개의 석판을 모두 차지하여 세계를 지배하려 한다. 우르술라는 이 그룹의 보스이며, 티라노사우루스 테리를 조종한다.
잔더는 장비 비용을 지불하며, 조이 드레이크의 언니를 짝사랑한다. 그는 스피노사우루스 스피니를 조종한다. 에드는 이해력이 느리고 키가 작으며, 좋은 일이나 나쁜 결과를 예측하여 팀에게 불운을 가져다주는 경향이 있다. 그는 안킬로사우루스인 탱크를 조종한다.[6]
3. 2. 2. 제2기 (익룡전설)
D키즈는 우주 해적 잔쟈크에게 잡혀간 부모님을 구하기 위해 렉스, 조, 알파단과 함께 시공을 넘어 타임머신을 추적한다. 갑자기 나타난 '''빛의 익룡'''은 '''새로운 위기가 다가오고 있음'''을 알려준다.[6]3. 3. 등장인물
맥스 테일러, 렉스 오웬, 조이 드레이크는 공룡 카드를 제어하기 위해 D-팀을 결성한다. 맥스는 트리케라톱스 콤프, 조이는 파라사우롤로푸스 파리스, 렉스는 카르노타우루스 에이스를 조종한다.[1]이들은 2126년에서 온 알파 갱에 대항한다. 알파 갱은 공룡 카드와 6개의 석판으로 세계를 지배하려 한다. 알파단의 리더 Z박사는 과학자, 우르슐라는 여성 간부, 잔더는 장비 비용을 담당하고 조이의 언니를 짝사랑하며, 에드는 팀에 불운을 가져온다. 우르슐라는 티라노사우루스 테리, 잔더는 스피노사우루스 스피니, 에드는 안킬로사우루스 탱크를 조종한다.[1]
맥스는 고생물학자 스파이크 테일러 박사의 아들이다. 어느 날 아침, 맥스는 유성을 보고 렉스, 조이와 숲으로 가 번개, 바람, 풀의 상징이 새겨진 돌과 공룡 카드를 발견한다. D-팀은 공룡 카드를 얻으려는 알파 갱과 충돌한다. 마지막에 세스는 블랙 티라노사우루스로 배신하지만 패배하고, D-팀은 렉스의 부모에게 공룡을 넘긴다.[1]
두 번째 시리즈에서 알파 갱과 고대인들이 돌아온다. D-팀과 알파 갱은 우주 해적 잔쟈크에 맞선다. 잔쟈크는 코스모스 스톤을 노린다. 세스는 스펙트럼 우주 해적 동맹으로 돌아온다. 스펙트럼 우주 해적은 코스모스 스톤을 잡지만, 세스와 프테로사우루스는 블랙 프테로사우루스를 물리친다. 렉스와 부모, 알파 갱은 자신들의 시간으로 떠난다.[1]
세가(Sega)는 이 시리즈 기반 닌텐도 DS용 비디오 게임을 2008년 9월 23일 출시했다.
노피스는 아크토단과 잔자크 소속 남자다. 애니메이션에서 연구하며 공룡으로 무언가를 꾸민다. 소노이다 조수였지만 블랙 티라노사우루스로 반역한다. 최종화에서 코스모스톤이 잔자크에 들어가 검은 익룡 탄생에 책임지고 개심한다. 류타는 화해하려 않지만, 검은 익룡을 위해 함께 싸운다. 마지막에 백랜드호로 악행을 사죄, 검은 익룡 멸망에 성공한다. 이름은 "스피노사우루스" 유래, 해외판 이름은 "Seth".[1]
3. 3. 1. D키즈 (D-KIDS)
이선호가 성우를 맡은 맥스 테일러(고대 류타)는 본편의 주인공으로, 초등학교 6학년 12세이다. 트리케라톱스 '가부'의 파트너이며, 고대 공룡 연구소 소장인 고대검룡과 아키의 아들이다. 누구보다 공룡을 좋아하며 밝고 정의감 넘치는 D키즈의 리더이다. 구령은 '''"울려퍼져라! 트리케라톱스!!"'''이다. 공사 소음 속에서도 잠들고 하수구 냄새에도 동요하지 않는 등 둔감한 성격이며, 덜렁대고 침착성이 없지만 무슨 일이 있어도 포기하지 않는 강한 정신력을 가지고 있다. 머리에는 공룡 뿔 모양의 선바이저를 쓰고 있으며, 좋아하는 음식은 햄버거이고 싫어하는 음식은 야채(특히 고추나 당근)이다. 공부는 못하지만, 특히 수학은 노력해도 성적이 좋지 않다. 조를 이성으로서 신경쓰는 모습도 보이며, 멤버 중 키가 가장 작다는 사실에 신경을 쓰고 있다.[1]문남숙이 성우를 맡은 렉스 오웬(렉스 엔션트)은 미국 출신의 소년으로 D키즈의 멤버이다. 초등학교 6학년 12세이며, 생일(정확하게는 오웬 박사에게 주워진 날)은 6월 10일이다. 카르노타우루스 '에이스'의 파트너이다. 구령은 '''"불어라! 카르노타우루스!!"'''이다. 냉정한 판단력을 가진 학자 기질이며, 컴퓨터를 잘 다루고 흥미가 있는 일은 철저히 추구한다. 고아로 오웬 박사에게 입양되었으며, 양아버지의 영향으로 공룡 지식이 풍부하다. 일본에 유학하여 고대 가문에 함께 살고 있다. 신경질적인 성격 때문에 맥스와 자주 대립하며, 제트 코스타를 싫어하는 의외의 면도 있다. 맥스와 마찬가지로 조를 이성으로서 신경쓰고 있다. 친부모가 없다는 사실에 콤플렉스를 느끼고, 공룡과의 싸움에 괴로워하며 고민하기도 하지만, 적이었던 알파단과 협력하는 등 강한 정신력을 보여준다. 비행기를 탔을 때 알파단의 UFO와 충돌하여 과거의 기억이 떠오르는 트라우마를 겪기도 했다.[1]
이영란이 성우를 맡은 조(타츠노 마루무)는 맥스의 친구이자 D키즈의 멤버로, 참모 역할을 맡고 있다. 초등학교 6학년 12세로, 트라이아스 시에 거주하며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후에 게임에 역수입되었다. 본작의 히로인으로, 착실하고 팀을 잘 이끄는 역할을 한다. 가족으로는 언니 리어스, 아버지 중생, 어머니 안모가 있다. 파라사우롤로푸스 '파라파라'의 파트너이다. 구령은 '''"싹터라! 파라사우롤로푸스!!"'''이다. 군인과 같은 모습에 활발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밝고 상냥한 여자아이이다. 황녀를 동경하거나 유행에 민감하고 미남을 좋아하는 등 멋진 사람에게 넋을 잃는 경우가 많다. 축구 골키퍼를 맡을 정도의 운동신경을 가지고 있으며, 돌보기를 좋아하고 가정적인 소녀로 맥스와 렉스를 엄격하게 지도하는 등 가사 전반에 능숙하다. 머리 부분에는 카메라 기능이 있는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다.[1]
3. 3. 2. 알파단
Z박사 (최한): 알파단의 보스이자 뛰어난 과학자이다.[1] 우르슐라 (유상우): 알파단의 여성 간부이다. 유머 포인트는 세상 어디에서든 "할머니"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1] 잰더 (주재규): 알파단의 멤버로 장비 비용을 지불하며, 조이 드레이크의 언니를 짝사랑한다. 화학 실험에 능숙하다.[1] 에드 (심승한): 알파단의 멤버이다. 이해력이 느리고 키가 작으며, 좋은 일이나 나쁜 결과를 예측하여 팀에게 불운을 가져다주는 경향이 있다. 컴퓨터에 능숙하다.[1] 로드 (서지연): 알파단의 멤버로 기계를 다루는 것을 잘한다.[1] 로라 (이미덕): 알파단의 멤버이자 로드의 여동생이다.[1] 세스 (임채헌): 알파 갱의 멤버이다.[1]3. 3. 3. 우주 해적 잔쟈크
잔쟈크는 우주 해적단으로, 코스모스 스톤이라는 우주 보석을 노리고 있다. 이들은 알파 갱과 D-팀에 맞서 싸우게 된다.[1]3. 3. 4. 기타 등장인물
- '''고대 박사''' (고다이 켄류|한자일본어) : 맥스 테일러의 아버지로, 세계적인 고생물학자이다. 공룡 발굴 조사와 고생물학 연구를 진행하는 "고대 공룡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 '''리어스''' (타츠노 리아스|한자일본어) : 조의 언니로, 고대 박사의 조수이다.
3. 4. 주제가
小さな僕らの大きなハート|조그마한 우리들의 큰 하트일본어 (1기 오프닝)[6]宇宙の子供たち|우주의 아이들일본어 (2기 오프닝)[6]
4. 만화
쇼가쿠칸에서 만화를 발행했다.
- 고대왕자 공룡킹 (사카이 요헤이 작): 별책 코로코로 코믹 연재.
- 최강 고대왕자 결정 개그 우리들 공룡 킹 (카와이 쥰지 작): 코로코로 이치방! 연재.
- 공룡킹 익룡전설 (야타카 스즈오 작): 코로코로 이치방! 연재.
5. 한국 방영 및 영향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애니메이션이 방영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어린이날 등 특별한 날에 공룡킹 관련 언급을 하며 어린이들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구축하려 노력했다.
6. 비판 및 논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고대왕자 공룡킹 D키즈 어드벤처'의 줄거리만 요약되어 있을 뿐, '비판 및 논란' 섹션에 포함될 내용은 없습니다. 따라서 섹션 요약에 제시된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공룡킹의 폭력성과 선정성을 지적하며 비판하기도 했다"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 근거하지 않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간행물
Viz Media Announces the Release of Dinosaur King
https://www.animenew[...]
Viz Media
2010-01-25
[2]
웹사이트
Dinosaur King
http://www.4licensin[...]
4Licensing Corporation
2016-10-06
[3]
웹사이트
Discotek Licenses English-Dubbed Dinosaur King Anime
https://www.animenew[...]
Anime News Network
2018-09-24
[4]
웹사이트
Dinosaur King Stomps Onto DS
http://ds.ign.com/ar[...]
2007-09-21
[5]
Webarchive
Dinosaur King TCG Homepage
https://web.archive.[...]
Upper Deck
2015-08-01
[6]
웹사이트
This TV Schedule - Program listings and guide
https://web.archive.[...]
2018-01-25
[7]
웹사이트
Dinosaur King for Nintendo DS (2008) - MobyGames
http://www.mobygames[...]
2016-07-02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웹사이트
Anchiceratops
https://dinosaurking[...]
2022-12-05
[19]
웹사이트
Rajasaurus
https://dinosaurking[...]
2022-12-09
[20]
웹사이트
Centrosaurus
https://dinosaurking[...]
2022-12-09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뉴스
セガトイズ『恐竜キング』 関連商品を全面刷新
日経産業新聞
2007-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